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로니아 (고대 로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콜로니아는 고대 로마에서 정복 지역을 관리하고 로마 시민을 정착시키기 위해 건설한 도시를 의미한다. 로마 공화국 시대에는 군사적 목적을 위해 시민들을 이주시켜 주둔지 형태로 관리했으며, 로마인 식민지와 라틴 식민지의 두 가지 유형이 있었다. 로마인 식민지는 해안 지역에 건설되었으며, 소규모 로마 시민으로 구성되었다. 라틴 식민지는 군사 요새 역할을 했으며, 로마 시민권을 일시적으로 잃는 조건으로 더 넓은 영지를 분배받았다. 제정 시대에는 퇴역 군인들의 정착을 위한 대규모 중심지가 되었으며, 도시의 로마화에 기여했다. 콜로니아는 로마의 지배를 강화하고 로마 문화를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현대 도시로 발전한 곳도 많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로마의 지리 - 아그리 데쿠마테스
아그리 데쿠마테스는 로마 제국 시대 라인 강과 도나우 강 사이 독일 남서부 지역으로, 로마에 점령되어 약 200년간 지배를 받았으며, 로마 제국에 전략적으로 중요하고 곡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했다. - 고대 로마의 지리 - 우리 바다
"우리 바다"는 고대 로마 시대 지중해를 지칭하는 라틴어에서 유래되어 로마 제국 팽창과 함께 지중해 전체를 아우르는 용어로 사용되었고, 이후 이탈리아의 지중해 지배를 정당화하는 상징으로 활용되거나 현대에는 소설 제목이나 국제 협력 주제, 난민 구조 작전 명칭 등으로 사용된다. - 로마 식민지 - 아크레 (이스라엘)
아크레는 이스라엘 북부의 고대 도시로, 다양한 제국과 문화의 지배를 거쳐 지중해 무역 요충지이자 십자군 전쟁 당시 수도로서 번성했으며,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역사적 건축물과 다양한 문화가 공존한다. - 로마 식민지 - 티레
티레는 레바논 남부 지중해 연안의 도시로, 페니키아 시대에 주요 도시 국가로 번성했으며 현재는 역사적 유적과 자연 보호 구역을 보유한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관광, 계약 서비스, 건설업이 주요 산업이고 다양한 종교 공동체와 팔레스타인 난민들이 거주한다.
콜로니아 (고대 로마) | |
---|---|
지도 | |
개요 | |
유형 | 로마의 식민지 |
목적 | 로마 시민의 정착, 군사적 거점 확보, 로마 문화 확산 |
특징 | 자치권 부여, 로마법 적용, 로마 문화 전파 |
역사 | |
기원 | 로마 공화정 시대 |
초기 콜로니아 | 오스티아 안티움 |
삼두 정치 시대 | 퇴역 군인 정착을 위한 콜로니아 건설 활발 |
로마 제국 시대 | 군사적 중요성 감소 명예적인 지위로 변화 |
종류 | |
로마 시민 콜로니아 (Colonia civium Romanorum) | 로마 시민으로 구성, 로마법 적용 |
라틴 콜로니아 (Colonia Latina) | 라틴인의 권리 부여, 자치권 강화 |
군사 콜로니아 (Colonia militaris) | 퇴역 군인 정착, 군사적 요충지 |
역할 | |
군사적 역할 | 점령지 방어 반란 진압 로마 군대 주둔지 |
사회적 역할 | 로마 문화 전파 로마 시민의 이주 장려 도시 건설 및 발전 |
정치적 역할 | 로마의 영향력 확대 지방 통치 로마법 적용 |
주요 콜로니아 | |
카르타고 | 북아프리카의 주요 콜로니아, 로마 제국의 곡창 지대 |
코린토스 | 그리스의 주요 콜로니아, 상업 중심지 |
쾰른 (Colonia Claudia Ara Agrippinensium) | 게르마니아의 주요 콜로니아, 로마 문화 중심지 |
타라고나 (Tarraco) | 히스파니아의 주요 콜로니아, 로마 제국의 중요 항구 |
콜로니아의 영향 | |
로마 문화 확산 | 언어, 법, 건축, 종교 등 로마 문화 전파 |
도시 발전 | 로마식 도시 계획 및 건설 |
사회 통합 | 로마 시민과 속주민 간의 통합 시도 |
법률 시스템 | 로마법의 전파 및 적용 |
2. 특징
콜로니아는 로마가 새롭게 정복한 지역이나 변방의 방위와 안정화를 위해 건설한 식민 도시로, 경제적·사회적 목적[20]과 로마인의 이주를 위해 건설되었다. 로마 공화정 시기부터 로마 제국 시기까지 로마의 위광을 과시하고, 늘어난 인구를 이주시키며, 퇴역 군인에게 직업을 제공하기 위해 건설되었다.[22]
로마 공화정 시대에는 상비군이 없었기 때문에 정복한 도시에 시민들을 이주시켰다. 이 당시 콜로니아는 로마인 식민지와 라틴 식민지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뉘었다.[26] 로마인 식민지는 주로 해안가에 건설되었으며, 약 300명 정도의 로마 시민권자로 구성되어 소규모 토지를 받았다. 라틴 식민지는 적 영토 근처에 건설된 군사 요새로, 더 큰 규모의 토지를 받았지만 로마 시민권을 일시적으로 잃어야 했다.
기원전 133년 트리부누스(호민관)의 개혁 이후, 새로 확보한 콜로니아는 농업 정착지가 되어 도시 빈민에게 농사를 지원했다. 카이사르와 아우구스투스 시기에는 군단병으로 복무한 참전 용사들에게 제국 내 콜로니아의 경작지를 하사하고, 로마화를 담당하게 했다.
리비우스에 따르면, 최초의 로마 식민지는 기원전 752년경 라티움의 안테무나이와 크루스투메리움에 세워졌다.[4] 이탈리아 외부에 세워진 최초의 로마 식민지는 기원전 206년 제2차 카르타고 전쟁 중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가 히스파니아에 세운 이탈리카로 추정된다.[5][6]
로마 식민지는 비상시 소집될 수 있는 예비 퇴역 군인의 역할을 했고, 미래의 로마 시민, 즉 로마군의 신병을 배출하는 역할도 했다.[7] 또한 초기 제국 시대에 이탈리아 중부 및 남부 반도에서 라틴어를 확산시키고,[8] 주변 원주민들에게 로마 생활의 본보기를 보여주었다.[9]
로마 공화정 시기에는 여러 법적 도시 구분이 있었지만, 로마 제국이 되면서 자치시, 동맹시, 식민시 등의 ''지위''로 정리되었다. 이 중 식민시가 가장 가치 있는 지위였다.[23]
2. 1. 로마인 식민지 (coloniae civium Romanorum)
로마 공화국 시대에는 상비군이 없었기 때문에, 정복한 도시에 시민들을 이주시켜 주둔지의 형태로 관리하였다. 이 당시 콜로니아에는 로마인 식민지와 라틴 식민지 두 가지 유형이 있었다.[26]로마인 식민지(coloniae civium Romanorum)는 해양 식민지(coloniae maritimae)라고도 불렸으며, 주로 연안 지대에 건설되었다. 오스티아 (기원전 350년)와 리미니 (기원전 268년)가 대표적인 예시이다.[2] 식민지 개척민은 약 300명의 로마 씨족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은 토지를 조금씩만 분배받았기 때문에 영세 사업을 벌인 것으로 보인다.[3]
로마의 지배 지역이 확대된 웨이이 병합에서 그라쿠스 형제의 개혁 이전 시기(기원전 393년 ~ 기원전 134년)를 기원전 269년 기준으로 전기와 후기로 나누어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20]
구분 | 라틴 식민지 | 로마 식민지 |
---|---|---|
전반기(기원전 393년 ~ 기원전 269년) | 19개소 (약 83,500명) | 7개소 (약 2,100명) |
후반기(기원전 269년 ~ 기원전 134년) | 7개소 (약 31,300명) | 22개소 (약 16,800명) |
라틴 식민지 1개소의 평균 인구는 전반기와 후반기 모두 약 3,500명이었다. 로마 식민시 1개소의 평균 인구는 기원전 184년까지 300명이었고, 그 이후에는 2,000명으로 규모가 커졌다.[20]
2. 2. 라틴 식민지 (coloniae Latinae)
라틴 식민지(''coloniae Latinae'')는 로마인 식민지보다 규모가 훨씬 컸으며, 적대적인 영토 근처나 내부에 위치한 군사 요새였다. 아테네의 클레루키와 유사했을 수 있다.[26] 이주민들은 최대 35헥타르에 달하는 큰 영지를 분배받았으나, 일시적으로 로마 시민권을 잃었다. 영지를 포기하고 로마로 돌아올 경우 시민권을 회복할 수 있었다.[26]3. 역사
리비우스에 따르면 로마가 세운 최초의 식민지는 기원전 752년경 라티움의 안템나이와 크루스투에리움으로 전해져 내려온다.[27] 이후 기원전 6세기 시그니아, 기원전 5세기 벨리트라이와 노르바, 기원전 4세기 후반 오스티아, 안티움, 타라키나에 식민지를 세웠다. 이 시기에는 대체로 로마 점령지를 방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군사적 식민지를 세웠으며, 포에니 전쟁이 막을 내릴 때까지 지속되었다.
로마 시민 식민지 (로마인 식민지)와 라틴 식민지는 규모, 구성, 지역이 다양했다. 시민 식민지는 일반적으로 연안에 위치하여 해양식민지 (coloniae maritimae)라고도 불렸다. 주민 수가 300가구 정도로 작았고, 로마시와 가까웠으며, 자체적인 도시 생활은 누리지 못했다. 영국의 역사학자 셔윈화이트는 아테네의 클레르키아 (정복식민지)와 비슷하다고 보았다.[28] 반면 라틴 식민지 (coloniae juris latini)는 규모가 훨씬 컸고, 라틴인뿐만 아니라 로마 시민권을 보유하지 않은 로마인도 거주하였다. 라틴 식민지는 라티움 동맹이 결성되면서 처음 설립되었다.
공화정 후기에는 호민관 가이우스 그라쿠스를 비롯한 유력 인사들이 로마의 땅 없는 시민들을 최근에 정복한 지방의 식민지에 정착시킬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29] 이탈리아 외부에 건설된 최초의 로마 식민지는 기원전 206년, 제2차 카르타고 전쟁 당시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가 히스파니아에 건설한 이탈리카로 추정된다.[30]
카르타고를 평정하고 다스리게 된 로마령 북아프리카의 콜로니아는 이탈리아 민족의 이주를 위한 대규모 중심지로 거듭났다. 북아프리카는 로마 제국 내에서도 로마 식민지의 밀도가 가장 높았던 지역으로, 서기 2세기에 이르면 전체 인구의 3분의 1 이상이 이탈리아계 주민이었다.
로마 제국 시대에는 대규모 식민지 개척이 이루어졌다. 내전이 끝나고 십만 명이 넘는 로마군 참전용사를 정착시켜야 했던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는 제국 전역에 걸쳐 대규모 식민지 건설에 나섰다. 모든 식민지가 새롭게 지어진 도시는 아니었고, 기존 도시를 점령하여 시민을 정착시키는 경우도 많았으며, 식민화 과정에서 도시 영역을 확장시키기도 했다. 이 중 일부는 대도시로 성장했는데, 오늘날 독일의 쾰른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 시기 지방 도시는 식민지 지위를 획득하여 특권을 부여받을 수 있었다.[7] 세베루스 왕조 이후로는 식민지의 성격이 변화되어 단순히 특수한 지위 (면세 혜택)가 부여된 도시로 정의되었으며, 제정 후기에는 재향군인의 정착지로서의 식민지는 대부분 사라지게 되었다.
3. 1. 로마 왕국기
리비우스에 따르면 로마가 세운 최초의 식민지는 기원전 752년경 라티움의 안템나이와 크루스투에리움으로 전해져 내려온다.[27] 이후 기원전 6세기 시그니아, 기원전 5세기 벨리트라이와 노르바, 기원전 4세기 후반 오스티아, 안티움, 타라키나에 식민지를 세웠다. 이 시기에는 대체로 로마 점령지를 방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군사적 식민지를 세웠으며, 포에니 전쟁이 막을 내릴 때까지 지속되었다.[4]초기 식민지들은 다음과 같다.
3. 2. 로마 공화국기
리비우스에 따르면, 로마가 최초로 세운 식민지는 기원전 752년경 라티움의 안템나이와 크루스투에리움이었다.[27] 이후 기원전 6세기 시그니아, 기원전 5세기 벨리트라이와 노르바, 기원전 4세기 후반 오스티아, 안티움, 타라키나에 식민지가 세워졌다. 이 시기에는 로마 점령지를 방어하기 위한 군사적 목적의 식민지가 주를 이루었으며, 포에니 전쟁이 끝날 때까지 지속되었다.로마가 세운 시민 식민지(로마인 식민지)와 라틴 식민지는 규모, 구성, 지역 면에서 다양했다. 시민 식민지는 보통 해안에 위치하여 해양식민지(coloniae maritimae)라고도 불렸다. 주민 수가 300가구 정도로 규모가 작았고, 로마시와 가까웠으며, 자체적인 도시 생활은 누리지 못했다. 영국의 역사학자 셔윈화이트는 아테네의 클레르키아(정복식민지)와 비슷하다고 보았다.[28] 반면 라틴 식민지(coloniae juris latini)는 규모가 훨씬 컸고, 라틴인뿐만 아니라 로마 시민권을 가지지 않은 로마인도 거주하였다. 라틴 식민지는 라티움 동맹이 결성되면서 처음 설립되었다.
공화정 후기에는 호민관 가이우스 그라쿠스를 비롯한 유력 인사들이 로마의 땅 없는 시민들을 최근에 정복한 지방의 식민지에 정착시킬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29]
이탈리아 외부에 건설된 최초의 로마 식민지는 기원전 206년, 제2차 카르타고 전쟁 당시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가 히스파니아에 건설한 이탈리카로 추정된다.[30]
로마 공화정 시기에는 많은 도시의 법적 구분이 만들어졌지만, 로마 제국이 되면서 자치시(自由市), 동맹시, 식민시 등의 ''지위''로 집약되었다. 이중에서 식민시가 가장 가치있는 지위였다.
다음은 로마 공화정기에 건설된 식민지들이다(기원전순):
연도 | 식민지 |
---|---|
기원전 396년 | 베이이, 피데나이 점령. 새로운 트리부스 4개 편성(스텔라티나, 트로멘타나, 사바티나, 아르니엔시스) |
기원전 385년 | 사트리쿰 (기원전 346년 소실) |
기원전 354년~349년 | 티부르, 프라이네스테, 카에레 (라티움) 동맹 조약 |
기원전 338년 | 오스티아 식민지와 항구, 카푸아 주민들이 로마 시민권을 얻음 |
기원전 335년 | 칼레스 (라티움) |
기원전 332년 | 수트리, 네페테 (라티움), 호민관 2석 신설 (스캅티아, 마이시아) |
기원전 329년 | 안수르 (라티움) |
기원전 318년 | 팔레르나 트리부스 성립, 칼레스가 로마와 조약 연장, 카누시움 (아풀리아) |
기원전 315년 | 루체리아 (아풀리아) |
기원전 313년 | 수에술라, 사티쿨라 (캄파니아) |
기원전 303년 | 알바 푸켄스, 카르시올리, 소라 (라티움) |
기원전 299년 | 네퀴눔 (에트루리아와 움브리아의 나니아/ 나르니)[31] |
기원전 296년 | 민투르네 (라티움) |
기원전 291년 | 베노시아 (아풀리아)[32] |
기원전 290년 | 핀케움 포위 점령, 곧 로마 식민지가 됨, 아브루초 아드리아해 연안의 하트리 (아트리아) |
기원전 289년 | 세나 갈리카 (움브리아) |
기원전 273년 | 파에스툼 (라티움), 코사 (에트루리아) |
기원전 269년 | 카스트룸 노붐 피케니, 피케눔 콜로니아 (아브루초) |
기원전 268년 | 베네벤툼 (삼니움), 아리미룸 (아이밀리아), 브룬디시움 (풀리아) |
기원전 264년 | 피르뭄 |
기원전 263년 | 아이세르니아 (삼니움) |
기원전 247년 | 알시움 (에트루리아) |
기원전 245년 | 프레게나이 (에트루리아) |
기원전 222년 | 메디올라눔 (트란소아다나) |
기원전 218년 | 플라켄티아 (아이밀리아), 크레모나 (베네티아 에트 히스트리아) |
기원전 197년~192년 | 볼투르눔, 리테르눔, 푸테올리, 살레르눔 (캄파니아) / 시폰툼, 북센툼 (칼라브리아) |
기원전 196년 | 브릭시아 (베네티아 에트 히스트리아) |
기원전 193년 | 코피아 (루카니아 에트 브루티) |
기원전 192년 | 비보발렌티아 (루카니아 에트 브루티) |
기원전 189년 | 보노니아 (아이밀리아) |
기원전 184년 | 피사우룸 (움브리아), 포텐티아 로마노룸 (루카니아 에트 브루티) |
기원전 183년 | 무티나, 파르마 (아이밀리아) |
기원전 181년 | 아퀼리아 (베네티아 에스 히스트리아), 그라비스카 (라티움) |
기원전 180년 | 포르투스 피사누스 (에트루리아) |
기원전 177년 | 루나 (에트루리아) |
기원전 125년 | 폴렌티아, 바르다카테 (리구리아) |
기원전 123년~118년 | 하스타, 데르토나 (리구리아) |
기원전 100년 | 에포레디아 (트란스파다나, 오늘날 피에몬테 지역) |
기원전 36년 | 타우로메니움 (시칠리아) |
기원전 21년 | 카티나, 시라쿠사, 테르마이, 틴다리스 (시칠리아) |
3. 3. 로마 제국기
리비우스에 따르면, 로마가 세운 최초의 식민지는 기원전 752년경 라티움의 안템나이와 크루스투에리움이었다.[27] 이후 기원전 6세기 시그니아, 기원전 5세기 벨리트라이와 노르바, 기원전 4세기 후반 오스티아, 안티움, 타라키나에 식민지가 세워졌다. 이 시기에는 대체로 로마 점령지를 방어하기 위한 군사적 목적의 식민지가 건설되었으며, 포에니 전쟁이 끝날 때까지 지속되었다.로마 제국이 되면서 법적 구분은 자치시(自由市), 동맹시, 식민시 등의 ''지위''로 집약되었다. 이 중 '''식민시'''가 가장 가치 있는 ''지위''였다. 식민시는 새롭게 창설되는 것 외에도, 자치시나 동맹시에서 ''승격''하여 식민시가 되는 경우도 있었다.
이탈리아 외부에 건설된 최초의 로마 식민지는 기원전 206년, 제2차 카르타고 전쟁 당시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가 히스파니아에 건설한 이탈리카로 추정된다.[30]
로마 제국 시대에는 대규모 식민지 개척이 이루어졌다. 내전이 끝나고 십만 명이 넘는 로마군 참전용사를 정착시켜야 했던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는 제국 전역에 걸쳐 대규모 식민지 건설에 나섰다. 모든 식민지가 새롭게 지어진 도시는 아니었고, 기존 도시를 점령하여 시민을 정착시키는 경우도 많았으며, 식민화 과정에서 도시 영역을 확장시키기도 했다. 이 중 일부는 대도시로 성장했는데, 오늘날 독일의 쾰른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 시기 지방 도시는 식민지 지위를 획득하여 특권을 부여받을 수 있었다.[33] 세베루스 왕조 이후로는 식민지의 성격이 변화되어 단순히 특수한 지위 (면세 혜택)가 부여된 도시로 정의되었으며, 제정 후기에는 재향군인의 정착지로서의 식민지는 대부분 사라지게 되었다.
카르타고를 평정하고 다스리게 된 로마령 북아프리카의 콜로니아는, 이탈리아 민족의 이주를 위한 대규모 중심지로 거듭났다. 북아프리카는 로마 제국 내에서도 로마 식민지의 밀도가 가장 높았던 지역으로, 서기 2세기에 이르면 전체 인구의 3분의 1 이상이 이탈리아계 주민이었다.
4. 통치 기구
이탈리아와 서방에서는 로마의 국제를 따라 1년 임기의 "공직자", 공직자를 선출하는 민회, 도시 참사회가 설치되었다. 공직자(정무관)는 6명으로, 집정관 2명, 조영관 2명, 재무관 2명인 경우가 많았다. 공직자는 법률이나 규칙을 정하는 것과 함께 도시 참사회를 소집하여 의안을 제안하거나, 의사 보고를 받았다.[23] 도시 참사회원은 공직자 경험자가 충원되었으며 정원은 수십 명에서 백 명 정도였다.[24]
그리스 도시가 기원인 곳에서는 아테네나 스파르타의 제도가 존속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공직, 민회(엘렉시아), 평의회(불레) 등이 설치되었다. 공직에는 아르콘, 장군(스트라테고스), 시장 감독관(아고라노모스), 서기, 경기 회장, 체육장 등이 있었다.[23]
5. 식민지화의 영향과 유산
로마의 식민지(콜로니아)는 로마의 영토 확장과 통치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리비우스에 따르면, 최초의 식민지는 기원전 752년경 라티움의 안템나이와 크루스투에리움에 세워졌다.[27] 이후 시그니아, 벨리트라이, 노르바, 오스티아, 안티움, 타라키나 등지에 식민지가 건설되었다. 초기에는 주로 군사적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나, 포에니 전쟁 이후에는 이탈리아 민족의 이주를 위한 중심지로 기능했다. 특히 로마령 북아프리카는 식민지 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2세기에는 인구의 3분의 1 이상이 이탈리아계 주민이었다.[4]
로마의 식민지는 시민 식민지와 라틴 식민지로 구분되었다. 시민 식민지는 주로 해안에 위치했으며, 주민 수는 300가구 정도로 작았다. 아테네의 클레르키아와 유사한 형태였다.[28] 반면 라틴 식민지는 규모가 더 컸고, 라틴인과 로마 시민권을 가지지 않은 로마인도 거주했다.
공화정 후기에는 가이우스 그라쿠스 등이 토지 없는 시민들을 식민지에 정착시킬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29] 이탈리아 외부에 건설된 최초의 식민지는 기원전 206년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가 히스파니아에 건설한 이탈리카로 추정된다.[30]
로마 식민지는 다음과 같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 예비군 기지: 재향 군인들이 거주하며 비상시 소집될 수 있는 예비군 역할을 했다.[34]
- 로마군 병력 증강: 로마 시민 규모를 늘려 로마군 병력 모집에 기여했다.[34]
- 라틴어 전파: 이탈리아반도 중부와 남부에 라틴어를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35]
- 로마식 생활 전파: 인근 원주민들에게 로마식 생활의 표본이 되었다.[36]
로마 공화정 시기에는 상비군이 없었기 때문에 정복한 마을에 자체 시민들을 일종의 수비대로 심었다. 로마 식민지(''coloniae civium Romanorum'')와 라틴 식민지(''coloniae Latinae'')의 두 가지 유형이 있었다.[1][2]
구분 | 설명 | 규모 | 특징 | 예시 |
---|---|---|---|---|
로마 식민지 | coloniae civium Romanorum 또는 coloniae maritimae | 약 300명의 로마 참전 용사와 그 가족[3] | 농지(ager colonicus) 1~2.5헥타르, 목초지 및 삼림지(ager compascus scripturarius) 자유 사용[3] | 오스티아(기원전 350년), 리미니(기원전 268년) |
라틴 식민지 | coloniae Latinae | 로마 식민지보다 훨씬 컸음 | 최대 35헥타르의 토지, 시민권 상실 (로마 귀환 시 회복 가능) | 아테네의 클레르키와 유사 |
기원전 133년 이후, 호민관들은 도시 빈민들이 새로운 식민지에서 다시 농부가 되도록 지원하기 위해 개혁을 도입했다. 카이사르와 아우구스투스 시대에는 수천 명의 로마 군단병 참전 용사에게 제국의 많은 콜로니아에서 토지가 주어졌으며, 이는 로마화에 기여했다.
로마 공화정 시기에는 많은 도시의 법적 구분이 있었지만, 로마 제국 시기에는 자치시, 동맹시, 식민시 등의 지위로 집약되었다. 이 중 식민시가 가장 가치 있는 지위였으며, 다른 도시에서 승격되거나 반대로 강등되는 경우도 있었다.[23]
6. 현대 도시로 발전한 콜로니아 목록
현대 명칭 | 당시 명칭 | 현 국가 | 당시 속주 | 건설/편입 | 재위기 | 비고 |
---|---|---|---|---|---|---|
아를 | 콜로니아 룰리아 파테르나 아렐라텐시스 섹스타노룸 Colonia Iulia Paterna Arelatensis Sextanorum | 프랑스 | 갈리아 나르보넨시스 | 기원전 45년 | 율리우스 카이사르 | |
베오그라드 | 싱기두눔 Singidunum | 세르비아 | 모이시아 수페리오르 | 239년 | 기원전 279년경 켈트족이 건설, 기원전 15년 로마 정복 | |
부다페스트 | 아퀸쿰 Aquincum | 헝가리 | 판노니아 속주 | 41년~54년 | ||
카르테이아 | 카르테이아 Carteia | 스페인 | 히스파니아 울테리오르 | 기원전 171년 | 로마 원로원기 | |
콜체스터 | 콜로니아 클라우디아 빅트리켄시스 카물로두눔 Colonia Claudia Victricensis Camulodunum | 영국 | 브리타니아 / 브리타니아 수페리오르 / 막시마 카이사리엔시스 | 49년 | 클라우디우스 | |
쾰른 | 콜로니아 클라우디아 아라 아그리피넨시움 Colonia Claudia Ara Agrippinensium | 독일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 50년 | 클라우디우스 | |
예루살렘 | 콜로니아 아일리아 카피톨리나 히에로솔로마 Colonia Aelia Capitolina Hierosoloma |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 유대 속주 | 바르 코크바의 난 이후 | 하드리아누스 | |
링컨 | 린둠 콜로니아 / 콜로니아 도미티아나 린덴시움 Lindum Colonia / Colonia Domitiana Lindensium | 영국 | 브리타니아 / 브리타니아 인페리오르 / 플라비아 카이사리엔시스 | 71년 | 도미티아누스 | |
나르본 | 콜로니아 룰리아 파테르나 클라우디우스 나르보 마르티우스 데쿠마노룸 Colonia Iulia Paterna Claudius Narbo Martius Decumanorum | 프랑스 | 갈리아 / 갈리아 나르보넨시스 | 기원전 118년 |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 | 기원전 45년 카이사르가 재건설[37] |
파트라 | 콜로니아 아우구스타 아카이카 파트렌시스 Colonia Augusta Achaica Patrensis | Greece | 아카이아 속주 | 악티움 해전 이후 | 아우구스투스 | |
세빈카라히사르 | 콜로니아 Κολώνεια | 튀르키예 | 비티니아폰투스 | 기원전 1세기 | 폼페이우스 | |
콜로니아 룰리아 콩코르디아 아파미아 | 튀르키예 | 비티니아폰투스 | 기원전 45년경 | 율리우스 카이사르 | ||
요크 | 에보라쿰 Eboracum | 영국 | 브리타니아 / 브리타니아 인페리오르 / 브리타니아 세쿤다 | 3세기 초[38] | 카라칼라 | |
메리다 | 콜로니아 에메리타 아우구스타 Colonia Emerita Augusta | 스페인 | 히스파니아 / 루시타니아 | 기원전 25년 | 아우구스투스 | 로마군 알라두아이 제5군단, 게미나 제10군단 재향군인용 |
사르미제게투사 | 콜로니아 울피아 트라이아나 사르미제게투사 Colonia Ulpia Traiana Sarmizegetusa | 루마니아 | 다키아 | 106년~110년 | 트라야누스 | |
알바이울리아 | 아풀룸 Apulum | 루마니아 | 다키아 | 180년~192년[39] | 콤모두스 | |
클루지나포카 | 나포카 Napoca | 루마니아 | 다키아 | 2세기 후반 | 콤모두스 | |
드로베타투르누세베린 | 드로베타 Drobeta | 루마니아 | 다키아 | 198년~208년[40]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 |
지젠 | 오이스쿠스 Oescus | 불가리아 | 모이시아 인페리오르 | 106년~112년 | 트라야누스 | |
류블랴나 | 콜로니아 룰리아 아이모나 Colonia Iulia Aemona | 슬로베니아 | 일리리쿰 | 기원전 35년 | ||
데벨트 | 콜로니아 플라비아 판세시스 데울툼 Colonia Flavia Pancensis Deultum | 불가리아 | 트라키아 | 4황제 이후 | 베스파시아누스 | 로마 아우구스타 제8군단 재향군인용 |
참조
[1]
간행물
The Coloniae Maritimae
1963
[2]
서적
The Roman Citizenship
[3]
서적
Crotone. Da polis a città di Calabria
1988
[4]
서적
Ab Urbe Condita Libri
[5]
서적
Hannibal's War: Books 21-30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2-17
[6]
서적
Iberian Wars
[7]
서적
Roman Empire
Lorenz Books
2006
[8]
백과사전
History of Europe - Romans
https://www.britanni[...]
2018-07-03
[9]
웹사이트
Colonia - Livius
https://www.livius.o[...]
2018-07-02
[10]
웹사이트
CHRONOLOGIE - Les grandes dates - Narbo Martius
http://bib.cervantes[...]
2017-02-04
[11]
서적
De Aedificiis
[12]
웹사이트
EBORACUM or Eburacum or Eburaco (York) Yorkshire, England
http://www.perseus.t[...]
2021-05-04
[13]
웹사이트
APULUM (Alba Iulia) Romania
http://www.perseus.t[...]
2021-05-04
[14]
웹사이트
DROBETA or Drubeta (Drobeta-Turnu Severin) Romania
http://www.perseus.t[...]
2021-05-04
[15]
서적
1992
[16]
서적
SWP III
https://archive.org/[...]
1883
[17]
웹사이트
Places: 246344 (Col. Caesaraugusta)
http://pleiades.stoa[...]
Pleiades
2014-12-23
[18]
서적
Imperial Augsburg: Renaissance Prints and Drawings, 1475-1540
National Gallery of Art (U.S.)
2012
[19]
서적
A Natural History of Latin
OUP Oxford
2007
[20]
웹사이트
共和政ローマの植民政策 : 植民市建設と個人的土地分配(前393年-前134年)
https://cir.nii.ac.j[...]
[21]
웹사이트
植民市
http://www2u.biglobe[...]
[22]
웹사이트
Colonia
https://penelope.uch[...]
[23]
서적
ローマ帝国 帝政前期の政治・社会
[24]
웹사이트
古代ローマ帝国の人口・財政・官吏・役人などの各種データ
http://heartland.geo[...]
[25]
서적
ローマ建国史
[26]
간행물
The Coloniae Maritimae
1963
[27]
서적
Ab urbe condita
[28]
서적
The Roman Citizenship
[29]
백과사전
[30]
서적 인용
Hannibal's War: Books 21-30
https://books.google[...]
2009-06-25
[31]
문서
[32]
문서
[33]
서적 인용
Roman Empire
Lorenz Books
2006
[34]
서적 인용
Roman Empire
Lorenz Books
2006
[35]
백과사전
[36]
웹인용
Colonia - Livius
https://www.livius.o[...]
2018-07-02
[37]
웹인용
CHRONOLOGIE - Les grandes dates - Narbo Martius
http://bib.cervantes[...]
2017-02-04
[38]
웹인용
EBORACUM or Eburacum or Eburaco (York) Yorkshire, England
http://www.perseus.t[...]
2021-05-04
[39]
웹인용
APULUM (Alba Iulia) Romania
http://www.perseus.t[...]
2021-05-04
[40]
웹인용
DROBETA or Drubeta (Drobeta-Turnu Severin) Romania
http://www.perseus.t[...]
2021-05-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