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온의 허리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리온의 허리띠는 오리온자리를 구성하는 세 개의 밝은 별, 알니타크, 알닐람, 민타카를 지칭한다. 이 별들은 아랍어에서 유래된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여러 문화권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시간 측정, 항해, 신화 등 다양한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알니타크는 삼중성으로, 알닐람은 초거성, 민타카는 다중성계로, 각 별은 고유한 특성과 밝기를 지닌다.
오리온자리의 허리띠는 오리온자리 중앙에 있는 밝은 별 세 개, 민타카, 알니람, 알니타크를 말한다. 이 별들은 모두 2등성으로 밤하늘에서 쉽게 볼 수 있다.
오리온의 허리띠를 구성하는 세 별은 아랍어에서 유래된 이름을 가지고 있다. 세 별은 모두 "진주 목걸이"를 의미하는 (النظامar)으로 알려졌으며, , 과 같은 철자 변형도 있다.[8]
2. 구성원

한국에서는 이 세 별을 삼태성이라고도 부르는데, 세 별이 거의 같은 간격으로 일직선 위에 있고 밝기도 비슷하기 때문이다. 삼태성은 다른 별자리에도 쓰이지만, 오리온자리의 삼태성이 가장 유명하다.
세 별의 이름은 모두 아랍어에서 왔다. 원래는 모두 "진주 목걸이"를 뜻하는 으로 불렸으며, , 같은 다른 표기도 있다.[8][9]
히파르코스 위성 관측에 따르면, 지구에서 각 별까지의 거리는 민타카가 약 690광년, 알니람이 약 1980광년, 알니타크가 약 740광년이다. 알니람은 다른 두 별보다 훨씬 멀리 떨어져 있다.
2. 1. 알니타크 (ζ Ori)
알니타크(ζ 오리온자리)는 오리온의 허리띠 동쪽 끝에 있는 삼중성계로, 지구에서 약 736광년 떨어져 있다. 자외선 영역까지 포함하면 태양보다 10만 배 밝게 빛난다.[36] 주성 알니타크 A는 뜨거운 청색 초거성으로 절대 등급은 -5.25이며, 겉보기 등급은 1.70으로 밤하늘에서 보이는 분광형 O형 항성 중 가장 밝다. 다른 두 개의 반성은 각각 겉보기 등급이 +4이며 청색 별이다. 알니타크 B는 4등급의 B형 별로, 1,500년마다 알니타크 A를 공전한다. 주성(알니타크 A) 자체는 가까운 쌍성으로, 알니탁 Aa(분광형 O9.7 Ibe의 청색 초거성, 겉보기 등급 2.0)와 알니탁 Ab(분광형 B1IV의 청색 준거성, 겉보기 등급 약 4)로 구성되어 있다. 알니탁 Aa는 태양 질량의 최대 28배에 달하며 지름은 20배 더 큰 것으로 추정된다.
2. 2. 알닐람 (ε Ori)
알닐람은 지구로부터 약 2,000광년 떨어져 있으며 겉보기 등급은 1.70이다. 자외선 영역까지 고려하면 태양보다 37만 5천 배 밝다.[37] 하늘에서 29번째로 밝은 별이며 오리온자리에서는 네 번째로 밝다. 알닐람의 스펙트럼은 다른 별들을 분류하는 안정적인 기준점 중 하나로 사용된다.
허리띠를 구성하는 세 별의 이름은 아랍어에서 유래되었다. 세 별 모두 한때 으로 알려졌는데, 이는 "진주 목걸이"를 의미하며, 철자 변형으로 , 이 있는데,[8] 이는 번역 또는 복사 오류로 인한 실수라고 추정된다.[9]
히파르코스 위성으로 2007년에 측정된 연주시차에 의한 태양계로부터의 거리는 약 1980광년이다.[11]
2. 3. 민타카 (δ Ori)
민타카(δ Orionis)는 오리온자리 허리띠 서쪽 끝에 있는 6중성계이며, 천구 적도에 가장 가까운 별 시스템이다.[8] 이 별 시스템은 가장 가까운 거대 다중 별 시스템으로, 세 개의 분광학적 구성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12] 가장 밝은 개별 별은 O9.5 II 청색 거성이다. 이 시스템은 총 250,000 태양 광도이다. 민타카는 1,200광년 떨어져 있으며, 겉보기 등급은 2.25이다. 가장 안쪽의 쌍성은 5.732일의 주기를 가지며, 장반경은 약 3,200만 킬로미터(0.22 AU)이다. 태양에서 볼 때 두 개의 거대한 별이 궤도를 한 바퀴 돌 때마다 두 번씩 서로 가려지면서 밝기가 주기적으로 약간씩 감소한다.[13][12]
3. 역사와 문화
성경 욥기에는 "네가 북두칠성에게 굴레라도 씌우고 오리온 성좌의 사슬을 풀어주기라도 한단 말이냐?"라는 구절이 있으며,[42] 아모스서에도 오리온자리가 언급된다.[16]
19세기 말 미국의 아마추어 박물학자 리처드 힝클리 앨런은 자신의 저서에서 영어권에서 오리온자리의 허리띠를 부르는 다양한 명칭을 언급했는데, 여기에는 ''Jacob's Rod'', ''Jacob's Staff'', ''Peter's Staff'', ''the Golden Yard-arm'', ''The L'', ''The Ell'', ''Yard-stick'', ''Yard-wand'', ''Our Lady's Wand'', ''Magi'', ''Three Kings'', ''Three Marys'' 등이 있다.[41]
3. 1. 한국
오리온의 허리띠한국어에 대한 한국어 명칭이나 전승은 현재까지 알려진 바가 없다.
3. 2. 서양
스페인, 포르투갈, 남아메리카에서 이 세 별은 '세 명의 마리아' (Las Tres Marías)로 알려져 있다.[40] 세 별은 태양이 떠오르기 직전 북쪽 밤하늘에 떠 있기 때문에 고대로부터 시간을 파악하는 데 있어 유용한 존재였다. 필리핀, 푸에르토리코에서는 '세 명의 왕'으로 불렸다.[40] 이 별들은 매년 1월 6일 동방 박사 세 사람이 아기 예수에게 찾아왔다는 날인 주현절을 전후하여 밤하늘에 나타나기 시작한다.
리처드 힝클리 앨런은 자신의 저서에서 여러 문화권에서 오리온 띠를 칭하는 많은 이름들을 수록했다. 영미권에서는 '야곱의 지팡이', '베드로의 지팡이', '황금 가로대', '엘 (단위)', '야드', '엘 지팡이', '동방박사', '세 명의 왕', '세 명의 마리아', '세 별' 등으로 불려왔다고 한다.[41]
성경 욥기에는 "네가 북두칠성에게 굴레라도 씌우고 오리온 성좌의 사슬을 풀어주기라도 한단 말이냐?"라는 문장에서 '사슬'로 표현되어 있다.[42] 테니슨의 시 ''공주''에도 오리온자리의 허리띠가 묘사되어 있다.
핀란드 신화에서 오리온자리의 허리띠는 ''Väinämöisen vyö'' (베이네뫼이넨의 허리띠)라고 불린다. 허리띠에서 "매달려" 있는 것처럼 보이는 별들은 ''Kalevanmiekka'' (칼레바의 검)라는 성단을 형성한다. 기독교 이전의 스칸디나비아에서, 허리띠는 프리그의 물레 (''Friggerock'') 또는 프레이야의 물레로 알려졌다.[23] 야곱의 지팡이와 베드로의 지팡이는 유럽의 성경에서 유래된 용어였으며, 삼왕 또는 동방 박사도 마찬가지였다. 베이네뫼이넨의 낫 (칼레발라)과 칼레바의 검은 핀란드 신화에서 유래된 용어이다.[24]
3. 3. 기타 문화권
스페인, 포르투갈, 남아메리카에서는 이 세 별을 '세 명의 마리아'라고 부른다. 이 별들은 태양이 뜨기 직전 북쪽 밤하늘에 떠 있기 때문에 고대부터 시간을 파악하는 데 유용했다. 필리핀과 푸에르토리코에서는 '세 명의 왕'으로 불렀다.[40] 세 별은 매년 1월 6일 주현절을 전후하여 밤하늘에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이날은 동방 박사 세 사람이 아기 예수를 찾아왔다는 날이다.
리처드 힌클리 앨런은 자신의 저서에 여러 문화권에서 오리온 띠를 부르는 다양한 이름을 수록했다. 영미권에서는 '야곱의 지팡이', '베드로의 지팡이', '황금 활대', '엘 (단위)', '야드', '엘 지팡이', '동방박사', '세 명의 왕', '세 명의 마리아', '세 별' 등으로 불려왔다고 한다.[41]
성서 욥기에는 "네가 북두칠성에게 굴레라도 씌우고 오리온 성좌의 사슬을 풀어주기라도 한단 말이냐?"라는 문장에서 '사슬'로 표현되어 있다.[42]
중국의 시경에는 "삼수"(参)라는 이름으로 안타레스와 함께 언급되는데, 이들은 결코 만날 수 없는 두 사람을 비유하는 데 사용되었다.[18] 이는 오리온의 허리띠와 안타레스가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지지만, 안타레스는 오리온의 허리띠가 진 후에야 떠오르는 현상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말레이족은 오리온자리의 허리띠를 ''Bintang Tiga Beradik''(문자 그대로 "세 형제 별")라고 부른다.[19] 이 별자리는 말레이 제도 사람들을 위한 이슬람 기도 방향인 키블라의 방향을 나타내는 데 자주 사용된다.[20] 다른 별들과 마찬가지로, 세 별은 말레이족 선원들에게 항해 지침 역할도 한다.[21]
멕시코에서는 ''Los Tres Reyes Magos''라고 부른다.[22]
핀란드 신화에서 오리온자리의 허리띠는 ''Väinämöisen vyö'' (베이네뫼이넨의 허리띠)라고 불린다. 허리띠에서 "매달려" 있는 것처럼 보이는 별들은 ''Kalevanmiekka'' (칼레바의 검)라는 성단을 형성한다. 기독교 이전의 스칸디나비아에서, 허리띠는 프리그의 물레 (''Friggerock'') 또는 프레이야의 물레로 알려졌다.[23] 야곱의 지팡이와 베드로의 지팡이는 유럽의 성경에서 유래된 용어였으며, 삼왕 또는 동방 박사도 마찬가지였다. 베이네뫼이넨의 낫 (칼레발라)과 칼레바의 검은 핀란드 신화에서 유래된 용어이다.[24]
세리족은 멕시코 북서부의 세 허리띠 별을 사냥꾼을 나타내는 이름인 ''Hapj''라고 부르며, ''Hap'' (노새 사슴), ''Haamoja'' (영양), ''Mojet'' (큰뿔양)의 세 개의 별로 구성되어 있다. ''Hap''은 가운데에 있으며 사냥꾼에게 총을 맞았고, 그의 피가 티부론 섬에 떨어졌다.[25]
마오리족은 뉴질랜드에서 이 허리띠를 ''Tautoru'' (문자 그대로 "세 개의 끈")라고 부르며, 종종 별자리 ''테 와카 오 랑기'' (랑기의 카누)의 선미로 여겨지며, ''마타리키'' (플레이아데스 성단)에서 뱃머리까지 이어진다. 새벽 하늘에 ''마타리키''가 떠오르는 것은 5월 말이나 6월 초에 마오리족의 새해를 알린다.[26]
일본에서는 오리온자리의 삼태성을 미츠라보시[29]나 산보시[29] 등 단순히 별의 수에서 유래한 호칭 외에도, 농기구에서 착안한 카라스키보시[30], 벼를 말리는 시설인 하자를 착안한 하자노마, 어구인 금붙이에서 착안한 카나츠키보시[30]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렀다. 또한, 오리온자리의 삼태성은 장군별로 자주 가문의 소재로 사용되었으며, 모리 씨나 와타나베 씨의 삼태성 문장 등이 알려져 있다.[31][32]
중국에서는 '참수성 삼성'이라고 불리며, 민간에서는 복록수의 삼태성으로 여겨진다. 정사에서는 '복록수'가 카노푸스 등 다른 세 개의 별을 가리키지만, 춘절 때 밤하늘을 장식하는 이 삼태성에 소원을 담아 이렇게 부르는 습관이 퍼져있다.[33]
4. 사진첩
참조
[1]
웹사이트
Orion Constellation: Facts, location and stars of the hunter
https://www.space.co[...]
2022-03-10
[2]
서적
Stargazing Under Suburban Skies, A Star-Hopper's Guide
https://books.googl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3]
웹사이트
Alnitak / Zeta Orionis Star Facts (Type, Distance, Magnitude, Age, Colour, Location and more) - Universe Guide
https://www.universe[...]
2024-07-18
[4]
웹사이트
Alnitak / Zeta Orionis Star Facts (Type, Distance, Magnitude, Age, Colour, Location and more) - Universe Guide
https://www.universe[...]
2024-07-18
[5]
웹사이트
Mintaka / Delta Orionis Star Facts (Type, Distance, Magnitude, Age, Mass, Colour, Location and more) - Universe Guide
https://www.universe[...]
2024-07-18
[6]
웹사이트
How to Find Orion's Belt in the Night Sky
https://science.hows[...]
2024-07-18
[7]
arXiv
A quantitative astronomical analysis of the Orion Correlation Theory
2011-09-28
[8]
서적
Star-names and their meanings
https://ia800906.us.[...]
Creative Media Partners, LLC
1936
[9]
간행물
The name of epsilon Orionis
https://articles.ads[...]
1909-09
[10]
웹사이트
Alnitak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2011-11-28
[11]
웹사이트
Alnilam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2011-11-28
[12]
간행물
Spectrum of the secondary component and new orbital elements of the massive triple star Delta Ori A
2023-01-24
[13]
웹사이트
Mintaka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2011-11-28
[14]
웹사이트
Star Names – Their Lore and Meaning
https://penelope.uch[...]
2021-02-19
[15]
문서
Job 38:31
[16]
문서
Amos 5:8
[17]
웹사이트
Alfred Lord Tennyson's poem: The Princess
https://web.archive.[...]
2013-03-11
[18]
서적
Handbook of Chinese Myt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19]
웹사이트
Belantik, Sang Pemburu di Malam Hari
https://angkasfera.c[...]
2020-11-29
[20]
컨퍼런스
Konsep dan Penentuan Arah Kiblat
https://pintu.instun[...]
National Land and Survey Institute (INSTUN)
2006-09-19
[21]
웹사이트
Kapal-Kapal Gergasi Tamadun Melayu
https://thepatriots.[...]
2024-11-01
[22]
웹사이트
Reyes1
https://web.archive.[...]
2011-04-02
[23]
문서
Asa-Tors hammare, Gudar och jättar i tro och tradition
Fält & Hässler, Värnamo
2004
[24]
서적
Star-names and their meanings
1936
[25]
서적
Comcáac quih yaza quih hant ihíip hac: Diccionario seri-español-inglés
http://lengamer.org/[...]
Universidad de Sonora and Plaza y Valdés Editores
2018-01-07
[26]
웹사이트
Matariki and Māori astronomy with Dr Rangi Matamua
https://www.mcguinne[...]
The McGuinness Institute
2017-07-21
[27]
문서
三星(みつぼし)
小学館『精選版日本国語大辞典』
[28]
문서
からすきぼし
小学館『精選版日本国語大辞典』
[29]
서적
日本星座方言資料
日本常民文化研究所
[30]
서적
星の和名伝説集
六月社
[31]
문서
日本の家紋
[32]
문서
続日本の家紋
[33]
웹사이트
辞旧迎新时 天上有颗老人星-新华网
http://www.xinhuanet[...]
2019-01-24
[34]
문서
光年は1÷年周視差(秒)×3.2615638より計算。
[35]
웹인용
Orion
http://www.astro.wis[...]
2011-11-28
[36]
웹사이트
http://stars.astro.i[...]
[37]
웹인용
Alnilam
http://stars.astro.i[...]
University of Illinois, Urbana, Illinois-Champaign, Illinois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2011-11-28
[38]
웹인용
Mintaka
http://stars.astro.i[...]
University of Illinois, Urbana, Illinois-Champaign, Illinois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2011-11-28
[39]
뉴스
Orion Watching Over ALMA
http://www.eso.org/p[...]
2012-08-20
[4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epiensa.org.[...]
2011-04-02
[41]
웹인용
Star Names — Their Lore and Meaning
http://penelope.uchi[...]
[42]
성경
욥기 38:31
성서 공동번역
2013-0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