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객차는 철도에서 승객을 수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차량으로, 자체 동력 없이 기관차나 동력차에 의해 견인된다. 19세기 초 영국에서 최초로 등장한 이후, 식당차, 침대차, 라운지카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다. 유럽에서는 여러 국가를 횡단하는 국제 열차에서 여전히 널리 사용되지만, 동력 분산 방식의 전동차 보급으로 인해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다. 한국에서는 새마을호, 무궁화호 등에서 사용되었으며, 관광열차나 특수 목적 열차에 활용되고 있다. 객차는 기관차 교체만으로 전철화/비전철화 구간 직통이 가능하고, 제작 및 보수 비용이 저렴하며, 편성의 유연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객차 - 귀빈 객차
1906년 순종 황제의 어차로 제작된 귀빈 객차는 대한민국 최초의 귀빈 객차이자 일본 최초 수출 차량으로, 이후 대통령 전용 객차, 미8군 사령관 전용 객차 등으로 개조되어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철도박물관에 전시된 등록문화재이다.
객차 | |
---|---|
객차 | |
![]() | |
개요 | |
유형 | 철도 차량 |
주요 용도 | 승객 수송 |
구성 요소 | 차체 대차 연결기 제동 장치 객실 |
구조 | |
차체 | 객차의 기본 골격 승객 및 기타 장비 지지 |
대차 | 바퀴와 축을 포함한 하부 구조 객차의 무게를 지탱하고, 선로 위에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도움 |
연결기 | 객차들을 연결하는 장치 열차를 구성 |
제동 장치 | 안전하게 정차하기 위한 장치 공기 제동 또는 전기 제동 방식 사용 |
객실 | 승객을 위한 좌석, 통로, 수납 공간 편안하고 안전한 환경 제공 |
기능 및 특징 | |
승객 수송 | 철도 노선을 따라 승객을 효율적으로 수송 |
다양한 종류 | 좌석, 침대, 식당, 화물칸 등 다양한 형태의 객차 존재 다양한 요구 충족 |
안전성 | 안전 기준 준수 사고 발생 시 안전 확보 |
역사 | |
초기 형태 | 말이 끄는 마차 형태에서 발전 |
증기 기관차 시대 | 증기 기관차와 함께 발전 대량 수송 가능 |
현대 | 전기, 디젤 등 다양한 동력 사용 고속화 및 편안함 추구 |
추가 정보 | |
다양한 재질 | 목재, 철강, 알루미늄, 복합재료 등 다양한 재질 사용 |
기술 발전 | 지속적인 기술 발전 안전 및 효율성 향상 추구 |
승강 장치 | 객차와 승강장 사이의 단차를 극복 노약자, 장애인 등 교통 약자를 위한 편의 시설 |
냉난방 및 조명 | 쾌적한 실내 환경 제공 승객의 편안함을 높임 |
2. 역사
한국 철도청은 과거 철도 차량을 여객차와 화차로 크게 나누었다. 1956년 2월 차량 명칭 규정 개정으로 광의의 대분류를 "여객차량"으로 변경하면서, 여객차는 스스로 운전용 동력을 갖추지 않은 여객차량만을 가리키게 되었다.[1] 궤도와 가선 검사·측정을 하는 직용차, 구원차, 배급차 등의 사업용차에도 여객차가 포함된다.
철도 초기에는 증기 기관차가 여객차를 견인하는 방식이 중심이었으나, 이후 전동차, 기관차의 등장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여객 수송의 중심적인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동력 분산 방식이 유리하다고 여겨지면서, 특히 일본에서는 1960년대 이후 동력 현대화 계획이 진행됨에 따라 객차는 현저히 감소하였다.
2005년 한국철도공사 통계자료에 따르면, 객차는 새마을호, 무궁화호, 침대차, 발전차 등으로 분류되었다. 1970년대에는 우등차, 2등차, 3등차, 수화물우편차 등으로 분류되었다.[12]
종류 | 수량 |
---|---|
새마을호 객차 | 119 |
식당차 | 12 |
특실차 | 6 |
일반실차 | 93 |
일반식당차 | 3 |
관광차 | 5 |
무궁화호 객차 | 1,055 |
식당차 | 11 |
간이식당차 | 20 |
특실차 | 6 |
일반실차 | 933 |
장애인차 | 80 |
침대차 | 5 |
객수화물차 | 0 |
수화물우편차 | 35 |
발전차 | 202 |
기타 | 69 |
비상차 | 64 |
병원차 | 5 |
협궤 객차 | 0 |
통일호 객차 | 0 |
비둘기호 객차 | 0 |
1960년대부터 시행된 동력 현대화 계획에 따라 객차 열차는 점차 퇴역하고 전철, 기동차로 대체되었다.[12] 1986년 11월, 철도에 의한 우편 화물 수송이 폐지되면서 정기 객차 열차는 더욱 감소하였다.[12] 현재 한국에서는 관광열차 등 특수 목적 열차에서 객차가 활용되고 있다.
2. 1. 19세기: 초기 객차와 발전
최초의 철도가 영국에서 건설되었던 것처럼 최초의 객차도 영국에서 만들어졌다. 초기 객차 설계 중 하나는 "스탠홉(Stanhope)"이었다. 이 객차는 지붕이 있었고, 비가 올 때 배수를 위한 바닥에 작은 구멍이 있었으며, 등급이 다른 승객들을 위한 별도의 칸이 있었다. 이 설계의 유일한 문제는 승객들이 여행 내내 서 있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미국의 최초 객차는 역마차와 비슷했다. 길이가 짧았고(보통 3미터(10피트) 미만) 두 개의 차축(axles)을 가지고 있었다.1838년 영국의 한 회사는 런던 앤 버밍햄 철도와 그랜드 정션 철도를 위해 건설된 "침대차(bed-carriage)"라고 불리는 최초의 침대차(sleeping carriage) 설계를 개발했다. 침대를 사용할 때는 침대 발치 부분이 객차 끝 부분의 수납 공간으로 연장되었다. 객차가 너무 짧아서 침대를 두 개 또는 세 개 이상 나란히 배치할 수 없었다.
1840년대 후반, 영국의 왕립우편(Royal Mail)은 최초의 이동우체국(travelling post office) 객차를 주문하고 건설하기도 했다. 이 객차들은 짧은 축거와 외관 디자인에서 객차와 비슷했지만, 열차가 운행 중일 때 우편물 주머니를 잡을 수 있도록 객차 측면에 그물이 설치되어 있었다.
19세기 중반 증기 기관차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열차의 길이와 무게가 증가했다. 특히 미국에서 객차는 열차와 함께 커졌는데, 처음에는 두 개의 트럭(Bogie)을 추가하여 길어졌고(각 끝에 하나씩), 현가장치가 개선되면서 폭도 넓어졌다. 미국의 객차 설계는 열차 객차(train coach)라고 불리는, 좌석이 줄지어 있는 하나의 긴 객실에 객차 끝에 문이 있는 것을 선호했다. 초기 미국의 침대차는 칸막이가 없었지만, 19세기 말에는 칸막이가 생겼다.
많은 미국의 여객 열차, 특히 장거리 열차에는 열차 끝에 전망차(observation car)라고 불리는 객차가 포함되어 있었다.
1870년대 후반과 1880년대에 식당차가 처음 등장했다. 그때까지는 도중에 있는 식당에서 식사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처음에 식당차는 단순히 도중에 가져온 식사를 제공하는 장소였지만, 곧 식사가 준비되는 조리실을 포함하도록 발전했다.
2. 2. 1900년–1950년: 목재에서 강철로의 전환, 새로운 유형의 객차
1900년대 초, 철도 산업은 안전 문제로 인해 목재 객차에서 강철 객차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펜실베이니아 철도는 1906년부터 전 강철 여객차를 건설했는데, 이는 맨해튼의 펜실베이니아 역으로 접근하는 터널 내 화재에 대한 우려 때문이었다.[2] 다른 철도 회사들도 사고 시 강철 차량이 더 안전하다는 점을 들어 이러한 추세를 따랐다. 전환 과정에서 일부 철도 회사는 목재 차량 아래에 강철 프레임을 설치하기도 했다.[3]1920년대까지 미국의 대형 표준궤 철도 여객차는 일반적으로 약 18.29m에서 약 21.34m 길이였다. 당시의 차량들은 여전히 매우 화려했으며, 많은 차량이 숙련된 마차 제작자와 목수들에 의해 제작되었다. 미국에서는 개별 좌석을 갖춘 "의자차"가 장거리 노선에서 일반화되었다.[4]

1930년대에는 스테인리스강이 차체 재료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일반적인 여객차는 이전의 탄소강 차량보다 훨씬 가벼웠지만, 19세기 목재 차량보다는 여전히 무거웠다. 새로운 "경량" 및 유선형 차량은 이전에는 경험해보지 못한 수준의 속도와 편안함으로 승객들을 수송했다. 알루미늄과 코르텐강도 경량 차량 건설에 사용되었지만, 스테인리스강이 차체의 주요 재료로 선호되었다. 스테인리스강 차량은 법적으로 요구되는 차량 식별 표시를 제외하고는 도색하지 않고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1930년대 말까지 철도 회사와 차량 제작사들은 이전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차체와 내부 스타일을 선보였다. 1937년 풀만사는 최초의 룸메트(객실) 장착 차량을 출시했는데, 이는 차량 내부가 유럽 전역에서 여전히 널리 사용되던 객차와 마찬가지로 구획으로 나뉘어져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풀만의 룸메트는 단일 여행자를 위해 설계되었다. 룸메트는 큰 창문, 개인 프라이버시 문, 접이식 침대, 세면대, 작은 화장실을 갖추고 있었다. 룸메트의 바닥 공간은 침대가 차지하는 공간보다 약간 넓었지만, 이전의 다층 반개인 침대보다 고급스럽게 여행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이제 여객차가 가벼워짐에 따라 더 무거운 하중을 운반할 수 있게 되었지만, 차량에 탑승하는 평균 승객의 크기는 차량의 새로운 수용력에 맞춰 증가하지 않았다. 평균 여객차는 철도 선로를 따라 측면 간격 때문에 더 넓거나 길게 만들 수 없었지만, 많은 화물차와 기관차보다 여전히 낮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더 높게 만들 수 있었다. 철도 회사들은 곧 더 많은 승객을 수송하기 위해 돔형 차량과 2층 차량을 건설하고 구매하기 시작했다.
2. 3. 1950년–현재: 첨단 기술 발전
1950년대부터 북미의 여객 운송 시장은 감소했지만, 통근열차는 성장세를 보였다. 미국의 민간 장거리 여객 서비스는 1971년 앰트랙(Amtrak) 설립으로 대부분 종료되었다.[5] 앰트랙은 장거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부분의 미국 철도 회사로부터 장비와 역을 인수했다.북미의 높은 선로 간격은 여객 차량 설계의 중요한 발전, 즉 더 많은 승객을 수용할 수 있는 2층(이층) 통근 열차의 등장을 가능하게 했다. 이러한 차량들은 1960년대 미국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앰트랙은 슈퍼라이너 디자인에도 채택했고, 다른 많은 철도 회사와 제조업체도 채택했다. 2000년까지 이층 열차는 전 세계적으로 단층 열차와 경쟁할 만큼 사용이 늘었다.

미국에서 장거리 여객 철도 운송이 감소한 반면, 다른 지역에서는 승객 수가 증가했다. 승객 수 증가에 따라 기존 및 신규 장비에 대한 최신 기술의 사용이 증가했다. 스페인의 탈고(Talgo)는 1940년대부터 차축이 곡선으로 조향되어 기차가 곡선을 더 빠른 속도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실험하기 시작했다. 조향 차축은 곡선에 진입할 때 여객 차량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기차가 받는 원심력을 상쇄하는 메커니즘으로 발전하여 기존 선로의 속도를 더욱 높였다. 오늘날 탈고 기차는 유럽 여러 곳에서 사용되며, 유진(오레곤주)에서 밴쿠버(브리티시컬럼비아주)까지 일부 단거리 및 중거리 노선에서도 운행되고 있다.
경사열차의 또 다른 유형으로 유럽 전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펜돌리노(Pendolino)가 있다. 피아트 페로비아리아(현재 알스톰(Alstom) 소유)가 제작한 이 기차는 이탈리아, 포르투갈, 슬로베니아, 핀란드, 체코, 영국에서 정기적으로 운행된다. 철도 회사는 경사열차를 사용하여 기존보다 더 빠른 속도로 동일한 선로를 이용하여 여객열차를 운행할 수 있다.
앰트랙은 시장 수요가 이를 뒷받침하지 않더라도 미국산 여객 장비 개발을 계속 추진하여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여러 가지 새로운 여객 기관차 및 차량 유형을 주문했다. 그러나 2000년까지 앰트랙은 최고급 서비스인 앰트랙 카스케이드(탈고(Talgo)) 및 아셀라 익스프레스 열차에 대해 유럽 제조업체에 의존하게 되었다. 이러한 열차는 새로운 디자인을 사용하며 일관된 "열차 세트"로 운행하도록 제작되었다.
고속열차는 일반적으로 단일 제조업체의 차량으로 구성되며 디자인이 통일되어 있다(독일 ICE 1의 식당차는 돔이 있는 경우도 있음).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전 세계 여러 국가가 항공 여행과 경쟁하기 위해 시속 150~200마일(약 240~320km/h)로 주행할 수 있는 열차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최초의 열차 중 하나는 1981년에 운행을 시작한 프랑스의 TGV이다. 2000년까지 서유럽의 주요 도시(런던, 파리, 브뤼셀, 암스테르담, 제네바, 베를린, 로마 등)는 고속철도로 연결되었다.
경사열차와 고속열차는 종종 운행 내내 "열차 세트"로 유지된다. 예를 들어, 연결식 차량은 개별 차량이 대차를 공유하기 때문에 특수 장비 없이는 분리할 수 없다. 이는 모든 차량과 종종 엔진이 유사한 디자인과 도색을 공유하기 때문에 현대적인 기차에 매끄럽고 일관된 외관을 제공한다.
2. 4. 한국 철도에서의 객차
2005년 한국철도공사 통계자료에 따르면, 객차는 새마을호, 무궁화호, 침대차, 발전차 등으로 분류되었다. 1970년대에는 우등차, 2등차, 3등차, 수화물우편차 등으로 분류되었다.[12]종류 | 수량 | 비고 |
---|---|---|
새마을호 객차 | 119 | |
식당차 | 12 | |
특실차 | 6 | |
일반실차 | 93 | |
일반식당차 | 3 | |
관광차 | 5 | |
무궁화호 객차 | 1,055 | |
식당차 | 11 | |
간이식당차 | 20 | |
특실차 | 6 | |
일반실차 | 933 | |
장애인차 | 80 | |
침대차 | 5 | |
객수화물차 | 0 | |
수화물우편차 | 35 | |
발전차 | 202 | |
기타 | 69 | |
비상차 | 64 | |
병원차 | 5 | |
협궤 객차 | 0 | |
통일호 객차 | 0 | |
비둘기호 객차 | 0 |
객차는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크게 승객 수송용 객차와 특수 목적 객차로 구분할 수 있다.
1960년대부터 시행된 동력 현대화 계획에 따라 객차 열차는 점차 퇴역하고 전철, 기동차로 대체되었다.[12] 1986년 11월, 철도에 의한 우편 화물 수송이 폐지되면서 정기 객차 열차는 더욱 감소하였다.[12] 현재 한국에서는 관광열차, 특수 목적 열차 등에서 객차가 활용되고 있다.
3. 종류
1970년대의 분류 체계는 다음과 같았다.유형 설명 우등차 2등차 3등차 수화물우편차 객수우편차 수화물차 협궤차 발전차 대용객차
19세기 말까지 대부분의 객차는 나무로 제작되었다. 최초의 여객 열차는 운행 거리가 길지 않았지만, 마차보다 더 많은 승객을 더 먼 거리까지 실어 나를 수 있었다. 최초의 철도와 객차는 영국에서 만들어졌다. 초기 객차 설계 중 하나인 "스탠홉(Stanhope)"은 지붕과 바닥에 작은 구멍이 있었고, 등급이 다른 승객들을 위한 별도의 칸이 있었지만, 승객들은 여행 내내 서 있어야 했다. 미국의 최초 객차는 역마차와 비슷하게 길이가 짧고 두 개의 차축을 가지고 있었다.
영국의 한 회사는 1838년 런던 앤 버밍햄 철도와 그랜드 정션 철도를 위해 최초의 침대차 설계를 개발했다. 침대를 사용할 때는 침대 발치 부분이 객차 끝 부분의 수납 공간으로 연장되었으며, 객차가 짧아 침대를 두 개 또는 세 개 이상 나란히 배치할 수 없었다.
영국의 왕립우편은 1840년대 후반에 최초의 이동우체국 객차를 주문하고 건설했다. 이 객차들은 짧은 축거와 외관 디자인에서 객차와 비슷했지만, 열차가 운행 중일 때 우편물 주머니를 잡을 수 있도록 객차 측면에 그물이 설치되어 있었다. 1860년대에 처음 등장한 미국의 RPO도 고속으로 우편물 주머니를 잡을 수 있는 장비를 갖추고 있었지만, 미국의 설계는 우편물 주머니를 갈고리에 걸 수 있는 큰 갈고리와 더 비슷했다.
1900년대 초, 철도 산업은 안전 문제로 인해 목재에서 강철 구조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펜실베이니아 철도는 1906년부터 전 강철 여객차를 건설하기 시작했고,[2] 다른 철도 회사들도 이러한 추세를 따랐다. 전환 기간 동안 일부 철도 회사는 목재 차량 아래에 강철 프레임을 설치했다.[3]
1920년대까지 대형 표준궤 철도의 여객차는 일반적으로 60피트(약 18m)에서 70피트(약 21m) 길이였다. 당시의 차량들은 여전히 매우 화려했으며, 많은 차량이 경험이 풍부한 마차 제작자와 숙련된 목수들에 의해 제작되었다. 미국에서는 개별 좌석을 갖춘 소위 "의자차"가 장거리 노선에서 일반화되었다.[4]
가장 기본적인 구분은 승객을 수송하는 차량과 "선두 장비"를 갖춘 차량으로 나뉜다. 후자는 여객 열차의 일부로 운행되지만 승객 자체는 수송하지 않는다. 전통적으로 이들은 열차 편성에서 기관차와 승객 수송 차량 사이에 배치되었기 때문에 그러한 이름이 붙었다.
일부 특수 유형은 가장 기본적인 유형의 변형이거나 여러 요소를 결합한 것이다. 또한, 승객 차량의 기본 설계는 관절식 차량(공유 트럭을 사용), 2층 설계, 그리고 적재 공간이 지면에 매우 가깝고 대차 사이에 매달린 "저상" 설계 등으로 진화하고 있다.
객차는 가장 기본적인 유형의 여객차이며, 때로는 "좌석차"라고도 한다. 객차는 개방형/살롱형, 구획형, 복합형으로 나뉜다.
동남아시아 각국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여객차가 운행되고 있다. 전원차를 포함한 유닛 편성 차량이나 기관차·전동차의 기관·전장품을 해체한 차량, 1량 단위로 구성이 가능한 차량 등 그 종류는 다양하다. 오랫동안 일본에서 신차 또는 불필요하게 된 철도 차량이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수출되었는데, 그중에는 많은 여객차도 포함되어 있다. 중고로 수출된 여객차 중에는 사용 목적지의 궤간에 맞추도록 차축을 개조하여 사용되는 차량도 있다.
철도성이 국철로 바뀐 당시 열차의 마크는 극동 지역의 심볼 마크인 "제7군"을 활용하여 그림책에 충실하게 묘사되었다.[13] 일본화가인 후지사와 타츠오는 "탈것 그림책"이라고 불리는 분야에 열차와 기차 표지 그림을 그렸다.[17] 하야마정 의회 의원인 야나이 코야타는 청년 시절 후지사와에게 사사하여 이케부쿠로 몽파르나스에 살면서 킨더북과 "코도모노토모" 등의 시리즈에서 의뢰를 받아 C53을 그린 『기차 노치시키』[14]는 인기 작품이었다.[15] 쿠로이와 야스미는 전후 1950년(쇼와 25년), 쇼난 전철의 도장 색채 설계를 맡은 국철 직원[16]이었고, 1975년 이후(쇼와 50년대), 미야와키 슌조가 저술한 열차 그림책("많은 불가사의" 시리즈)에 삽화를 제공했으며, 또한 철도 70주년 기념 『일본의 철도』지 표지에 쿠로이와 자신이 색을 정한 쇼난 전철을 그렸다.[17]
3. 1. 승객 수송용 객차
2005년 한국철도공사 통계자료에 따르면, 객차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19세기 중반, 증기 기관차 기술 발전에 따라 열차 길이와 무게가 증가하면서 객차도 함께 커졌다. 미국에서는 객차 길이를 늘리고 현가장치를 개선하여 폭을 넓혔다. 유럽 객차는 측면 출입문이 있는 칸으로 구성되었지만, 미국에서는 객차 끝에 문이 있고 좌석이 줄지어 있는 긴 객실 형태를 선호했다. 초기 미국 침대차는 칸막이가 없었지만, 19세기 말에는 칸막이가 생겼고, 객차 길이만큼 이어지는 측면 통로에서 접근할 수 있었다. 이는 20세기 후반까지 유럽 객차 설계와 유사했다.
많은 미국 여객 열차에는 열차 끝에 전망차(observation car)가 있었다. 1930년대까지는 후면에 "전망 플랫폼(observation platform)"이라는 야외 플랫폼이 있었으나, 이후 둥근 끝을 가진 밀폐된 객차로 발전했다. 전망차 내부는 특별한 의자와 테이블이 있는 등 다양하게 구성되었다.
1870년대 후반과 1880년대에 식당차가 처음 등장했다. 이전에는 도중에 있는 식당에서 식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식당차는 조리실을 포함하여 식사를 준비할 수 있게 되었다. 베스티불 객차 도입으로 객차 사이 이동이 쉬워지면서 식당차, 라운지카 등 특수 객차 채택에 기여했다.
1930년대에는 차체에 스테인리스강이 널리 사용되었다. 일반적인 여객차는 이전 탄소강 차량보다 가벼웠지만, 19세기 목재 차량보다는 무거웠다. 새로운 "경량" 및 유선형 차량은 빠른 속도와 편안함을 제공했다. 알루미늄과 코르텐강도 사용되었지만, 스테인리스강이 주요 재료로 선호되었다.
1930년대 말, 풀만사는 최초의 룸메트(객실) 장착 차량을 출시했다. 룸메트는 단일 여행자를 위해 설계되었으며, 큰 창문, 개인 프라이버시 문, 접이식 침대, 세면대, 작은 화장실을 갖추고 있었다. 룸메트의 바닥 공간은 침대가 차지하는 공간보다 약간 넓었지만, 이전보다 고급스러운 여행을 가능하게 했다.
여객차가 가벼워짐에 따라 더 무거운 하중을 운반할 수 있게 되었지만, 차량에 탑승하는 평균 승객의 크기는 차량의 새로운 수용력에 맞춰 증가하지 않았다. 철도 회사들은 더 많은 승객을 수송하기 위해 돔형 차량과 2층 차량을 건설하고 구매하기 시작했다.
식당차(또는 다이너)는 승객에게 식사를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내부는 일부가 승객 출입이 금지된 갈리로 나뉘어져 있을 수 있다. 승객이 사용할 수 있도록 갈리와 차량의 한쪽 벽 사이에는 좁은 복도가 있다. 나머지 내부는 테이블과 의자로 꾸며져 길고 좁은 식당처럼 보인다.
합쳐진 차량(combine)은 객차의 머리 부분과 일반 객차의 기능을 결합한 차량이다. 가장 일반적인 조합은 '''객차'''와 '''수하물차'''를 결합한 것이지만, 객차와 우편차를 결합한 것도 흔했다. 합쳐진 차량은 단일 목적 차량을 경제적으로 정당화할 만큼 충분한 교통량이 없었던 지선 및 단선 철도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었다.
3. 2. 특수 목적 객차
- 수하물차(Baggage car): 승객의 수하물을 운반하는 객차이다.
- 철도우편차(Railway post office): 우편물을 분류하고 운송하는 객차이다.
- 제어차(Control car): 기관차가 뒤에 위치한 상태에서 열차를 역방향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객차이다. 유럽과 영국에서는 '''Driving Trailer'''라고도 한다.
- 돔형 차량(Dome car): 객차의 일부 또는 전체가 2층으로 되어 있어 승객들이 주변 경관을 감상할 수 있는 객차이다.
- 2층 객차(Double-decker or bilevel coach): 더 많은 승객을 수용하기 위해 2층으로 구성된 객차이다.
- 병원차(Hospital car): 병동, 치료실, 수술실(미국식 영어: operating rooms) 등을 갖춘 객차이다.
- 사설 철도차량(Private car): 철도 관계자, 고위 인사, 부유한 개인 등이 사용하는 객차이다.
- 군용 침대차(Troop sleeper): 군인 수송을 위한 침대차이다.[2]
4. 특징
객차는 자체 동력 장치가 없어 기관차에 비해 제작 및 보수 비용이 저렴하다. 기관차 교체만으로 전철화/비전철화 구간 직통이 가능하다. 전동기나 엔진이 없어 소음, 진동이 적다. 편성 시 제약이 적고, 최소 1량 단위로 편성이 가능하다. 동력 분산식에 비해 승차감이 유리할 수 있다.[11]
하지만 다음과 같은 단점도 존재한다.
5. 기술
19세기 말까지 대부분의 객차는 나무로 제작되었다. 초기 객차 설계 중 하나인 "스탠홉(Stanhope)"은 지붕과 배수 구멍, 등급별 칸이 있었지만 승객이 서 있어야 했다. 미국 최초의 객차는 역마차와 비슷하게 짧고 두 개의 차축을 가졌다.
1838년 영국의 한 회사는 런던 앤 버밍햄 철도와 그랜드 정션 철도를 위해 최초의 침대차 설계를 개발했다. 침대 발치는 객차 끝 수납 공간으로 연장되었고, 객차가 짧아 침대를 2~3개 이상 나란히 놓을 수 없었다.
영국의 왕립우편(Royal Mail)은 1840년대 후반 최초의 이동우체국 객차를 주문, 건설했다. 이 객차는 객차와 비슷했지만, 열차 운행 중 우편물 주머니를 잡을 수 있도록 객차 측면에 그물이 설치되었다. 1860년대 미국의 RPO도 고속으로 우편물 주머니를 잡는 장비를 갖췄지만, 큰 갈고리를 사용했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었다.
19세기 중반 증기 기관차 기술 발전에 따라 열차 길이와 무게가 증가했다. 특히 미국에서 객차는 두 개의 트럭(Bogie)(각 끝에 하나씩)을 추가하여 길어졌고, 현가장치 개선으로 폭도 넓어졌다. 유럽 객차는 측면 출입문이 있는 칸으로 구성되었지만, 미국은 열차 객차(train coach)라 불리는, 좌석이 줄지어 있는 하나의 긴 객실에 객차 끝에 문이 있는 것을 선호했다. 초기 미국의 침대차는 칸막이가 없었지만, 19세기 말 칸막이가 생겼고, 후기 침대차의 칸은 측면 통로에서 접근 가능했으며, 이는 20세기 후반까지 유럽 객차 설계와 유사했다.
많은 미국의 장거리 열차에는 전망차가 포함되었다. 1930년대까지는 후면에 "전망 플랫폼(observation platform)"이라는 야외 플랫폼이 있었으나, 둥근 끝을 가진 밀폐된 객차로 발전했지만 여전히 "전망차(observation car)"라고 불렸다. 전망차 내부는 다양했으며, 특별한 의자와 테이블이 있는 경우도 많았다.
20세기 초, 객차 끝 플랫폼은 개방형에서 베스티불(vestibules)이라 불리는 밀폐형으로 바뀌었고, 통로 연결(gangway connection)과 함께 승객들은 날씨 영향 없이 승하차 및 객차 간 이동이 가능해졌다.
식당차는 1870년대 후반과 1880년대에 처음 등장했다. 이전에는 도중 식당에서 식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미국 프레드 하비의 하비 하우스(Harvey House) 식당 체인 성장), 식당차는 식사 제공 장소에서 조리실을 포함하여 발전했다. 베스티불 객차는 식당차, 라운지카 등 특수 객차 채택에 기여했다.
1900년대 초, 안전 문제로 철도 산업은 목재에서 강철 구조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펜실베이니아 철도는 1906년부터 전 강철 여객차를 건설하기 시작했고,[2] 다른 철도 회사들도 사고 시 강철 차량의 안전성 때문에 이를 따랐다. 전환 기간 동안 일부는 목재 차량 아래에 강철 프레임을 설치했다.[3]
1920년대까지 대형 표준궤 철도의 여객차는 약 18.29m~약 21.34m 길이었다. 당시 차량들은 화려했으며, 숙련된 마차 제작자와 목수들이 제작했다. 미국에서는 개별 좌석을 갖춘 "의자차"가 장거리 노선에서 일반화되었다.[4]
1930년대에는 스테인리스강이 차체에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일반적인 여객차는 이전 탄소강 차량보다 가벼웠지만, 19세기 목재 차량보다는 훨씬 무거웠다. "경량" 및 유선형 차량은 이전에는 경험하지 못한 속도와 편안함을 제공했다. 알루미늄과 코르텐강도 사용되었지만, 스테인리스강이 주요 재료로 선호되었다. 스테인리스강 차량은 법적 요구 표시 외에는 도색하지 않고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1930년대 말, 철도 회사와 차량 제작사들은 이전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차체와 내부 스타일을 선보였다. 1937년 풀만사는 최초의 룸메트(객실) 장착 차량을 출시했는데, 이는 차량 내부가 유럽 객차처럼 구획으로 나뉘어져 있었음을 의미한다. 룸메트는 단일 여행자용으로, 큰 창문, 개인 프라이버시 문, 접이식 침대, 세면대, 작은 화장실을 갖췄다. 룸메트 바닥 공간은 침대 공간보다 약간 넓었지만, 이전보다 고급스럽게 여행할 수 있었다.
여객차가 가벼워짐에 따라 더 무거운 하중을 운반할 수 있게 되었지만, 평균 승객 크기는 차량의 새로운 수용력에 맞춰 증가하지 않았다. 평균 여객차는 측면 간격 때문에 더 넓거나 길게 만들 수 없었지만, 화물차와 기관차보다 여전히 낮았기 때문에 더 높게 만들 수 있었다. 철도 회사들은 더 많은 승객 수송을 위해 돔형 객차와 2층 객차를 건설, 구매하기 시작했다.
여객 장비는 여러 구조적 특징을 가졌다. 여객 열차는 화물 운송보다 더 높은 속도로 운행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므로, 여객 트럭은 우수한 승차감과 더 나은 추종성을 허용하도록 진화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승객과 승무원이 차량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플랫폼과 개폐식 통로가 사용되었다.
후년에는 속도, 편안함, 비용 개선을 위해 이 기본 형태에 대한 많은 변화가 도입되었다.
5. 1. 연결

연결식 여객차량은 유럽과 미국에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연결식 객차는 객차들이 대차를 공유하고 차량 간 통로가 거의 영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차량들은 "열차 편성"으로 유지되며 정상 운행 중에는 분리되지 않는다.[5]
연결식 차량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진다. 바퀴와 대차의 총 수를 줄여 비용과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설계보다 차량 간 이동이 더 안전하고 쉽다. 탈고(Talgo) 설계와 같이 기차가 곡선으로 기울어지게 하는 경사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5]
하지만 단점도 존재하는데, 단일 차량의 고장으로 전체 편성이 작동 불능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개별 차량을 편성에서 쉽게 교체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경사열차는 회전할 때 관성의 영향을 상쇄하기 위해 기울어질 수 있어 승객에게 더욱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한다. 앰트랙은 태평양 북서부의 앰트랙 카스케이드 서비스에 탈고(Talgo) 열차를 도입했다. 다른 제조업체들도 기울임 설계를 구현했으며, 영국철도 390형(British Rail Class 390)은 영국에서 운행되는 경사열차이다.
5. 2. 저상
저상형 차량은 승객 공간으로 올라가는 계단 없이 승객 및 승하차 바닥이 승강장 높이와 같은 높이에 위치하여, 1970년대까지 일반적이었던 기존 디자인과 다르다.[1] 이는 차량의 바닥이 트럭 위에 완전히 위치하는 간단한 직선형 차대 디자인 대신 트럭 사이에 위치하는 저상형 차대를 사용하여 달성된다.[1] 이러한 개선된 디자인은 오늘날 많은 승객 차량, 특히 2층 차량에서 볼 수 있다.[1] 저상형 설계는 자전거, 유모차, 여행 가방, 휠체어 사용자 및 장애인의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는데, 이는 기존 승객 차량 디자인에서는 항상 편리하거나 가능한 것이 아니다.[1]
5. 3. 동력
일반적으로 각 객차에 동력 장치가 있는 형태이다. 19세기 후반부터 전 세계 도시 지역에 트램, 경전철, 지하철 등이 널리 건설되었다. 1900년까지 전기 동력 객차는 선진국에서 흔히 볼 수 있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특히 미국에서 쇠퇴했다. 그러나 2000년대에 이르러 인기가 회복되었고, 자동차를 위해 철거되었던 노선이 불과 40년 만에 현대적인 노선으로 재건되고 있다.[6]교통량이 적은 시골 철도에서는 디젤 동차(예: 버드 레일 디젤카(Budd Rail Diesel Car))가 여전히 인기가 있다. 독일에서는 새로운 탈렌트 설계가 디젤 동력 객차가 여전히 철도 서비스에서 중요한 부분임을 보여준다. 영국에서는 디젤 멀티플 유닛 및 전기 멀티플 유닛과 같은 기관차 견인 여객 열차가, 봄바디어 보이저(Bombardier Voyager family) 및 히타치 A-트레인 AT300 계열과 같이, 심지어 고속 서비스에서도 대부분 대체되었다.[6]
5. 4. 기타
초기 열차 조명은 개암유 램프를 사용하였다. 이후 객차 아래에 압축 가스를 실린더에 넣어 사용하는 가스 조명 방식이 사용되었고, 최종적으로 전기 조명이 도입되었다.[8]초기 철도 객차에는 난방이 없었으나, 승객들은 발 난로를 빌려 사용할 수 있었다. 이는 현대의 초산나트륨 핫팩과 같은 원리로 작동했다. 이후 증기 기관차에서 증기를 공급받는 증기 난방이 도입되었고, 디젤 기관차 시대에도 증기 발생기를 통해 증기 난방이 유지되었다. 현재는 전기 난방이 보편적이며, 냉난방 장치도 함께 제공된다. 디젤 동차의 경우, 자동차처럼 엔진 폐열을 이용해 객실 난방을 할 수 있다.[8]
참조
[1]
웹사이트
Oxford Learner's Dictionaries – Find definitions, translations, and grammar explanations at Oxford Learner's Dictionaries
http://www.oxfordadv[...]
2010-11-21
[2]
뉴스
First All-Steel Cars for Pennsylvania Tube
https://www.nytimes.[...]
1906-08-12
[3]
논문
[4]
논문
[5]
웹사이트
Talgo History
http://www.talgo.com[...]
[6]
서적
Amtrak by the Numbers: A Comprehensive Passenger Car and Motive Power Roster – 1971–2011
White River Productions
2011
[7]
논문
[8]
웹사이트
An Introduction To Capacitors
http://www.facstaff.[...]
2014-10-10
[9]
간행물
KSK技報
1957
[10]
간행물
鉄道ピクトリアル
2007
[11]
간행물
1980
[12]
일반
[13]
논문
[14]
서적
汽車 : きしゃのちしき
二葉書房
1947
[15]
논문
[16]
논문
[17]
논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