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네 데카르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르네 데카르트는 1596년 프랑스에서 태어난 철학자, 수학자, 과학자이다. 근대 철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정신과 물질을 구분하는 이원론,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는 명제를 통해 주체적이고 독립적인 이성을 강조했다. 해석기하학을 창시하여 수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광학 연구를 통해 빛의 굴절 법칙을 발견했다. 그의 방법적 회의는 서양 철학의 특징적인 방법이 되었으며, 합리주의, 이원론, 기계론적 철학 등 다양한 사상은 근대 사회와 한국 사회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용병 - 프로스페르 지켈
프로스페르 지켈은 프랑스의 군인이자 외교관으로, 19세기 후반 청나라에서 활동하며 애로호 전쟁 참전, 해관청 합류, 복주선정국 조선소 건설 참여, 국제 외교 활동 등을 통해 청나라의 근대화와 서구 기술 도입에 기여했고, 그의 경험은 저서에 기록되어 있다. - 스웨덴에 거주한 프랑스인 - 푸아드 바치루
푸아드 바치루는 코모로 출신의 축구 선수로, 미드필더로 활동하며 외스테르순드 FK, 말뫼 FF, 노팅엄 포리스트 FC, AC 오모니아 등 유럽 여러 클럽과 코모로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 스웨덴에 거주한 프랑스인 - 앙스 아르퉁
앙스 아르퉁은 독일 출신의 추상 미술가로, 바우하우스와 러시아 구성주의의 영향을 받아 추상 미술을 시작, 앵포르멜 운동에 참여하여 국제적인 명성을 얻으며 20세기 미술사에 큰 발자취를 남겼다. - 프랑스의 논리학자 - 자크 에르브랑
자크 에르브랑은 프랑스의 수학자로, 록펠러 재단 장학금으로 독일 유학 중 존 폰 노이만 등과 교류했으며 23세의 젊은 나이에 사망했으나 사후에 논문이 출판되어 학문적 잠재력을 인정받았다. - 프랑스의 논리학자 - 장 뷔리당
장 뷔리당은 14세기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과학자로,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임페투스 이론'을 주창하여 후대 과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으며, 역설에 대한 해석을 남기고 영토 분쟁 조정에 참여하기도 했다.
르네 데카르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르네 데카르트 |
원어 이름 | René Descartes |
다른 이름 | Renatus Cartesius |
출생일 | 1596년 3월 31일 |
출생지 | 프랑스 왕국 앙드르에루아르주 라에 |
사망일 | 1650년 2월 11일 |
사망지 | 스웨덴 스톡홀름 |
![]() | |
철학적 배경 | |
시대 | 17세기 철학 |
지역 | 서양 철학 |
학파 | 합리주의 철학 기초주의 |
주요 관심사 | 형이상학 인식론 수학 |
주요 사상 | |
주요 사상 | 방법적 회의 실체 이원론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직교 좌표계 (데카르트 좌표계) 데카르트의 규칙 악마 논증 꿈 논증 왁스 논증 상표 논증 인과 적합성 원칙 사유하는 실체(res cogitans)/연장 실체(res extensa) 구분 코나투스 마테시스 유니베르살리스 데카르트의 잎선 정상선의 방법 분석기하학 허수 마음-몸 문제 상호작용주의 삼원론 데카르트적 순환 기초주의 개념주의 아우구스티누스주의 간접 실재론 진리 대응설 미립자설 중세 신학적 자의론 |
영향 관계 | |
영향을 준 사상가 |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이븐 알하이삼 이븐 루시드 이븐 시나 안셀무스 아우구스티누스 토마스 아퀴나스 오컴의 윌리엄 프란시스코 수아레스 마랭 메르센 섹스투스 엠피리쿠스 미셸 드 몽테뉴 기타 다수 |
영향을 받은 사상가 | 바뤼흐 데 스피노자 토머스 홉스 앙투안 아르노 니콜라 드 말브랑슈 블레즈 파스칼 존 로크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헨리 모어 임마누엘 칸트 에드문트 후설 레옹 브룬슈비크 슬라보예 지젝 노엄 촘스키 에밀 뒤르켐 기타 다수 |
학력 및 경력 | |
교육 | 콜레주 로얄 앙리 르 그랑 (1607–1614) 푸아티에 대학교 (법학 학사, 1616) 프라네커 대학교 (학위 없음) 레이던 대학교 (학위 없음) |
논문 제목 | 미정 (법학 학사 논문) |
논문 URL | 스탠포드 철학 백과 사전 |
논문 발표년도 | 1616년 |
가족 관계 | |
자녀 | 프랑신 데카르트 |
2. 생애
르네 데카르트는 1596년 3월 31일 프랑스 투렌 지방(현재의 데카르트)의 법관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203][204] 아버지는 브르타뉴 지역 렌의 시의원이었고,[205] 어머니는 그가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아 세상을 떠났다. 외할머니 밑에서 자랐으며, 어릴 적 몸이 약했다. 가톨릭 집안에서 자랐지만, 출생지는 위그노 교세가 강한 푸아투 지방이었다.[206]
1607년, 예수회가 운영하는 라 플레쉬 콜레주에 입학하여[207][208]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이론을 포함한 수학, 과학 등을 배웠다.[209][210] 1614년까지 라틴어, 수사학, 고전 작가, 자연철학, 형이상학, 윤리학 등을 공부했다.[211] 졸업 후 푸아티에 대학 법학과에 입학, 1616년 리상스(Licence)를 취득했다.[212] 이후 '세상이라는 커다란 책'에서 실질적인 지식을 얻고자 학교를 떠났다.[213]
1618년, 네덜란드 군에 합류, 군사 공학을 공부하며 이삭 베크만을 만나 수학적 지식을 넓혔다.[27] 1619년 바이에른 선제후 막시밀리안 1세 휘하에서 30년 전쟁에 참전했다.[32][33][34] 같은 해 11월, 노이부르크 안 데어 도나우에서 세 가지 꿈을 통해 새로운 철학에 대한 영감을 얻고,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Cogito, ergo sum)"라는 기본적인 진실을 발견했다.[35][36][38][39]
1620년 군 제대 후, 1628년까지 프랑스에서 수학, 자연과학, 광학 등을 연구하고,[39] 로마 가톨릭 교회의 영향 아래 있던 프랑스를 떠나 자유로운 학문 분위기의 네덜란드로 이주했다.[218] 네덜란드에서 여러 도시로 이주하며 개인 교사나 은둔 학자로 생활했고, 1633년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지동설로 종교재판소에서 심문받은 사건을 계기로 《세계론》 출판을 포기했다. 1623년부터 1625년까지 베네치아와 로마를 여행하고, 파리에서 마랭 메르센 등 여러 학자들과 교류했다. 1628년 『정신지도의 규칙』을 썼으나 미완성으로 남았다.
1637년 《방법서설》, 1641년 《제1 철학에 관한 성찰》을 출판했다. 1641년 겨울부터 유트레히트 대학교에서 무신론을 퍼뜨린다는 비난을 받았고, 1645년 유트레히트 시는 데카르트 철학에 관한 출판과 논의를 금지했다. 1643년 엘리자베트와 서신 왕래를 시작, 심신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1644년 《철학 원리》를 출판, 엘리자베트에게 헌정했고, 1649년 《정념론》을 출판했다.
1649년 스웨덴 여왕 크리스티나의 초청으로 스톡홀름으로 갔다.[52] 여왕의 명으로 새벽에 철학 강의를 해야 했던 데카르트는[65][66][67] 1650년 2월 1일 감기에 걸려 폐렴으로 악화, 2월 11일 스톡홀름에서 사망했다.[68] 유해는 1667년 파리로 돌아와 생트 주느비에브 뒤 몽 성당에 안치되었다가, 1819년 이후 생 제르맹 데프레 성당에 안치되었다.[175]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르네 데카르트는 1596년 3월 31일 프랑스 투렌 지방(투렌주)(현재 데카르트, 앵드르에루아르주) 라 에 앙 투렌의[203] 법관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204] 그의 아버지는 브르타뉴 지역 렌의 시의원이었으며,[205] 어머니는 그가 태어난 지 14개월이 못 되어 세상을 떠났다. 이후 그는 외할머니 밑에서 자랐고, 어린 시절 몸이 무척 허약했다고 한다. 가톨릭 집안에서 자랐지만 그가 태어난 장소는 위그노 교세가 힘을 떨치던 푸아투 지방이었다.[206]
그는 주변 사물에 대한 호기심이 강해 어려서부터 조용한 곳에서 골똘히 생각에 잠기는 버릇이 있었다. 그의 부친은 그에게 철학가 기질이 있음을 발견하고 ‘꼬마 철학가’라는 별명을 붙여 주었다.
1607년 허약한 체질 탓에 조금은 늦은 나이로 예수회가 운영하는 라 플레쉬 콜레주(Collège la Flèche)에 입학한다.[207][208] 데카르트는 여기서 수학, 과학을 처음으로 배웠는데,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이론도 배웠다.[209][210]
1614년까지 8년간에 걸쳐 철저하게 중세식 그리고 인본주의 교육을 받았다.[211] 5년간 라틴어, 수사학, 고전 작가 수업을 받았고 3년간 변증론에서 비롯하여 자연철학, 형이상학 그리고 윤리학을 포괄하는 철학 수업을 받았다.
데카르트는 라 플레쉬를 졸업하고서 아버지의 뜻을 따라 푸아티에 대학 법학과에 입학했다.[212] 대학에서는 수학·자연 과학·법률학·스콜라 철학 등을 배우고, 수학만이 명증한 지식이라고 생각하였다. 1616년 리상스(Licence)를 취득한다. 이후 그는 '세상이라는 커다란 책'에서 실질적인 지식을 얻고자 학교 밖으로 나갔고, 다시는 제도권 교육으로 돌아오지 않았다.[213]
그는 방법서론에서 다음과 같이 회상한다.[30]
"나는 문학 연구를 완전히 버렸다. 나 자신이나 세상이라는 위대한 책에서만 찾을 수 있는 지식만을 추구하기로 결심하고, 나는 남은 젊은 시절을 여행하며 여러 궁정과 군대를 방문하고, 다양한 기질과 계급의 사람들과 어울리며, 다양한 경험을 축적하고, 운명이 제공하는 상황에서 스스로를 시험하고, 항상 내게 일어나는 모든 일을 반추하여 그로부터 무언가 이익을 얻으려고 노력했다."
2. 2. 군 복무와 학문적 여정
1618년, 데카르트는 용병으로서 네덜란드 군에 합류하여 군사 공학을 공부했다.[27] 이 과정에서 이삭 베크만을 만나 수학적 지식을 넓혔고, 베크만을 위해 ''음악 개론''을 저술했다.[27][31]1619년에는 바이에른 선제후 막시밀리안 1세의 휘하에서 복무하며 30년 전쟁에 참전, 1620년 11월 프라하 근처 백산 전투에 참여했다.[32][33][34]
1618년 네덜란드로 간 데카르트는 나사우 공 마우리츠의 군대에서 자연 과학자들과 교류했다. 같은 해 11월, 브레다에서 이삭 베크만을 만나 근대 물리학에 대한 지적인 자극을 받았다. 이때 자유 낙하 법칙, 수압의 분압 원리, 3차 방정식의 해법 등을 연구했고, 『음악 요약』을 베크만에게 증정했다.
1619년 4월, 데카르트는 30년 전쟁 참전을 위해 독일로 떠나 프랑크푸르트에서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페르디난트 2세의 대관식에 참석하고, 막시밀리안 1세의 군대에 합류했다.
1619년 11월 10일에서 11일 밤, 노이부르크 안 데어 도나우에서 데카르트는 세 가지 꿈을 꾸고, 이를 통해 새로운 철학에 대한 영감을 얻었다.[35][36] 그는 이 꿈을 통해 과학 연구가 진정한 지혜를 찾는 길이자 자신의 삶의 중심이 될 것이라고 결론지었다.[38] 또한 모든 진리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기본적인 진실을 찾고 논리적으로 나아가면 모든 과학의 문이 열릴 것이라고 보았다. 데카르트는 이 기본적인 진실을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Cogito, ergo sum)"로 표현했다.[39]
2. 3. 학자로서의 삶
1620년 군에서 제대한 후 프랑스로 돌아온 데카르트는 1626년부터 파리에서 수학, 자연과학, 특히 광학을 연구했다.[39] 1627년에는 다시 군에 복무하기도 했다.[40] 1628년, 단편 《정신 지도의 법칙》을 집필하여 자신의 방법론 체계를 세우려 했다.[39] 같은 해 겨울, 연구와 사색의 자유를 찾아 로마 가톨릭 교회의 영향 아래 있던 프랑스를 떠나 자유로운 학문 분위기가 지배적인 네덜란드로 이주했다.[218]네덜란드에서 암스테르담, 하아렘, 에그몬드 등의 도시로 여러 차례 주거지를 옮기면서 개인 교사나 은둔 학자로 생활했다. 1630년에서 1633년 사이에는 자연과학에 관한 책 《세계론》(Le Monde)을 집필하여, 코페르니쿠스와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주장한 지동설을 바탕으로 세계에 관한 자신의 견해를 진술했다. 그러나 1633년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지동설을 주장하여 로마의 종교재판소에서 심문을 받고 지동설을 포기해야 했던 사건을 계기로, 데카르트는 《세계론》 출판을 포기했다.
1623년부터 1625년까지는 베네치아와 로마를 여행했다. 여행 후 파리에 잠시 머물면서 마랭 메르센을 중심으로 토마스 홉스, 피에르 가상디 등 여러 학자들과 교류했다. 1628년, 네덜란드로 이주하기 직전 자신의 방법에 대해 고찰한 『정신지도의 규칙』(Regulae ad directionem ingenii)을 라틴어로 썼으나 미완성으로 남았다.
1637년부터 존재론과 인식론 문제에 몰두하여, 같은 해 《방법서설》을 출판했다. 1641년에는 존재론과 인식론에 관한 연구 결과를 담은 《제1 철학에 관한 성찰》(Meditationes 후에 Meditationes de prima philosophia)을 출판했다.
1641년 겨울부터 유트레히트 대학교의 신학 교수 보에티우스에게 "무신론을 퍼뜨리는 사상가"로 비난받기 시작했다. 1645년 6월, 유트레히트 시는 보에티우스와 데카르트의 다툼을 진정시키기 위해 데카르트 철학에 관한 출판과 논의를 일체 금지했다.
1643년 5월, 팔츠 공녀 엘리자베트와 서신 왕래를 시작했으며, 이는 데카르트가 죽을 때까지 이어졌다. 엘리자베트의 지적은 데카르트가 심신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1644년, 《철학 원리》를 출판하고 엘리자베트에게 헌정했다. 1649년에는 《정념론》을 출판했다.
2. 4. 사망
1649년 스웨덴의 여왕 크리스티나는 데카르트를 스톡홀름으로 초청했다.[52] 여왕은 일주일에 세 번 새벽 5시에 데카르트에게 철학 강의를 하도록 명했다. 평소 늦게 일어나는 습관을 가진 데카르트는 여왕의 명에 따라 새벽에 일어나 찬 공기를 맞으며 궁정으로 가야 했다.[65][66][67]1650년 2월 1일, 데카르트는 감기에 걸렸고, 이는 곧 폐렴으로 악화되었다. 결국 데카르트는 1650년 2월 11일 스톡홀름에서 사망했다.[68] 그의 유해는 1667년 파리로 돌아와 생트 주느비에브 뒤 몽 성당에 안치되었다. 1799년 프랑스 정부는 그의 유해를 프랑스 역사관으로 옮겼으나, 1819년 이후 생 제르맹 데프레 성당에 안치되었다.[175] 그의 묘비에는 "데카르트, 유럽 르네상스 이후 인류를 위해 처음으로 이성의 권리를 쟁취하고 확보한 사람이다."라는 글이 적혀 있다.

3. 사상
그는 학문 중에서 수학만이 확실한 것으로, 철학도 수학과 같이 분명하고 명확히 드러나는 진리를 출발점으로 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그로 인해 그는 기존의 모든 지식을 의심하였는데, 최후의 의심할 수 없는 명제인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에 도달, 이것이 철학의 근본 기초라고 설명하였다. 그 기계적 우주관은 18세기 프랑스의 유물론에 영향을 주었다. 그는 '근대 철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며, 수학에서는 해석기하학을 창시하여 근대 수학의 길을 열어놓았다.[219]
데카르트는 수학자이자 철학자였다. 그는 가장 확실하고 의심할 여지가 없는 진리를 찾으려 했으며, 진리가 아닌 것들을 소거하는 방법을 택했다. 그 내용은 저서 《방법서설》에 잘 나타나 있다.
사유 주체로서의 자아(정신)와 그 존재를 공식화한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Je pense, donc je suis프랑스어)는 철학사에서 가장 유명한 명제이다. 이 명제는 당시 보수적인 사상이었던 스콜라 철학의 가르침인 ‘신앙’에 의한 진리 획득이 아니라, 인간이 가진 ‘자연의 빛( 이성 )’을 사용하여 진리를 탐구하려는 근대 철학의 출발점을 간결하게 표현하고 있다. 데카르트가 ‘근대 철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이유이다.
하지만 데카르트는 모든 것을 신앙을 바탕으로 생각했으며, 저서 『방법서설』에서 신의 존재 증명을 철학적으로 시도하기도 했다.
처음으로 철학서로 출판된 저서 『방법서설』(1637년)의 서두는 “상식(bon sens)은 이 세상에서 가장 공평하게 분배되어 있다”라는 문장으로 시작하기 때문에, 사상 영역에서 인권선언에 비견되기도 한다.
당시 학술적인 논문은 라틴어로 쓰는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데카르트는 『방법서설』을 모국어인 프랑스어로 썼다. 그 후 프랑스 문학이 “명료하고 명확함”을 지표로 하게 된 데에는 데카르트의 영향이 크다고 말해진다.
데카르트는 새로운 방법론으로 서양철학의 흐름을 크게 바꾸었기 때문에 근대 서양 철학의 아버지이자, 근대 서양 철학의 기초를 세운 사상가 중 한 명으로 간주된다.[182]
그가 논한 인본주의적, 인간성을 중시한 철학적 전환에 따라 인간은 주체적이고 독립적인 이성을 갖춘 자유로운 존재로 간주되게 되었다. 그리고 이것은 근대 학문의 기초를 확립했고, 그 영향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다시 말해, 중세의 기독교적인 진리나 교회의 교리로부터 인류가 해방되어, 인류가 이성에 근거하여 스스로 법을 만들고 독립된 주체로서의 입장을 취하게 된 것이다.[185][186][187] 그의 영향으로 근대에는 진리를 보증하는 것은 더 이상 신이 아니라 인간이라는 생각이 강해졌다.[188][189] 그렇게 함으로써 인간에 대한 관점은 신에게 순종하는 존재가 아니라, 이성적이고 주체적인 존재로 가까워졌다.[188] 이러한 관점의 변화는 기독교적인 중세에서 이성적인 근대로의 전환이며, 특히 철학 분야에서 현저하게 나타나게 되었다.[188][190]
이처럼 인간의 이성을 독립적인 것으로 확립한 데카르트의 인본주의적 관점은 계몽주의로서 철학이 기독교와 교회로부터 벗어나는 계기를 만들었다.
3. 1. 방법적 회의
데카르트는 확실한 지식을 얻기 위해 모든 것을 의심하는 '방법적 회의'를 사용했다. 그는 감각, 경험, 그리고 기존의 지식까지도 의심하며, 절대적인 진리를 찾고자 했다.데카르트적 회의는 자신이 믿는 것의 진실성에 대해 의심하는 체계적인 방법으로, 철학의 특징적인 방법이 되었다.[219] 이 방법은 절대적인 진실로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을 찾기 위해 자신의 모든 믿음을 의심하는 르네 데카르트에 의해 서양 철학에 널리 알려졌다.
데카르트는 우선 확실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감각을 배제했다. 이는 감각이 반드시 맞는 것이라고 확신할 수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우리가 보는 것이 환각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의심을 통해 그는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Je pense, donc je suis|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프랑스어)는 결론에 도달했다. 이 명제는 근대 철학을 대표하는 명제가 되었으며, 데카르트 이후의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219]
데카르트는 방법적 회의를 통해 이 명제를 도출했다. 이는 모든 것을 의심하는 과정에서도 '생각하는 나' 자신의 존재는 의심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명제는 근대 철학의 출발점이 되었으며, 데카르트가 '근대 철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이유이기도 하다.
데카르트는 방법적 회의의 특징으로 두 가지를 제시했다. 첫째, 회의를 품는 것에 본인이 의식적이고 가정적이라는 점이다. 둘째, 한 번이라도 의혹이 생긴 것이라면, 즉 조금이라도 의심스러우면 그것을 완전히 배제한다는 것이다. 즉, 방법적 회의는 적극적인 회의이다.
이러한 방법적 회의를 통해 데카르트는 육체를 포함한 모든 외적 사물이 의심의 대상이 되고, 정화된 정신만 남게 된다고 보았다. 그리고 “내가 이와 같이 ‘모든 것은 거짓이다’라고 생각하는 동안, 그 나 자신은 어떤 것이어야만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것이 바로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는 명제의 핵심 내용이다.
후대의 스피노자는 이 명제가 삼단논법이 아니라, "나는 생각하면서 존재한다"와 같은 의미라고 해석했다. 칸트는 '고로(ergo)'라는 접속사가 불필요하며, 이 명제는 경험적 명제이고 자의식에 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178]
3. 2. 합리론
인식론에서 '''합리주의'''란 사실의 기준이 감각이 아닌 지적이고 연역적인 것을 의미한다. 이 방법을 강조하는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관점의 합리주의자들이 있는데, 추리력이 지식을 얻는 다른 방법들보다 우선적이라는 온건한 위치부터 추리가 지식을 얻는 유일한 방법이라는 극단적인 위치까지 존재한다. 근대 이전의 합리주의는 철학과 같은 것을 의미했다.계몽운동 이후로, 합리론은 데카르트, 라이프니츠, 스피노자에서와 같이 수학적인 방법을 철학에서 사용하기 시작한다. 합리주의는 영국에서 경험주의가 우세했던 것과는 달리 유럽 대륙 쪽에서 우세했기 때문에 대륙 합리주의라고도 불린다. 합리주의는 경험주의와 자주 대조되지만, 어떤 사람이 합리주의와 경험주의를 동시에 믿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넓게 보았을 때 이 두 관점은 서로 완전히 배제하지 않는다.
데카르트는 불변의 사실들에 대한 지식들만 추리를 통해서만 도달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다른 지식들은 과학적 방법의 도움을 받아 경험을 필요로 한다고 생각했다. 그는 꿈이 감각적 경험과 같이 생생하게 느껴지지만, 이러한 꿈들은 사람에게 지식을 제공할 수는 없다고 했다. 또한, 자각하고 있는 감각적 경험은 환각이 원인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감각적 경험 자체가 의심의 여지가 있다고 했다. 그 결과로 데카르트는 사실을 찾기 위해서는 현실의 모든 믿음을 의심해야 한다는 것을 연역적으로 얻어내었다. 그는 이러한 믿음을 방법서설, 제1철학에 관한 성찰과 철학의 원리에 실었다. 데카르트는 지적으로 인정되지 않은 것은 지식으로 분류하지 않는 방법을 통해 사실을 찾아내는 방법을 발전시켰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얻어낸 사실들은 데카르트에 의하면 어떠한 감각적 경험을 필요로 하지 않았다. 추론을 통해 얻어낸 사실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작은 요소들로 나뉘어 연역적인 방법을 통해 현실에 대한 명백한 사실들에 도달할 것이다. 따라서 데카르트는 그의 방법의 결과로 추론은 지식을 결정짓는 유일한 방법이며 이 방법은 감각의 도움 없이 행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코기토 에르고 숨은 어떠한 경험의 간섭도 받지 않은 결론이다. 이는 데카르트에게 있어서 반박할 수 없는 논리로서 다른 모든 지식을 쌓을 수 있는 토대가 되었다.
데카르트는 본유관념, 인위관념, 외래관념을 분리하였다. 외래관념은 밖에서 오는 관념을 말하고, 인위관념은 자신의 의지에 따라 만들어 내는 것을 말하며, 본유관념은 태어나면서부터 존재하는 관념을 말한다. 본유관념은 '삼각형의 꼭짓점은 세 개이다.', '정육면체의 면은 여섯 개이다.',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두 평행선은 서로 만나지 않는다.'와 같은 것으로, 언제나 확실하게 참인 것으로 판단되는 것을 말한다. 덧붙여 데카르트는 '''신의 관념'''도 확실한 것으로 보았다. 그는 존재론적 증명을 통하여 신이 있음을 증명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존재론적 증명은 나중에 칸트의 비판을 받았다.
3. 3. 이원론
데카르트는 정신(사유하는 실체)과 물질(연장된 실체)을 구분하는 철학적 입장인 이원론을 제시했다. 그는 정신과 육체가 명확하고 명료하게 구별되는 속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이 둘은 서로 다른 두 가지 실체라고 보았다.[98]
데카르트에 따르면, 정신은 연장(공간을 차지하는 성질)을 가지지 않고 나눌 수 없는 반면, 물질은 연장을 가지고 있으며 기하학적 원리에 따라 무한히 나눌 수 있다. 그는 인간이 정신과 육체의 결합체이며, 정신은 육체 없이도 존재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즉, 육체가 없어도 '나'를 상상할 수 있다고 보면서 정신을 물질과 분리된 실체로 간주했다.[98]
데카르트는 송과선을 통해 정신과 육체가 상호작용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육체의 신경선이 동물정기(기체화된 혈액)를 자극하면, 이 감각적 내용이 송과선을 통해 정신에 전달된다고 보았다.[107] 이러한 설명은 '자연에 의해 확립되었다'는 기계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진다고 주장했다.[108]
데카르트의 이원론은 플라톤의 정신과 신체의 관계(선원과 배의 관계)와는 달리, 이 둘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보았다.[102] 하지만, 마음과 몸의 결합 관계는 데카르트 철학에서 가장 어려운 문제 중 하나로, 그의 이원론은 이후 마음-몸 문제에 대한 철학적 논의의 의제를 설정했다.[103]
데카르트의 이원론은 영혼의 불멸성에 대한 종교적 신념을 유지하면서도, 현대 물리학의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100]
4. 업적
르네 데카르트는 근대 철학의 시조로 여겨진다. 그는 정신과 물질을 분리하는 이원론을 주장하여, 과학적 자연관과 정신의 형이상학을 연결하고 세상을 합리적으로 보는 태도와 정신의 내면성을 강조하였다. 대륙철학의 합리주의의 근본이 된 그의 회의론은 여러 가지로 해석되는데,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은 '의심 가능한 모든 믿음을 제외하여 기본적인 신념만을 남기는 것'이다. 그는 수학을 이러한 의심의 여지가 없는 기본 신념으로 여겨 철학을 포함한 모든 진리를 수학적인 원리로 해석하려 했다.
데카르트는 철학뿐 아니라 수학, 과학 분야에서도 업적을 남겼다. 1625년부터 파리에 살면서 광학을 연구하여 빛의 굴절 법칙을 발견했다. 1637년에는 《방법서설》과 《굴절광학》, 《기상학》, 《기하학》을 출간했다. 직교 좌표계를 만들어 해석기하학의 창시자로 알려졌으며, 방정식의 미지수에 최초로 를 사용하고 거듭제곱을 표현하기 위한 지수를 발명했다. 그의 보편적인 수학은 광학, 천문학, 기상학, 음향학, 화학, 건축학, 물리학, 회계 등은 물론이고, 전기학, 인공두뇌학, 미생물학, 유전학, 경제학 등에도 응용되고 있다.
데카르트는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는 말로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고, 이 진리를 이용하여 다른 진술을 증명하는 법을 개발했다. 그는 과학에서 크기, 모양, 운동 등의 경험적인 양에 집중하려 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에 따라 진공 개념은 받아들이지 않았으나, 세 가지 물질의 연장이 곧 공간을 이룬다고 설명했다. '데카르트적 회의'는 서양철학의 특징적인 방법 중 하나가 되었다.
『철학의 원리』에서 철학 전체는 한 그루 나무에 비유되며, 뿌리는 형이상학, 줄기는 자연학, 가지는 다른 학문, 열매는 기계학, 의학, 도덕에 해당한다. 철학의 성과는 가지에 열리는 여러 학문에서 얻어진다고 생각했다.
데카르트의 철학 체계는 역사학, 문헌학 같은 인문학을 포함하지 않는다. 그는 수학, 기하학 연구를 통해 얻은 명료성 개념 위에 체계를 세웠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비코 등이 반론을 제기하기도 했다.
데카르트는 당시의 논리학을 대체할 방법을 찾아, 가장 단순한 것부터 연역하여 복잡한 것에 도달할 수 있다는 환원주의적·수학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네 가지 규칙을 정했다.
# 명백하게 참이라고 인정한 것만을 받아들일 것 (명증)
# 문제를 가능한 한 작은 부분으로 나눌 것 (분석)
# 가장 단순한 것부터 시작하여 복잡한 것에 도달할 것 (종합)
# 아무것도 빠뜨리지 않았는지, 모든 것을 다시 검토할 것 (열거/검토)
4. 1. 수학적 업적
르네 데카르트의 가장 큰 업적 중 하나는 해석기하학의 창시이다. 특히 그가 고안한 직교 좌표계는 이전까지 독립적으로 다루어졌던 대수와 기하학을 체계적으로 융합시켜, 이후 뉴턴의 역학을 비롯한 근대 수학과 과학 발전에 바탕이 되었다.[131] 데카르트의 직교좌표계는 당시까지 지배적이었던 유클리드의 기하학적 공간을 대체하였고, 이는 아인슈타인이 새로운 공간 개념을 도입할 때까지 계속 사용되었다.
《방법서설》(''Discourse on Method)''에 포함된 소논문 《''La Géométrie''》(1637)은 수학의 역사에 큰 공헌을 했다. 이 논문에서 데카르트는 곡선에 대수 방정식을 부여하는 방법을 발견해, 모든 원뿔 곡선을 단 한 종류의 2차 방정식으로 표시하는 데에 성공함으로써 과학과 수학을 연결하는 중요한 연결고리를 만들었다.[135] 또한 그는 숫자(밑) 위에 작은 숫자(지수)를 씀으로써 거듭제곱을 간단하게 표현하는 방식을 생각해냈다.[129][130] 그의 수학적 업적은 라이프니츠가 제안하고 뉴턴이 발전시킨 미적분학의 근간을 이루었다.
"실계수의 n차방정식의 양의 실근의 개수는 다항식 의 실수 항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부호 변화의 수와 같거나 그 수보다 짝수 개만큼 적다."는 데카르트의 부호 법칙은 다항식의 근의 개수를 구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방정식의 미지수에 처음으로 를 사용한 것도 데카르트의 업적이다.
1618년 데카르트는 네덜란드로 여행을 떠나 이삭 베크만을 만났으며, 그에게 여러 문제에 수학을 적용하는 방법을 보여주었다. 그는 수학이 류트의 음정을 맞추는 데에 정확하게 응용될 수 있는지와 무거운 물체가 물속에 들어갔을 때 수면의 높이 변화를 나타내는 대수적인 공식을 제안했다. 또한 진공 상태에서 물체가 낙하할 때 임의의 시간에서 그 물체가 가속하는 속도를 예측하는 방법과 회전하는 팽이가 똑바로 서있으며 이를 통해 인간이 공중에 뜰 수 있는 방법을 이야기했다. 베크만의 일기를 통해 1618년 말까지 데카르트가 이미 기하학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대수 방정식의 적용을 여러 방면에 응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데카르트는 수학을 "불연속적인 양의 과학"으로, 기하학을 "연속적인 양의 과학"으로 보았으나 그 둘 간의 장벽은 해석기하학이 창시됨에 따라 허물어졌다. 그는 산술과 대수학은 단순한 숫자의 과학이 아니라 무리수의 사용을 정의하고 새로운 수학의 가능성을 연 명제의 과학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방법서설(정신지도를 위한 규칙들)》을 통해 그는 수학과 모든 과학은 상호 관계적이며, 둘을 따로 생각하는 것보다 전체적으로 다루는 것이 쉽다고 주장했다.
데카르트는 "방정식에서 미지수를 ''x'', ''y'', ''z''로, 기지수(상수)를 ''a'', ''b'', ''c''로 나타내는 관례를 고안했다".[129][130]
두 실수로 평면 위의 점의 위치(좌표)를 나타내는 방법은 데카르트가 발명하여 『방법서설』에서 처음 사용했다. 이 좌표를 데카르트 좌표라고 하며, 데카르트 좌표가 있는 평면을 데카르트 평면이라고 한다. 데카르트 좌표와 데카르트 평면은 후대 해석기하학 발전의 기초가 되었다.
또한, 오늘날 수식 표기에서 알파벳 앞부분 (a, b, c, …)을 상수에, 뒷부분 (…, x, y, z)을 미지수에 대입하고, 어떤 양(예: x)의 계수를 왼쪽에 (2x), 거듭제곱을 오른쪽에 () 쓰는 표기법은 데카르트가 시작했다.
4. 2. 과학적 업적
데카르트는 1625년부터 파리에 거주하며 광학을 연구하여 빛의 굴절 법칙을 발견하였다.[148] 1637년 《방법서설》 및 《굴절광학》, 《기상학》, 《기하학》의 세 시론을 출간하였다. 《굴절광학》에서 독자적으로 증명한 굴절의 법칙을 언급하고, 시력에 관한 다양한 연구 내용을 설명했다.[147] 이때 굴절 법칙을 서술할 때 자신이 고안한 직교 좌표계를 활용하여 법칙을 증명하기도 했다.시력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통해 눈의 해부학적 구조를 설명하며 빛이나 외부 이미지가 동공과 내부 유리체를 거쳐 굴절되고 상이 뒤집혀 망막에 맺히고 시신경을 통해 자극이 전달되는 과정뿐 아니라 눈이 얼마나 상을 최대화하고 또렷하게 인식하는가에 대한 과정을 현미경과 망원경의 개념에까지 확대시켰다.[106] 책의 마지막 장에서는 렌즈 깎는 법을 설명하며 망원경과 현미경의 유용성을 언급했다.
수학자로서 직교 좌표계를 만들어 해석기하학의 창시자로 알려졌으며 방정식의 미지수에 최초로 를 사용했다. 그뿐 아니라 거듭제곱을 표현하기 위한 지수의 사용 등을 발명했다. 그의 보편적인 수학은 광학, 천문학, 기상학, 음향학, 화학, 건축학, 물리학, 회계 등에 다양하게 응용되었으며, 본인이 미처 예견하지 못했던 분야인 전기학, 인공두뇌학, 미생물학, 유전학, 경제학 등에도 응용되고 있다.
과학자로서 르네 데카르트는 물리학 분야에 큰 공헌을 했다. 10살 때, 라 플레슈(La Fleche)의 학교에 입학해 논리학, 윤리학, 물리학과 형이상학, 유클리드 기하학과 새로운 대수학 및 갈릴레이의 망원경에 의한 최신 업적에 이르기까지 훌륭한 교육을 받으며 과학자로서의 초석을 다졌다. 1618년 군에 자원 입대하여 장교로서 복무하였는데, 이때 그의 과학적 흥미는 탄도학, 음향학, 투시법, 군사기술, 항해술 등까지 발전시켰다. 그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에 있어 이론적 전개 방식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가장 작은 수의 원리로부터 출발하여 이미 알려져 있는 모든 사실을 설명하고, 더구나 새로운 사실의 발견으로까지 이끌어 내는 방식이다.
《천체론(Le monde)》를 통해 코페르니쿠스와 갈릴레이가 주장한 지동설을 바탕으로 하는 세계에 관한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 후일 뉴턴에 의해 거부된 그의 와류이론에 의하면 에테르의 미소한 입자들이 혹성이나 태양 주위에 거대한 회전흐름 속에 떠 있다는 것이다. 데카르트는 사물의 본질을 외연(extension)으로 보았다. 그의 공간은 물질로 꽉 차있는 플레넘(plenum)으로, 불의 원소, 공기의 원소, 흙의 원소의 세 종류의 물질로 채워져 있다.
생물학 분야에서 르네 데카르트는 윌리엄 하비와 나란히 근대 생리학의 아버지라 불린다.[106] 그는 전생리학의 기초가 되는 대가적 가설을 도입했다. 다양한 동물의 머리를 해부해보며 상상력과 기억이 위치하는 곳을 찾기 위한 연구를 했으며, 네덜란드에 머무른 기간 동안 많은 시간을 들여 인체를 해부했다. 데카르트는 가설적 모델 방법을 통해 육체 전체를 일종의 기계로 간주해 눈의 깜빡임과 같은 자율적인 동작 현상과 보행과 같은 복합 동작에 있어 많은 관찰과 다양한 기계론적 설명을 내세웠다. 이러한 모든 동작과 운동을 기계론적으로 설명하는 그의 방식은 근대적 생리학에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했다. 결국 그는 자연에서 영혼을 제거시켜 중세적 자연관을 밀어내고 기계적 세계관을 정당화함으로써 자연계의 만물을 물체의 위치와 운동으로 설명 가능한 것으로 만드는 데에 막대한 기여를 했다.
5. 철학
데카르트는 수학자이자 철학자로, 가장 확실한 진리를 찾기 위해 '방법적 회의'를 사용했다. 이는 진리가 아닌 것들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방법서설》에 잘 나타나 있다. 그는 감각조차도 불확실하다고 생각하여 배제하고,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이 명제는 근대 철학을 대표하며, 칸트와 같은 후대 철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219]
데카르트는 관념을 본유관념, 인위관념, 외래관념으로 구분했다. 본유관념은 '삼각형의 꼭짓점은 세 개다'와 같이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확실한 참인 관념이다. 그는 '신의 관념'도 확실한 것으로 보았지만, 이는 나중에 칸트에게 비판받았다.
그는 실체를 연장(공간을 차지하는 것)과 사유(연장과 달리 부피가 없는 것)로 나누었다. 인간은 연장과 사유가 함께 있는 것으로 보았고, 송과선을 통해 몸과 사유가 연결된다고 생각했다. 데카르트 이후 철학자들은 이 송과선을 몸으로 볼 것인지에 대해 논쟁을 벌였다.
데카르트는 정신과 물질, 육체와 정신을 분리하는 이원론을 주장했다. 이는 과학적 자연관과 정신의 형이상학을 연결하여 세상을 합리적으로 보는 태도와 정신의 내면성을 강조했다. 그의 회의론은 '의심 가능한 모든 믿음을 제외하여 기본적인 신념만을 남기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그는 수학을 의심의 여지가 없는 기본 신념으로 여겨 철학을 포함한 모든 진리를 수학적 원리로 해석하려 했다.[219]
'''데카르트적 회의'''는 르네 데카르트의 글과 방법론이 곁들여진 방법론적 회의이다. 이는 자신이 믿는 바의 진실성 여부에 대해 의심하는 체계적인 방법으로, 철학의 특징적인 방법이 되었다. 이 의심의 방법은 절대적인 진실로서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을 찾기 위해 자신의 모든 믿음을 의심한 데카르트에 의해 서양 철학에 대중화되었다. 데카르트적 회의의 목적은 의심할 수 없는 것을 찾는 것으로, 의심을 절대적인 진리를 찾는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데카르트 회의론의 목적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해석이 있는데, 그 중 가장 저명한 것은 토대주의자들의 주장이다. 이들은 데카르트의 회의론이 의심 가능한 모든 믿음을 제외하고 기본적인 신념만을 남기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의심할 여지가 없는 기본 신념으로부터 데카르트는 다음 지식을 파생하려고 시도한다. 그는 지식을 상대적인 관점이 아닌 절대적인 진리를 토대로 쌓아갔다. 이는 대륙철학의 합리주의를 보여주는 중요한 예시이다.
데카르트적 회의는 의심을 과대하게 하는 경향이 있다. 데카르트의 기준에서 지식은 단순히 합리적인 것이 아니라 가능한 모든 의심을 넘어선 것을 의미한다. 그는 자신의 모든 믿음의 진실 여부를 의심하여 절대적인 진리로만 이루어진 믿음 체계를 만들고자 했다.
데카르트는 모든 신념, 아이디어, 생각, 중요성을 의심했다. 그는 지식에 대한 근거나 추리 또한 거짓일 수 있다고 보았다. 감각적 경험은 잘못되었을 확률이 높기 때문에 의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환각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데카르트는 꿈과 악마라는 두 가지 주장을 제안했다. 그는 우리가 꿈을 꿀 때 현실과 구분하기 어려운 경험을 한다는 점을 지적하며, 깨어있을 때의 경험과 꿈을 꿀 때의 경험을 구별할 수 있는 충분한 근거가 없다고 주장했다. 또한, 악의적인 천재가 우리의 경험을 조작하고 있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인식론에서 합리주의는 진실의 기준이 감각이 아닌 지적이고 연역적인 것을 의미한다. 합리주의자들은 추리력이 지식을 얻는 다른 방법들보다 우선한다고 생각한다. 스피노자와 라이프니츠는 데카르트의 인식론적 문제들을 해결하려 시도하며 합리주의를 발전시켰다. 그들은 원칙적으로는 과학적 지식을 포함한 모든 지식이 추론만을 통해 얻을 수 있다고 주장했지만, 수학을 제외한 영역에서는 인간에게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을 인정했다.
데카르트는 불변의 사실들에 대한 지식들만 추리를 통해서 도달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다른 지식들은 과학적 방법의 도움을 받아 경험을 필요로 한다고 생각했다. 그는 꿈이나 환각 때문에 감각적 경험 자체가 의심의 여지가 있다고 보았다. 그 결과, 데카르트는 사실을 찾기 위해서는 현실의 모든 믿음을 의심해야 한다는 것을 연역적으로 얻어내었다. 그는 이러한 믿음을 《방법서설》, 《제1철학에 관한 성찰》과 《철학 원리》에 실었다. 데카르트는 지적으로 인정되지 않은 것은 지식으로 분류하지 않는 방법을 통해 사실을 찾아내는 방법을 발전시켰다. 코기토 에르고 숨은 어떠한 경험의 간섭도 받지 않은 결론으로, 데카르트에게 있어서 반박할 수 없는 논리이자 다른 모든 지식을 쌓을 수 있는 토대가 되었다.
데카르트는 형이상학의 제일원리이자 견실한 과학에 도달하기 위한 제일 원리로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는 명제를 제시했다. 그는 갈릴레오의 기하학적 물리학에 큰 영향을 받았으나, 감각에 기초한 물질 세계의 개념과 좀더 엄격한 수학적인 물질세계의 개념을 구별하고 후자가 더 객관적이라고 보았다.
그는 실체를 정신적인 것과 물질적인 것 두 가지로 구분했다. 정신적인 실체의 본성은 '사유하는 것'이며 물질적인 실체의 본성은 '연장된 것'이다. 정신은 연장적인 특징이 없고 불가분적이므로, 연장을 지니고 있는 물질과는 명확하게 구분된다. 데카르트는 육체 없이도 존재하는 나를 상상할 수 있다고 하면서, 정신을 물질과는 분리되어 생각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실체로 보았다.
데카르트에게 있어서 물질(육체)은 연장을 가지고 있으며, 기하학적 공간에 위치하기 때문에, 섞여있거나 겹치지 않는다. 또한 기하학의 원리에 따라 무한 분할이 가능하다. 그의 공간 개념에서 빈 공간은 존재하지 않으며, 항상 물질에 의해 점유되어 있는 것으로서 운동은 연쇄적으로 각 물질의 위치가 바뀌는 것을 의미한다.
데카르트는 플라톤과 달리 정신과 신체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보았다. 그는 송과선이라는 솔방울 모양의 샘을 통해 육체가 신경선으로 동물정기라는 기체화된 혈액을 자극하면 인과적으로 감각적 내용이 송과선을 통해 정신에게 전달된다고 설명했다.
유아 시절부터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였던 선입견을 제거하고 진리에 이르기 위해 데카르트는 일단 모든 것을 의심하는 '''방법적 회의'''를 사용했다.
방법적 회의는 적극적 회의이다. 이는 회의를 품는 것에 본인이 의식적·가정적이며, 한 번이라도 의혹이 생긴 것이라면 조금이라도 의심스러우면 그것을 완전히 배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강력한 방법적 회의는 더 이상 어떤 것도 확실하다고 말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지점까지 계속된다. 먼저 육체가 주는 감각(외부 감각)은 종종 잘못되므로 거짓으로 간주된다. 또한 "아프다", "달다"와 같은 내부 감각이나 "내가 깨어 있다"는 자각조차도, 각성과 수면을 판단할 지표가 없다는 점에서 거짓으로 간주된다. 더 나아가, 옳다고 생각하는 경우에도 나중에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계산(2+3=5와 같은)도 배제된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진리의 원천인 신이 사실은 '''기만하는 신'''(Dieu trompeur프랑스어)이며, 자신이 인정하는 모든 것이 '''악의 영'''(genius malignusla)의 계략에 불과할지도 모른다고 여겨짐으로써, 모든 것이 의심의 대상이 된다.
방법적 회의를 거쳐 육체를 포함한 모든 외적 사물이 회의의 대상이 되고, 정화된 정신만 남게 되자 데카르트는 “내가 이와 같이 ‘모든 것은 거짓이다’라고 생각하는 동안, 그 나 자신은 어떤 것이어야만 한다”, 이것만은 참이라고 말할 수 있는 절대 확실한 것을 발견한다. 이것이 바로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Je pense, donc je suis프랑스어)이다. 참고로, 유명한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cogito ergo sumla)라는 라틴어 표현은 《진리의 탐구》에서 나오지만, 이것은 제3자에 의한 번역이며, 데카르트 자신이 이러한 표현을 한 것은 그가 나중에 라틴어로 저술한 《철학 원리》에서이다.[176]
코기토 에르고 숨은 방법적 회의를 거쳐 “생각한다”고 할 때마다 성립한다. 그리고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명제가 명료하고 명백하게 알려지는 것으로부터, 그 조건을 진리를 판정하는 일반 규칙으로 세우고, “자기의 정신에 명료하고 명백하게 인지되는 것은 참이다”라고 설정한다(명료 명백의 규칙).
후대의 스피노자는 코기토 에르고 숨은 삼단논법이 아니고, 코기토와 숨은 단일 명제를 말하는 것이며, “나는 생각하면서 존재한다”와 동의어라고 했다. 칸트는 에르고를 불필요하다고 여겼고(데카르트 자신도 에르고의 불필요성에 대해 생각했었다), 코기토 에르고 숨은 경험적 명제이며 자의식에 의한 것이라고 했다.[178]
데카르트는 동물 기계론이나 신체 기계론을 주장했는데, 이는 인간 기계론에 영향을 미쳤다. 그는 동물이 고통을 느끼는 능력을 부정하는 동물 기계론을 믿고 있었으며, 의식이 있는 동물을 생체 해부하고, 동물이 몸부림치고 비명을 지르더라도 관람객에게 걱정하지 않도록 전달하며, 동물의 이러한 반응은 프로그램된 반응일 뿐이라고 주장했다.[180][181]
6. 종교적 믿음
데카르트는 《제1 철학에 관한 성찰》에서 기독교 신앙을 옹호하고 신의 존재를 증명하려 했으며, 스스로 독실한 로마 가톨릭 신자라고 여겼다.[78][79][80] 그러나 그의 이원론은 당대에 무신론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블레즈 파스칼은 데카르트가 철학에서 신을 배제하려 했다고 비판했다. 마르틴 슈쿡은 데카르트를 무신론자로 비난했지만, 데카르트는 《성찰》에서 무신론을 비판했다. 가톨릭 교회는 1663년 그의 책을 금서로 지정했다.[125][126][127]
데카르트는 신의 존재에 대한 상표 논증을 위해 "무에서 무는 나오지 않는다"는 원리를 사용했다.[122] 그는 완전성에 대한 관념은 완전한 기원(신)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다.[123] 또한 "최고로 완전하고 무한한 존재의 관념"을 바탕으로 존재론적 논증을 제시했다.[124]
그는 신학적 질문을 피하고 형이상학과 신학적 정통성 사이에 불일치가 없음을 보이는 데 집중했다. 영혼과 육체가 별개의 실체임을 보이는 것만으로는 영혼의 불멸성을 확립하지 못한다는 비난에 대해, 그는 "신의 자유 의지에 달려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인간 이성의 힘을 사용하려고 하지 않습니다"라고 답했다.
7. 주요 저서
- 1618년 《음악 개요》(Compendium Musicae)[170]
- 1628년 《정신지도규칙》(Regulae ad directionem ingenii)
- 1633년 《세계》(Le Monde)
- 1637년 《방법서설》(Discours de la méthode)
- 1637년 《기하학(La Géométrie)
- 1641년 《성찰》(Meditationes de prima philosophia)
- 1644년 《철학의 원리》(Principia philosophiae)
- 1648년 《인간론》(Traité de l'homme)
- 1649년 《정념론》(Les passions de l'âme)
8.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일제강점기 조선의 독립운동가들과 지식인들은 데카르트의 합리주의 사상을 통해 봉건적인 질서를 비판하고 근대적인 가치를 추구했다.[185][186][187] 그의 주체적인 사유와 비판 정신은 박정희 정권의 유신 체제에 저항하는 민주화 운동가들에게 중요한 지적 자양분을 제공했다.[188][189]
현대 한국 사회에서 데카르트의 합리주의와 비판 정신은 민주주의 발전과 시민 의식 함양에 기여하고 있다. 그의 철학은 학문적으로나 사회적으로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인간의 존엄성, 자유, 평등의 가치를 옹호하는 데 영향을 주고 있다.
참조
[1]
서적
The Philosopher, The Priest, and The Painter: A Portrait of Descarte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
서적
Radical Cartesianism: The French Reception of Descart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백과사전
Foundationalist Theories of Epistemic Justification
http://plato.stanfor[...]
2000-01-01
[4]
서적
Philosophy of Mathematics: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5]
서적
Pragmatic Liberalism and the Critique of Modernit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Realism and Appearances: An Essay in Ontolog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The Correspondence Theory of Truth
http://plato.stanfor[...]
[8]
서적
Descartes-Agonistes: Physico-mathematics, Method & Corpuscular-Mechanism 1618–33
https://books.google[...]
Springer
[9]
서적
Nihilism Before Nietzsc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0]
서적
Longman Pronunciation Dictionary
Pearson Longman
[11]
웹사이트
Descartes
https://www.collinsd[...]
HarperCollins
[12]
서적
Light and Enlightenment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서적
The Philosopher, the Priest, and the Painter: A Portrait of Descart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4]
웹사이트
No. 3151: Descartes
https://www.uh.edu/e[...]
[15]
웹사이트
Rene Descartes {{!}}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16]
서적
Physiology of Behavior
Pearson: Allyn & Bacon
[17]
웹사이트
"I think therefore I am" or "I think. Therefore I am"? René Descartes's saying "Cogito ergo sum" has been widely spread all over the world. In English it is commonly known as "I think therefore I am"
https://www.italki.c[...]
[18]
서적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https://books.google[...]
[19]
간행물
The Influence of Mathematics on the Philosophy of Spinoza
http://www.faculty.u[...]
[20]
서적
Introduction to Metaphysics: From Parmenides to Levinas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1]
서적
The Rationalists: Descartes, Spinoza and Leibniz
https://books.google[...]
Polity Press
[22]
서적
Math and Mathematicians: The History of Math Discoveries Around the World; Vol. 1
https://archive.org/[...]
U X L
[23]
서적
Scepticism, Scholasticism, and the origins of Descartes's philosophy (Chapter 2)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Descart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웹사이트
All-history.org
https://web.archive.[...]
[26]
웹사이트
Descartes, Rene {{!}}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iep.utm.edu/[...]
[27]
서적
Math and Mathematicians: The History of Math Discoveries Around the World; Vol. 1
https://archive.org/[...]
U X L
[28]
서적
The Greatest Benefit to Mankind: A Medical History of Humanity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Harper Collins
[29]
서적
From Plato to Derrida
Pearson Prentice Hall
[30]
서적
Discourse on the Method
https://books.google[...]
Hyweb Technology
[31]
서적
Early Modern Aesthetic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32]
웹사이트
René Descartes – Biography
https://mathshistory[...]
[33]
백과사전
Battle of White Mountain
http://www.britannic[...]
[34]
서적
Princess Elisabeth of Bohemia: The Philosopher Princess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35]
서적
Institutio Oratoria: Bacon, Descartes, Hobbes, Spinoza
https://books.google[...]
Brill
[36]
서적
Math and mathematicians : the history of math discoveries around the world; Vol. 1
https://archive.org/[...]
U X L
2003
[37]
학술지
Did René Descartes have Exploding Head Syndrome?
[38]
서적
The Story of Civilization: Part VII, the Age of Reason Begins
https://archive.org/[...]
Simon and Schuster
[39]
서적
Les Principes de la Philosophie. Introduction et notes
Librairie Philosophique J. Vrin
[40]
서적
The Magic of Numbers and Motion
Science History Publications
[41]
서적
Descartes's Secret Notebook: A True Tale of Mathematics, Mysticism, and the Quest to Understand the Universe
Crown
2006-10-10
[42]
서적
Lettres sur l'or potable suivies du traité De la connaissance des vrais principes de la nature et des mélanges et de fragments d'un Commentaire sur l'Amphithéâtre de la Sapience éternelle de Khunrath
Préface de Vincent Carraud
[43]
서적
Louis XIII, the Jus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4]
웹사이트
A bird's eye view
https://www.universi[...]
2022-05-03
[45]
서적
Descartes: The Life of René Descartes and Its Place in His Times
Simon & Schuster
[46]
서적
Cogito, Ergo Sum: The Life of René Descartes
https://books.google[...]
David R. Godine Publisher
2022-05-03
[47]
서적
The Wisdom of the Enlightenment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22-05-03
[48]
웹사이트
Descartes, Rene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iep.utm.edu/[...]
2023-05-10
[49]
서적
The Story of Civilization: Par VII, the Age of reason Begins
https://archive.org/[...]
Simon and Schuster
[50]
서적
René Descartes
https://books.google[...]
Rosen Publishing
[51]
서적
Descartes' Bones: A Skeletal History of the Conflict Between Faith and Reason
Random House
[52]
서적
Math and mathematicians: the history of math discoveries around the world
https://archive.org/[...]
U X L
[53]
서적
Discourse on the Method
https://books.google[...]
Hyweb Technology
[54]
백과사전
Pierre de Fermat Biography & Facts
https://www.britanni[...]
2017-11-14
[55]
웹사이트
Who was Helena Jans?
https://guineveregla[...]
2015-06-30
[56]
웹사이트
Anthonis Studler van Zurck, Vlaams koopman en heer van Bergen
https://www.herenvan[...]
2016-02-11
[57]
웹사이트
Ongelijke vriendschap | LeesKost
https://www.leeskost[...]
[58]
웹사이트
Het landhuis 't Oude Hof te Bergen
https://onh.nl/verha[...]
[59]
서적
The correspondence of Dirck Rembrantsz van Nierop (1610-1682)
https://researchport[...]
Huygens ING
[60]
웹사이트
Nieuw boek Peter van den Berg: De Schoenmaker en de Filosoof
https://flessenpostu[...]
2022-06-03
[61]
학술지
Descartes' debt to Teresa of Ávila, or why we should work on women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https://philpapers.o[...]
[62]
잡지
She Thinks, Therefore I Am
https://magazine.col[...]
[63]
서적
Cartesian Women: Versions and Subversions of Rational Discourse in the Old Regime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64]
서적
Descartes, His Moral Philosophy and Psychology
New York University Press
[65]
서적
Queen Christina of Sweden and her Circle: The Transformation of a Seventeenth-Century Philosophical Libertine
Brill Publishers
[66]
서적
Math and mathematicians: the history of math discoveries around the world
https://archive.org/[...]
U X L
2003
[67]
백과사전
Descartes' Life and Works
http://plato.stanfor[...]
2010-09
[68]
서적
Modern meteorology: a series of six lectures: delivered under the auspices of the Meteorological Society in 1878
https://archive.org/[...]
[69]
서적
Math and mathematicians: the history of math discoveries around the world
https://archive.org/[...]
U X L
[70]
간행물
The Correspondence of Dirck Rembrantsz van Nierof, (1610–1682)
https://dwc.knaw.nl/[...]
[71]
웹사이트
Il y a des preuves que René Descartes a été assassiné
https://www.nouvelob[...]
2010-02-12
[72]
웹사이트
"Severity of winter seasons in the northern Baltic Sea between 1529 and 1990: reconstruction and analysis" by S. Jevrejeva (2001), p. 6, Table 3
https://www.int-res.[...]
[73]
서적
Der Mordfall Descartes, Der rätselhafte Tod des René Descartes, L'Énigme de la mort de Descartes
Solingen, Aschaffenburg, Alibri, Paris, Hermann
[74]
뉴스
Descartes was "poisoned by Catholic priest" – The Guardian, Feb 14 2010
https://www.theguard[...]
2010-02-14
[75]
서적
Der rätselhafte Tod des René Descartes
https://books.google[...]
Alibri Verlag
[76]
논문
Did Descartes Die of Poisoning?
2019
[77]
서적
Famous Last Words
Kyle Cathie
[78]
서적
Rome and the Counter-Reformation in Scandinavia: The Age of Gustavus Adolphus and Queen Christina of Sweden, 1622-1656
https://books.google[...]
BRILL
[79]
서적
Descartes: His Life and Thought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80]
서적
Early Modern Philosophy of Religion: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of Religion, volume 3
https://books.google[...]
Routledge
[81]
웹사이트
Andrefabre.e-monsite.com
https://web.archive.[...]
[82]
서적
Cogito, Ergo Sum: The Life of René Descartes
https://books.google[...]
David R. Godine
[83]
웹사이트
5 historical figures whose heads have been stolen
https://strangeremai[...]
2015-07-23
[84]
웹사이트
(Alleged) Piece of Descartes' Skull
https://www.atlasobs[...]
[85]
웹사이트
Forms of skepticism
http://www.lclark.ed[...]
[86]
웹사이트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87]
웹사이트
Cogito, ergo sum {{!}} philosophy
https://www.britanni[...]
[88]
웹사이트
Ten books: Chosen by Raj Persuade
http://bjp.rcpsych.o[...]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89]
서적
The Principles of Philosophy
[90]
서적
Material and Mind
https://books.google[...]
MIT Press
[91]
웹사이트
Letter of the Author to the French Translator of the Principles of Philosophy serving for a preface
http://www.classical[...]
[92]
서적
Science Deified & Science Defie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Science in Western Cultur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93]
논문
What Moves the Mind: An Excursion in Cartesian Dualism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82-01
[94]
서적
The Mind-Body Stage: Passion and Interaction in the Cartesian Theater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95]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Descartes' Medit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96]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Descartes' Medit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97]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Descartes's Medit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98]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Descartes' Medit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99]
서적
Descartes: An Analytic and Historical Introduction
OUP
[100]
서적
Descartes: An Analytic and Historical Introduction
OUP
[101]
서적
Descartes: An Analytic and Historical Introduction
OUP
[102]
서적
Descartes: An Analytic and Historical Introduction
OUP
[103]
웹사이트
Stanford Encyclopaedia of Philosophy (online): Descartes and the Pineal Gland.
[104]
서적
A History of Psychology: A Global Perspective: A Global Perspective
Sage
[105]
논문
John Locke's Contributions to Education
https://www.jstor.or[...]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13-04
[106]
웹사이트
17th and 18th Century Theories of Emotions > Descartes on the Emotions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plato.stanfo[...]
2021-07-29
[107]
서적
A History of Psychology: A Global Perspective: A Global Perspective
Sage
[108]
서적
A History of Psychology: A Global Perspective: A Global Perspective
Sage
[109]
학술지
The Concept of Heresy and the Debates on Descartes' Philosophy
https://brill.com/vi[...]
2020-09-03
[110]
웹사이트
René Descartes - Philosophy, Mathematics, Science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8-22
[111]
서적
A History of Psychology: A Global Perspective
Sage
[112]
서적
Montesquieu and the Philosophy of Natural Law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13]
웹사이트
'Animal Consciousness', No. 2. Historical background
http://plato.stanfor[...]
Stanford Encyclopaedia of Philosophy
1995-12-23
[114]
서적
Animal Minds, Animal Souls, Animal Right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15]
서적
Descartes' System of Natural Philosoph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6]
서적
After Darwin: Animals, Emotions, and the Mind
https://books.google[...]
Rodopi
[117]
서적
Charles Darwin: The Shaping of Evolutionary Thinking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118]
서적
Emotion and Cognitive Life in Medieval and Early Modern Philosoph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19]
서적
Descartes. His moral philosophy and psychology
New York University Press
[120]
서적
The Scientific Revolution A Brief History with Documents
Bedford/St. Martin's
[121]
서적
Descartes: An Analytical and Historical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22]
서적
De Rerum Natura
Oxford University Press
1947
[123]
웹사이트
Trademark argument
https://www.oxfordre[...]
[124]
서적
Meditations on First Philosophy
[125]
백과사전
Encyclopædia Britannica 2009 Deluxe Edition
Encyclopædia Britannica
[126]
서적
False Truths: The Error of Relying on Authority
[127]
서적
American Trinity: Jefferson, Custer, and the Spirit of the West
https://books.google[...]
Sweetgrass Books
[128]
웹사이트
Descartes, Rene Internet Encyclopaedia of Philosophy
http://www.iep.utm.e[...]
[129]
서적
Discourse de la Méthode
http://gallica.bnf.f[...]
Jan Maire
[130]
서적
Descartes: A Very Short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31]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Descart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2]
서적
Mathematical Thought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33]
서적
Never at Rest: A Biography of Isaac Newt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4]
서적
Contemporary Newtonian Research
https://books.google[...]
Springer
[135]
서적
Mathematics From The Birth of Numbers
https://archive.org/[...]
W.W. Norton
[136]
서적
Cartesian method and the problem of reduc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37]
웹사이트
Descartes' Physics
https://plato.stanfo[...]
2017-08-22
[138]
서적
The Scientific Revolution in National Contex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9]
학술지
Physical and colloquial meanings of the term "work"
https://aapt.scitati[...]
2003-02-13
[140]
서적
Selected correspondence of Descartes
https://www.earlymod[...]
[141]
서적
Principia Philosophiae
[142]
서적
Principles of philosophy
https://www.earlymod[...]
[143]
웹아카이브
Cartesian and Lagrangian Momentum
http://philsci-archi[...]
2017-03-09
[144]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Descart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145]
서적
Discovering the natural laws: the experimental basis of physics
https://archive.org/[...]
Dover
1989
[146]
백과사전
Descartes' Physics
https://plato.stanfo[...]
2019-11-29
[147]
서적
Physics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W.H. Freeman
[148]
백과사전
René Descartes
http://encarta.msn.c[...]
Microsoft
2007-08-15
[149]
서적
The history of meteorology to 1800
https://www.worldcat[...]
Science History Publications
1977
[150]
서적
Renaissance meteorology : Pomponazzi to Descartes
https://www.worldcat[...]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1
[151]
서적
Descartes... that which he himself founded... modern (and that means, at the same time, Western) metaphysics.
[152]
웹아카이브
Radical Cartesianism: The French Reception of Descartes'
https://books.google[...]
2021-08-16
[153]
서적
Philosophy for the future: the quest of modern materialism
https://archive.org/[...]
[154]
서적
The Age of the World Picture
[155]
웹아카이브
Postmodern theory and biblical theology: vanquishing God's shadow
https://books.google[...]
2021-08-16
[156]
웹아카이브
Crisis theory and world order: Heideggerian reflections
https://books.google[...]
2021-08-16
[157]
서적
The modern practice of adult education: a postmodern critique
https://archive.org/[...]
[158]
서적
introduction to Martin Heidegger's The question concerning technology, and other essays
[159]
서적
The Word of Nietzsche: God is Dead
[160]
서적
[161]
웹아카이브
China and Other Matter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21-08-16
[162]
웹아카이브
Heidegger and the problem of knowledge
https://books.google[...]
2021-08-16
[163]
서적
Cartesian Meditations: An Introduction to Phenomenology
[164]
웹아카이브
A Discourse on the Method of Correctly Conducting One's Reason and Seeking Truth in the Scienc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1-08-16
[165]
서적
The Philosophical Writings of Descart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5-24
[166]
웹사이트
The Rosicrucian history
https://www.rosicruc[...]
2021-05-13
[167]
학술지
"R.C.": Rosicrucianism and Cartesianism in Joyce and Beckett
https://journals.ope[...]
2011-06-24
[168]
학술지
Rosicrucian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01-26
[169]
학술지
Esotericism in reverse. Descartes and the poetic imagination in the seventeenth century
https://www.research[...]
2018-04-21
[170]
서적
The Scientific Revolution in National Contex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1]
서적
Descartes on Polyhedra: A Study of the "De solidorum elementis"
Springer
[172]
서적
The Philosophical Writings of Descart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173]
뉴스
Unknown letter from Descartes found
http://www.nrc.nl/in[...]
2010-02-25
[174]
뉴스
Hoe Descartes in 1641 op andere gedachten kwam
http://www.nrc.nl/we[...]
[175]
간행물
1821년에 스웨덴에서 발견된 두개골만은, 파리 시내에 있는 샤이요궁의 인류박물관에 보관되고, 1999년 7월 31일부터 동 10월 17일까지 일본의 국립과학박물관에서 개최된 <대「얼굴」전>에서, 두개골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복원된 흉상과 함께, 전시되었다. 인류박물관은 2010년 현재 개장 중이기 때문에, 두개골은 동시내의 국립자연사박물관에 보관되어 있고, 전시는 되어 있지 않다.
[176]
서적
方法序説
ちくま書房
[177]
서적
方法序説
岩波文庫
[178]
기타
[179]
논문
デカルトあるいは熟慮断行の哲学者
中央公論新社
2001
[180]
웹사이트
Detailed Discussion of Philosophy and Animals
https://www.animalla[...]
2022-03-29
[181]
웹사이트
Scientists Have Learned from Cases of Animal Cruelty
https://www.realclea[...]
2022-03-29
[182]
기타
[183]
서적
Radical Cartesianism: The French Reception of Descartes'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184]
서적
Philosophy for the future: the quest of modern materialism
https://archive.org/[...]
[185]
서적
The Age of the World Picture
[186]
서적
Postmodern theory and biblical theology: vanquishing God's shadow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187]
서적
Crisis theory and world order: Heideggerian reflections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188]
서적
introduction to Martin Heidegger's The question concerning technology, and other essays
[189]
서적
The modern practice of adult education: a postmodern critique
https://archive.org/[...]
[190]
서적
The Word of Nietzsche: God is Dead
[191]
기타
[192]
서적
China and Other Matter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3]
서적
Heidegger and the problem of knowledge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194]
서적
Cartesian Meditations: An Introduction to Phenomenology
[195]
서적
A Discourse on the Method of Correctly Conducting One's Reason and Seeking Truth in the Scienc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6]
서적
The Philosophical Writings of Descart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5-24
[197]
웹사이트
The Rosicrucian history
https://www.rosicruc[...]
2021-05-13
[198]
학술지
"R.C.": Rosicrucianism and Cartesianism in Joyce and Beckett
https://journals.ope[...]
2021-05-13
[199]
학술지
Rosicrucian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05-13
[200]
학술지
Esotericism in reverse. Descartes and the poetic imagination in the seventeenth century
https://www.research[...]
2021-05-13
[201]
서적
デカルト「方法序説」を読む
岩波現代文庫
[202]
서적
デカルトと哲学書簡
知泉書館
[203]
기타
[204]
서적
Math and Mathematicians: The History of Math Discoveries Around the World; Vol. 1
https://archive.org/[...]
U X L
[205]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Descart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6]
웹인용
All-history.org
http://all-history.o[...]
2014-12-23
[207]
서적
Descartes : a biography
https://www.worldc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8]
웹사이트
Descartes, Rene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iep.utm.edu/[...]
2021-07-27
[209]
서적
Math and Mathematicians: The History of Math Discoveries Around the World; Vol. 1
https://archive.org/[...]
U X L
[210]
서적
The Greatest Benefit to Mankind: A Medical History of Humanity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Harper Collins
[211]
서적
Math and Mathematicians: The History of Math Discoveries Around the World; Vol. 1
https://archive.org/[...]
U X L
2003
[212]
서적
From Plato to Derrida
Pearson Prentice Hall
2008
[213]
서적
성찰: 해제 르네 데카르트를 찾아서- 성찰의 시대, 시대의 성찰
책세상
2011
[214]
웹사이트
René Descartes - Biography
https://mathshistory[...]
2020-09-27
[215]
서적
Institutio Oratoria: Bacon, Descartes, Hobbes, Spinoza
https://books.google[...]
Brill
2009
[216]
서적
Math and mathematicians : the history of math discoveries around the world; Vol. 1
https://archive.org/[...]
U X L
2003
[217]
서적
Les Principes de la Philosophie. Introduction et notes
Librairie Philosophique J. Vrin
1970
[218]
서적
Math and mathematicians : the history of math discoveries around the world; Vol. 1
https://archive.org/[...]
U X L
2003
[219]
백과사전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혼돈 속 길을 찾아… 인간 본성 성찰, 사회구조 진단 [.tx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