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암스테르담 메트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암스테르담 메트로는 암스테르담의 도시 철도 시스템으로, 1920년대부터 계획되어 1970년대 동부 노선 개통을 시작으로 현재 5개의 노선(50, 51, 52, 53, 54호선)을 운영하고 있다. 2018년에 개통된 북남 노선(52호선)은 IJ강 하저 터널을 포함하며, 암스테르담 북부와 남부를 연결한다. 메트로는 총 39개 역을 운영하며, 다양한 종류의 차량을 사용한다. 요금은 OV-칩카드를 통해 지불하며, 향후 암스테르담 스키폴 공항, 알메러 등으로의 노선 연장 계획이 논의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암스테르담의 교통 - 암스테르담 스히폴 공항
    암스테르담 스히폴 공항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 1916년 개항하여 단일 터미널 시스템과 6개의 활주로를 운영하며 유럽 내 여객 수 3위의 공항으로, 다양한 교통 수단을 통해 접근 가능하고 유럽 및 전 세계 주요 도시로 운항 노선을 제공한다.
  • 네덜란드의 도시 철도 - 로테르담 지하철
    로테르담 지하철은 네덜란드 로테르담과 주변 지역을 운행하는 도시 철도 시스템으로, 여러 노선으로 구성되어 로테르담 중앙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지역을 연결하며, 미래 확장 계획과 함께 제3궤조 및 가공 전차선 방식의 전력 공급을 사용한다.
  • 네덜란드의 도시 철도 - 란드스타트레일
    란드스타트레일은 네덜란드 란트스타트 지역에서 운영되는 대중교통 시스템으로, 지하철 노선 1개와 트램-열차 노선 3개로 구성되어 있다.
  • 1977년 개통한 철도 노선 - 타슈켄트 지하철
    타슈켄트 지하철은 1966년 대지진 이후 건설이 계획되어 1977년 개통되었으며, 독특한 건축 양식과 장식을 갖춘 4개의 노선이 운영 중이고 지속적인 확장 계획이 추진되고 있는 우즈베키스탄 수도의 지하철 시스템이다.
  • 1977년 개통한 철도 노선 - RER A선
    파리 도심과 주변 지역을 연결하는 RER A선은 1960년대부터 건설 및 확장을 거쳐 현재는 서쪽에서 동쪽까지 이어지는 세계에서 가장 혼잡한 노선 중 하나로, 수송 능력 증대를 위해 자동 열차 제어 시스템 및 2층 열차 도입 등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암스테르담 메트로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개요
암스테르담 메트로 로고
암스테르담 메트로 로고
공식 명칭암스테르담세 메트로 (Amsterdamse metro)
종류도시 철도
운영 지역암스테르담, 디멘, 아우더-암스텔
운영 기관GVB (암스테르담 시영 교통 회사)
노선 수5개
역 수39개
총 연장42.7 km
개통1977년 10월 14일
웹사이트GVB 공식 웹사이트
운행
일일 승객 수247,397명 (2018년)
연간 승객 수9천30만 명 (2018년)
차량 수90량
궤간1,435 mm (표준궤)
전력 공급750 V DC, 제3궤조 방식
최고 속도70 km/h
노선
암스테르담 메트로 노선도 (2018년)
암스테르담 메트로 노선도 (2018년)

2. 역사

2. 1. 초기 계획 (1920년대 ~ 1960년대)

1920년대 암스테르담 시의회는 지하철 건설을 논의하기 시작했다. 1922년 11월, 시의회 의원 제이거 굴덴과 에마누엘 보크만은 테르 하르 시의원에게 시내 지하철 건설 가능성 연구를 요청했고, 시립 공공사업부는 1923년과 1929년에 지하철 건설 제안서를 작성했다. 그러나 이 계획들은 기술적, 재정적 문제로 보류되었다.[4]

1950년대 전후 인구 증가와 자동차 교통량 증가로 지하철 건설 논의가 다시 시작되었다. 1955년 암스테르담 시내 교통 문제 해결을 위한 위원회가 설치되었고, 1960년에 지하철 건설 필요성을 제안하는 보고서를 발표했다.[4]

1963년 4월, 암스테르담 시의원과 시장은 대도시 철도의 기술적 타당성을 연구하고, 노선 네트워크를 제안하며, 건설 우선 순위, 그리고 교통 혼잡과 건물 철거와 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연구하는 ''Bureau Stadsspoorweg''를 설치했다.[4] 1964년과 1965년에 ''Bureau Stadsspoorweg''는 4개의 보고서를 암스테르담 시립 정부에 제출했고, 이 보고서는 1966년 8월 30일에 일반에 공개되었다.[4]

1968년 지하철 계획


1968년 3월, 암스테르담 시의회는 지하철 건설을 승인하고, 도시 전체를 연결하는 4개 노선 건설 계획을 확정했다. 시의회는 1968년 5월 16일 찬성 38표, 반대 3표로 지하철 건설을 승인했다.[4] 원래 계획에 따르면, 도시 전체를 연결하고 기존의 많은 트램 노선을 대체하는 4개의 노선이 건설될 예정이었다. 계획된 노선은 동남부에서 암스테르담 중앙역을 경유하여 Osdorp 지구로 이어지는 동서 노선, 서부 항구 지역에서 교외 도시인 Diemen까지 이어지는 순환 노선, 북부 지구에서 암스테르담 중앙역을 경유하여 Weteringplantsoen 로터리까지 이어지는 남북 노선(양쪽 끝에 2개의 지선 포함), Geuzenveld 지구에서 Gaasperplas까지 이어지는 두 번째 동서 노선이었다. 이 노선들은 점진적으로 건설되어 1990년대 말까지 완공될 예정이었다.[4]

2. 2. 동부 노선 건설과 니우마르크트 폭동 (1970년대)

1970년, 암스테르담 도심과 남동부 빌머메이르 주거 개발 지구를 연결하는 53호선과 54호선을 포함하는 동부 노선(Oostlijn) 건설이 시작되었다. 1977년 동부 노선이 개통되었는데, 이 노선은 도심과 동부 지역 인접 지역을 지나 암스테르담 암스텔역까지 지하로 연결되며, 반 데르 마데베흐역에서 두 갈래(게인 지선, 가스퍼플라스 지선)로 나뉜다. 1980년부터 두 노선의 북쪽 종착역은 암스테르담 중앙역이다.

암스테르담 시 정부의 건축가 nl와 nl은 동부 노선 역들의 설계를 맡았다.[5] 이들은 브루탈리즘 스타일을 기반으로 대규모 노출 콘크리트를 사용하고, 지하역 홀의 넓은 공간과 정교한 색상 사용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을 선보였다.[19][20] 동부 노선 전체의 디자인으로 스펭베르크와 반 라인은 1979년 메르켈바흐 상을 받았고, 1981년에는 ''Betonprijs''(콘크리트 상)를 수상했다.[19][20]

지하철 터널 건설을 위해 니우마르크트 지역을 철거하기로 한 결정은 1975년 봄, 지역 주민과 불법 점거 운동 회원들의 강력한 시위를 촉발했다.[9] 니우마르크트 폭동(''Nieuwmarktrellen'')으로 알려진 이 시위에도 불구하고[9] 지하철 노선 건설은 계속되었지만, 해당 지역을 관통하는 고속도로 건설 계획은 폐기되었다.[9] 또한, 동서 지하철 노선 건설 계획도 취소되었다.[10] 1975년 2월 13일 밤부터 14일 새벽까지는 벤서폴더역 건설 현장에서 폭파 미수 사건이 발생했고, 네덜란드 정부가 수습에 나서는 사태가 벌어졌다.[9]

Nieuwmarkt 지역의 철거와 이에 대한 시위를 기억하는 벽 장식


니우마르크트역의 벽 장식은 니우마르크트 폭동을 상징한다.[9]

2. 3. 암스텔베인 노선과 순환 노선 (1990년대)

1990년, 암스테르담 시와 암스텔베인 시의 정치적 타협으로 51호선이 운행되는 ''암스텔베인라인''(Amstelveen Line)이 개통되었다.[11] 이 노선은 북쪽은 지하철, 남쪽은 경전철(Sneltram) 형태로 건설되었으며, 제3궤조와 가공선 전원 간의 전환은 자위트역(Zuid Station)에서 이루어졌다.[11]

51번 경전철 차량이 자위트역에 정차해 있으며, 이곳에서 제3궤조에서 가공 전선으로 전원 공급 방식을 변경한다.


1990년 12월 1일, 스파클러베흐역에서 암스텔베인의 포르트바흐터역까지의 구간이 완공되었고,[11] 1991년 폭설, 기술 문제, 장비 부족으로 인해, 약 7개월 동안 해당 노선을 중앙역과 자위트역 사이의 구간으로 제한하고, 나머지 구간은 대체 버스 서비스를 운행하기도 했다. 2004년 9월 13일에는 암스텔베인 웨스트위크역까지 연장되었다.

2019년 3월 3일, 암스텔베인 지선은 51번 노선에서 단절되었다. 2020년 12월, 암스텔베인 라인은 25번 트램 노선이 되었다.[30]

1997년에는 50호선이 운행되는 ''링라인''(Ring Line)이 개통되었다.[11] 이 노선은 도시의 남쪽과 서쪽을 빠르게 연결하여 도심을 통과할 필요성을 없앴다.[11] 링라인은 제방과 고가도로로 완전히 건설되었으며, 건널목이 없다. 50호선(게인에서 아이솔레이터베흐)은 원래 트램 노선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에, 2.65미터의 경전철 차량 폭이 적용되었으며, 이는 암스텔베인 노선에서도 사용된 폭이었다. 2000년에는 암스텔베네세흐와 아이솔레이터베흐 사이의 역에서 플랫폼을 조정하여, 동부 노선에서 운행하던 구형 차량(M1, M2 및 M3)도 링라인에서 운행할 수 있게 되었다.

2. 4. 북남 노선 (2000년대 ~ 현재)

2002년, 암스테르담 북부와 남부를 연결하는 북남 노선(Noord-Zuidlijn, 52호선) 건설이 시작되었다.[31] 이 노선은 IJ강 아래 터널을 포함하여[32] 암스테르담 북부 지역에 처음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암스테르담 중앙역을 거쳐 암스테르담 자위트까지 운행한다.[31]

북남선 건설은 여러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암스테르담 중앙역에서의 공사가 난관이었는데, 오래된 말뚝 기초의 일부를 철거하고 교체해야 했다.[33] 이로 인해 프로젝트 예산은 당초 14억 6천만 유로에서 40% 이상 초과된 31억 유로(2009년 가격 기준)로 조정되었고, 개통도 2011년에서 2018년 7월 21일로 연기되었다.[33] 1999년 주민 투표에서는 건설 반대 의견이 다수였으나, 건설 중지에 필요한 표수에는 미치지 못했다.

암스테르담 중앙역의 노스-사우스 라인 승강장


북남선(52호선)은 2003년에 착공, 2018년 7월 22일에 개통되었다. 아이 만 북쪽에 있는 암스테르담 노르트구에서 중앙역을 경유하여 시가지를 남북으로 종단하여 남역에 이르는 노선이다. 노르트 구역 내에서는 지상으로 달리며, 아이 만을 침매 터널로 지난다. 중앙역 승강장은 기존 동선과는 다른 위치에 있으며, 암스텔강의 옛 하천인 담락 거리, 로킨 거리 지하를 남하한다. 남역 직전에 지상으로 나와 50호선, 51호선 선로와 합류한다.

2014년 8월, 주요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공동으로 자금을 지원하여 북남 노선에 4G 이동통신 커버리지를 구축하기로 발표했다.[34] 미래에 암스테르담 스키폴 공항까지 노선이 연장될 수 있다.[31]

한편, 2019년 3월에는 51호선이 운행되던 암스텔베인 노선(Amstelveen Line)의 경전철 구간이 폐지되고, 트램 노선으로 대체되었다. 이는 3억 유로를 들여 노선을 재건하는 공사를 포함하며, 메트로로 환승하려면 자위트역에서 갈아타야 한다.[11]

3. 노선

1997년부터 2018년까지 암스테르담 메트로 시스템은 4개의 메트로 노선으로 구성되었다. 가장 오래된 노선은 54번 노선(중앙역에서 게인까지)과 53번 노선(중앙역에서 가스퍼플라스까지)이다. 두 노선 모두 1977년에 완공된 "오스트라인"(동쪽 노선) 인프라를 사용한다. 51번 노선(중앙역에서 암스텔베인 웨스트비크까지)은 동쪽 노선과 "암스텔베인라인"(암스텔베인 노선)의 일부를 사용하며 1990년에 추가되었다. 50번 노선(이사토르베흐에서 게인까지)은 1997년에 완공된 "링라인"(순환선 또는 서클 라인)과 동쪽 노선 인프라의 일부를 사용한다.

다섯 번째 노선인 52번 노선(노르트에서 자위트까지)은 2018년 7월 21일에 완공되어 개통된 "노르트-자위들라인"(북-남 노선)을 운영하며 네트워크에 추가되었다.[12]

총 33개의 메트로역이 있으며,[13] 새로운 북-남 노선의 52번 노선이 개통된 이후 6개의 역과 9.5km의 노선이 메트로 시스템에 추가되어[14] 총 52km의 새로운 노선 길이가 되었다.[15] 2019년에는 스넬트람 51번 노선이 더 이상 메트로 네트워크에서 운행되지 않았다. 남쪽 스넬트람 구간은 트램 네트워크에 통합되기 위해 개조되면서 폐쇄되었다.[16]

색상노선심볼노선사용 노선종점개통길이승객/일 (2019년 평균)유형
녹색
45x45px
20x20px
50번선링라인, 동쪽 노선(게인 지선)이사토르베흐 – 게인199720.1km[17]20100,200메트로
주황색
45x45px
20x20px
51번선링라인, 동쪽 노선이사토르베흐 – 중앙역199019.5km[17]1960,800
파란색
45x45px
20x20px
52번선북-남 노선노르트 – 자위트20189.5km[14]884,000[1]
빨간색
45x45px
20x20px
53번선동쪽 노선 (가스퍼플라스 지선)가스퍼플라스 – 중앙역197711.3km[17]1460,600
노란색
45x45px
20x20px
54번선동쪽 노선 (게인 지선)게인 – 중앙역12.1km1573,500



계통별 개통 순으로 표기한다.

== 50호선 (순환선) ==

50호선은 1997년 6월 1일에 개통된 링라인(Ringlijn, 순환선)으로, 제방과 고가도로로 건설되어 건널목이 없다. 정치적인 이유로 처음에는 "급행 순환 트램"으로 불렸지만, 링라인 개통 이후 메트로 50호선(게인에서 이솔라토르베흐)으로 불린다. 원래 트램 노선으로 간주되어 2.65미터의 경전철 차량 폭이 적용되었으며, 이는 암스텔베인 노선에서도 사용된 폭이다. 새로운 "트램"(M4 및 S3 시리즈)은 기존 역에서 차량과 플랫폼 사이의 공간을 메우기 위해 접이식 런닝보드를 갖추고 있다.

50호선은 암스테르담 시를 서쪽에서 남쪽으로 반 바퀴 도는 형태로 운행한다. 시가지 북서부 연안 지대의 이솔라토르베흐에서 네덜란드 철도 노선을 따라 남쪽으로 진행하여 헹크 스네이블리트베흐 - 암스텔베인세베흐 구간에서 동쪽으로 방향을 바꾼다. 이후 판데르마데베흐에서 54호선과 합류하여 게인에 이른다. 도중 남역 - 오버람스텔 구간은 51호선과 공통으로 사용한다.

거의 전 구간에서 네덜란드 철도 노선과 병행하며, 복복선 완행선 역할을 수행한다. 다만, 네덜란드 철도에는 서쪽에서 남쪽으로 직통하는 선로가 없다. 50호선이 큰 인기를 끌면서, 2000년에 암스테르담시는 암스텔베네세흐와 아이솔레이터베흐 사이의 역에서 플랫폼을 조정하여 동부 노선에서 운행하던 구형 차량(M1, M2 및 M3)도 링라인에서 운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 51호선 ==

51호선은 과거 암스텔베인 노선(Amstelveenlijn)으로 불렸으며, 중앙역에서 자위트역까지 완전한 지하철 서비스로 운행되었다. 노선의 경전철 차량은 제3궤조에서 전력을 공급받았다. 자위트역에서 웨스트윅까지 노선은 급행 트램 서비스로 운행되었다. 이 구간의 북쪽 절반에서 51번 노선은 트램의 5호선과 선로를 공유했으며, 두 노선이 공유하는 정류장에는 이중 높이의 플랫폼이 제공되었다.

2019년 3월 3일부터 51번 노선의 암스텔베인 구간 운행이 중단되었다. 51번 노선은 완전한 지하철 노선으로 업그레이드되었으며 현재 중앙역과 아이솔레이터베그 사이를 운행한다. 남역을 경계로 전철화 방식이 변경되었던 흔적이 남아있다.

== 52호선 (북남 노선) ==

52호선은 노르트-자위트라인(Noord-Zuidlijn, 북남 노선)이라고도 불리며, 암스테르담 북부(Noord)와 남부(Zuid)를 연결하는 노선이다.[31] IJ강 아래 터널을 통과하며, 암스테르담 중앙역과 암스테르담 남역을 경유한다.[31] 이 노선은 IJ 아래에 굴착 터널과 침매 터널이 혼합되어 있다.[32]

2002년에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원래 계획된 개통은 2011년이었지만, 여러 차례의 차질을 겪은 후 2018년 7월 21일에 개통되었다.[33] 이 프로젝트는 처음에 14억 6천만 유로의 예산으로 책정되었으나, 여러 차례의 차질을 겪은 후 총 비용 추정치는 31억 유로(2009년 가격 기준)로 조정되었다.[33]

북남선은 아이 만 북쪽에 있는 암스테르담 시 노르트구(Amsterdam-Noord)에서 중앙역을 경유하여 시가지를 남북으로 종단하여 남역에 이르는 노선이다. 노르트 구역 내에서는 지상으로 달리며, 아이 만을 침매 터널로 지나 중앙역에 이른다. 중앙역의 승강장은 기존의 동선과는 다른 위치에 있으며, 네덜란드 철도역의 지하를 통과하기 때문에 오래된 말뚝 기초의 일부를 철거하고 교체하는 등 난공사가 되었다. 여기에서 암스텔강의 옛 하천인 담락 거리, 로킨 거리의 지하를 남하한다. 남역 직전에 지상으로 나와 50호선, 51호선 선로와 합류한다.

건설에 있어서는 동선 건설 당시의 경위로 인해 반대 의견도 있었으며, 1999년 주민 투표에서는 반대가 다수를 차지했지만, 건설 중지에 필요한 표수에는 미치지 못했다.

미래에 암스테르담 스키폴 공항까지 연장될 수 있다.[31] 2014년 8월에는 이 노선에 주요 이동통신 사업자들이 공동으로 자금을 지원하여 4G 이동통신 커버리지를 갖추기로 발표되었다.[34]

== 53호선 (동부 노선) ==

워털로플레인역, 1980년에 개통되었으며, 2010년대 개조 공사 전의 모습


크라에이엔네스트역에 있는 M5 메트로


53호선은 암스테르담 중앙역과 암스테르담 남동부(Amsterdam Zuidoost)의 하스퍼플라스(Gaasperplas)를 연결한다. 하스퍼플라스선(Gaasperplaslijn)이라고도 불리며, 54호선과 함께 동선(Oostlijn)이라고도 불린다.[18]

1977년 10월 14일, 첫 번째 메트로 열차가 Weesperplein역에서 Amsterdam-Zuidoost까지 'Oostlijn'(동부 노선)에서 운행을 시작했으며, 각각 Gaasperplas (현재 53번 노선)와 Holendrecht (현재 54번 노선)로 분기되었다.[18] Spaklerweg역은 뼈대만 완성되었지만 나중에 개통되었다.[18] 1980년 10월 11일, 두 노선 모두 현재 북쪽 종착역인 암스테르담 중앙역까지 연장되었다.[18]

중앙역 - Spaklerweg 구간은 51호선과, 중앙역 - Van der Madeweg 구간은 53호선과 노선을 공유한다.

== 54호선 (동부 노선) ==

1977년 10월 14일, 첫 번째 메트로 열차가 Weesperplein역에서 Amsterdam-Zuidoost까지 'Oostlijn'(동부 노선)에서 운행을 시작했으며, 각각 Gaasperplas (현재 53번 노선)와 Holendrecht (현재 54번 노선)로 분기되었다.[18] Spaklerweg역은 뼈대만 완성되었지만 나중에 개통되었다.[18] 1980년 10월 11일, 두 노선 모두 현재 북쪽 종착역인 암스테르담 중앙역까지 연장되었다.[18]

Gein 분기는 1982년 8월 27일에 Holendrecht와 Gein 사이의 구간이 완공되면서 남쪽 방향으로 연장되었다.[18] 그 후 Spaklerweg역이 개통되었다.[18] Gein 분기에 대한 일부 계획에서는 Weesp 및 Almere까지 연장하는 것을 고려했지만, 가장 최근의 지역 계획 연구에 따르면 현재는 실현 가능성이 낮아 보인다.[18]

54호선은 중앙역과 남동구의 헤인(Gein)을 연결한다. 헤인선(Geinlijn)이라고도 불리며, 53호선과 함께 동선(Oostlijn)이라고도 불린다. 중앙역 - Spaklerweg 구간은 51호선과, 중앙역 - Van der Madeweg 구간은 54호선과, Van der Madeweg - Gein 구간은 50호선과 공통으로 사용한다.

암스텔역 - 홀렌드레흐트 구간은 네덜란드 철도 노선과 복복선 형태로 되어 있다. 역의 수는 메트로가 더 많아 완행선 역할을 수행한다.

3. 1. 50호선 (순환선)

50호선은 1997년 6월 1일에 개통된 링라인(Ringlijn, 순환선)으로, 제방과 고가도로로 건설되어 건널목이 없다. 정치적인 이유로 처음에는 "급행 순환 트램"으로 불렸지만, 링라인 개통 이후 메트로 50호선(게인에서 이솔라토르베흐)으로 불린다. 원래 트램 노선으로 간주되어 2.65미터의 경전철 차량 폭이 적용되었으며, 이는 암스텔베인 노선에서도 사용된 폭이다. 새로운 "트램"(M4 및 S3 시리즈)은 기존 역에서 차량과 플랫폼 사이의 공간을 메우기 위해 접이식 런닝보드를 갖추고 있다.

50호선은 암스테르담 시를 서쪽에서 남쪽으로 반 바퀴 도는 형태로 운행한다. 시가지 북서부 연안 지대의 이솔라토르베흐에서 네덜란드 철도 노선을 따라 남쪽으로 진행하여 헹크 스네이블리트베흐 - 암스텔베인세베흐 구간에서 동쪽으로 방향을 바꾼다. 이후 판데르마데베흐에서 54호선과 합류하여 게인에 이른다. 도중 남역 - 오버람스텔 구간은 51호선과 공통으로 사용한다.

거의 전 구간에서 네덜란드 철도 노선과 병행하며, 복복선 완행선 역할을 수행한다. 다만, 네덜란드 철도에는 서쪽에서 남쪽으로 직통하는 선로가 없다. 50호선이 큰 인기를 끌면서, 2000년에 암스테르담시는 암스텔베네세흐와 아이솔레이터베흐 사이의 역에서 플랫폼을 조정하여 동부 노선에서 운행하던 구형 차량(M1, M2 및 M3)도 링라인에서 운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3. 2. 51호선

51호선은 과거 암스텔베인 노선(Amstelveenlijn)으로 불렸으며, 중앙역에서 자위트역까지 완전한 지하철 서비스로 운행되었다. 노선의 경전철 차량은 제3궤조에서 전력을 공급받았다. 자위트역에서 웨스트윅까지 노선은 급행 트램 서비스로 운행되었다. 이 구간의 북쪽 절반에서 51번 노선은 트램의 5호선과 선로를 공유했으며, 두 노선이 공유하는 정류장에는 이중 높이의 플랫폼이 제공되었다.

2019년 3월 3일부터 51번 노선의 암스텔베인 구간 운행이 중단되었다. 51번 노선은 완전한 지하철 노선으로 업그레이드되었으며 현재 중앙역과 아이솔레이터베그 사이를 운행한다. 남역을 경계로 전철화 방식이 변경되었던 흔적이 남아있다.

3. 3. 52호선 (북남 노선)

52호선은 노르트-자위트라인(Noord-Zuidlijn, 북남 노선)이라고도 불리며, 암스테르담 북부(Noord)와 남부(Zuid)를 연결하는 노선이다.[31] IJ강 아래 터널을 통과하며, 암스테르담 중앙역과 암스테르담 남역을 경유한다.[31] 이 노선은 IJ 아래에 굴착 터널과 침매 터널이 혼합되어 있다.[32]

2002년에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원래 계획된 개통은 2011년이었지만, 여러 차례의 차질을 겪은 후 2018년 7월 21일에 개통되었다.[33] 이 프로젝트는 처음에 14억 6천만 유로의 예산으로 책정되었으나, 여러 차례의 차질을 겪은 후 총 비용 추정치는 31억 유로(2009년 가격 기준)로 조정되었다.[33]

북남선은 아이 만 북쪽에 있는 암스테르담 시 노르트구(Amsterdam-Noord)에서 중앙역을 경유하여 시가지를 남북으로 종단하여 남역에 이르는 노선이다. 노르트 구역 내에서는 지상으로 달리며, 아이 만을 침매 터널로 지나 중앙역에 이른다. 중앙역의 승강장은 기존의 동선과는 다른 위치에 있으며, 네덜란드 철도역의 지하를 통과하기 때문에 오래된 말뚝 기초의 일부를 철거하고 교체하는 등 난공사가 되었다. 여기에서 암스텔강의 옛 하천인 담락 거리, 로킨 거리의 지하를 남하한다. 남역 직전에 지상으로 나와 50호선, 51호선 선로와 합류한다.

건설에 있어서는 동선 건설 당시의 경위로 인해 반대 의견도 있었으며, 1999년 주민 투표에서는 반대가 다수를 차지했지만, 건설 중지에 필요한 표수에는 미치지 못했다.

미래에 암스테르담 스키폴 공항까지 연장될 수 있다.[31] 2014년 8월에는 이 노선에 주요 이동통신 사업자들이 공동으로 자금을 지원하여 4G 이동통신 커버리지를 갖추기로 발표되었다.[34]

3. 4. 53호선 (동부 노선)



53호선은 암스테르담 중앙역과 암스테르담 남동부(Amsterdam Zuidoost)의 하스퍼플라스(Gaasperplas)를 연결한다. 하스퍼플라스선(Gaasperplaslijn)이라고도 불리며, 54호선과 함께 동선(Oostlijn)이라고도 불린다.[18]

1977년 10월 14일, 첫 번째 메트로 열차가 Weesperplein역에서 Amsterdam-Zuidoost까지 'Oostlijn'(동부 노선)에서 운행을 시작했으며, 각각 Gaasperplas (현재 53번 노선)와 Holendrecht (현재 54번 노선)로 분기되었다.[18] Spaklerweg역은 뼈대만 완성되었지만 나중에 개통되었다.[18] 1980년 10월 11일, 두 노선 모두 현재 북쪽 종착역인 암스테르담 중앙역까지 연장되었다.[18]

중앙역 - Spaklerweg 구간은 51호선과, 중앙역 - Van der Madeweg 구간은 53호선과 노선을 공유한다.

3. 5. 54호선 (동부 노선)

1977년 10월 14일, 첫 번째 메트로 열차가 Weesperplein역에서 Amsterdam-Zuidoost까지 'Oostlijn'(동부 노선)에서 운행을 시작했으며, 각각 Gaasperplas (현재 53번 노선)와 Holendrecht (현재 54번 노선)로 분기되었다.[18] Spaklerweg역은 뼈대만 완성되었지만 나중에 개통되었다.[18] 1980년 10월 11일, 두 노선 모두 현재 북쪽 종착역인 암스테르담 중앙역까지 연장되었다.[18]

Gein 분기는 1982년 8월 27일에 Holendrecht와 Gein 사이의 구간이 완공되면서 남쪽 방향으로 연장되었다.[18] 그 후 Spaklerweg역이 개통되었다.[18] Gein 분기에 대한 일부 계획에서는 Weesp 및 Almere까지 연장하는 것을 고려했지만, 가장 최근의 지역 계획 연구에 따르면 현재는 실현 가능성이 낮아 보인다.[18]

54호선은 중앙역과 남동구의 헤인(Gein)을 연결한다. 헤인선(Geinlijn)이라고도 불리며, 53호선과 함께 동선(Oostlijn)이라고도 불린다. 중앙역 - Spaklerweg 구간은 51호선과, 중앙역 - Van der Madeweg 구간은 54호선과, Van der Madeweg - Gein 구간은 50호선과 공통으로 사용한다.

암스텔역 - 홀렌드레흐트 구간은 네덜란드 철도 노선과 복복선 형태로 되어 있다. 역의 수는 메트로가 더 많아 완행선 역할을 수행한다.

4. 역

암스테르담 메트로는 총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있다. 대부분의 역은 상대식 승강장이지만, 일부 역은 섬식 승강장 또는 복합식 승강장 형태이다.

동부 노선(53호선, 54호선)의 역, 인프라 및 Diemen-Zuid 유지 보수 시설은 암스테르담 시립 공공 사업부의 두 건축가인 벤 스펭베르크와 시어 반 라인이 설계했다. 브루탈리즘 스타일의 디자인은 대규모의 노출된 콘크리트 사용과 지하역 홀의 과도한 공간이 특징이다. 또한 정교한 색상 사용이 포함되었다. 예를 들어, 원래 디자인의 열차 문의 빨간색은 광고판, 문, 엘리베이터 문, 쓰레기통, 플랫폼 표지판과 같은 주요 시설에도 사용되었다. 동부 노선 전체의 디자인으로 스펭베르크와 반 라인은 1979년 메르켈바흐 상을 받았다. 동부 노선은 또한 1981년 ''Betonprijs''(콘크리트 상)를 수상했으며, 이는 암스테르담 중앙역과 게인역의 콩코스에 있는 상패로 기념된다.

공공 사업 건설 예산의 1%를 예술에 사용해야 한다는 도시 정책의 일환으로, ''Oostlijn''의 모든 역은 다른 예술가들이 장식했다. 또한, 터널의 서쪽 벽은 두 역 사이에서 변경되는 선과 패턴으로 칠해져 승객들에게 탑승 중 매혹적인 전망을 제공했다. 수년에 걸쳐, 이 장식들은 낙서로 완전히 뒤덮였다. 일부 역의 예술 작품도 사라졌다. 2012년 동부 노선 터널의 대규모 개조 공사의 일환으로 모든 예술 작품을 제거하려는 계획은 시민들의 역사적 중요성을 주장하는 항의 이후 변경되었다.[19][20]

일부 역은 네덜란드 철도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주요 환승역은 다음과 같다.


  • 중앙역 (Centraal Station): 암스테르담 최대의 철도역으로 매일 약 20만 명이 이용한다.
  • 암스텔역 (Amstel): 네덜란드 철도 암스텔역과 동일 역이며, 방향별 복복선 형태로 되어 있어 동일 플랫폼에서 맞이편 환승이 가능하다.
  • 다이펜드레흐트역 (Duivendrecht): 네덜란드 철도의 암스테르담 - 위트레흐트 방면 노선과 스키폴 - 아메르스포르트 방면 노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며, 암스테르담-위트레흐트 노선과는 동일 승강장에서 환승이 가능하다.
  • 베일머 아레나역 (Bijlmer ArenA): 요한 크루이프 아레나 남쪽에 위치하며, 네덜란드 철도의 암스테르담 베일머 아레나역에 인접해 있다.
  • RAI역(RAI): 네덜란드 철도의 Amsterdam RAI역에 인접해 있으며, 역 북쪽에 RAI(Rijwiel en Auto Industrie: 자전거·자동차 산업 협회) 전시회장이 있다.
  • 남역 (Zuid): 네덜란드 철도의 암스테르담 남역에 인접해 있으며, 역 북쪽에 세계 무역 센터(WTC)가 있다.
  • 슬로테르다이크역 (Sloterdijk): 네덜란드 철도 암스테르담 슬로테르다이크역에 인접해 있다.
  • 렐리란역 (Lelylaan): 네덜란드 철도 암스테르담 렐리란역에 인접해 있다.
  • 디에멘 주드역 (Diemen Zuid): 네덜란드 철도 디에멘 주드역과 연결되어 있다.


북남선(Noord/Zuidlijn)의 역은 다음과 같다.

북남선(Noord/Zuidlijn)의 역
역명위치비고
북역(Noord)지상중앙역과 남역과 달리 네덜란드 철도와 연결된 철도역은 아니다.
노르데르파르크(Noorderpark)지상역명은 북쪽 공원을 의미한다.
중앙역(Centraal Station)지하매일 약 20만 명이 이용하는 암스테르담 최대의 철도역
로킨(Rokin)지하담 광장 남쪽에 위치한다.
바이제르흐라흐트(Vijzelgracht)지하47미터 길이의 베네룩스 최장 에스컬레이터가 있다.
데 페이프(De Pijp)지하알베르트 카이프 시장 근처에 위치한다.
에우로파플레인(Europaplein)지하유럽 광장에 위치한다.
남역(Station Zuid)지상Zuidas라는 업무 지구에 위치한다.


5. 차량

암스테르담 메트로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을 운영하고 있다. 초기 도입된 M1/M2/M3 계열은 독일 링케-호프만-부쉬(Linke-Hofmann-Busch)에서 제작되었으며, 1973년부터 1980년까지 납품되었다. 은색의 강철 차체를 가져 ''질버메우''(갈매기)라는 별명이 붙었으며,[41] 2015년에 모두 퇴역하였다.[42]

''Zilvermeeuw'' 열차가 RAI역으로 접근하고 있다


S1/S2 계열은 경전철 구간 운행을 위해 벨기에 라 브뤼주아즈 에 니벨에서 제작되어 1990년부터 운행을 시작했다.[44] 이 차량은 제3궤조와 팬터그래프를 모두 장착하고 있으며, 2024년에 퇴역할 예정이다.[44]

160px


M4/S3 계열은 스페인 CAF에서 제작되었으며, 1997년부터 운행되고 있다.[44] M4는 제3궤조 방식, S3는 팬터그래프를 장착하여 51번 노선에서 운행한다. M4/S3계열은 50번 노선에서 주로 운행하며, 때때로 53번 노선에서 운행한다.

160px


M5 계열은 메트로폴리스 모델을 기반으로 하며, 2013년부터 도입되었다.[43] 6량 관절식 세트로, 모든 차량 사이에 통로 연결이 있다. 51번 노선을 제외한 모든 노선에서 사용된다.

160px


M7 계열은 스페인 CAF에서 제작되었으며, 2023년부터 운행을 시작했다.[44] 3량 관절식 세트로, M5와 같이 모든 차량 사이에 통로 연결이 있다. 50번 노선에서 사용되며, 향후 53번, 54번 노선에서도 사용될 예정이다.

160x160px


전동차는 제3궤조 방식(750V 직류) 또는 가공 전차선 방식(600V 직류)으로 전력을 공급받는다.[41]

차량유형설명운행
|160x160px]]
M1, M2, M3 시리즈
50번 노선(대부분 m4/S3), 53번, 54번 노선 운행을 위한 완전 지하철 차량

LHB에서 제작 (총 44량)
차량 1대당 차량 수: 2량
길이: 37.5m
너비: 3.0m
무게 (최대 적재): 54톤
최고 속도: 70km/h
전력: 4 x 195 kW
직류 전원 공급: 750 볼트
1977–2015
|160px]]S1, S2 시리즈
51번 노선 운행을 위한 하이브리드 지하철/트램 차량

BN에서 제작 (총 25량)
차량 1대당 차량 수: 2량
길이: 30.6m
너비: 2.65m
무게 (최대 적재):48.5톤
최고 속도: 70km/h
전력: 6 x 77 kW
직류 전원 공급: 600/750 볼트
1990–2024
|160px]]S3, M4 시리즈
50번과 51번 노선에서 운행하는 경전철 차량, 때때로 53번 노선에서도 운행

CAF에서 제작 (S3 차량 4량, M4 차량 33량)
차량 1대당 차량 수: 2량
길이: 30.9m
너비: 2.7m
무게 (최대 적재):48.0톤
최고 속도: 70km/h
전력: 6 x 70 kW
직류 전원 공급: 750 볼트
1997–현재
|160px]]M5 시리즈
50, 52, 53, 54번 노선용 완전 지하철 차량

Alstom Konstal에서 제작 (총 28량)
차량 1대당 차량 수: 6량
길이: 116.2m
너비: 3.0m
무게: 190톤
최고 속도: 90km/h
전력: 16x200 kW
직류 전원 공급: 750 볼트
2013–현재
|border|center|frameless|160x160px]]M7 시리즈차량 1대당 차량 수: 3량
길이: 59.6 m
너비: 3.0m
무게: 95 t
최고 속도: 80
2023–현재

[44]

6. 요금 및 승차권

암스테르담 메트로의 요금 지불은 비접촉식 IC 카드인 OV-칩카드를 사용한다.[45] OV-칩카드는 지하철역 자동 발권기 또는 충전기에서 현금, PIN 카드, 신용 카드를 사용하여 충전할 수 있다. 데 파이프역과 같은 지하철역에는 OV-칩카드 개찰구가 설치되어 있다.[45]

데 파이프역의 OV-칩카드 개찰구


1회권, 1일 승차권(24시간, 48시간, 72시간, 96시간), 정기권 등 다양한 종류의 승차권이 있다. 과거에는 종이 회수권인 스트리펜카르트(Strippenkaart)도 사용되었으나, 2009년에 폐지되었다.[45] 중앙역 등 일부 역에서는 GVB Tickets & Info 시영 교통 회사 안내소에서 모든 종류의 표를 판매한다.

7. 디자인

암스테르담 지하철 시스템의 표지판은 여러 시대에 걸쳐 다양한 디자인을 선보였다. 1974년에 처음 사용된 표지판은 게라르트 웅어가 지하철을 위해 특별히 디자인한 글꼴인 M.O.L. 서체를 사용했다.[46] 글자 내부는 조명이 켜졌을 때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일반적인 경우보다 더 크게 만들었다. M.O.L.이라는 이름은 영어로 두더지를 의미하는 네덜란드어 단어 'mol'에서 유래되었다.[46] 도시 당국은 지하철 마스코트로 두더지를 사용하는 아이디어를 거부했다.[46]

다른 버전으로는 암스텔베인 노선에서 사용된 1991년 버전, 링 라인에서 주로 사용된 1995년 버전, 그리고 많은 역에서 이전 버전을 대체한 2009년 버전이 있다. 2016년, 암스테르담 도시권은 동부 노선의 개보수 및 북-남 노선 개통에 맞춰 모든 지하철 노선의 모든 표지판 및 길 찾기 요소를 조화시키기 위해 새로운 표지판 시스템과 로고를 의뢰했다.[47] 새로운 디자인은 이미 존재하는 R-net 브랜딩을 기반으로 하지만 약간 수정되었다.[48] 이 디자인은 Profile 서체를 사용하며 파란색, 흰색 및 빨간색 디자인 요소를 사용하여 원래의 웅어 디자인을 연상시킨다. 1974년의 초기 표지판 이후에 의뢰된 모든 길 찾기 시스템은 폴 미흐크세나르가 디자인했다.

8. 향후 확장 계획

아이부르흐행 노면 전차 노선은 원래 지하철 노선으로 계획되어 중앙역에서 철도 노선 아래 동쪽으로 짧은 터널이 건설되었다. 그러나 이 노선은 노면 전차 서비스용으로 건설되면서 터널은 폐기되었고, 초콜릿 박물관의 일부로 사용할 계획이 있다.[35] 아이부르흐행 노면 전차를 지하철로 업그레이드하여 인근 도시인 알메러와 연결하는 계획은 여전히 존재한다.[36]

북남 노선 완공 후, 암스테르담시는 예상 비용 70억 유로의 동서 노선 건설을 검토하고 있다고 발표했다.[37]

2019년 1월, 암스테르담 스키폴 공항의 CEO 딕 벤숍은 북남 노선을 공항 및 호프도르프까지 연장하는 합의가 이루어졌다고 발표했다.[38] 같은 해 6월, 북홀란트 주는 스키폴 및 호프도르프와 함께 지하철을 자안담과 퓌르메렌까지 연장하는 계획을 발표했다.[39] 노더르파크와 중앙역 사이 북남 노선에 있는 식스하벤 역은 역 구조물이 미리 건설되어 있으며, 추후 개통될 예정이다.[40]

암스테르담 스히폴 국제공항, 알메러, 자안스타트 등으로의 노선 연장이나 새로운 동서 노선 건설 등의 계획이 있지만, 모두 구상 단계이며 구체화는 북남선 개통 이후가 될 것이다.

참조

[1] 뉴스 Meer mensen met metro dan met tram door Noord/Zuidlijn https://www.nrc.nl/n[...] 2018-09-26
[2] 웹사이트 Jaarverslag 2018 https://jaarverslag.[...] GVB Holding NV 2019-06-22
[3] 웹사이트 Jaarverslag 2016 https://assets.gvb.n[...] GVB Holding NV 2017-05-23
[4] 웹사이트 Plan Stadsspoor http://www.noordzuid[...] Communications Department, City of Amsterdam 1968-01-01
[5] 웹사이트 12 jaar lang aan de ontwerptafel van de Oostlijn. Interview met Ben Spängberg, architect https://noordzuidlij[...] Government of Amsterdam 2012-11-08
[6] 웹사이트 Twaalf jaar lang aan de ontwerptafel van de Oostlijn– deel 2 https://noordzuidlij[...] Government of Amsterdam 2012-11-13
[7] 웹사이트 12 jaar lang aan de ontwerptafel van de Oostlijn. Interview met Ben Spängberg, architect https://noordzuidlij[...] Government of Amsterdam 2012-11-08
[8] 웹사이트 40 jaar metro: 'Zonder zou Amsterdam zijn vastgelopen' https://www.parool.n[...] 1977-10-16
[9] 웹사이트 Civil unrest, Nieuwmarkt ABC http://stadsarchief.[...] Amsterdam City Archives null
[10] 웹사이트 Boondoggles: Unfinished metro station underneath Weesperplein junction http://juroster.nl/b[...] Jur Oster 2013-03-28
[11] 웹사이트 AMSTELVEEN-LINE MAKEOVER – Amstelveen inzicht https://amstelveenin[...] null
[12] 웹사이트 Planning & Kosten http://www.amsterdam[...] Gemeente Amsterdam [City of Amsterdam] null
[13] 웹사이트 Maps - Metro stations overview http://en.gvb.nl/rei[...] GVB null
[14] 웹사이트 Metronetstudie http://www.noordzuid[...] Department of Infrastructure, Traffic and Transport, City of Amsterdam 2007-06-05
[15] 웹사이트 Metronetstudie http://www.noordzuid[...] Department of Infrastructure, Traffic and Transport, City of Amsterdam 2007-06-05
[16] 웹사이트 Dutch start reconstruction of Amstelveen LRT https://www.railjour[...] 2019-03-05
[17] 웹사이트 Network http://en.gvb.nl/ove[...] GVB null
[18] 웹사이트 PlanAmsterdam: Structural Vision Amsterdam 2040 http://www.amsterdam[...] Department of Physical Planning, City of Amsterdam 2011-01-01
[19] 웹사이트 'Metrokunst waardevol voor stad' ('Metro art valuable for city') http://www.foliaweb.[...] FoliaWeb 2012-03-26
[20] 웹사이트 Stations Oostlijn mogen (beschadigde) kunstwerken houden (East Line station keep their (damaged) art works) http://www.parool.nl[...] Het Parool 2012-09-27
[21] 웹사이트 Bijlmer Station by Grimshaw http://www.dezeen.co[...] DeZeen Magazine 2008-09-09
[22] 웹사이트 Maccreanor Lavington overhauls Amsterdam's Kraaiennest metro station http://www.dezeen.co[...] DeZeen Magazine 2014-04-08
[23] 웹사이트 The best new buildings – 2014 RIBA National Award winners are announced http://www.architect[...] Royal Institute of British Architects 2014-06-19
[24] 웹사이트 Amsterdam metro station is world famous for its architecture http://www.dutchnews[...] DutchNews.nl 2014-07-29
[25] 웹사이트 Stationsrenovatie Oostlijn (Station renovation East Line) http://www.amsterdam[...] Metro Department, City of Amsterdam 2014-06-25
[26] 웹사이트 MetroMorphosis Amsterdam: Renovation of 18 metro stations on the Eastern Line http://www.zwarts.ja[...] Zwarts en Jansma Architects null
[27] 웹사이트 Tram 5 vanaf 2018 naar Westergasfabriek) https://rtva.nl/2017[...] rtva.nl 2017-06-01
[28] 웹사이트 Persbericht: Regioraad stelt plannen voor ombouw Amstelveenlijn vast (Press notice: Regional council approves plans for conversion of Amstelveen Line) http://www.amstelvee[...] Amstelveenlijn.nl 2013-03-12
[29] 웹사이트 Beschrijving voorkeursvariant Amstelveenlijn (Description Preferred Version Amstelveen Line), p. 12 http://www.amstelvee[...] City Region of Amsterdam 2013-03-13
[30] 웹사이트 Vernieuwde Amstelveenlijn krijgt lijnnummer 25 https://www.ovpro.nl[...] 2019-09-11
[31] 웹사이트 Zuidas Visie http://www.humanhub.[...] null
[32] 간행물 Last section of Noord/Zuidlijn nears completion http://www.railwayga[...] null
[33] 웹사이트 Planning en begroting http://wijnemenjemee[...] Gemeente Amsterdam [Municipality of Amsterdam] null
[34] 웹사이트 New Amsterdam metro line to get 4G coverage http://www.telecompa[...] 2014-08-08
[35] 웹사이트 The biggest useless works of Amsterdam http://www.arcam.nl/[...] null
[36] 웹사이트 A Metro from Amsterdam to Almere (pdf) https://web.archive.[...] 2014-06-09
[37] 웹사이트 Amsterdam completes EUR 3.1 billion metro line https://www.railwayp[...] 2018-01-23
[38] 웹사이트 Amsterdam metro line to be extended to Schiphol airport https://www.iamexpat[...] 2019-01-09
[39] 웹사이트 Provincie wil metro naar Zaandam, Purmerend, Hoofddorp en Schiphol https://www.nhnieuws[...] 2019-06-12
[40] 웹사이트 Amsterdam krijgt brug over het IJ https://www.amsterda[...] 2017-01-11
[41] 웹사이트 Amsterdamse Metro (Metro Amsterdam) https://web.archive.[...] Dutch Wikipedia 2016-01-30
[42] 웹사이트 Laatste rit en afscheid Zilvermeeuw Metro GVB Amsterdam (Last ride and farewell of the "Herring gull" Metro GVB Amsterdam) https://www.youtube.[...] Huey-dean van Eerde 2015-12-19
[43] 웹사이트 Nieuwe metro: de M5 Metropolis (New Metro: the M5 Metropolis) https://web.archive.[...] GVB
[44] 웹사이트 Metro - Metro statistics http://en.gvb.nl/fei[...] Gemeentelijk Vervoerbedrijf 2015-03-10
[45] 웹사이트 OV-Chip card in Amsterdam http://www.amsterdam[...] 2014-06-09
[46] 웹사이트 M.O.L. (1974) https://web.archive.[...] Gerard Unger 2014-07-31
[47] 웹사이트 Wayfinding: nieuwe borden op metrostations - Stadsregio Amsterdam https://web.archive.[...] 2016-09-06
[48] 웹사이트 'R-net' op onze metroborden; wat is het? https://web.archive.[...] 2016-0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