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코올 프루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코올 프루프는 술의 알코올 함량을 나타내는 척도로, 16세기 영국에서 세금 부과를 위해 처음 사용되었다. 초기에는 불에 타는 정도를 기준으로 했으며, 이후 비중을 이용한 방법으로 발전했다. 영국에서는 1980년, 미국에서는 1848년 이후 각기 다른 방식으로 정의되었으며, 현재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알코올 도수(ABV)를 사용한다. 미국에서는 알코올 도수의 두 배를 프루프로 표시하기도 하며, 영국, 유럽 연합, 캐나다 등에서도 프루프 시스템이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ABV로 대체되었다.
"알코올 프루프"라는 용어는 16세기 영국에서 주류의 알코올 함량에 따라 세금을 다르게 매기면서 시작되었으며,[1] 알코올 증류 및 과세가 보편화되면서 이와 유사한 용어와 방법론이 다른 국가로 확산되었다.
알코올 증류와 과세가 보편화되면서 "알코올 프루프"와 유사한 용어와 방법론이 다른 국가로 확산되었다.
2. 역사
미국에서는 1848년경 비중 대신 알코올 백분율을 기반으로 하는 프루프 시스템이 확립되었다. 부피 기준 50% 알코올을 100 프루프로 정의했는데,[4] 이는 50% 부피 분율과 다르다. 50% 부피 분율은 혼합 시 부피 변화를 고려하지 않지만, 부피 기준 50% 알코올은 혼합 시 부피 변화를 고려한다. 예를 들어, 부피 분율로 50% 알코올을 만들려면 알코올 50 부분과 물 50 부분을 별도로 측정하여 섞어야 하는데, 이 경우 생성되는 부피는 100 부분이 아니라 96~97 부분 정도가 된다. 이는 더 작은 물 분자가 더 큰 알코올 분자 사이의 공간을 차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알코올 도수#부피 변화 참조).
오늘날 대부분의 지역에서 주류는 부피 기준 알코올 백분율이 표시된 라벨과 함께 판매되기 때문에, 알코올 함량 측정치로서 프루프의 사용은 주로 언어적이고 역사적인 것이다.
2. 1. 초기 역사 (영국)
"알코올 프루프"라는 용어는 16세기 영국에서 주류의 알코올 함량에 따라 세금을 다르게 매기면서 시작되었다.[1] 초기에는 주류를 "불붙음-불안붙음" 테스트로 검사했다. 알코올이 함유된 액체가 점화되면 "프루프 이상", 그렇지 않으면 "프루프 미만"으로 간주했다.[1] 연소를 유지할 수 있을 만큼 알코올 함량이 충분한 액체를 100 프루프로 정의하여 과세 기준으로 삼았다. 그러나 인화점은 온도에 따라 크게 달라져서, 이 방식으로 정의된 100 프루프는 36°C에서 20% ABW부터 13°C에서 96% ABW까지 다양했다. 24°C에서 100 프루프는 50% ABW였다.[2]
주류의 알코올 함량을 검사하는 또 다른 초기 방법은 "화약법"이었다. 화약을 주류에 담가서 여전히 탈 수 있으면 프루프 이상으로 평가했다. 이 테스트는 질산칼륨이 알코올보다 물에 훨씬 잘 녹는다는 사실에 기반했다.[3] 화약법은 불붙음-불안붙음 테스트보다 온도에 덜 영향을 받았지만, 재현성이 부족했다. 화약 입자 크기, 주류에 담가두는 시간 등이 질산칼륨 용해에 영향을 미쳐 100 프루프 정의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화약법은 불붙음-불안붙음 방법보다 변동성이 적었고, 이 방법으로 정의된 100 프루프는 전통적으로 57.15% ABV로 정의된다.
17세기 말경 영국은 비중 기반 테스트를 도입했다. 그러나 비중 기반 법적 표준은 1816년에야 정의되었다. 100 프루프는 같은 온도에서 순수한 물의 비중의 12/13인 주류로 정의되었다.[4] 19세기부터 1980년 1월 1일까지 영국은 공식적으로 알코올 함량을 프루프 스피릿으로 측정했는데, 이는 물의 비중의 12/13, 즉 923kg/m3이며 57.15% ABV에 해당하는 주류로 정의되었다.[5]
57.15% 값은 4/7 (≈ 0.5714)에 매우 가깝다. 이 때문에 100 프루프 스피릿의 ABV는 4/7라는 근사치가 생겼다. ABV를 백분율로 표시된 것을 프루프 단위로 변환하려면 ABV에 7/4를 곱하면 된다. 따라서 순수 100% 알코올은 175 프루프, 40% ABV 주류는 70 프루프가 된다.
2. 2. 19세기 표준화
16세기 영국에서 주류는 알코올 함량에 따라 다른 세율로 과세되었는데, 이때 "알코올 프루프"라는 용어가 유래되었다.[1] 알코올 증류와 과세가 보편화되면서 이와 유사한 용어와 방법론이 다른 국가로 확산되었다. 영국에서는 주류를 "불붙음-불안붙음" 테스트로 검사했는데, 알코올이 함유된 액체가 점화되면 "프루프 이상", 그렇지 않으면 "프루프 미만"으로 간주했다.[1] 100 프루프는 연소를 유지할 수 있을 만큼 알코올 함량이 충분한 액체로 정의되어 과세 기준이 되었다. 인화점은 온도에 따라 크게 달라졌기 때문에, 이 방식으로 정의된 100 프루프는 36°C에서 20%에서 13°C에서 96% 중량 기준 알코올 (ABW)까지 다양했다. 24°C에서 100 프루프는 50% ABW였다.[2]
주류의 알코올 함량을 검사하는 또 다른 초기 방법은 "화약법"이었다. 화약을 주류에 담가서 화약이 여전히 탈 수 있다면, 주류는 프루프 이상으로 평가되었다. 이 테스트는 질산칼륨(화약의 화학 물질)이 알코올보다 물에 훨씬 더 잘 녹는다는 사실에 의존했다.[3] 화약법은 불붙음-불안붙음 테스트보다 온도에 덜 영향을 받았지만, 재현성이 부족했다. 화약 입자 크기 및 주류에 담가두는 시간과 같은 요소가 질산칼륨 용해에 영향을 미쳐 100 프루프 정의에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화약법은 불붙음-불안붙음 방법보다 변동성이 훨씬 적었으며, 이 방법으로 정의된 100 프루프는 전통적으로 57.15% ABV로 정의된다.
17세기 말경 영국은 비중을 기반으로 한 테스트를 도입했다. 그러나 비중을 기반으로 한 법적 표준은 1816년이 되어서야 영국에서 정의되었다. 100 프루프는 같은 온도에서 순수한 물의 비중의 12/13인 주류로 정의되었다.[4] 19세기부터 1980년 1월 1일까지 영국은 공식적으로 알코올 함량을 프루프 스피릿으로 측정했는데, 이는 물의 비중의 12/13, 즉 923kg/m3이며 57.15% ABV에 해당하는 주류로 정의되었다.[5]
57.15% 값은 분수 4/7 (≈ 0.5714)에 매우 가깝다. 이로 인해 100 프루프 스피릿의 ABV는 4/7라는 근사치가 생겨났다. 이를 통해 ABV를 백분율로 표시된 것을 프루프 단위로 변환하려면 ABV에 7/4를 곱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순수 100% 알코올은 100×(7/4) = 175 프루프가 되며, 40% ABV를 함유한 주류는 40×(7/4) = 70 프루프가 된다.
3. 국가별 규정 및 정의
3. 1. 미국 (US Proof)
1848년경 미국에서는 프루프 시스템이 확립되었으며, 비중 대신 알코올 백분율을 기반으로 했다. 부피 기준 50% 알코올을 100 프루프로 정의했다.[4] 이는 50% 부피 분율 (백분율로 표시)과 다르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후자는 혼합 시 부피 변화를 고려하지 않지만, 전자는 고려한다. 순수 알코올에서 50% ABV를 만들려면 알코올 50 부분을 가져다가 물로 100 부분의 용액으로 희석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용액을 계속 혼합해야 한다. 부피 분율로 50% 알코올을 만들려면 알코올 50 부분과 물 50 부분을 별도로 측정하여 함께 섞어야 한다. 생성되는 부피는 100 부분이 아니라 96~97 부분 사이가 될 것이다. 왜냐하면 더 작은 물 분자가 더 큰 알코올 분자 사이의 공간을 차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부피 변화 참조).
오늘날 미국에서는 알코올 함량을 ABV(Alcohol by Volume, 도수) 퍼센티지로 표기하도록 법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고형물을 포함하지 않는 100ml 이상의 병입 증류주의 경우, 실제 알코올 함량은 라벨에 표시된 ABV의 최대 0.15%까지 오차가 허용된다. 반면, 100ml 미만의 병입 증류주(및 고형물을 포함하는 경우)는 최대 0.25%까지 오차가 허용될 수 있다.[8] 도수(degree proof라는 용어는 사용되지 않음)는 부피 대비 알코올 비율의 두 배로 정의되며, ABV와 함께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스키는 50% ABV 및 100 proof로 표시될 수 있으며, 86 proof 위스키는 43% ABV를 함유하고 있다.[5]
연방 규정집[9]은 주류 라벨에 ABV 퍼센티지를 표시하도록 요구한다. 해당 규정은 도수 표기를 허용하지만 필수는 아니며, ABV 숫자 근처에 인쇄되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8]
3. 2. 영국 (UK Proof)
16세기 영국에서 "알코올 프루프"라는 용어가 유래되었는데, 이는 주류의 알코올 함량에 따라 세금을 다르게 매기기 위해 시작되었다.[1] 초기에는 주류를 "불붙음-불안붙음" 테스트로 검사하여, 불이 붙으면 "프루프 이상", 그렇지 않으면 "프루프 미만"으로 간주했다.[1] 연소를 유지할 수 있는 알코올 함량을 가진 액체를 100 프루프로 정의하여 과세 기준으로 삼았다. 그러나 인화점은 온도에 따라 크게 달라져, 이 방식으로 정의된 100 프루프는 36°C에서 20%, 13°C에서 96% 중량 기준 알코올 (ABW)까지 다양했다.[2] 24°C에서 100 프루프는 50% ABW였다.[2]
또 다른 초기 방법은 "화약법"으로, 화약을 주류에 담가 여전히 탈 수 있는지 확인하는 방식이었다. 이 테스트는 질산칼륨이 알코올보다 물에 더 잘 녹는다는 사실에 기반했다.[3] 화약법은 불붙음-불안붙음 방법보다 변동성이 적었지만, 이 방법으로 정의된 100 프루프는 전통적으로 57.15% ABV로 정의된다.
17세기 말경 영국은 비중 기반 테스트를 도입했지만, 법적 표준은 1816년이 되어서야 정의되었다. 100 프루프는 같은 온도에서 순수한 물 비중의 12/13인 주류로 정의되었다.[4] 19세기부터 1980년 1월 1일까지 영국은 공식적으로 알코올 함량을 프루프 스피릿으로 측정했는데, 이는 물 비중의 12/13, 즉 923kg/m3이며 57.15% ABV에 해당하는 주류로 정의되었다.[5]
57.15%는 4/7 (약 0.5714)에 매우 가까워, 100 프루프 스피릿의 ABV는 4/7라는 근사치가 생겼다. ABV를 백분율로 표시된 것을 프루프 단위로 변환하려면 ABV에 7/4를 곱하면 된다. 따라서 순수 100% 알코올은 175 프루프, 40% ABV 주류는 70 프루프가 된다.
UK 프루프는 증류수 12/13 밀도의 증류주 체적 밀도를 100으로 정하며, 온도는 51℉ (10.6°C)에서 측정한다. 이 밀도의 증류주를 프루프 스피릿이라고 한다. 프루프 스피릿 도수는 57.1%이므로, 도수에 1.751배(1.751 ≒ 1 / 0.571)를 하면 UK 프루프가 된다.
UK 프루프는 100으로부터의 상하로도 사용하는데, 100보다 작으면 언더 프루프(under proof, u.p.), 크면 오버 프루프(over proof, o.p.), 100이면 프루프라고 한다. 프루프가 100 - x 일 때 x°u.p., 100 + x 일 때 x°o.p.로 나타낸다.
UK 프루프는 영국 외에 캐나다 등에서도 사용되었다.
1980년 1월 1일, 영국은 EU 표준 OIML에 따라 ABV(알코올 도수) 측정 시스템을 채택했다.[5] 이는 사이크스 비중계를 이용한 주류 도수 측정 방식을 대체했다.[7]
3. 3. 유럽 연합 (EU)
유럽 연합(EU)은 국제 법정 계량 기구(OIML)의 권고를 따른다.[6] OIML의 국제 권고안 22호(1973년)는 부피 및 질량으로 알코올 도수를 측정하는 표준을 제공한다. 이 문서에서는 어느 방법을 선호하는지에 대한 언급은 없지만, 부피로 알코올 도수를 사용하는 경우 전체 부피의 백분율로 표시해야 하며, 측정 시 물/알코올 혼합물의 온도는 20°C여야 한다. 이 문서는 알코올 프루프나 병의 라벨링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는다.
1980년 1월 1일, 영국은 당시 회원국이었던 유럽 연합이 규정한 ABV(알코올 도수) 측정 시스템을 채택했다. EU에서 사용되는 ABV에 대한 OIML 권고는 20°C의 온도에서 알코올을 포함한 혼합물의 총 부피에 대한 백분율로 알코올 부피를 나타낸다. 이는 영국에서 160년 이상 사용되어 온 사이크스 비중계를 이용한 주류 도수 측정 방식을 대체했다.[5][7]
3. 4. 캐나다
1972년까지 캐나다에서는 알코올 도수가 프루프로 표시되었으며,[10] 이후 ABV로 대체되었다.[11] 영국 외에도 캐나다 등에서 UK 프루프가 사용된다.
4. 현대적 사용
오늘날 대부분의 지역에서 술은 부피 기준 알코올 백분율(ABV)이 표시된 라벨과 함께 판매된다. 알코올 함량 측정치로서 프루프의 사용은 현재 주로 언어적이고 역사적인 것이다.
미국에서는 1848년경 프루프 시스템이 확립되었으며, 비중 대신 알코올 백분율을 기반으로 했다. 부피 기준 50% 알코올을 100 프루프로 정의했다.[4] 이는 50% 부피 분율 (백분율로 표시)과 다르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후자는 혼합 시 부피 변화를 고려하지 않지만, 전자는 고려한다. 순수 알코올에서 50% ABV를 만들려면 알코올 50 부분을 가져다가 물로 100 부분의 용액으로 희석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용액을 계속 혼합해야 한다. 부피 분율로 50% 알코올을 만들려면 알코올 50 부분과 물 50 부분을 별도로 측정하여 함께 섞어야 한다. 생성되는 부피는 100 부분이 아니라 96~97 부분 사이가 될 것이다. 왜냐하면 더 작은 물 분자가 더 큰 알코올 분자 사이의 공간을 차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부피 변화 참조).
19세기부터 1980년 1월 1일까지 영국은 공식적으로 알코올 함량을 프루프 스피릿으로 측정했는데, 이는 물의 비중의 12/13, 즉 923 kg/m3이며 57.15% ABV에 해당하는 주류로 정의되었다.[5] 57.15% 값은 분수 4/7 (≈ 0.5714)에 매우 가깝다. 이로 인해 100 프루프 스피릿의 ABV는 4/7라는 근사치가 생겨났다. 이를 통해 ABV를 백분율로 표시된 것을 프루프 단위로 변환하려면 ABV에 7/4를 곱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순수 100% 알코올은 100×(7/4) = 175 프루프가 되며, 40% ABV를 함유한 주류는 40×(7/4) = 70 프루프가 된다.
5. 참고: 알코올 도수 (ABV)
16세기 영국에서 주류는 알코올 함량에 따라 다른 세율로 과세되었는데, 이때 "알코올 프루프"라는 용어가 유래되었다.[1] 영국에서는 주류를 '불붙음-불안붙음' 테스트로 검사했는데, 알코올이 함유된 액체가 점화되면 "프루프 이상", 그렇지 않으면 "프루프 미만"으로 간주했다.[1] 연소를 유지할 수 있을 만큼 알코올 함량이 충분한 액체를 100 프루프로 정의했으며, 이것이 과세 기준이 되었다. 인화점은 온도에 따라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이 방식으로 정의된 100 프루프는 20%( 에서)에서 96%( 에서) 중량 기준 알코올 (ABW)까지 다양했다.[2]
주류의 알코올 함량을 검사하는 또 다른 초기 방법은 "화약법"이었다. 화약을 주류에 담가서 화약이 여전히 탈 수 있다면, 주류는 프루프 이상으로 평가되었다.[3] 이 테스트는 질산칼륨이 알코올보다 물에 훨씬 더 잘 녹는다는 사실에 의존한다.[3] 화약법은 불붙음-불안붙음 방법보다 변동성이 적었으며, 이 방법으로 정의된 100 프루프는 전통적으로 57.15% ABV로 정의된다.
17세기 말경 영국은 비중을 기반으로 한 테스트를 도입했다. 1816년, 100 프루프는 같은 온도에서 순수한 물의 비중의 12/13인 주류로 정의되었다.[4] 19세기부터 1980년 1월 1일까지 영국은 공식적으로 알코올 함량을 프루프 스피릿으로 측정했는데, 이는 물의 비중의 12/13, 즉 이며 57.15% ABV에 해당하는 주류로 정의되었다.[5]
57.15% 값은 4/7에 매우 가깝다. 100 프루프 스피릿의 ABV는 4/7라는 근사치가 생겨났으며, ABV를 백분율로 표시된 것을 프루프 단위로 변환하려면 ABV에 7/4를 곱한다. 따라서 순수 100% 알코올은 175 프루프, 40% ABV 주류는 70 프루프가 된다.
미국에서는 1848년경 프루프 시스템이 확립되었으며, 비중 대신 알코올 백분율을 기반으로 했다. 부피 기준 50% 알코올을 100 프루프로 정의했다.[4]
오늘날 대부분의 지역에서 술은 부피 기준 알코올 백분율(ABV)이 표시된 라벨과 함께 판매된다.
참조
[1]
서적
The World of Measurements: Masterpieces, Mysteries and Muddles of Metrology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
웹사이트
Ethanol Freeze Protected Water Solutions
https://www.engineer[...]
2005
[3]
웹사이트
Alcohol Proof and Alcohol by Volume: Definitions and Explanations
https://www.alcoholp[...]
alcoholproblemsandsolutions.org
2017-04-10
[4]
논문
The Origin of Alcohol 'Proof'
http://www.che.uc.ed[...]
2014-07-17
[5]
서적
Scotch Whisky: Questions and Answers
Scotch Whisky Association
2020-10-03
[6]
서적
Recommendation No. 22, International Alcoholmetric Tables
http://www.oiml.org/[...]
International Bureau of Legal Metrology
[7]
서적
The Joy of Mixology
Clarkson Potter
[8]
서적
Code of Federal Regulations
Bureau of Alcohol, Tobacco and Firearms; Department of the Treasury
2000-04-01
[9]
문서
27 CFR § 5.37 ("Alcohol content")
[10]
웹사이트
Alcohol
http://www.druglibra[...]
Drug Library
[11]
웹사이트
Labelling requirements for alcoholic beverages
http://www.inspectio[...]
Canadian Food Inspection Agency
2014-02-27
[12]
Cornell University
27 CFR § 5.37 - Alcohol content. (a) Statements - (1) Mandatory statement
https://www.law.corn[...]
Legal Information Institute
[13]
Cornell University
27 CFR § 5.37 - Alcohol content. (a) Statements - (2) Optional statement
https://www.law.corn[...]
Legal Information Institut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