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닐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닐람은 오리온자리에 있는 B형 스펙트럼의 초거성으로, 지구로부터 약 606 파섹 떨어져 있다. 알닐람은 백조자리 α형 변광성이며, 1.68등급에서 1.71등급 사이에서 변광한다. 알닐람은 태양보다 훨씬 밝고 거대한 별로, 여러 연구에 따라 밝기는 태양의 최대 86만 3천 배, 질량은 태양의 약 42배로 추정된다. 알닐람은 앞으로 100만 년 안에 초신성으로 폭발하여 블랙홀을 남길 것으로 예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B형 초거성 - 청색초거성
청색 초거성은 태양 질량의 10배에서 300배에 달하는 매우 무거운 별로, O형 및 B형 주계열성이 진화하며 형성되고, 빠른 항성풍과 방출선 스펙트럼을 가지며, 질량에 따라 적색 초거성이나 울프-레이에 별을 거쳐 초신성으로 폭발하기도 한다. - B형 초거성 - 알루드라
알루드라는 큰개자리에 있는 밝게 빛나는 청색 초거성이며, 백조자리 알파형 변광성으로 분류되고, 아랍어에서 유래된 이름을 가지며, 초신성 폭발을 앞둔 항성 진화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것으로 예측된다. - 오리온자리 - NGC 1999
NGC 1999는 오리온자리에 위치한 반사 성운으로, 내부 별의 빛을 받아 빛나며, 허블 우주 망원경 관측 당시에는 암흑 성운으로 추정되었으나, 헤르셸 우주 망원경 관측 결과 먼지가 거의 없는 공동으로 밝혀졌고, 이는 오리온자리 V380 별에서 분출되는 제트가 주변 물질을 밀어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 오리온자리 - 오리온자리 V380
오리온자리 V380은 B9~A1형 허빅 Ae/Be형 항성인 주성을 중심으로, 원시행성계 원반, 차가운 동반성, 세 번째 별, 그리고 중력적으로 결합된 네 번째 별로 이루어진 다중성계이며, 강력한 중력적 상호작용과 거대한 항성풍 충격파를 형성한다. - 플램스티드 천체 - 쉐다르
쉐다르는 카시오페이아자리의 별로, 아랍어로는 "가슴", 중국에서는 '왕량사'로 불리며, 북반구에서 쉽게 관측할 수 있는 적색 초거성이다. - 플램스티드 천체 - 시리우스
시리우스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로, 8.6광년 거리에 있는 쌍성계이며, 고대 이집트에서 나일 강 범람 예측에 중요했고, 여러 문화권에서 신화와 전설의 중심이 되었으며, 색깔에 대한 역사적 논쟁과 에드먼드 핼리의 고유 운동 관측으로 알려져 과학과 대중문화에 널리 사용된다.
| 알닐람 | |
|---|---|
| 기본 정보 | |
![]() | |
| 별칭 | 오리온자리 엡실론별 알니람 |
| 영어 이름 | Alnilam |
| 한자 이름 | 參宿二 |
| 로마자 표기 | Alnilam |
| 관측 정보 | |
| 별자리 | 오리온자리 |
| 겉보기 등급 | 1.69 (1.64 - 1.74, 변광) |
| 시선 속도 | 27.30 km/s |
| 적색 편이 | 0.000091 |
| 고유 운동 (적경) | 1.44 밀리초각/년 |
| 고유 운동 (적위) | -0.78 밀리초각/년 |
| 연주 시차 | 1.65 밀리초각 |
| 거리 | 1975.76 광년 (606 파섹) |
| 절대 등급 | -7.223 |
| 특징 | |
| 분광형 | B0Ia |
| 변광성 유형 | 세페우스자리 알파형 변광성 |
| 반지름 | 32.4 태양 반지름 |
| 질량 | 40-44 태양 질량 |
| 표면 온도 | 27,000 켈빈 |
| 광도 | 832,000 태양 광도 |
| 표면 중력 | 알 수 없음 |
| 자전 속도 | 87 km/s |
| B-V 색 지수 | -0.19 |
| U-B 색 지수 | -1.04 |
| R-I 색 지수 | -0.17 |
| 나이 | 4 백만 년 |
| 명칭 | |
| 기타 명칭 | 오리온자리 46번성 본 란데스무스터 -01 969 FK5 210 HD 37128 HIP 26311 HR 1903 SAO 132346 |
| 위치 정보 | |
![]() | |
2. 특징
알닐람은 밤하늘에서 29번째로 밝은 별(오리온자리에서는 네 번째)이며, 청색 초거성이다. 민타카 및 알니타크와 함께 오리온 허리띠를 이루며, 고대 여러 문화권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알닐람은 이들 중 가운데 별이다.
1943년 이후, 이 별의 스펙트럼은 스펙트럼형 B0Ia에 대한 다른 별의 분류 기준으로 사용되는 안정적인 기준점 중 하나로 사용되었다. 스펙트럼은 특히 H-알파 흡수선에서 변동을 보이지만, 이는 이러한 유형의 밝고 뜨거운 초거성의 전형적인 현상으로 간주된다. 또한 58개의 별 중 하나로, 천문 항법에 사용된다. 12월 15일 자정에 하늘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도달한다.
알닐람은 1.64에서 1.74 사이의 밝기로 약간 변광하며 명확한 주기는 없으며, 알파 백조자리 변광성으로 분류된다. 스펙트럼 또한 변동하는데, 이는 표면에서 질량 손실의 예측 불가능한 변화 때문일 수 있다. B형 스펙트럼의 초거성으로, 1.68등급~1.71등급의 범위로 변광한다. 변광 범위가 작아 육안 관측으로는 광도 변화를 알 수 없다. 2,000km/s를 넘는 강력한 항성풍에 의해, 1년 동안 태양 질량의 약 200만 분의 1의 질량을 잃고 있다.
지구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 연주시차의 오차가 크다. 1997년 히파르코스 위성에 의한 관측 결과, 거리는 약 412 파섹으로 제시되었지만, 2007년에는 약 606 파섹이라는 값이 다시 제시되었다. 재제시된 값을 바탕으로 반지름은 태양의 64.5배, 질량은 태양의 42.0배, 광도는 태양의 832,000배라는 추정치가 얻어졌으며, 절대 등급은 리겔보다 밝다.[4] 하지만 지구로부터는 리겔보다 멀리 떨어져 있어 겉보기 등급은 리겔보다 낮다.
2. 1. 물리적 특성

알닐람은 밤하늘에서 29번째로 밝으며(오리온자리에서는 네 번째) 청백색 초거성이다. 민타카와 알니타크와 함께 오리온의 허리띠를 이루며 여러 고대 문명권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려 왔다. 1943년 이래 이 별의 스펙트럼은 다른 항성들의 분광형을 분류하는 데 사용하는 안정적인 기준점 역할을 수행해 왔다.[9] 알닐람은 천측항법에 사용되는 58개 별 중 하나이기도 하다. 밤하늘에서는 12월 15일 자정 경 가장 높은 고도에 뜬다.
알닐람의 스펙트럼은 상대적으로 단순하여 성간매질을 연구하는 데에 유용하게 쓰인다. 분자구름 NGC 1990에 둘러싸여 있으며 이 분자구름을 비추어 반사성운을 형성한다. 별에서 나오는 항성풍의 속도는 초당 2000 킬로미터에 이르는데 이로부터 계산한 알닐람의 질량손실속도는 태양의 2천만 배에 이른다.[10]
알닐람은 앞으로 100만 년 안에 울프-레이에별로 변하여 초신성으로 폭발할 수 있다. 알닐람의 높은 질량은 높은 질량 손실로 인해 적색 초거성이 되지 않을 것이며[1] 중성자별 대신 블랙홀을 남길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2. 1. 1. 변광성
알닐람의 속성값은 연구 논문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2006년 크라우더 연구진은 항성풍 및 대기 모델링을 통해 알닐람의 밝기가 태양의 27만 5천 배, 유효 온도는 2만 7천 켈빈, 반지름은 태양의 24배라는 결론을 내렸다.[10] 2008년 설 연구진은 CMFGEN 코드로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밝기는 태양의 53만 7천 배, 유효 온도는 27,500 ± 100 켈빈, 반지름은 태양의 32.4 ± 0.75 배로 추정했다.[11] 오리온자리 OB1 성협 구성원들의 스펙트럼과 나이를 분석한 결과, 알닐람의 질량은 태양의 34.6배(주계열성이었던 시절에는 태양의 40.8배), 나이는 570만 년으로 예측되었다.[12]이후 히파르코스 위성 관측 결과 알닐람의 연주시차 값이 기존보다 작게 나와 이 별이 더 멀리 떨어져 있음을 알게 되었다. (지구로부터 약 606 파섹)[5] 히파르코스가 측정한 원래 거리는 약 412 파섹이었다.[13] 606 파섹 거리를 가정하면 알닐람의 밝기는 최대 태양의 86만 3천 배까지 올라간다.[8]
알닐람은 1.64에서 1.74 사이의 밝기로 약간 변광하며 명확한 주기는 없는 알파 백조자리 변광성으로 분류된다. 스펙트럼 또한 변동하는데, 이는 표면에서 질량 손실의 예측 불가능한 변화 때문일 수 있다. B형 스펙트럼의 초거성으로, 1.68등급~1.71등급의 범위로 변광한다. 변광 범위가 작아 육안 관측으로는 광도 변화를 알 수 없다. 2,000km/s를 넘는 강력한 항성풍에 의해, 1년 동안 태양 질량의 약 200만 분의 1의 질량을 잃고 있다.
2. 2. 항성풍
알닐람은 분자구름 NGC 1990을 둘러싸고 있으며, 이 구름을 비추어 반사성운을 만든다. 알닐람에서 나오는 항성풍의 속도는 초당 2000 킬로미터에 이르는데, 이로부터 계산한 알닐람의 질량손실속도는 태양의 2천만 배에 이른다.[10] 높은 질량 때문에 알닐람은 적색 초거성이 되지 않고[1] 울프-레이에별로 변하여 초신성으로 폭발할 가능성이 있으며, 중성자별 대신 블랙홀을 남길 가능성이 높다.2. 3. 주변 환경
오리온의 허리띠를 이루는 세 별 중 가운데에 있는 알닐람은 밤하늘에서 29번째로 밝은 별이다(오리온자리에서는 네 번째이다).[9] 1943년 이래 이 별의 스펙트럼은 다른 항성들의 분광형을 분류하는 기준점 역할을 해 왔다.[9] 알닐람은 천측항법에 사용되는 58개 별 중 하나이기도 하다. 알닐람의 스펙트럼은 단순하여 성간매질을 연구하는 데 유용하게 쓰인다. 알닐람은 분자구름 NGC 1990에 둘러싸여 있으며, 이 분자구름을 비추어 반사성운을 형성한다. 알닐람에서 나오는 항성풍의 속도는 초당 2000 킬로미터에 이르는데, 이로부터 계산한 알닐람의 질량손실속도는 태양의 2천만 배에 이른다.[10]3. 명칭과 역사
알닐람이라는 명칭은 아랍어 '알-닐람'(النيلم)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사파이어'를 뜻하는 '닐람'과 관련이 있다. 알니한(Alnihan)이나 알니탐(Alnitam) 같은 다른 표기들도 있으나, 이들은 음역 과정이나 사본 제작 중 발생한 오류로 보인다.[14][15]
2016년 국제천문연맹(IAU)은 별들의 고유 명칭을 공식적으로 목록화하기 위해 항성명칭 심의위원회(WGSN)를 조직했다.[16] WGSN은 2016년 7월에 알닐람을 포함한 항성 명칭들을 공식 인증했으며,[17] 현재 알닐람은 국제천문연맹 항성명칭목록에 등재되어 있다.[18]
알닐람은 아랍어로 "(진주의) 연쇄, (실을 꿰어) 구슬을 꿴 것"을 의미하는 안 니잠(النظام al-Niẓām) 또는 안 나즘(النَظم al-Naẓm)에서 유래되었다. 압두르 라흐만 수피의 별자리 책에서는 오리온자리 δ별, ζ별, ε별을 묶어 "자우자의 진주 목걸이" 등으로 불렀다고 설명하고 있는데, 이처럼 원래는 세 별을 통칭하는 말이었다.
3. 1. 다양한 명칭
'''오리온자리 엡실론'''은 바이어 명명법으로, '''오리온자리 46'''은 플램스티드 명명법으로 표기한 것이다.고유명칭 알닐람은 아랍어 ''النيلم''(알-닐람)에서 온 것으로 '사파이어' 뜻의 '닐람'과 관계가 있다. 다른 표기로는 알니한(Alnihan)과 알니탐(Alnitam)이 있는데 셋 다 음역(音譯) 과정상 실수 또는 사본을 만들 때의 오류로 보인다.[14][15] 2016년 국제천문연맹은 별들의 고유명칭을 공식 목록화할 목적으로 항성명칭 심의위원회(WGSN)[16]를 조직했다. WGSN은 2016년 7월[17] 인증된 항성명칭을 고시했으며 알닐람은 여기에 포함되었다. 현재 알닐람은 국제천문연맹 항성명칭목록에 등재되어 있다.[18]
학명은 ε Orionis(약칭은 ε Ori)이다. 고유 명칭 '''알닐람'''의 유래는 아랍어로 "(진주의) 연쇄, (실을 꿰어) 구슬을 꿴 것"을 의미하는 안 니잠(النظام al-Niẓām) 또는 안 나즘(النَظم al-Naẓm)이라고 불리던 것에서 유래되었다. 압두르 라흐만 수피의 별자리 책에서 오리온자리 δ별, ζ별, ε별의 삼태성이 نَظم الجوزاء Naẓm al-Jawzā', 즉 "자우자의 진주 목걸이" 등으로 불린다고 설명되어 있는 것처럼, 원래는 세 개의 별을 통칭하는 말이었다. 2016년 7월 20일, 국제 천문 연맹의 항성 고유 명칭에 관한 워킹 그룹은 ''Alnilam''을 오리온자리 ε별의 고유 명칭으로 공식 승인했다.
3. 2. 오리온의 허리띠
알닐람은 밤하늘에서 29번째로 밝으며(오리온자리에서는 네 번째) 청백색 초거성이다. 민타카와 알니타크와 함께 세 별은 오리온의 허리띠를 이루며 여러 고대 문명권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려 왔다. 알닐람은 허리띠 세 별 중 가운데에 있다. 밝기는 1.64에서 1.74 등급 사이에서 변화한다. 1943년 이래 이 별의 스펙트럼은 다른 항성들의 분광형을 분류하는 데 사용하는 안정적인 기준점 역할을 수행해 왔다.[9] 알닐람은 천측항법에 사용되는 58개 별 중 하나이기도 하다. 밤하늘에서는 12월 15일 자정 경 가장 높이 뜬다.'''오리온자리 엡실론'''은 바이어 명명법으로, '''오리온자리 46'''은 플램스티드 명명법으로 표기한 것이다.
고유명칭 알닐람은 아랍어 ''النيلم'' (알-닐람)에서 온 것으로 '사파이어' 뜻의 '닐람'과 관계가 있다. 다른 표기로는 알니한(Alnihan)과 알니탐(Alnitam)이 있는데 셋 다 음역(音譯) 과정상 실수 또는 사본을 만들 때의 오류로 보인다.[14][15] 2016년 국제천문연맹은 별들의 고유명칭을 공식 목록화할 목적으로 항성명칭 심의위원회(WGSN)[16]를 조직했다. WGSN은 2016년 7월[17] 인증된 항성명칭을 고시했으며 알닐람은 여기에 포함되었다. 현재 알닐람은 국제천문연맹 항성명칭목록에 등재되어 있다.[18]
3. 2. 1. 문화적 상징성
오리온의 허리띠를 구성하는 세 별은 여러 문화권에서 셋을 하나로 묶은 개념으로 인식되어 왔다. 아랍어로 세 별은 '알 니자드'(허리띠), '알 나사크'(줄), '알 알카트'(황금색 낱알 또는 황금색 땅콩) 등으로, 근대 아랍어로는 '알 미잔 알 하아크'(정확한 저울대)로 표기되었다. 중국 신화 역시 이 세 별을 저울대로 인식하였다.[14] 동아시아 별자리에서는 28수 중 삼수(參宿)에 포함된다. 삼수는 백호에 속해 있기도 하다.중국 천문학에서 삼수(參宿|Shēn Sù중국어)는 알니탁, 민타카와 함께 오리온자리의 허리띠를 구성하는 세 개의 별을 의미하며, 이후 베텔게우스, 벨라트릭스, 사이프, 리겔이 추가되었다. 알닐람의 중국 이름은 삼수이(參宿二|Shēn Sù èr중국어, 세 개의 별 중 두 번째 별)이다.
3. 3. 현대 천문학에서의 역할
알닐람은 하늘에서 29번째로 밝은 별(오리온자리에서는 네 번째로 밝은 별)이며, 청색 초거성이다. 민타카 및 알니타크와 함께 이 세 별은 오리온 허리띠를 이루며, 고대 여러 문화권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알닐람은 가운데 별이다.1943년 이후, 이 별의 스펙트럼은 스펙트럼형 B0Ia에 대한 다른 별의 분류 기준으로 사용되는 안정적인 기준점 중 하나로 사용되었다. H-알파 흡수선에서 스펙트럼 변동을 보이지만, 이는 이러한 유형의 밝고 뜨거운 초거성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알닐람은 천문 항법에 사용되는 58개의 별 중 하나이기도 하다. 알닐람은 12월 15일 자정에 하늘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도달한다.
밝기는 1.64에서 1.74 사이에서 약간 변광하며 명확한 주기는 없다. 알파 백조자리 변광성으로 분류된다. 스펙트럼 또한 변동하는데, 이는 표면에서 질량 손실의 예측 불가능한 변화 때문일 수 있다.
참조
[1]
논문
Exploring the Mass-loss Histories of the Red Supergiants*
2020-09-01
[2]
논문
Quantitative studies of the optical and UV spectra of Galactic early B supergiants. I. Fundamental parameters
2008
[3]
논문
Creating and using large grids of precalculated model atmospheres for a rapid analysis of stellar spectra
https://www.aanda.or[...]
2020-11
[4]
논문
X-ray, UV and optical analysis of supergiants: ϵ Ori
2015
[5]
저널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2007-11
[6]
저널
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Photometry in Johnson's 11-color system
2002
[7]
저널
Spectrophotometric observations of variable stars
2006-09
[8]
저널
X-ray, UV and optical analysis of supergiants: ε Ori
[9]
저널
AN ATLAS OF STELLAR SPECTRA
1943
[10]
저널
Physical parameters and wind properties of galactic early B supergiants
2006-01
[11]
저널
Quantitative studies of the optical and UV spectra of Galactic early B supergiants. I. Fundamental parameters
2008
[12]
저널
Probing the evolving massive star population in Orion with kinematic and radioactive tracers
2010
[13]
저널
The HIPPARCOS Catalogue
1997
[14]
서적
Star-names and their meanings
1936
[15]
저널
The name of epsilon Orionis
1909-09
[16]
웹인용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https://www.iau.org/[...]
2016-05-22
[17]
웹인용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http://www.pas.roche[...]
2016-07-28
[18]
웹인용
IAU Catalog of Star Names
http://www.pas.roche[...]
2016-07-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