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수 곡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수 곡선은 고전적으로 차원이 1인 대수다양체로 정의되며, 현대 대수기하학에서는 1차원 스킴으로 일반화된다. 유클리드 평면에서 대수 곡선은 이변량 다항식 방정식의 해 집합으로 표현되며, 특이점과 호로 분해될 수 있다. 대수적으로 닫힌 체 위의 대수 곡선은 완비 대수다양체와 사영 대수다양체가 서로 동치이며, 비특이 사영 평면 곡선과 쌍유리 동치이다. 대수 곡선은 종수로 분류되며, 종수가 0인 곡선은 유리 곡선, 1인 곡선은 타원 곡선이다. 특이 대수 곡선은 정규화를 통해 비특이 곡선으로 변환될 수 있으며, 산술 종수와 기하 종수가 존재한다. 사영 공간에 매장된 대수 곡선은 차수를 가지며, 평면 곡선은 종수-차수 공식을 따른다. 대수 곡선은 1차와 2차 곡선, 3차 곡선 등으로 분류되며, 초타원 곡선과 같은 고차 곡선도 존재한다. 대수 곡선의 해석적 구조는 푸쇠 급수를 통해 표현되며, 비평면 대수 곡선은 아핀 공간에서 다항식으로 정의된다. 대수 곡선은 대수 함수체와 관련되며, 복소 곡선은 곡면을 형성하고 콤팩트 리만 곡면과 범주적으로 동치이다. 현대 대수 기하학에서 쌍유리 기하학, 타원 곡선, 분수 아이디얼, 함수체, 종수 등이 중요하게 다루어지며, 리만-후르비츠 공식과 리만-로흐 정리가 리만 곡면 기하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수 곡선 - 원뿔 곡선
    원뿔 곡선은 평면과 이중 원뿔의 교차로 생기는 타원, 포물선, 쌍곡선 세 종류의 곡선이며, 이차 방정식으로 표현되고 천체의 궤도나 광학 기기 설계 등에 응용된다.
  • 대수 곡선 - 클라인 4차 곡선
    클라인 4차 곡선은 2차원 복소수 사영 공간에서 정의되는 4차 동차 다항식으로 표현되는 복소 사영 대수 곡선이며, 종수 3의 콤팩트 리만 곡면이고, 크기가 168인 PSL(2;F7)과 동형인 방향 보존 리만 곡면 자기 동형군을 갖는다.
대수 곡선
정의
정의2차원 아핀 공간 또는 사영 공간에서 다항식의 영점 집합으로 정의되는 곡선
다른 표현또는 을 만족하는 점들의 집합
예시원: 0}}
종류
기약 대수 곡선하나의 기약 다항식으로 정의되는 대수 곡선
평면 곡선평면 위에 놓인 대수 곡선
공간 곡선3차원 공간에 놓인 대수 곡선
비평면 곡선(비평면적)평면에 놓이지 않는 대수 곡선
비평면 삼차 곡선(꼬인 삼차 곡선)3차원 공간에 놓인 3차 대수 곡선
유리 곡선유리 함수로 매개변수화할 수 있는 대수 곡선
타원 곡선종수가 1인 대수 곡선
초타원 곡선방정식 로 표현되는 대수 곡선 (여기서 f는 다항식)
특이점을 갖는 곡선미분 불가능한 점을 갖는 대수 곡선
성질
차원1차원
종수곡선의 "구멍"의 수 (위상수학적 불변량)
기약성더 작은 대수 곡선으로 분해할 수 없는 성질
예시
원뿔 곡선
타원
쌍곡선
포물선
삼차 곡선타원 곡선
치른하우젠의 삼차 곡선(Tschirnhausen cubic)
사차 곡선베르누이의 르미니스케이트

2. 정의

고전적으로, 대수 곡선은 차원이 1인 대수다양체였다. 현대 대수기하학에서는 스킴 이론의 발달로 이 정의가 더 일반화되었으며, 임의의 1차원 스킴을 일컫는다.

유클리드 평면에서 대수 곡선은 좌표가 이변량 다항식 방정식 ''p''(''x'', ''y'') = 0의 해인 점들의 집합이다. 이 방정식은 종종 곡선의 음함수 방정식이라고 불린다.

사영 공간에서 곡선을 고려하는 것은 종종 바람직하다. 사영 평면 또는 평면 사영 곡선에서 대수 곡선은 세 변수 ''P''(''x'', ''y'', ''z'')에 대한 동차 다항식의 사영 좌표가 0인 사영 평면의 점들의 집합이다.

방정식 ''p''(''x'', ''y'') = 0인 모든 아핀 대수 곡선은 방정식 ^hp(x,y,z)=0,의 사영 곡선으로 완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hp(x,y,z)=z^{\deg(p)}p\left(\frac{x}{z},\frac{y}{z}\right)

는 ''p''의 동차화의 결과이다. 반대로, ''P''(''x'', ''y'', ''z'') = 0이 사영 곡선의 동차 방정식인 경우, ''P''(''x'', ''y'', 1) = 0은 세 번째 사영 좌표가 0이 아닌 사영 곡선의 점으로 구성된 아핀 곡선의 방정식이다. 이 두 연산은 서로 상호적이며, ^hp(x,y,1)=p(x,y)이고, 만약 ''p''가 p(x,y)=P(x,y,1)로 정의되면, 동차 다항식 ''P''가 ''z''로 나누어지지 않는 한 ^hp(x,y,z)=P(x,y,z),이다.

예를 들어, 방정식 ''x''2 + ''y''2 − ''z''2의 사영 곡선은 방정식 ''x''2 + ''y''2 − 1 = 0인 단위 원의 사영 완비화이다.

3. 성질

대수적으로 닫힌 체 위에서 완비 대수다양체인 것과 사영 대수다양체인 것은 서로 동치이다.[10] 대수적으로 닫힌 체 위의 모든 완비 대수 곡선은 비특이 사영 평면 곡선과 쌍유리 동치이다. 복소수체의 경우, 모든 콤팩트 리만 곡면은 항상 대수적이다. (이는 2차원 이상에서는 성립하지 않는다.) 즉, 콤팩트 리만 곡면은 복소수체에 대한 비특이 사영 대수 곡선을 이루며, 항상 3차원 복소수 사영 공간 \mathbb CP^3으로 매장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 3개의 분류 문제가 일치한다.


  • 완비 대수 곡선의 쌍유리 동치류에 대한 분류
  • 비특이 사영 평면 곡선들의 동형에 대한 분류
  • (복소수체 위의 경우) 연결 콤팩트 리만 곡면의 쌍정칙 함수에 대한 분류


비특이 대수 곡선은 일차적으로 '''종수'''(genus영어) g로 분류되며, 이는 쌍유리 불변량이다. 종수는 음이 아닌 정수이며, 이는 위상수학적으로 g개의 원환면들의 연결합인 콤팩트 리만 곡면에 대응한다. 각 종수에 대하여 비특이 대수 곡선들의 모듈러스 스택 \mathcal M_g이 존재한다. 만약 비특이성 조건을 약화시켜 모든 안정 곡선들의 모듈러스 공간 \bar{\mathcal M}_g을 고려하면, 이는 콤팩트 공간을 이룬다. \mathcal M_g의 비특이 피복 공간은 '''타이히뮐러 공간'''이라고 한다.

종수가 0인 대수 곡선은 '''유리 곡선'''이라고 하며, 종수가 1인 대수 곡선은 '''타원 곡선'''이라고 한다. 유리곡선은 사영 직선과 쌍유리 동치이다.

3. 1. 특이 대수 곡선

특이점을 갖는 대수 곡선의 분류는 더 복잡하다. 특이 대수 곡선의 경우 산술종수기하종수보다 큰 경향이 있다. 정규화를 통해 특이 대수 곡선은 비특이 대수 곡선으로 변환될 수 있다.[10]

정규화 \tilde C는 비특이 대수 곡선이며, C의 산술 종수는 다음과 같다.

:p_a(C)=g(\tilde C)+\sum_{x\in C}\operatorname{length}(\tilde{\mathcal O}_x/\mathcal O_x)

여기서 \operatorname{length}가군의 길이를 나타내며, 유한 개의 점에서만 양의 길이를 갖는다는 것을 보일 수 있다.

부풀리기를 통해서도 대수 곡선의 특이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산술 종수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부풀리기를 반복해야 한다. 기하 종수는 쌍유리 불변량이지만, 산술 종수는 쌍유리 불변량이 아니다. 특이 대수 곡선 C에서 주어진 특이점 z\in C부풀리기를 통해 해소하여 \tilde C를 얻었다고 하자. 만약 특이점의 중복도가 \operatorname{mult}z라고 한다면, \tilde C의 산술 종수 p_a는 다음과 같다.[10]

:p_a(\tilde C)=p_a(C)-\frac12(\operatorname{mult}z)(\operatorname{mult}z-1)

즉, 특이점을 해소할 때마다 산술 종수가 감소한다.

3. 2. 산술적 곡선

유리수체나 정수환 등 위에서의 대수 곡선 분류는 매우 복잡하며, 대수적 수론의 주요 연구 분야이다. 예를 들어, 수체의 대수적 정수환의 스펙트럼은 1차원 스킴을 이룬다.[1]

3. 3. 사영 공간 속의 대수 곡선

대수 곡선을 사영 공간에 매장했을 때, 차수(次數, degree영어)라는 불변량을 정의할 수 있다. 사영 공간 \mathbb P^n 속의 대수 곡선의 차수는 일반적인 n-1차원 초평면과의 교차점의 수이다.[2]

''n''차원 사영 공간에서 n-1개의 동차다항식 p_1,\dots,p_{n-1}의 완전 교차로 주어지는 대수 곡선 C의 차수는 각 다항식들의 차수의 곱이다.

:\deg C=\prod_{i=1}^{n-1}\deg p_i

사영 평면 또는 '''평면 사영 곡선'''에서 대수 곡선은 세 변수 ''P''(''x'', ''y'', ''z'')에 대한 동차 다항식의 사영 좌표가 0인 사영 평면의 점들의 집합이다.

방정식 ''p''(''x'', ''y'') = 0인 모든 아핀 대수 곡선은 방정식 ^hp(x,y,z)=0,의 사영 곡선으로 완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hp(x,y,z)=z^{\deg(p)}p\left(\frac{x}{z},\frac{y}{z}\right)

는 ''p''의 동차화 결과이다. 반대로, ''P''(''x'', ''y'', ''z'') = 0이 사영 곡선의 동차 방정식인 경우, ''P''(''x'', ''y'', 1) = 0은 세 번째 사영 좌표가 0이 아닌 사영 곡선의 점으로 구성된 아핀 곡선의 방정식이다. 이 두 연산은 서로 상호적이며, ^hp(x,y,1)=p(x,y)이고, 만약 ''p''가 p(x,y)=P(x,y,1)로 정의되면, 동차 다항식 ''P''가 ''z''로 나누어지지 않는 한 ^hp(x,y,z)=P(x,y,z),이다.[2]

예를 들어, 방정식 ''x''2 + ''y''2 − ''z''2 = 0의 사영 곡선은 방정식 ''x''2 + ''y''2 − 1 = 0인 단위 원의 사영 완비화이다.

이는 아핀 곡선과 그 사영 완비화가 동일한 곡선임을 의미하거나, 더 정확하게는 아핀 곡선이 "완전한" 곡선을 잘 정의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큰 사영 곡선의 일부임을 의미한다. 이 관점은 아핀 곡선의 "무한대 점"을 아핀 부분에 속하지 않는 사영 완비화의 점(유한 개수)이라고 부름으로써 일반적으로 표현된다.

사영 곡선은 종종 그 자체로 연구된다. 또한 아핀 곡선 연구에도 유용하다. 예를 들어, ''p''(''x'', ''y'')가 아핀 곡선을 정의하는 다항식인 경우, 편도함수 p'_x p'_y 외에도, '''무한대에서의 도함수'''

p'_\infty(x,y)={^hp'_z(x,y,1)}.

를 고려하는 것이 유용하다.

예를 들어, 점 (''a'', ''b'')에서 방정식 ''p''(''x'', ''y'') = 0인 아핀 곡선의 접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xp'_x(a,b)+yp'_y(a,b)+p'_\infty(a,b)=0.

4. 평면 곡선

사영 평면에서 대수 곡선('''평면 사영 곡선''')은 세 변수 ''P''(''x'', ''y'', ''z'')에 대한 동차 다항식의 사영 좌표가 0인 점들의 집합이다.

방정식 ''p''(''x'', ''y'') = 0인 모든 아핀 대수 곡선은 방정식 ^hp(x,y,z)=0의 사영 곡선으로 완성될 수 있다. 여기서

^hp(x,y,z)=z^{\deg(p)}p\left(\frac{x}{z},\frac{y}{z}\right)

는 ''p''의 동차화 결과이다. 반대로, ''P''(''x'', ''y'', ''z'') = 0이 사영 곡선의 동차 방정식인 경우, ''P''(''x'', ''y'', 1) = 0은 세 번째 사영 좌표가 0이 아닌 사영 곡선의 점으로 구성된 아핀 곡선의 방정식이다. 두 연산은 서로 상호적이며, ^hp(x,y,1)=p(x,y)이고, ''p''가 p(x,y)=P(x,y,1)로 정의되면, 동차 다항식 ''P''가 ''z''로 나누어지지 않는 한 ^hp(x,y,z)=P(x,y,z)이다.

예를 들어, 방정식 ''x''2 + ''y''2 − ''z''2의 사영 곡선은 방정식 ''x''2 + ''y''2 − 1 = 0인 단위 원의 사영 완비화이다.

이는 아핀 곡선과 그 사영 완비화가 동일한 곡선임을 의미한다. 더 정확하게는 아핀 곡선이 "완전한" 곡선을 잘 정의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큰 사영 곡선의 일부임을 의미한다. 이 관점은 아핀 곡선의 "무한대 점"을 아핀 부분에 속하지 않는 사영 완비화의 점(유한 개수)이라고 부름으로써 일반적으로 표현된다.

사영 곡선은 종종 그 자체로 연구된다. 또한 아핀 곡선 연구에도 유용하다. 예를 들어, ''p''(''x'', ''y'')가 아핀 곡선을 정의하는 다항식인 경우, 편도함수 p'_x p'_y 외에도, '''무한대에서의 도함수'''

p'_\infty(x,y)={^hp'_z(x,y,1)}

를 고려하는 것이 유용하다.

점 (''a'', ''b'')에서 방정식 ''p''(''x'', ''y'') = 0인 아핀 곡선의 접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xp'_x(a,b)+yp'_y(a,b)+p'_\infty(a,b)=0

'''사영 평면 곡선'''(projective plane curve영어)은 사영 평면 \mathbb P^2 속의 대수 곡선이다. 첨가 공식 및 리만-로흐 정리를 통해 (산술)종수와 차수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10]

:g=\binom{d-1}2=\frac12(d-1)(d-2)

이를 '''종수-차수 공식'''(genus–degree formula영어)이라고 한다. 비특이 평면 곡선의 경우 위 값은 기하종수와 같지만, 특이 평면 곡선의 경우 기하종수는 위 값보다 더 작다.

낮은 차수의 비특이 평면 곡선에는 다음과 같은 이름이 있다.



유클리드 평면에서 대수 곡선은 좌표가 이변량 다항식 방정식 ''p''(''x'', ''y'') = 0의 해인 점들의 집합이다. 이 방정식은 ''y''를 ''x''의 함수로 '명시적'으로 정의하는 함수의 그래프인 곡선과는 대조적으로 음함수 방정식이라고 불린다.

모든 대수 곡선은 부드럽고 단조로운 (때로는 "분기"라고도 함)의 유한한 수로 고유하게 분해될 수 있으며, 때로는 "특이점"이라고 불리는 일부 점에 의해 연결되기도 하고, 가능한 고립점의 유한한 수도 있다.

대수 곡선을 그리려면 특이점과 그 접선, 무한 분기 및 그 점근선 (있는 경우) 및 호가 어떻게 연결되는지 아는 것이 중요하다.

4. 1. 평면 곡선의 특이점

평면 곡선은 유한 개의 특이점을 가질 수 있다. 특이점 근처에서 평면 곡선이 f\in\mathbb C[x,y]에 대하여 f=0으로 정의될 때, 다음과 같은 불변량들을 정의할 수 있다.[10]

  • 특이점의 중복수 (multiplicity) \operatorname{mult}(f)f의 도함수가 0인 최고 차수이다.
  • 특이점의 밀너 수 (Milnor number) \mu는 위상수학적으로 특이점 근처의 작은 구 위에서 연속 함수 \nabla f(x,y)/\Vert \nabla f(x,y)\Vert의 차수이다.
  • 델타 불변량 (delta-invariant) \delta
  • 분지수 (branching number) r


이러한 불변량들을 통해 특이점의 종류를 분류할 수 있다.

  • n중점 (n-tuple point): 중복수·델타 불변량·분지수 [n,n(n-1)/2,n]의 꼴
  • 첨점 (cusp): [2,1,1]의 꼴[1]


유클리드 평면에서 대수 곡선은 좌표가 이변량 다항식 방정식 ''p''(''x'', ''y'') = 0의 해인 점들의 집합이다. 이 방정식은 종종 곡선의 음함수 방정식이라고 불린다.[5]

차수 ''d''의 특이 평면 곡선의 경우, 다음의 '''종수-차수 공식'''이 성립한다.

:g = \frac12(d-1)(d-2) - \sum_P \delta_P

이는 첨가 공식 또는 리만-후르비츠 공식을 통해 증명할 수 있다.

5. 공간 곡선

'''사영 공간 곡선'''(영어: projective space curve영어)은 3차원 사영 공간 \mathbb P^3 속의 대수 곡선이다.

공간 곡선의 경우, 가능한 종수와 차수의 관계는 평면 곡선보다 더 복잡하다. 차수가 d\le 7인 경우는 완전히 분류되었으나, d\ge8은 아직 완전히 알려지지 않았다.[10]

일반적으로, 평면 곡선이 아닌 ''d''차 ''g''종 대수 곡선의 경우 d\ge3이다. 이 경우 가능한 종수는 다음과 같다.[10]


  • g\le d-3인 경우 항상 이 종수를 가진 대수 곡선이 존재한다.
  • d-3인 경우 일반적으로 대수 곡선이 존재하는지 여부가 알려져 있지 않다.
  • g=\lfloor d^2/4\rfloor-d+1인 경우 항상 대수 곡선이 존재하며, 이는 항상 이차 곡면의 부분 곡선이다.
  • g>\lfloor d^2/4\rfloor-d+1는 (평면 곡선 g=(d-1)(d-2)/2을 제외하고는) 불가능하다.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가능한 공간 곡선의 차수와 종수는 다음과 같다.[10]

g / d12345678910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여기서 각 칸의 기호는 다음을 의미한다.


  • ○: 평면 곡선이 존재
  • ●: 평면 곡선이 아닌 공간 곡선이 존재
  • ?: 공간 곡선의 존재 여부가 알려지지 않음
  • (비어 있음): 공간 곡선 불가능


3차원 사영 공간 속에서, 차수 d_1, d_2의 두 대수 곡면의 완전 교차로 얻어지는 대수 곡선의 산술 종수 p_a는 다음과 같다.[10]

:p_a=\frac12d_1d_2(d_1+d_2-4)+1

만약 곡선이 비특이 대수 곡선이라면 이는 기하 종수와 같다. 예를 들어, 유리 곡선이나 타원 곡선 등을 얻으려면, 다음과 같은 비특이 완전 교차를 취하면 된다.

  • 종수 0: (1,1), (1, 2)
  • 종수 1: (1,3), (2,2)
  • 종수 3: (1,4)
  • 종수 4: (2,3)

6. 예시

유클리드 평면에서 대수 곡선은 좌표가 이변량 다항식 방정식 ''p''(''x'', ''y'') = 0의 해인 점들의 집합이다. 이 방정식은 종종 곡선의 음함수 방정식이라고 불린다.

예를 들어, 치른하우젠 입방체는 원점 (0,0)을 끝점으로 하는 두 개의 무한 호를 가진다. 이 점은 곡선의 유일한 특이점이다. 또한 이 특이점을 한쪽 끝점으로 하고 수평 접선을 갖는 두 개의 호가 있으며, 수평 접선을 가진 이 점 중 하나를 첫 번째 끝점으로 하고 수직 접선을 가진 고유한 점을 두 번째 끝점으로 하는 두 개의 다른 호가 있다. 반대로, 정현파는 무한 개의 단조 호를 가지므로 대수 곡선이 아니다.

방정식 ''x''2 + ''y''2 − ''z''2 = 0의 사영 곡선은 방정식 ''x''2 + ''y''2 − 1 = 0인 단위 원의 사영 완비화이다.

평면 곡선도 참고

6. 1. 1차 · 2차 곡선

1차 평면 곡선은 사영 직선과 같다. 사영 직선은 다음 방정식으로 표현된다.

:\begin{pmatrix}a&b&c\end{pmatrix}\begin{pmatrix}x\\y\\z\end{pmatrix}=0

여기서 a, b, c는 계수이며, x, y, z는 좌표이다. 0이 아닌 임의의 α에 대해 (a, b, c)를 (αa, αb, αc)로 바꾸어도 같은 곡선을 나타내므로, 사영 직선의 모듈러스 공간은 \mathbb P^2이다. 사영 직선은 평면 위의 서로 다른 두 점에 의해 결정된다. 복소수체 위에서 사영 직선은 위상수학적으로 리만 구 \mathbb{CP}^1와 같다.

2차 평면 곡선은 원뿔 곡선과 같다. 원뿔 곡선은 다음 방정식으로 표현된다.

:\begin{pmatrix}x&y&z\end{pmatrix}M\begin{pmatrix}x\\y\\z\end{pmatrix}=0\qquad(M=M^\top)

여기서 M은 3×3 복소수 대칭 행렬이다. 3×3 복소수 대칭 행렬은 6개의 독립된 성분을 가지며, 임의의 0이 아닌 α에 대해 M과 αM은 같은 원뿔 곡선을 나타내므로, 평면 원뿔 곡선의 모듈러스 공간은 \mathbb P^5이다. 즉, 평면 원뿔 곡선은 5개의 일반적인 점에 의해 결정된다. 만약 M이 가역 행렬이 아니면, 원뿔 곡선은 더 이상 기약 대수다양체가 아니며, 두 개의 사영 직선의 합집합이 된다.[2]

6. 2. 3차 곡선

비특이 3차 곡선은 타원 곡선을 이룬다. 이는 종수 1의 대수 곡선이며, 1차원 아벨 다양체를 이룬다. 3차 곡선은 9개의 점에 의하여 결정된다.

기약 3차 곡선의 가능한 특이점은 하나의 이중점 또는 하나의 첨점이다. 예를 들어, 3차 곡선

:x^3=zy^2

은 원점에서 중복도 2의 첨점을 갖는다. 이 경우 산술 종수는 1이지만, 기하 종수는 중복도에 의하여 0이다. 편의상, 동차좌표 z를 생략하여 x^3=y^2로 쓸 수 있다.



이 경우, 부풀리기를 통해 y\mapsto ux로 치환하면 x^2(x-u^2)=0을 얻는다. 축소 스킴을 취하면, 이는 원뿔 곡선 x=u^2과 사영 직선 x=0의 합집합이다. 원점은 접촉점(point of osculation|접촉점영어)이므로 엄밀히 말하면 특이점이지만, 이는 두 번 더 부풀리기를 하여 해소할 수 있다.[10]

다른 예로, 3차 곡선

:y^2z=x^3+x^2z

은 원점에서 이중점을 갖는다.



편의상, 동차좌표 z를 생략하고, 원점을 부풀려 y\mapsto ux로 치환하면 0=x^3(u^2-x-1)을 얻는다. 축소 스킴을 취하면, 이는 원뿔 곡선 u^2=x+1과 사영 직선 x=0의 합집합이다. 따라서 기하 종수가 0임을 알 수 있다.

6. 3. 고차 곡선

초타원 곡선은 다음과 같은 형태의 방정식으로 표현되는 곡선이다.

:z^{\deg p-2}y^2=p(x,z)

여기서 p는 5차 이상의 동차다항식이다. 이 경우, 기하 종수는

:g=\lfloor(\deg p-1)/2\rfloor

이다.

종수가 3인 곡선은 모두 초타원 곡선으로 나타낼 수 있지만, 종수가 4 이상인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

7. 해석적 구조

푸쇠 급수를 사용하면 대수 곡선의 특이점 근처에서 곡선의 분기를 해석적으로 매개변수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특이점 근처에서 곡선의 위상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1]

실수 대수 곡선은 특이점 근처에서 유한 개의 분기들의 합집합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 분기들은 특이점에서만 교차하거나 첨점 또는 매끄러운 곡선처럼 보인다.[1]

정칙점 근처에서는 곡선의 좌표 중 하나를 다른 좌표의 해석 함수로 표현할 수 있다. 이는 음함수 정리의 결과이며, 곡선이 그 점 근처에서 매끄럽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특이점 근처에서는 상황이 더 복잡해지며, 푸쇠 급수를 통해 분기의 해석적 매개변수 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1]

8. 비평면 대수 곡선

차원이 ''n''인 아핀 공간의 '''아핀 곡선'''은 최소 ''n'' − 1개의 다변수 다항식으로 정의된다. 이 다항식들은 크룰 차원이 1인 소 아이디얼을 생성해야 한다.

f, g_0, g_3, \ldots, g_n을 두 변수 ''x''1과 ''x''2에 대한 ''n''개의 다항식으로 정의하고, ''f''는 기약적이라고 하자. 다음 방정식과 부등식을 만족하는 차원 ''n''의 아핀 공간의 점은 유한 개의 점이 제거된 대수 곡선의 모든 점이다.

\begin{align}

&f(x_1,x_2)=0\\

&g_0(x_1,x_2)\neq 0\\

x_3&=\frac{g_3(x_1,x_2)}{g_0(x_1,x_2)}\\

& {}\ \vdots \\

x_n&=\frac{g_n(x_1,x_2)}{g_0(x_1,x_2)}

\end{align}

이 곡선은 g_0^khf, x_3g_0-g_3, \ldots, x_ng_0-g_n에 의해 생성된 아이디얼에 속하도록 하는 정수 ''k''가 존재하는 다항식 ''h''의 아이디얼의 생성 시스템에 의해 정의된다. 이 표현은 곡선과 ''f''로 정의된 평면 곡선 사이의 쌍유리 동치이다.

이 표현을 통해 평면 투영의 해당 속성에서 그래프 표현을 포함하여 비평면 대수 곡선의 모든 속성을 쉽게 유추할 수 있다.

암시적 방정식으로 정의된 곡선의 경우, 곡선의 위 표현은 작은 변수의 블록이 (''x''1, ''x''2)인 블록 순서에 대한 괴르너 기저에서 쉽게 유추할 수 있다.

9. 대수 함수체

쌍유리 동치인 경우, 체 ''F'' 위의 기약 곡선은 ''F'' 위의 일변수 대수 함수체와 범주적으로 동치이다. 이러한 대수 함수체는 ''F''의 체 확장 ''K''이며, ''F''에 대해 초월적인 원소 ''x''를 포함하고 ''K''가 ''F''(''x'')의 유한 대수 확장인 체를 의미한다. 여기서 ''F''(''x'')는 ''F'' 위의 미지수 ''x''의 유리 함수체이다.[10]

예를 들어, 복소수 체 '''C''' 위에서 '''C'''(''x'')를 '''C'''-계수 유리 함수체로 정의할 수 있다. 만약 y^2 = x^3 - x - 1이라면, 체 '''C'''(''x'', ''y'')는 타원 함수체이다. 원소 ''x''는 유일하게 결정되지 않으며, '''C'''(''y'')의 확장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함수체에 해당하는 대수 곡선은 단순히 '''C'''2에서 y^2 = x^3 - x - 1을 만족하는 점 (''x'', ''y'')의 집합이다.

체 ''F''가 대수적 폐체가 아닌 경우, 함수체의 관점은 점의 자취를 고려하는 것보다 조금 더 일반적인데, 점이 없는 "곡선"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기저 체 ''F''가 실수 체 '''R'''인 경우, x^2 + y^2 = -1는 '''R'''(''x'')의 대수 확장 체를 정의하지만, '''R'''2의 부분 집합으로 간주되는 해당 곡선에는 점이 없다. 방정식 x^2 + y^2 = -1은 scheme 의미에서 '''R''' 위에 기약 대수 곡선을 정의한다. 즉, 정수 분리된 1차원 scheme으로, '''R''' 위에 유한형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F'' 위의 기약 대수 곡선(쌍유리 동치)과 ''F'' 위의 일변수 대수 함수체 사이의 일대일 대응은 일반적으로 성립한다.

두 곡선은 동형이 아니더라도 쌍유리적으로 동치일 수 있다(즉, 동형 함수체를 가질 수 있다). 특이점이 없는 곡선을 다룰 때 상황이 더 쉬워진다. 체 위의 두 비특이 사영 곡선은 함수체가 동형일 때만 동형이다.

Tsen의 정리는 대수적으로 닫힌 체 위의 대수 곡선의 함수체에 관한 것이다.

10. 복소 곡선과 실수 곡면

복소 사영 대수 곡선은 ''n''차원 복소 사영 공간 '''CP'''''n''에 존재한다. 이것은 복소 차원 ''n''을 가지지만, 실수 다양체로서 위상 차원은 2''n''이며, 콤팩트 공간, 연결 공간이고, 가향성을 가진다. 마찬가지로 '''C''' 위의 대수 곡선은 위상 차원 2를 가지는데, 이는 곡면이다.

이 곡면의 위상학적 종수, 즉 손잡이 또는 도넛 구멍의 개수는 대수 곡선의 기하학적 종수와 같으며, 대수적인 방법으로 계산할 수 있다. 간단히 말해, 차수 ''d''를 갖고 오직 일반 특이점(서로 다른 접선을 가진 중복도 2의 특이점)만 있는 비특이 곡선의 평면 투영을 고려하면, 종수는 (''d'' − 1)(''d'' − 2)/2 − ''k''인데, 여기서 ''k''는 이러한 특이점의 개수이다.

10. 1. 콤팩트 리만 곡면

리만 곡면은 복소 1차원의 연결된 복소해석 다양체이며, 이는 2차원 연결 실수 다양체를 구성한다. 콤팩트 리만 곡면은 위상 공간으로서 콤팩트하다.

'''C''' 위의 매끄러운 기약 사영 대수 곡선 범주 (비상수 정칙 사상을 사상으로 사용), 콤팩트 리만 곡면 범주 (비상수 정칙 함수를 사상으로 사용), 그리고 '''C''' 위의 1변수 대수 함수체 범주의 쌍대 범주 ('''C'''를 고정하는 체 준동형 사상을 사상으로 사용) 사이에는 세 가지 범주 동치가 존재한다.[10] 이는 이 세 가지 주제를 연구하는 것이 일종의 동일한 것을 연구하는 것과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대수 기하학에서 복소해석적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복소해석학과 체론적 방법에서 대수 기하학적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대수 기하학의 훨씬 더 광범위한 문제의 특징이다.

11. 현대 대수 기하학

쌍유리 동치까지, 체 *F* 위의 기약 곡선은 *F* 위의 일변수 대수 함수체와 범주적으로 동치이다. 이러한 대수 함수체는 *F*의 체 확장 *K*로, *F*에 대해 초월적인 원소 *x*를 포함하고 *K*가 *F*(*x*)의 유한 대수 확장인 체를 의미하며, 여기서 *F*(*x*)는 *F* 위의 미지수 *x*의 유리 함수체이다.

예를 들어, 복소수 체 '''C'''를 고려해 보자. 이 체 위에서 '''C'''(''x'')를 '''C'''의 유리 함수체로 정의할 수 있다. 만약 y^2 = x^3 - x - 1 이라면, 체 '''C'''(''x'', ''y'')는 타원 함수체이다. 원소 ''x''는 유일하게 결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C'''(''y'')의 확장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함수체에 해당하는 대수 곡선은 단순히 '''C'''2에서 y^2 = x^3 - x - 1을 만족하는 점 (''x'', ''y'')의 집합이다.

체 *F*가 대수적으로 닫혀 있지 않은 경우, 함수체의 관점은 점의 자취를 고려하는 것보다 조금 더 일반적인데, 예를 들어 점이 없는 "곡선"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기저 체 *F*가 실수 체 '''R'''인 경우, x^2 + y^2 = -1는 '''R'''(''x'')의 대수 확장 체를 정의하지만, '''R'''2의 부분 집합으로 간주되는 해당 곡선에는 점이 없다. 방정식 x^2 + y^2 = -1은 scheme 의미에서 '''R''' 위에 기약 대수 곡선을 정의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F* 위의 기약 대수 곡선(쌍유리 동치까지)과 *F* 위의 일변수 대수 함수체 사이의 일대일 대응은 일반적으로 성립한다.

두 곡선은 곡선으로서 동형이 아니더라도 쌍유리적으로 동치일 수 있다(즉, 동형 함수체를 가질 수 있다). 특이점이 없는 곡선, 즉 특이점이 없는 곡선을 다룰 때 상황이 더 쉬워진다. 체 위의 두 개의 비특이 사영 곡선은 함수체가 동형일 때만 동형이다.

Tsen의 정리는 대수적으로 닫힌 체 위의 대수 곡선의 함수체에 관한 것이다.

12. 리만 곡면의 기하학

참조

[1] 서적 Hartshorne, Algebraic Geometry, IV Ex. 1.8.
[2] 서적 Algebraic Curves: Towards Moduli Spaces https://www.springer[...]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8
[3] 웹사이트 Kontsevich's Formula for Rational Plane Curves http://www.math.utah[...]
[4] 간행물 Kötter's synthetic geometry of algebraic curves http://journals.camb[...] 1888-02
[5] 서적 Hartshorne, Algebraic Geometry, IV Ex. 1.8.
[6] 서적 Swinnerton-Dyer 1971
[7] 서적 Swinnerton-Dyer 1971
[8] 간행물 Kötter's synthetic geometry of algebraic curves http://journals.camb[...] 1888-02
[9] 서적 Algebraic Curves: An Introduction to Algebraic Geometry http://www.math.lsa.[...] Addison-Wesley 1989
[10] 서적 Algebraic Geometry Springer 197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