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앙드레 네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앙드레 네롱은 대수 기하학 분야에서 활동한 프랑스의 수학자이다. 그는 알베르 샤틀레의 제자였으며, 1954년과 1966년 국제 수학자 대회에서 초청 강연을 했다. 1983년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에서 에밀 피카르 메달을 수상했으며, 1985년 암으로 사망했다. 네롱은 대수 곡선, 아벨 다양체, 디오판토스 기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수기하학자 - 고다이라 구니히코
    고다이라 구니히코는 일본의 수학자로, 대수기하학 분야에서 변형 이론, 대수곡면 분류, 고다이라 차원, 고다이라 소멸 정리 등의 업적을 남겨 1954년 필즈상을 수상했고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와 여러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수학 대중화에도 기여했다.
  • 대수기하학자 - 라울 보트
    라울 보트는 1923년 헝가리에서 태어나 전기 공학을 전공하고 수학자로서 모스 이론을 활용하여 보트 주기성 정리를 증명했으며, K-이론 연구에 기여하고, 베블런상, 스틸상, 울프상을 수상했다.
  • 프랑스의 수학자 - 블레즈 파스칼
    블레즈 파스칼은 1623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수학, 물리학, 철학, 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확률론, 유체역학 연구, 철학적 사상 등을 통해 과학 혁명에 기여했다.
  • 프랑스의 수학자 - 르네 데카르트
    르네 데카르트는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명제로 유명한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수학자로, 근대 철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해석기하학 창시 등 수학과 과학에도 기여했고, 방법적 회의와 이원론 철학으로 서구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985년 사망 - 에프렘 짐발리스트
    러시아 제국 출신 미국 바이올리니스트, 작곡가, 지휘자, 음악 교육자인 에프렘 짐발리스트는 레오폴트 아우어의 제자로서 세계적인 오케스트라와 협연하며 명성을 얻었고 커티스 음악원에서 후학을 양성했으며 은퇴 후에도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 심사위원 등으로 활동했다.
  • 1985년 사망 - 김기진
    김기진은 팔봉이라는 호를 사용한 한국의 문학평론가, 소설가, 시인으로, KAPF에서 활동하며 경향파 문학 이론을 이끌었으나 친일 행적을 보였고 광복 후에는 반공주의 문인으로 활동했다.
앙드레 네롱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앙드레 네롱
이름앙드레 네롱
출생일1922년 11월 30일
출생지프랑스 손에루아르주 라클라예트
사망일1985년 4월 6일
사망지프랑스 파리
국적프랑스인
분야수학
경력
근무 기관푸아티에 대학교
박사 지도 교수알베르 샤틀레
박사 지도 학생장루이 콜리오텔렌
업적
주요 업적네롱 모형
수상
수상에밀 피카르 메달(1983년)
기타

2. 생애와 경력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 방지를 위해 본문 생략)

2. 1. 학문적 성장

그는 알베르 샤틀레의 제자였으며, 그의 박사 과정 제자로는 장루이 콜리오테렌, 제라르 리조자, 디미트리오스 풀라키스가 있다.[1] 그는 1954년과 1966년에 열린 국제 수학자 대회에서 초청 강연을 했다. 1983년에는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에서 에밀 피카르 메달을 수여받았다. 그는 1985년 암으로 사망했다.

2. 2. 주요 업적 및 활동

1954년과 1966년에 열린 국제 수학자 대회에서 초청 강연을 했다. 1983년에는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에서 에밀 피카르 메달을 수여받았다.

2. 3. 사망

그는 1985년 암으로 사망했다.

3. 주요 연구 분야 및 업적

앙드레 네롱은 대수기하학, 특히 아벨 다양체디오판토스 기하학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를 수행했다. 그의 연구는 대수 곡선의 산술적 속성, 아벨 다양체의 최소 모델 이론, 그리고 디오판토스 기하학에서의 교차 이론 등 현대 산술기하학의 핵심 주제들을 다루었다. 특히 국소체 및 전역체 상에서의 아벨 다양체에 대한 네롱 모델 이론을 정립한 것은 그의 가장 중요한 업적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이는 후속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3. 1. 대수 곡선

앙드레 네롱은 대수 곡선의 계수 개념과 관련된 산술 및 기하학적 문제들을 깊이 연구했다. 그는 1952년 프랑스 수학회 회보(fr)에 "대수 곡선의 계수 개념과 관련된 산술 및 기하 문제"라는 제목의 중요한 논문을 발표했다.[1] 이어서 1954년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국제 수학자 회의(ICM)에서는 "특정 대수 곡선족의 산술적 속성"이라는 주제로 발표하였으며, 이 내용은 1956년에 출판되었다.

또한, 1964년에는 국소전역 체 상에서의 아벨 다양체의 최소 모델에 대한 연구 결과를 IHÉS 수학 간행물(fr)에 발표했다. 1966년 모스크바 국제 수학자 회의(ICM)에서는 디오판토스 기하학에서의 교차 차수(en)에 관해 발표하였고, 이는 1968년에 출판되었다. 이러한 연구들은 대수기하학과 정수론의 발전에 기여했다.

3. 2. 아벨 다양체

앙드레 네롱은 아벨 다양체 연구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특히 1964년 IHÉS 수학 간행물에 발표한 논문 "국소 및 전역 체에 대한 아벨 다양체의 최소 모델"은 이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이 논문에서 네롱은 국소 체와 전역 체 위에서의 아벨 다양체에 대한 최소 모델 이론, 즉 네롱 모델 이론을 정립하였다. 네롱 모델은 대수기하학과 산술기하학, 특히 디오판토스 기하학 연구에서 중요한 도구로 사용되며, 현대 수학 연구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3. 3. 디오판토스 기하학

앙드레 네롱은 디오판토스 기하학 분야에서도 연구를 수행했다. 그는 1966년 모스크바에서 열린 국제 수학자 회의(ICM)에서 "디오판토스 기하학에서의 교차 차수"라는 주제로 발표했으며, 이 내용은 1968년 회의록에 실렸다.

4. 저서

연도제목출판 정보
1952대수 곡선의 계수 개념과 관련된 산술 및 기하 문제 ([http://www.numdam.org/item?id=BSMF_1952__80__101_0 원문])프랑스 수학회 회보, Vol. 80, pp. 101–166. (doi: 10.24033/bsmf.1427)
1956특정 대수 곡선족의 산술적 속성 ([https://web.archive.org/web/20160917174647/http://www.mathunion.org/ICM/ICM1954.3/ 원문])국제 수학자 회의록 (암스테르담, 1954), Vol. III, pp. 481–488. (Erven P. Noordhoff N.V., 흐로닝언)
1964국소 및 전역 체에 대한 아벨 다양체의 최소 모델 ([http://www.numdam.org/item?id=PMIHES_1964__21__5_0 원문])IHÉS 수학 간행물, Vol. 21, pp. 5–128. (doi: 10.1007/BF02684271)
1968디오판토스 기하학에서의 교차 차수 ([https://web.archive.org/web/20120316105221/http://www.mathunion.org/ICM/ICM1966.1/ 원문])국제 수학자 회의록 (모스크바, 1966), pp. 485–495. (Izdat. Mir, 모스크바)


5. 수상 및 영예

1954년과 1966년에 열린 국제 수학자 대회에서 초청 강연을 했다. 1983년에는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로부터 에밀 피카르 메달을 수여받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