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사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암사르는 아랍인들이 정복 지역에 건설한 군사 요새 또는 주둔 도시를 의미한다. 초기 이슬람 제국 팽창 과정에서 군사적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며, 로마의 콜로니아와 유사한 구조와 기능을 가졌다. 시간이 지나면서 군사 요새의 기능을 넘어 행정 중심지로 발전하기도 했다. 이라크의 쿠파와 바스라, 북아프리카의 푸스타트와 카이르완 등이 대표적인 암사르의 사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시둔 칼리파국 - 초기 무슬림 정복
7세기부터 8세기, 아라비아 반도에서 시작된 초기 무슬림 정복은 이슬람 세력의 급속한 확장으로 레반트,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페르시아, 북아프리카, 이베리아 반도, 트란스옥시아나 등 광범위한 지역을 지배하며 이슬람 세계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아랍 문화와 이슬람 확산을 촉진했다. - 라시둔 칼리파국 - 당나라의 이슬람교
당나라의 이슬람교는 7세기부터 10세기 초 당나라 시대에 중국에 전래된 이슬람교로, 당시 '대식법'으로 불렸으며 서아시아 출신 무슬림들은 '호인' 또는 '번객'으로 불리며 상업, 외교, 군사 분야에서 활동하며 당나라 사회에 영향을 미쳤다. - 무슬림 정복전쟁 - 라시둔 칼리파국
라시둔 칼리파국(632-661년)은 무함마드 사후 네 명의 칼리프가 통치한 시대로, 수니파 무슬림에게 이슬람의 황금기로 여겨지며 급속한 영토 확장과 이슬람 내전, 그리고 칼리프 정통성에 대한 논쟁을 겪으며 우마이야 칼리파국으로 이어졌다. - 무슬림 정복전쟁 - 투르 푸아티에 전투
투르 푸아티에 전투는 732년 프랑크 왕국의 카를 마르텔이 이슬람 세력을 격퇴하여 서유럽 진출을 막고 카롤링거 왕조 성립의 기반을 마련한 전투이다. - 군사 시설 - 군사 기지
군사 기지는 군대의 작전과 훈련, 보급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규모와 종류의 시설로, 탄약창, 막사, 비행장, 해군 기지 등 여러 기능별 시설로 구성되며 군종별 특징과 국가별 운용 방식의 차이를 보인다. - 군사 시설 - 무기고
무기고는 무기, 탄약, 군수품 등을 보관하고 제조하는 시설을 의미하며, 영국과 프랑스 등 여러 지역에 존재했다.
암사르 | |
---|---|
지리 | |
암사르 | |
유형 | 도시와 넓은 지역을 의미하는 아랍어 단어 |
어원 | 'مصِر (miṣr)'의 복수형 |
역사적 의미 | 초기 이슬람 시대에 군사적 목적으로 건설된 도시 이라크의 쿠파와 바스라, 이집트의 푸스타트 등 |
추가 의미 | 칼리파의 통치 하에 있던 지역 다마스쿠스, 예루살렘, 안티오크, 알렉산드리아 등 고대 도시 |
2. 역사
아랍인의 팽창 과정에서 최전선 지역에는 미스르(miṣr, 복수형은 암사르)라 불리는 군사 요새 또는 리바트가 세워졌다. 미스르는 고대 로마의 콜로니아와 유사한 구조와 기능을 가졌으며,[21] 추가적인 정복 활동의 기지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아랍 군사 요새는 대개 고대나 비잔티움 시대부터 존재해 온 옛 마을 가까이에 건설되었으며, 형태는 사각형인 경우가 많았다.[22]
많은 암사르는 군사 요새라는 원래 목적을 유지하기보다는 도시적인 행정 중심지로 발전했다. 특히 "al-miṣrān"(두 요새)로 알려진 이라크 도시 쿠파와 바스라가 그러하며, 북아프리카의 푸스타트와 카이르완도 마찬가지이다.
2. 1. 초기 이슬람 제국의 팽창과 암사르
초기 이슬람 제국의 팽창 과정에서 아랍인들은 정복지에 미스르(miṣr, 복수형은 암사르)라 불리는 군사 요새를 건설했다. 이는 고대 로마의 콜로니아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했는데,[21] 추가 정복 활동의 기지 역할을 했다.[22] 이러한 군사 요새는 기존 도시 근처에 건설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사각형 형태를 띠는 것이 일반적이었다.[22]이븐 알-칼비의 기록에 따르면, 아르파자 이븐 하르타마가 최초로 암사르를 건설한 인물로, 정복된 영토에 무슬림 군인들의 정착지를 마련하고 공공 시설과 모스크를 건설했다.[6] 우마르의 지시에 따라 아르파자 알-바리키는 모술에 암사르를 건설하고 총독으로 임명되어 세입을 관리했다.[7][8][9][10] 모술은 정복 이후 인구가 매우 적었으나, 정착이 진행되고 모스크가 건설되면서 4,000명의 정착민이 재정착했다. 새로운 건물들은 흙벽돌로 건설되었다.[11] 아르파자는 모술에 요새, 교회, 모스크, 유대인 거주지를 건설하고 북부 군사 작전의 본부로 삼았다.[11] 이후 아르파자는 바스라로 이동하여 암사르를 건설했고,[12] 이곳은 700명의 주둔군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로 성장했다.[14] 바스라에는 7개의 아도베 댐이 건설되었다.[17]
쿠파 역시 초기 암사르 중 하나로, 사'드 이븐 아비 와카스가 건설했다. 우마르의 지시에 따라 이라크에 새로운 본부를 건설하기 위해 쿠파로 이동하여 암사르를 건설했다.[18] 이 암사르는 "준드 알-쿠파"로 불렸으며, 무슬림 군인과 그 가족들을 위한 7개의 단지로 구성되었다.[18]
많은 암사르는 군사 기지 역할을 넘어 도시 및 행정 중심지로 발전했다. 이라크의 쿠파와 바스라는 "알-미스란"(두 요새)로 불렸으며, 북아프리카의 푸스타트와 카이르완도 이러한 발전을 겪었다.
2. 2. 주요 암사르
아랍인의 팽창 과정에서 최전선 지역에는 미스르(miṣr, 복수형은 암사르)라 불리는 군사 요새 또는 리바트가 세워졌다. 미스르의 구조와 기능은 고대 로마의 콜로니아와 유사했다.[21] 고대 로마의 변경 식민지처럼 미스르는 추가적인 정복 활동의 기지로 기능했다. 이런 유형의 아랍 군사 요새는 고대나 비잔티움 시대부터 존재해 온 옛 마을 가까이에 지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형태는 사각형인 경우가 흔했다.[22]많은 암사르는 군사 요새라는 원래 목적을 유지하기보다는 도시적인 행정 중심지로 발달했다. 특히 "al-miṣrān"(두 요새)로 알려진 이라크 도시 쿠파와 바스라가 그러한 경우이고, 북아프리카의 푸스타트와 카이르완도 마찬가지이다.
2. 3. 라시둔 시대의 암사르 건설
아랍인의 팽창 과정에서 최전선 지역에는 미스르(miṣr, 복수형은 암사르)라 불리는 군사 요새가 세워졌다. 미스르의 구조와 기능은 고대 로마의 콜로니아와 유사했다.[21] 고대 로마의 변경 식민지처럼 미스르는 추가적인 정복 활동의 기지로 기능했다. 이런 유형의 아랍 군사 요새는 고대나 비잔티움 시대부터 존재해 온 옛 마을 가까이에 지어지는 경우가 많았고, 형태는 사각형인 경우가 흔했다.[22]이븐 알-칼비는 아르파자 이븐 하르타마가 암사르를 처음 건설했다고 보고했는데, 이 암사르는 정복된 영토에 무슬림 군인들의 정착지를 영구적으로 수용하고 도시에 공공 시설과 모스크를 건설했다.[6] 칼리프 우마르의 지시에 따라 아르파자 알-바리키는 모술에 주둔지(암사르)를 건설했으며,[7] 그곳의 왈리(총독)로 임명되어,[8][9] 특히 세입을 관리했다.[10] 모술에서 아르파자는 우마르의 명령에 따라 요새, 몇몇 교회, 모스크, 유대인 거주지를 건설했다.[11]
아르파자와 웃바는 바스라라는 이름의 암사르(주둔 도시)를 건설했는데, 그곳의 군사 주둔지는 점차 추가적인 영구 구조물로 지원되었고 대규모 정착지로 성장했다.[13] 아르파자가 건설한 암사르는 700명의 주둔군을 수용할 수 있는 일곱 개의 부족 단지로 구성되어 있었으며,[14] 캠프를 대체하기 위해 흙벽돌, 석고, 진흙으로 집을 지었다.[15] 아르파자는 바스라에 일곱 개의 아도베 댐을 설계했는데, 두 개는 알-쿠라이바 정착지에, 하나는 아즈-자부카에, 두 개는 바누 타밈에, 나머지 두 개는 알-아즈드 부족 정착지에 건설했다.[17]
또 다른 초기 암사르는 쿠파였는데, 사'드 이븐 아비 와카스가 건설했다. 그는 칼리프 우마르의 지시를 받아 그의 군대를 위해 이라크에 새로운 본부를 세웠으며, 그래서 그는 미래에 쿠파로 알려질 지역으로 이동했다. 여기서 그는 알-마다인에서 벽과 군사 구조물을 운송하고 해체하여 새로운 암사르를 건설했다.[18] 새로운 암사르는 공식적으로 "준드 알-쿠파"라고 불렸으며, 그 지역에 영구적으로 정착한 무슬림 군인들과 그들의 가족들을 위한 일곱 개의 단지 구획을 갖추고 있었다. 사'드는 쿠파를 자신의 영구적인 본부로 만들었다.[18]
많은 암사르는 군사 요새라는 원래 목적을 유지하기보다는 도시적인 행정 중심지로 발달했다. 특히 "al-miṣrān"(두 요새)로 알려진 이라크 도시 쿠파와 바스라가 그러한 경우이고, 북아프리카의 푸스타트와 카이르완도 마찬가지이다.
참조
[1]
웹사이트
Amsar meaning
https://www.arabdict[...]
2023-02-08
[2]
간행물
Misr
http://www.oxfordisl[...]
The Oxford Dictionary of Islam. Ed. John L. Esposito. Oxford Islamic Studies Online
2016-10-07
[3]
서적
The Jews of Medieval Islam: Community, Society, and Identity : Proceedings of an International Conference Held by the Institute of Jewish Studies, University College London, 1992
https://books.google[...]
BRILL
[4]
서적
Anjar and Early Islamic Urbanism
https://www.academia[...]
BRILL
2021-05-09
[5]
서적
Hillenbrand (1999), p.
[6]
서적
Mu'jam al Buldan (Dictionary of Countries)
https://al-maktaba.o[...]
Dar as Sadr
2021-11-22
[7]
서적
Medieval Urban Landscape in Northeastern Mesopotamia
https://books.google[...]
Archaeological Publishing Limited
2021-11-20
[8]
서적
Iraq After The Muslim Conquest
https://books.google[...]
[9]
서적
Constructing Al-Azd: Tribal Identity and Society in the Early Islamic Centuriesد
https://books.google[...]
[10]
서적
Omar the Great, the Second Caliph of Islam
https://books.google[...]
the University of Michigan
2021-11-20
[11]
서적
Nadvi (2000), pg.
[12]
서적
الأنساب والأسر
https://books.google[...]
Shafiq Press
2021-11-20
[13]
서적
دة فتح العراق والجزيرة
https://waqfeya.net/[...]
2021-11-19
[14]
서적
دة فتح العراق والجزيرة
https://waqfeya.net/[...]
2021-11-19
[15]
웹사이트
al Buldan(countries) Part: 1 Page: 229
https://ar.lib.eshia[...]
2021-11-20
[16]
서적
Tabaqat al Kubra
https://books.google[...]
2021-11-22
[17]
서적
كتاب فتوح البلدان(Futuh al Buldan)
https://books.google[...]
E.J BRILL
2021-11-20
[18]
간행물
Al-Baladhuri, Fotouh Al-Buldan, p. 275; Al-Hamawi, Mujam Al-Buldan, Part 4, pg. 490
[19]
간행물
Misr
http://www.oxfordisl[...]
The Oxford Dictionary of Islam. Ed. John L. Esposito. Oxford Islamic Studies Online
2016-10-07
[20]
서적
The Jews of Medieval Islam: Community, Society, and Identity : Proceedings of an International Conference Held by the Institute of Jewish Studies, University College London, 1992
https://books.google[...]
BRILL
[21]
간행물
R. Hillenbrand: ''Anjar and early Islamic urbanism.'' In: G. P. Brogiolo and Bryan Ward-Perkins (Eds.): ''The idea and ideal of the town between Late Antiquity and the Early Middle Ages''
Brill
[22]
간행물
Hillenbrand 1999, 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