알니타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니타크는 오리온자리의 ζ별로, 오리온 띠의 동쪽 끝에 위치한 삼중성계이다. 지구에서 약 800광년 떨어져 있으며, 알니타크 A, 알니타크 B, 그리고 알니타크 C로 구성되어 있다. 알니타크 A는 근접 쌍성으로 청색 초거성인 알니타크 Aa와 청색 준거성인 알니타크 Ab로 이루어져 있다. 알니타크 B는 알니타크 A를 1,500년 주기로 공전하는 청색 항성이다. 알니타크는 아랍어로 '허리띠'를 의미하며, 오리온 띠의 세 별은 여러 문화권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려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O형 초거성 - 나오스
나오스는 돛자리에 있는 청색 초거성이며, 태양 질량의 22.5배에서 55배에 달하는 질량과 약 14배의 반지름을 지니고 초고온이며, 강력한 항성풍을 방출하고, 약 1092광년 떨어져 있으며, 과거 트럼플러 10 OB 성협과 관련이 있고, 특이한 헬륨 스펙트럼으로도 알려져 있다. - O형 초거성 - 청색초거성
청색 초거성은 태양 질량의 10배에서 300배에 달하는 매우 무거운 별로, O형 및 B형 주계열성이 진화하며 형성되고, 빠른 항성풍과 방출선 스펙트럼을 가지며, 질량에 따라 적색 초거성이나 울프-레이에 별을 거쳐 초신성으로 폭발하기도 한다. - B형 거성 - 마이아 (항성)
마이아는 황소자리에 위치하며 플레이아데스 자매의 이름을 딴 별로, 특정 원소 과잉과 흑점 활동에 의한 밝기 변화를 보이며 반사 성운에 둘러싸여 맨눈으로도 관측 가능한 항성이다. - B형 거성 - 스피카
스피카는 지구에서 약 250광년 떨어진 처녀자리 α별로, "처녀의 밀 이삭"을 의미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했으며, 분광쌍성이자 회전 타원체 변광성으로 두 개의 청색거성으로 이루어져 빠른 자전과 강한 상호 중력으로 인해 특이한 물리적 특성을 보이는 밝은 쌍성계이다. - 오리온자리 - NGC 1999
NGC 1999는 오리온자리에 위치한 반사 성운으로, 내부 별의 빛을 받아 빛나며, 허블 우주 망원경 관측 당시에는 암흑 성운으로 추정되었으나, 헤르셸 우주 망원경 관측 결과 먼지가 거의 없는 공동으로 밝혀졌고, 이는 오리온자리 V380 별에서 분출되는 제트가 주변 물질을 밀어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 오리온자리 - 오리온자리 V380
오리온자리 V380은 B9~A1형 허빅 Ae/Be형 항성인 주성을 중심으로, 원시행성계 원반, 차가운 동반성, 세 번째 별, 그리고 중력적으로 결합된 네 번째 별로 이루어진 다중성계이며, 강력한 중력적 상호작용과 거대한 항성풍 충격파를 형성한다.
알니타크 | |
---|---|
기본 정보 | |
![]() | |
별자리 | 오리온자리 |
겉보기 등급 | 1.77 (2.08 + 4.28 + 4.01) |
로마자 표기 | Alnitak |
발음 | IPA: /ælˈnaɪtæk/ |
관측 정보 | |
기점 | J2000 |
별자리 | 오리온자리 |
시선 속도 | 18.50 |
고유 운동 (적경) | 3.19 |
고유 운동 (적위) | 2.03 |
시차 | 4.43 |
시차 오차 | 0.64 |
거리 | 387 ± 54 파섹 () |
절대 등급 | −6.0 / −3.9 / −4.1 |
특징 | |
분광형 | O9.5Iab + B1IV + B0III |
B-V 색 지수 | −0.11 (A), −0.20 (B) |
U-B 색 지수 | −1.06 |
변광성 여부 | 알려지지 않음 |
유형 | 청색 초거성 (Aa) |
궤도 정보 (Aa-Ab) | |
기준 | Aa |
이름 | Ab |
공전 주기 | 2,687.3 ± 7.0일 |
궤도 장반축 | 35.9 ± 0.2 밀리초각 |
궤도 이심률 | 0.338 ± 0.004 |
궤도 경사 | 139.3 ± 0.6도 |
승교점 경도 | 83.8 ± 0.8도 |
근점 통과 시각 | JD 2452734.2 ± 9.0 |
근점 인수 | 204.2 ± 1.2도 |
K1 | 10.1 |
K2 | 19.6 |
궤도 정보 (A-B) | |
기준 | A |
이름 | B |
공전 주기 | 1,508.6년 |
궤도 장반축 | 2.728 초각 |
궤도 이심률 | 0.07 |
궤도 경사 | 72.0도 |
승교점 경도 | 155.5도 |
근점 인수 | 47.3도 |
근점 통과 시각 | 2,070.6 |
물리적 특징 (Alnitak Aa) | |
질량 | 33 ± 10 태양 질량 |
반지름 | 20.0 ± 3.2 태양 반지름 |
광도 | 250,000 태양 광도 |
표면 중력 | 3.2 ± 0.1 (log g) |
표면 온도 | 29,500 ± 1,000 켈빈 |
자전 속도 | 110 ± 10 km/s |
자전 주기 | 6.67일 |
나이 | 640만 년 |
물리적 특징 (Alnitak Ab) | |
질량 | 14 ± 3 태양 질량 |
반지름 | 7.3 ± 1.0 태양 반지름 |
광도 | 32,000 태양 광도 |
표면 온도 | 29,000 켈빈 |
표면 중력 | 4.0 (log g) |
나이 | 720만 년 |
물리적 특징 (Alnitak B) | |
자전 속도 | 350 km/s |
나이 | ~700만 년 |
명칭 | |
기타 명칭 | ζ 오리온자리 50 오리온자리 126 G. 오리온자리 BD −02°1338 SAO 132444 HIP 26727 TD1 5127 WDS J05407-0157 |
A 명칭 | HR 1948 HD 37742 |
B 명칭 | HR 1949 HD 37743 |
2. 관측 역사
알니타크는 오리온 띠의 일원으로 여러 문화권에 걸쳐 고대부터 알려져 있던 별이었다.[12] 1819년 아마추어 천문가 게오르크 K. 쿠노프스키(George K. Kunowsky)는 이 별이 두 개로 이루어진 이중성이라고 주장했다.[12] 1970년대 나라브리 항성 강력 간섭기(Narrabri Stellar Intensity Interferometer)를 이용하여 연구한 결과 밝은 별로 관측되었던 주성이 쌍성일 것으로 추측했다.[11] 이후 1998년 로웰 천문대(Lowell Observatory)의 한 연구팀이 이 추측이 사실임을 입증했다.[11]
알니타크는 오리온 허리띠의 동쪽 끝에 있는 삼중 별 시스템으로, 지구에서 약 800광년 떨어져 있다.
원래 1,500광년 떨어져 있을 것으로 예상했으나, 히파르코스 위성의 시차 관측에 힘입어 1996년 실제 거리는 이것의 약 절반임이 밝혀졌다.[4]
3. 항성계
알니타크 A는 근접 쌍성으로, 알니타크 Aa와 알니타크 Ab로 구성되어 있다.
알니타크 B는 알니타크 A를 1,500년 주기로 공전하는 B 분광형의 청색 항성이다. 지구에서 봤을 때 2.3초각 떨어진 위치에 4.2등급의 청색 거성이다.
9등급의 알니타크 C는 Aa–Ab–B 그룹의 일부로 확인되지 않았으며, 단순히 시선 방향으로 놓여 있을 수 있다.
알니타크 시스템은 IC 434 성운 속에 있다.
3. 1. 알니타크 A
알니타크 '''A'''는 근접 쌍성으로 청색 초거성이며 분광형 및 광도형은 O9.7 Ibe이다.[11] 질량은 태양의 28배, 반지름은 태양의 20배이다. 또한 밤하늘에서 보이는 O형 항성들 중 가장 밝은 존재이다. 1998년에 발견된 두 번째 반성 알니타크 '''Ab'''는 겉보기 등급 +4의 O형 항성이다. 반성 알니타크 '''B'''는 A를 1,500년 주기로 공전하는 B 분광형의 청색 항성이다.
알니타크 A로 불리는 부분은 자체적으로 근접 쌍성으로, 알니타크 Aa와 알니타크 Ab로 구성되어 있다.
알니타크 Aa는 분광형 O9.5Iab의 청색 초거성으로, 절대 등급은 −6.0이고 겉보기 등급은 2.0이다. 태양 질량의 최대 33배, 지름은 20배 더 큰 것으로 추정된다. 태양 광도보다 약 21,000배 더 밝으며, 흑체의 표면 밝기는 약 500배 더 크다. O형 별 중에서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이다. 약 100만 년 안에 적색 초거성으로 팽창하여 목성의 궤도보다 더 넓어진 후 초신성 폭발로 생을 마감하며, 아마도 블랙홀을 남길 것이다.
알니타크 Ab는 분광형 B1IV의 청색 준거성으로, 절대 등급은 −3.9이고 겉보기 등급은 4.3이며, 1998년에 발견되었다.
세 개의 별로 이루어진 쌍성이며, 주성 Aa는 2등성으로 태양의 33배의 질량과 20배의 반경을 가진 청색 초거성이고, 반성 Ab는 14배의 질량과 7.3배의 반경을 가진 청백색의 준거성이다. 두 별의 합성 등급은 1.88등급으로, 7.3년 주기로 서로 공전하고 있다. 또한, 지구에서 봤을 때 2.3초각 떨어진 위치에 4.2등급의 청색 거성인 반성 B가 존재한다. 반성 B는 ζ별 A의 주위를 약 1,500년 주기로 공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니타크는 오리온 허리띠의 동쪽 끝에 있는 삼중 별 시스템이다.
3. 1. 1. 알니타크 Aa
알니타크 Aa는 자체적으로 근접 쌍성인 알니타크 A의 구성원이다. 알니타크 Aa는 분광형 O9.5Iab의 청색 초거성으로, 절대 등급은 -6.0이고 겉보기 등급은 2.0이다. 태양 질량의 최대 33배, 지름은 20배 더 큰 것으로 추정된다. 태양 광도보다 약 21,000배 더 밝으며, 흑체의 표면 밝기는 약 500배 더 크다. O형 별 중에서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이다. 약 100만 년 안에 적색 초거성으로 팽창하여 목성의 궤도보다 더 넓어진 후 초신성 폭발로 생을 마감하며, 아마도 블랙홀을 남길 것이다.
주성 Aa는 2등성으로 태양의 33배의 질량과 20배의 반경을 가진 청색 초거성이다.
3. 1. 2. 알니타크 Ab
1998년에 발견된 알니타크 Ab는 겉보기 등급 +4의 O형 항성이다.[11] 분광형 B1IV의 청색 준거성으로, 절대 등급은 −3.9이고 겉보기 등급은 4.3이다. 알니타크 Ab는 알니타크 Aa를 공전한다.
3. 2. 알니타크 B
알니타크 B는 알니타크 A를 1,500년 주기로 공전하는 B 분광형의 청색 항성이다. 1998년에 발견된 두 번째 반성 알니타크 Ab는 겉보기 등급 +4의 O형 항성이다. 알니타크 Ab는 분광형 B1IV의 청색 준거성으로, 절대 등급은 -3.9이고 겉보기 등급은 4.3이다.[11] 알니타크는 오리온 허리띠의 동쪽 끝에 있는 삼중 별 시스템으로, 2등급의 주성에는 1,500년 이상 걸리는 궤도에서 약 3 아크초 떨어진 4등급의 동반성이 있다. 반성 B는 ζ별 A의 주위를 약 1,500년 주기로 공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구에서 봤을 때 2.3초각 떨어진 위치에 4.2등급의 청색 거성인 반성 B가 존재한다.
3. 3. 알니타크 C
알니타크는 오리온 허리띠의 동쪽 끝에 있는 삼중 별 시스템이다.[11] 알니타크 A는 근접 쌍성으로, 알니타크 Aa와 알니타크 Ab로 구성되어 있다.[11] 알니타크 Aa는 분광형 O9.5Iab의 청색 초거성이며, 절대 등급은 -6.0, 겉보기 등급은 2.0이다.[11] 태양 질량의 최대 33배, 지름은 20배로 추정된다. 태양 광도보다 약 21,000배 더 밝으며, 흑체의 표면 밝기는 약 500배 더 크다. O형 별 중에서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이다.[11] 약 100만 년 안에 적색 초거성으로 팽창하여 목성의 궤도보다 더 넓어진 후 초신성 폭발로 생을 마감하며, 아마도 블랙홀을 남길 것이다.
9등급의 알니타크 C는 Aa–Ab–B 그룹의 일부로 확인되지 않았으며, 단순히 시선 방향으로 놓여 있을 수 있다. 알니타크 시스템은 IC 434의 성운 속에 있다.
3. 4. 성운
알니타크는 오리온 띠의 가장 왼쪽에 있는 구성원이고 지구에서 약 800광년 떨어져 있다. 주성(알니타크 '''A''')은 근접 쌍성으로 청색 초거성이며 분광형 및 광도형은 O9.7 Ibe이다. 질량은 태양의 28배, 반지름은 태양의 20배이다. 또한 밤하늘에서 보이는 O형 항성들 중 가장 밝은 존재이다. 반성 알니타크 '''B'''는 A를 1,500년 주기로 공전하는 B 분광형의 청색 항성이다. 1998년에 발견된 두 번째 반성 알니타크 '''Ab'''는 겉보기 등급 +4의 O형 항성이다.
제타 항성계는 IC 434 성운 내에 있다.
4. 어원 및 문화적 의의
전통적으로 불리던 이름인 '''알니타크'''(Alnitak)는 Al Nitak, Alnitah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이는 아랍어 النطاق에서 온 말로, 뜻은 '허리띠'이다.[12] 제타 오리온스(ζ Orionis, 라틴어로 표기 시 ''Zeta Orionis'')는 이 별자리의 바이어 명명법에 따른 명칭이며, ''50 Orionis''는 플램스티드 명명법에 따른 명칭이다.
아랍어 النطاق ''안-니타크''(an-niṭāq), 즉 "허리띠"에서 유래되었다.[12] 2016년, 국제천문연맹(IAU)은 별들의 고유한 이름을 목록화하고 표준화하기 위해 별 이름 워킹 그룹(WGSN)[13]을 조직했다. WGSN의 2016년 7월 첫 번째 공보[14]에는 WGSN에서 승인한 이름의 첫 번째 두 묶음에 대한 표가 포함되었으며, 여기에는 별 ζ 오리온스 Aa에 대한 ''알니타크''가 포함되었다. 현재 IAU 별 이름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15]
학명은 ζ 오리오니스(ζ Orionis, 약칭은 ζ Ori)이다. 고유 명칭 '''알니타크'''(Alnitak)는 아랍어로 "자우자의 허리띠, 벨트"를 의미하는 "니타크 알 자우자"( نيتاق الجوزاء Niṭāq al-Jawzā')를 어원으로 한다. 10세기 천문학자 압두르라흐만 수피의 『별자리 책』(''Kitāb Ṣuwar al-Kawākib'')에서는 단순히 "안 니타크"( النطاق al-Niṭāq)라고도 불린다. "니타크"는 오리온자리 δ별의 고유 명칭 민타카와 어근이 같은 "허리띠, 벨트"의 의미이다.
2016년 7월 20일, 국제천문연맹의 항성 명명에 관한 워킹 그룹(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은 ''Alnitak''을 ζ별 Aa의 고유 명칭으로 공식 승인했다.
4. 1. 오리온 띠
'''알니타크'''(Alnitak)는 Al Nitak, Alnitah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이는 아랍어 النطاق에서 온 말로, 뜻은 '허리띠'이다.[12]오리온 허리띠 세 별은 여러 문화권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알려져 있었다. 아랍어 용어로는 النجاد ''Al Nijād'' '허리띠', النسك ''Al Nasak'' '선', العلقات ''Al Alkāt'' '황금 곡물 또는 견과류'가 있으며, 현대 아랍어로는 ميزان الحق ''Al Mīzān al Ḥaqq'' '정의의 저울'이 있다.[12] 중국 신화에서는 그것들을 저울 빔으로 불렀다.[12]
중국 천문학에서 參宿중국어 (), 즉 삼수는 알니타크, 알닐람, 민타카 (오리온 허리띠)로 구성된 별자리를 말하며, 베텔게우스, 벨라트릭스, 사이프, 리겔이 나중에 추가되었다.[16] 알니타크의 중국 이름은 參宿一중국어 (, )이다.[17] 백호의 서쪽 별자리 중 하나이다.
5. 관련 천체
참조
[1]
간행물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2007
[2]
간행물
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Photometry in Johnson's 11-color system
2002
[3]
서적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 A Short Guide to 254 Star Names and Their Derivations
Sky Pub
2006
[4]
간행물
Dynamical mass of the O-type supergiant in ζ Orionis A
2013
[5]
간행물
The Tycho double star catalogue
2002
[6]
간행물
Astrophysical supplements to the ASCC-2.5: Ia. Radial velocities of ~55000 stars and mean radial velocities of 516 Galactic open clusters and associations
2007
[7]
웹사이트
Sixth Catalog of Orbits of Visual Binary Stars
https://crf.usno.nav[...]
United States Naval Observatory
[8]
간행물
XMM-Newton observations of ζ Orionis (O9.7 Ib): A collisional ionization equilibrium model
2008
[9]
간행물
Understanding the photometric variability of ζ OriAa
2016
[10]
간행물
The magnetic field of ζ Orionis A
2015
[11]
간행물
ζ Orionis A Is a Double Star
2000
[12]
서적
Star-names and their meanings
https://archive.org/[...]
G.E. Stechert
1899
[13]
웹사이트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https://www.iau.org/[...]
2016-05-22
[14]
웹사이트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http://www.pas.roche[...]
2016-07-28
[15]
웹사이트
IAU Catalog of Star Names
http://www.pas.roche[...]
2016-07-28
[16]
서적
中國星座神話
台灣書房出版有限公司
2005
[17]
웹사이트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5 月 25 日
http://aeea.nmns.ed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