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루엣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루엣은 프랑스어 누적 노래로, 머리, 부리, 눈, 날개 등 종달새의 신체 부위를 뽑는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노래는 1879년 맥길 대학교에서 기원했으며, 프랑스계 캐나다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신체 부위의 이름을 가르치는 데 사용되며, 다양한 문화적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79년 노래 - 바르샤바 시민
바르샤바 시민은 1830년 폴란드 혁명적 분위기 속에서 탄생한 저항가로, 전 세계에서 혁명과 저항의 상징으로 재해석되었고, 특히 일제강점기 한국 독립운동에 영감을 주었으며, 현대에는 '메아리'로 편곡되어 불리며 독립운동의 문화유산으로 평가받는다. - 프랑스의 민요 - 프레르 자크
프레르 자크는 늦잠을 잔 수도사를 깨우는 내용의 프랑스 동요로, 4성부 카논 형식으로 불리며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전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고, 작곡가에 대한 여러 주장이 있으며 음악, 사회 운동, 대중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알루엣 - [음악]에 관한 문서 | |
|---|---|
| 노래 정보 | |
| 제목 | 알루엣 |
| 언어 | 프랑스어 |
| 작곡 연도 | 1879년 |
| 장르 | 민요 |
| 작사가 | 전통 |
2. 역사
Alouette프랑스어는 프랑스계 캐나다의 상징이자 비공식 국가로 여겨진다.[1]
2. 1. 기원
이 노래의 기원은 맥길 대학교(몬트리올, 1879년)의 "학생 및 졸업생용 포켓 송북"이다. 캐나다 민속학자 마리우스 바르보는 이 노래가 프랑스에서 유래했다고 생각했지만, 프랑스에서 처음 인쇄된 것은 캐나다(맥길) 출판 14년 후였다.[3]캐나다 설에 따르면 이 노래는 북미 프랑스 모피 무역과 관련이 있다. 카누는 현재의 캐나다와 미국을 구성하는 상호 연결된 호수, 강, 포티지(짐을 옮기는 육로)로 이루어진 대규모 무역로를 통해 모피와 교환하여 상품을 운송하는 데 사용되었다. 프랑스 모피 무역의 노래는 노를 함께 저을 때의 움직임에 맞춰 개작되었다. 노래는 시간을 보내는 데 도움이 되었고, 일을 더 가볍게 보이게 했다. 실제로 몬트리올 에이전트와 겨울 파트너(모피 상인 노스웨스트 컴퍼니의 전신)는 노래를 좋아하고 잘 부르는 '보야저'를 찾아서 고용하는 것을 선호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들은 노래가 '보야저'가 더 빠르고 오래 노를 젓는 데 도움이 된다고 믿었다. 프랑스 식민주의자들은 뿔종다리를 사냥해서 먹었다. "알루엣"은 종다리에게 가수가 머리, 부리, 눈, 날개, 꼬리를 뽑을 것이라고 알린다. ''En roulant ma boule''은 연못, 예쁜 오리, '사냥을 하는' 왕자에 대해 노래한다. 보야저가 선호하는 많은 노래들이 현재까지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알루엣"은 세계적으로 프랑스계 캐나다의 상징이자 비공식 국가가 되었다.[1] 오늘날, 이 노래는 캐나다의 프랑스어 및 영어 사용 어린이와 전 세계에서 프랑스어를 배우는 다른 사람들에게 신체 부위의 이름을 가르치는 데 사용된다. 가수는 노래에서 부르는 단어에 해당하는 자신의 신체 부위를 가리키거나 만진다.
음악 민족학자 콘래드 라포르테는 노래에서 종다리(''l'alouette'')가 아침의 새이며, 아침에 가장 먼저 노래를 불러 연인들을 깨우고 헤어지게 하며, 다른 사람들도 깨운다고 지적한다. 이 사실은 항상 환영받는 것은 아니다. 프랑스 노래에서 종다리는 또한 가십, 모든 것을 아는 사람이라는 평판을 가지고 있으며,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신뢰할 수 없다. 왜냐하면 모든 사람에게 말할 것이고, 또한 나쁜 소식을 전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유럽에서 봄의 첫 번째 새인 나이팅게일은 사랑스러운 봄과 여름 동안 항상 행복하게 노래한다. 나이팅게일(즉, rossignol)은 또한 충실하게 메시지를 전달하고 조언을 제공하며, 심지어 연인들이 이해하는 라틴어로도 제공한다. 라포르테는 이것이 라틴어를 이해하는 소수의 사람들만 남았던 중세 시대를 언급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4] 따라서 종다리가 연인들을 헤어지게 하거나 잠꾸러기를 깨우는 것처럼, 라포르테가 언급했듯이, 이 새는 변덕스럽기 때문에 "알루엣"의 가수가 종다리를 잡을 수 있다면 여러 방식으로 뽑아내고 싶어 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종다리는 유럽에서 식용으로 사용되었고, 먹을 때는 "모비에트"라고 알려졌는데, 이는 또한 병든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이기도 하다.[5]
2. 2. 프랑스계 캐나다인의 상징
"알루엣"은 프랑스계 캐나다인의 상징이자 비공식 국가가 되었다.[1] 오늘날 이 노래는 캐나다의 프랑스어 및 영어 사용 어린이와 전 세계에서 프랑스어를 배우는 사람들에게 신체 부위의 이름을 가르치는 데 사용된다. 노래를 부르는 사람은 노래에서 언급되는 신체 부위를 가리키거나 만진다.3. 내용 및 구조
"알루엣"은 프랑스어 동요로, 영어의 크리스마스 캐롤 "열두 개의 크리스마스"처럼 각 절이 이전 절 위에 구축되는 누적 노래이다. 새로운 부위가 계속 나오고 이전에 나온 부위는 마지막에 다시 나오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일반적으로 관객 참여를 유도하며, 각 절의 두 번째 줄 이후 관객이 각 절의 모든 줄을 따라 한다.
3. 1. 가사
"알루엣"은 프랑스어 동요로, 종달새의 깃털을 뽑는다는 내용의 가사를 담고 있다. 이 노래는 누적 노래 형식으로, 각 절마다 새로운 신체 부위가 추가되고 이전 절의 내용이 반복되는 구조를 가진다.| 프랑스어 원문 | 한국어 번역 |
|---|---|
노래는 머리, 부리, 눈, 목, 날개, 발, 꼬리, 등 순서로 진행되며, 각 부위가 추가될 때마다 이전 부위들이 반복된다.
3. 2. 번역
Alondra는 남미에서 종달새를 부르는 이름이다.[1] 다음은 원본 프랑스어 가사와 영어 번역이다.| 프랑스어 | 영어 번역 |
|---|---|
4. 문화적 영향
"알루엣"은 단순한 동요를 넘어, 그 멜로디와 가사가 다양한 예술 작품과 대중문화에 영향을 주며 여러 방식으로 차용되거나 재해석되었다.
4. 1. 대중문화
- 1952년 미국 1릴 애니메이션 만화 "두 마우스케티어"(톰과 제리 단편)에서 제리의 친구 니블스는 "알루엣"을 흥얼거리며 햄 샌드위치를 만든다.
- 2010년 미국 애니메이션 시리즈 ''어드벤처 타임'' 시즌 3의 스무 번째 에피소드인 ''홀리 졸리 시크릿 2부''는 ''제이크 더 도그''가 이 노래를 부르면서 시작된다.
- 이 곡은 2019년 텔레비전 시리즈 ''이블'' 시즌 3에서 사용되었는데, 가사의 어두운 면이 정신과 의사(배우 커트 풀러)에게 악마적인 영향/빙의로 보일 수 있기 때문일 수 있다.
- 2024년 애니메이션 영화 "가필드 더 무비"에서 이 곡은 영화의 주요 악당인 징크스가 가필드의 아버지 사진을 테이프로 붙이면서 잠시 불렀다.
- "알루엣"과 같은 곡조를 사용하는 "If You Love Me"라는 영어 노래가 있다.
- 영국의 작곡가 벤자민 브리튼은 1939년 관현악곡 ''Canadian Carnival''의 일부를 위해 이 곡조를 편곡했다.
- 후렴구의 곡조는 어린이 노래 "Down by the Station"의 곡조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6]
- 이 노래는 노먼 맥라렌과 르네 조도인의 종이 오려내기 애니메이션 영화에 사용되었다.[7]
- 이 노래는 미국에서 프랑스계 캐나다 수녀들이 학생들에게 프랑스어를 가르치는 데 사용했다. 그들은 새의 신체 부위를 프랑스어 신체 부위 단어로 대체했다.
- 1962년 3월 20일, 기악 버전이 피트와 콘테 칸돌리 재즈 앨범 ''There Is Nothing Like a Dame''에 수록되었으며, 칸돌리 형제가 트럼펫을, 셸리 매니가 드럼을, 지미 로울스가 피아노를, 하워드 로버츠가 기타를, 게리 피콕이 베이스를 연주했다.
- 이 곡조는 유령이 되는 것에 대한 음악 수업으로 재구성되었으며, 적절하게도 ''Ghost Lesson''이라는 제목으로 ''Casper – A Trip Through Ghostland'' 음반에서 캐스퍼와 다른 사람들이 불렀다.
- "Little Bunny Foo Foo"의 노래 부분의 멜로디는 "알루엣"에서 가져온 것이다.[8]
- 영화 ''블루 하와이''(1961)에서 엘비스 프레슬리는 ''Almost Always True''라는 노래를 부르는데, 이는 ''알루엣''의 멜로디를 기반으로 한다.[9]
- 1994년, "알루엣"은 Nick Jr. 시리즈 "알레그라의 창"의 시즌 2, 에피소드 9 "Stop Making Sense"에 등장하는 "Five Amazing Senses"라는 노래에 샘플링되었다.
- 이 노래는 셰릴 콜의 두 번째 앨범 ''Messy Little Raindrops''에 수록된 영국 1위 싱글 "Promise This"에 삽입되었다.[10]
- 2010년, 서스캐처원 주 새스커툰의 라디오 방송국 CJDJ-FM은 에드먼턴에서 열린 98회 그레이 컵을 기념하여 We Hate The 알루엣츠라는 패러디를 만들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알루엣츠는 2년 연속 러프라이더스를 꺾었다).[11]
- 2010년 마크 론슨, The Business Intl, MNDR의 "Bang Bang Bang (feat. MNDR)"는 후렴구에서 'Je te plumerai la tête'라는 가사를 사용한다. 또한 노래 제목을 언급한다: 'Bang your dead, alouette, paint your silhouette.'
참조
[1]
서적
Survivances médiévales dans la chanson folklorique
Université Laval Press
1981
[2]
서적
Larousse gastronomique
Hamlyn
1974
[3]
간행물
"Alouette!"
https://www.thecanad[...]
2017-01-13
[4]
서적
Survivances médiévales dans la chanson folklorique: Poétique de la chanson en laisse (Ethnologie de l'Amérique française)
Presses de l'Université Laval
1981
[5]
서적
Lark
Hamlyn
1974
[6]
Youtube
Down at the Station
https://www.youtube.[...]
2014-08-15
[7]
Youtube
Alouette
https://www.youtube.[...]
2015-07-09
[8]
Youtube
Little Bunny Foo Foo Song for Kids
https://www.youtube.[...]
2011-05-24
[9]
기타
Almost Always True
RCA Records
1996
[10]
웹사이트
Cheryl Cole scores second solo number 1
https://web.archive.[...]
MTV
2010-11-01
[11]
웹사이트
CBC News – Montreal – Als repeat as Grey Cup champions
https://www.cbc.ca/s[...]
CBC
2010-1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