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 보라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 보라크는 모로코의 고속철도 서비스로, 2003년 고속철도 건설 연구를 시작하여 2018년 11월 15일 탕헤르에서 개통식을 가졌다. 2006년 탕헤르-케니트라 노선이 최초로 지정되었으며, 프랑스 알스톰의 유로듀플렉스 열차를 사용한다. 2022년과 2023년에 아가디르 및 마라케시 연결 노선과 기존 노선 테스트가 진행되었다. 현재는 카사블랑카에서 탕헤르를 오가는 노선을 중심으로 운영되며, 향후 마라케시까지의 노선 확장을 계획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2030년 월드컵을 앞두고 추진 중인 모로코의 고속열차 구매 사업에 참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알 보라크 노선에는 2층 구조의 유로듀플렉스 열차와 알스톰 E 1400 기관차가 운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로코의 고속철도 - 카사블랑카-탕헤르 고속철도
    카사블랑카-탕헤르 고속철도는 모로코의 탕헤르와 카사블랑카를 연결하는 고속철도로, 2018년에 개통되었으며, 향후 연장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 철도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철도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알 보라크
알 보라크
유로듀플렉스 열차
유로듀플렉스 열차 (2018년 11월)
노선 정보
종류고속 철도
노선카사블랑카-탕헤르 고속철도
개통일2018년 11월 15일
운영자모로코 국영 철도 (ONCF)
영업 거리350km
전철화교류 25 kV, 50 Hz
신호AC
영업 최고 속도320km/h
차량 정보
차량유로듀플렉스
기타
뉴스 인용정부, 모로코 5조원 규모 ‘K-철도’ 수출 추진 총력 (2024년 7월 5일, 한겨레)

2. 역사

2003년부터 모로코에서 고속철도 건설 가능성에 대한 초기 연구가 시작되어, 2018년 11월 15일 알 보라크가 개통되기까지 여러 단계의 계획과 건설 과정을 거쳤다.

2015년 6월 19일, 첫 차량이 탕헤르에 도착하였다.[8] 9월에는 탕헤르의 열차 서비스 시설이 완공되었고, ONCF와 프랑스 국유 철도(SNCF)의 합작법인이 15년 계약으로 열차를 유지 관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9] 이후 2017년 2월, 열차 테스트가 시작되었다.[10]

312km/h를 기록한 유로듀플렉스


2017년 10월, 궤도 공사가 완료되었고, 그해 11월에 새로운 가공 전차선이 설치되었다.[11] 2018년 1월 전기 시스템이 처음으로 가동되었고, 해당 노선의 제어 시설은 다음 달에 정식 가동되었다.[11] 2018년 중반까지 역은 완공되었지만, 노선에 대한 시범 운행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아 개통 예정일은 연말로 연기되었다.[11]

2018년 11월 15일, 알 보라크(Al Boraq)가 라바트행 특별 열차로 탕헤르에서 개통식을 가졌다.[12] 2018년 12월 25일부터 카사블랑카에서 오전 6시부터 오후 9시까지 2시간 간격 운행으로 계획되었다.

2022년 1월, 모하메드 압델잘릴(Mohamed Abdeljalil) 모로코 교통물류부 장관은 아가디르와 마라케시를 연결하는 고속철도 신노선 건설을 발표하였다.[13] 그해 11월에는 케니트라를 경유하여 마라케시와 원래 노선을 연결하는 전용 고속철도 노선 건설을 발표하였다.

2023년 1월, 카사블랑카에서 마라케시까지 기존 선로에서 시속 80km에 달하는 테스트가 실시되었다. ONCF는 카사블랑카와 마라케시 사이의 기존 선로를 계속 테스트할 계획이며 최고 속도 시속 160km로 안전하게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1. 초기 계획 및 건설

2003년 모로코에서 고속철도 건설 가능성에 대한 초기 연구가 시작되었고, 2006년에는 탕헤르-케니트라 노선이 최초 노선 중 하나로 지정되었다.[2] 2007년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예비 계약이 체결되었고, 모로코 국영 철도 회사 ONCF는 프랑스 알스톰사의 열차 18대를 구매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2][3] ONCF는 2008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2013년에 개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2]

탕헤르의 알 보라크 (알스톰유로듀플렉스)


2010년 2월까지 자금 조달이 완료되지 않았는데, ONCF가 200억 디르함(DH) 상당의 계약을 체결했다. 모로코 정부는 48억 디르함을, 유럽 자금원은 총 19억 디르함을 투자했고, 나머지 123억 디르함은 상업 대출로 충당했다.[4]

2010년 12월 ONCF는 프랑스 알스톰의 유로듀플렉스 차량 14대를 구매하기 위한 최종 계약에 서명하였다.[5] 2011년 9월 29일 탕헤르에서 기공식이 거행되면서 노선 건설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6]

2012년 9월 25일, 기존 통행권에 전용 화물 선로를 건설하여 케니트라카사블랑카 간 선로를 확장하는 프로젝트가 시작되었으며, 이를 통해 여객 열차가 고속선에서 탕헤르까지 카사블랑카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7]

2. 2. 개통 및 확장

2003년 모로코에서 고속철도 건설 가능성에 대한 초기 연구가 시작되었고, 2006년을 목표로 탕헤르-케니트라 노선이 최초 노선 중 하나로 지정되었다.[2] 2007년 프로젝트 예비 계약이 체결되었고, 모로코 국영 철도 회사 ONCF는 프랑스 알스톰사의 열차 18대를 구매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2][3] ONCF는 2008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2013년에 개통할 계획이었다.[2]

2010년 2월까지 자금 조달이 완료되지 않았는데, ONCF가 200억 디르함 상당의 계약을 체결했다. 모로코 정부는 48억 디르함을, 유럽 자금원은 총 19억 디르함을 투자했고, 나머지는 상업 대출로 충당했다.[4] 같은 해 12월, ONCF는 프랑스 알스톰의 유로듀플렉스 차량 14대 구매 최종 계약에 서명했다.[5] 2011년 9월 29일, 탕헤르에서 기공식을 갖고 노선 건설이 시작되었다.[6]

2012년 9월 25일, 기존 통행권에 전용 화물 선로를 건설하여 케니트라카사블랑카 간 선로를 확장하는 프로젝트가 시작되어, 여객 열차가 고속선에서 탕헤르까지 카사블랑카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7]

2015년 6월 19일 첫 차량이 탕헤르에 도착했고,[8] 9월에는 탕헤르의 열차 서비스 시설이 완공되었으며, ONCF와 프랑스 국유 철도(SNCF)의 합작법인이 15년 계약으로 열차를 유지 관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9] 2017년 2월 열차 테스트가 시작되었다.[10] 2017년 10월 궤도 공사가 완료되었고, 11월에 새로운 가공 전차선이 설치되었다.[11] 2018년 1월 전기 시스템이 처음 가동되었고, 노선 제어 시설은 다음 달에 정식 가동되었다.[11] 2018년 중반까지 역은 완공되었지만, 시범 운행이 이루어지지 않아 개통 예정일은 연말로 연기되었다.[11]

2018년 11월 15일, 알 보라크가 라바트행 특별 열차로 탕헤르에서 개통식을 가졌다.[12] 2018년 12월 25일부터 카사블랑카에서 오전 6시부터 오후 9시까지 2시간 간격 운행으로 계획되었다.

2022년 1월, 모하메드 압델잘릴 모로코 교통물류부 장관은 아가디르와 마라케시를 연결하는 고속철도 신노선 건설을 발표했다.[13] 그해 11월에는 케니트라를 경유하여 마라케시와 원래 노선을 연결하는 전용 고속철도 노선 건설을 발표했다.

공사는 다음 3개 구간으로 나눠 진행될 예정이다.

구간거리
케니트라 - 아인 세바(Aïn Sebaâ)150km
아인 세바 - 누아세르(Nouaceur)130km
누아세르 - 마라케시212km



2023년 1월, 카사블랑카에서 마라케시까지 기존 선로에서 시속 80km에 달하는 테스트가 실시되었다. ONCF는 카사블랑카와 마라케시 사이의 기존 선로를 계속 테스트할 계획이며 최고 속도 시속 160km로 안전하게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3. 한국의 수주 노력

2030년 스페인·포르투갈과 공동 개최하는 월드컵을 앞두고 모로코는 약 35.2억유로(약 5.24조) 규모의 (준)고속열차 904칸 구매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에는 스페인의 카푸·탈고, 프랑스알스톰, 대한민국현대로템 등이 경쟁하고 있다.[1]

3. 1. 대한민국 정부의 지원

2024년 7월 4일,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모로코를 방문하여 양국 교통장관 회담을 가졌다. 박 장관은 한국 철도차량을 구매하면 차량 공급뿐 아니라 운영·유지보수 기술 교류와 전문 인력 양성 등 철도 분야의 전방위적 협력을 통해 양국이 동반 성장할 수 있다고 강조하며 홍보하였다. 이에 압델잘릴 교통물류부 장관은 “모로코 철도사업에 한국 기업의 참여를 적극 환영한다”고 화답하였다.[1]

2024년 10월 10일, 백원국 국토부 2차관을 단장으로 한 수주 지원단이 모로코를 방문하였다. 백 차관은 모하메드 압델잘릴 교통물류부 장관, 모하메드 라비 클리 철도청장 등 모로코 정부 인사들을 만나 양국 철도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하고, 한국 기업이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하였다.[14]

4. 차량

알 보라크 노선에는 프랑스 알스톰사의 유로듀플렉스 열차 12대(원래 14대)가 운행 중이며, 2층 구조로 총 533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다.[15] 각 열차는 동력차 2량과 객차 8량(1등석 2량, 2등석 5량, 뷔페차 1량)으로 구성되어 있다.[15] ONCF는 이 외에도 최신형 알스톰 E 1400(Prima II) 기관차도 운행하고 있다.[15]

탕헤르에서 정기 서비스에 사용되고 있는 ONCF 알스톰 E 1400 기관차


탕헤르에서 정기 서비스에 사용되고 있는 ONCF 알스톰 E 1400 기관차

4. 1. 유로듀플렉스

2010년 12월, 모로코 국영 철도 회사(ONCF)는 프랑스 알스톰사의 유로듀플렉스 차량 14대를 구매하기 위한 최종 계약을 체결하였다.[5] 이 열차는 2층 구조로, 총 533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다.[15] 각 열차는 동력차 2량과 객차 8량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객차는 1등석 2량, 2등석 5량, 그리고 뷔페차 1량으로 이루어져 있다.[15]

탕헤르-카사블랑카 노선 기차표


일등석 내부


2등석 내부

4. 2. 기타 차량

ONCF RGV2N2.


노선에서 운행되는 12대(원래 14대)의 프랑스 알스톰 유로듀플렉스 열차는 2층 구조이며 승객 수용 인원은 533명이다.[15] 각 열차는 동력차 2량과 객차 8량(1등차 2량, 2등차 5량, 뷔페차 1량)으로 구성되어 있다. ONCF는 또한 최신형 알스톰 E 1400(Prima II) 기관차도 운행하고 있다.[15]

참조

[1] 뉴스 정부, 모로코 5조원 규모 ‘K-철도’ 수출 추진 총력 https://www.hani.co.[...] 한겨레 2024-07-05
[2] 웹인용 Work on Tanger - Kénitra high speed line to start soon https://www.railwayg[...]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08-05-14
[3] 웹인용 Morocco to order Duplex TGVs https://www.railwayg[...]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07-10-23
[4] 웹인용 High speed funding package agreed https://www.railwayg[...]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10-02-18
[5] 웹인용 ONCF to buy 14 Duplex high speed trains http://www.railwayga[...] 2010-12-10
[6] 뉴스 Ceremony launches Tanger – Casablanca high speed project http://www.railwayga[...] 2011-09-29
[7] 웹인용 Casablanca – Kénitra upgrading starts https://www.railwayg[...]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12-09-26
[8] 웹인용 Africa's first high speed train delivered https://www.railwayg[...]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15-07-01
[9] 웹인용 Tanger high speed train depot inaugurated https://www.railwayg[...]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15-09-21
[10] 웹인용 Morocco's Al Boraq high speed service to launch by year end https://www.railwayg[...]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18-07-30
[11] 웹인용 ONCF prepares for launch of high-speed services https://www.railjour[...] International Rail Journal 2018-03-12
[12] 웹인용 Africa's first high speed line inaugurated https://www.railwayg[...]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18-11-16
[13] 웹인용 Morocco's High-Speed Train Trial Run Finishes in Marrakech https://www.moroccow[...] Morocco World News 2023-01-25
[14] 뉴스 국토부, UAE·모로코에 수주지원단 파견…"K-철도를 세계로"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4-10-13
[15] 웹인용 ONCF to buy 14 Duplex high speed trains http://www.railwayga[...] 2010-1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