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몬타이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레몬타이트는 비소(As)와 안티몬(Sb)을 주성분으로 하는 광물이다. 삼방정계에 속하며, 흑연의 층상 구조와 유사한 결정 구조를 갖는다. 백색, 회색 또는 적회색을 띠며, 흐린 금속 광택을 보이고, 경도는 3-4, 비중은 6.33이다. 알레몬타이트는 비소와 안티몬의 주요 광물 원료로 사용되며, 대한민국 강원도 김화군 성산리 등 세계 여러 지역에서 산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소 광물 - 코헤나이트
코헤나이트는 철 운석과 강한 환원성 환경의 자연철 광상에서 발견되는 단단하고 광택 있는 은색의 자연 철 탄화물 광물이다. - 원소 광물 - 흑연
흑연은 주로 탄소의 동소체로, 흑색 또는 철회색을 띠며 금속 광택을 가지고 전기 전도성이 뛰어나 연필심, 윤활제, 전극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 삼사정계 광물 - 장석
장석은 규산염 광물의 일종으로, 알루미늄과 규소의 3차원 네트워크로 구성되며, 함유된 원소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되고, 화성암 분류 및 점토광물 생성에 사용되며, 유리 제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 삼사정계 광물 - 조장석
알바이트는 삼사정계에 속하는 판상 결정형 광물로, 비중은 약 2.62, 모스 경도는 6~6.5이며 결정쌍정을 보이고 화강암 등에서 산출되며, 준보석, 보석, 유리 및 세라믹 제조에 사용된다. - 지질학 - 판 구조론
판 구조론은 암석권이 여러 개의 판으로 나뉘어 연약권 위를 이동하며 지진, 화산 활동, 산맥 형성 등의 지질학적 현상을 일으키는 이론으로, 1960년대 후반에 정립되어 해저 자기 줄무늬 패턴과 고지자기 자료로 뒷받침되며 지구과학의 핵심 이론으로 자리 잡았으나, 판 운동의 원동력에 대한 연구는 현재도 진행 중이다. - 지질학 - 판 (지각)
판은 지구 표면을 덮는 조각으로, 대륙판과 해양판으로 구분되며, 유라시아판, 태평양판, 아프리카판 등 14~15개의 주요 판과 40여 개의 소규모 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알레몬타이트 | |
---|---|
일반 정보 | |
![]() | |
종류 | 비소 광물 |
화학식 | AsSb |
i.m.a. 기호 | Sbr |
결정계 | 삼방정계 |
결정군 | 육각 능면체 (3m) 헤르만-마우귄 표기법: (3 2/m) |
공간군 | R3m (No. 166) 피어슨 기호: hR6 |
단위 세포 | a = 4.045, c = 10.961 [Å], Z = 6 |
색상 | 흰색, 회색, 회백색, 적백색 |
결정형 | 신장형 ("콩팥 모양") |
벽개 | 완전함 |
굳기 | 3–4 |
광택 | 금속 광택 |
조흔색 | 회흑색 |
비중 | 5.8–6.2 (측정); 6.37 (계산) |
투명도 | 불투명 |
기타 특징 | 비형광성, 비자성 |
알레몬타이트 정보 | |
색 | 백색, 회색, 적회색 등 |
결정상 | 수지상, 판상, 섬유상, 구과상 등 다양함 |
벽개 | (0001) |
광택 | 금속광택 |
조흔색 | 회색 |
비중 | 6.33 |
식별법 | 취관분석을 통해 화학적인 감정을 요함 |
2. 결정 구조
비소안티몬석은 삼방정계에 속하며, 공간군은 Rm이다.[11][12][13] 단위포(Unit cell)의 크기는 a = 4.045 Å, c = 10.961 Å (Z = 6)으로, 비소와 안티몬의 중간 정도이다.[11][12][13] 원자 배열은 흑연의 층이 비틀어진 형태와 유사하며, 각 층은 c축에 수직으로 뻗어 있고 약한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다.
스티바르센은 비소 및 안티몬과 동일한 결정 구조를 가지며, 격자 매개변수의 중간값을 갖는다.
광물 | a (nm) | c (nm) | ρ (g/cm3) | 출처 |
---|---|---|---|---|
As | 0.376 | 1.055 | 5.78 | [8][14] |
AsSb | 0.4025 | 1.084 | 6.37 | [9][15] |
Sb | 0.43056 | 1.125 | 6.72 | [10][16] |
알레몬타이트는 백색, 회색, 또는 적회색을 띠며, 조흔색은 회색이다. 흐린 금속 광택을 가지며, (0001)면에서 완전한 벽개(Cleavage)를 보인다. 경도는 3-4, 비중은 6.33이다. 반사 현미경에서 백색으로 관찰되며, 반사능은 녹색광에서 67.5%, 황색광에서 58%, 적색광에서 50%이다. 복반사는 약하다. 취관분석을 통해 가열하면 쉽게 녹으며, As2O3와 Sb2O3로 분해된다.
X선 회절 강도의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Sb 및 As 원자는 SbAs에서 정렬된(또는 부분적으로 정렬된) 부분 격자를 형성한다.[9]
3. 특성
3. 1. 종류
4. 산출지
한반도에서는 강원도 김화군 성산리에서 산출되며, 각섬석편암 내 단열을 충진한 석영맥에서 세맥상으로 방연광, 섬아연광, 자류철광, 석영, 방해석, 형석과 함께 발견된다. 철회색을 띠며, 구상체나 포도송이 모양으로 산출된다. 직경은 1-80mm 정도이며, 질산을 가하면 기포를 내면서 회색으로 변한다.
프랑스의 알레몽(Allemont), 미국 네바다주 콤스톡 은광(Comstock Lode), 스웨덴 바르투래스크(Varuträsk) 리튬 페그마타이트 광상 등에서 산출된다.
4. 1. 대한민국
한반도에서는 강원도 김화군 성산리에서 산출되며, 각섬석편암 내 단열을 충진한 석영맥에서 세맥상으로 방연광, 섬아연광, 자류철광, 석영, 방해석, 형석과 함께 발견된다. 철회색을 띠며, 구상체나 포도송이 모양으로 산출된다. 직경은 1-80mm 정도이며, 질산을 가하면 기포를 내면서 회색으로 변한다.4. 2. 국외
프랑스의 알레몽(Allemont), 미국 네바다주 콤스톡 은광(Comstock Lode), 스웨덴 바르투래스크(Varuträsk) 리튬 페그마타이트 광상 등에서 산출된다.5. 용도
알레몬타이트는 비소와 안티몬의 주요 광물 원료로 이용된다. 취관분석을 할 때 쉽게 녹는데, As2O3와 Sb2O3로 분해되면서 녹는다. 알레몬타이트는 그 산출이 드문 광물로, 열수광상의 석영-방해석 맥에서 자연비소, 자연안티몬, 섬아연광, 방연광, 능철광, 휘안광 등과 함께 난다. 드물게 페그마타이트에서 전기석, 석영, 조장석과 함께 공반한다. 풍화되면 안티몬비소의 산화물이 난다.
참조
[1]
논문
IMA–CNMNC approved mineral symbols
2021
[2]
웹사이트
Stibarsen
http://webmineral.co[...]
[3]
웹사이트
Stibarsen
http://www.mindat.or[...]
[4]
간행물
Stibarsen
http://rruff.geo.ari[...]
Handbook of mineralogy
[5]
웹사이트
Allemontite
http://www.mindat.or[...]
[6]
웹사이트
allemontite
http://www.britannic[...]
[7]
문서
New mineral names
1941
[8]
논문
Pressure-Induced Rhombohedral-Simple Cubic Structural Phase Transition in As
[9]
간행물
Crystal chemistry and crystallography of some minerals in the tetradymite group
http://www.minsocam.[...]
1991
[10]
논문
Solid state phase equilibria in the Pt–Sb–Te system
[11]
웹사이트
Stibarsen
http://webmineral.co[...]
[12]
웹사이트
Stibarsen
http://www.mindat.or[...]
[13]
간행물
Stibarsen
http://rruff.geo.ari[...]
Handbook of mineralogy
[14]
논문
Pressure-Induced Rhombohedral-Simple Cubic Structural Phase Transition in As
[15]
간행물
Crystal chemistry and crystallography of some minerals in the tetradymite group
http://www.minsocam.[...]
1991
[16]
논문
Solid state phase equilibria in the Pt–Sb–Te syste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