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애브너 더블데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애브너 더블데이는 미국의 군인으로, 남북 전쟁에서 활약했으며, 야구 발명설과 관련하여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한다. 그는 1839년 뉴욕주 쿠퍼스타운에서 야구를 발명했다는 설이 있으나, 역사적 증거는 부족하며, 야구 역사학자들은 이를 신화로 평가한다. 더블데이는 1842년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미-멕시코 전쟁, 세미놀 전쟁에 참전했으며, 남북 전쟁 중에는 요새 섬터에서 첫 포탄을 발사하는 등 여러 전투에서 활약했다. 그는 게티즈버그 전투에서 군단을 지휘했으나, 이후 지휘권을 잃고 워싱턴 D.C. 방어 업무를 맡았다. 전후에는 샌프란시스코에서 케이블카 특허를 취득하고, 텍사스에서 흑인 부대를 지휘했으며, 저술 활동과 신지학 협회 활동을 했다. 더블데이는 1893년 사망했으며, 알링턴 국립 묘지에 안장되었다. 그의 이름은 야구장, 기념비 등에 사용되었으며, 대중문화 작품에서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구의 역사 - 스핏볼
    스핏볼은 투수가 공에 침이나 이물질을 묻혀 던지는 야구 기술로, 공의 회전과 궤도를 변화시켜 타자를 속이는 데 사용되었으나, 안전 문제와 경기 조작 논란으로 인해 금지되었다.
  • 야구의 역사 - 야구의 기원
    야구는 스툴볼, 개와 고양이, 호른-빌레츠, Base 등 다양한 민속 게임과 스포츠에서 기원했으며, 크리켓과 라운더스의 영향을 받아 1845년 뉴욕 니커보커 베이스볼 클럽의 규칙 제정과 1846년 최초의 공식 경기를 통해 현대 야구의 기반이 마련되었고, 남북 전쟁을 거치며 전국적인 스포츠로 발전했다.
  • 미국 육군 소장 - 윌리엄 F. 딘
    윌리엄 F. 딘은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육군 중장으로, 남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 독일군 포로를 잡는 전공과 대전 전투에서의 용맹함으로 명예훈장을 받았으며, 한국 전쟁 중 북한군 포로로 억류되었다가 석방 후 영웅으로 귀환, 예편 후 샌프란시스코에 안장되었고 제주 4.3 사건 당시 미군정의 역할도 수행했다.
  • 미국 육군 소장 - 재커리 테일러
    재커리 테일러는 멕시코-미국 전쟁의 영웅이자 휘그당 출신으로 미국의 12대 대통령을 지냈으나, 재임 중 위장병으로 사망하여 짧은 임기를 마쳤으며, 노예제 문제에 대한 모호한 태도는 오히려 갈등을 심화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 미국의 멕시코-미국 전쟁 참전 군인 - 제퍼슨 데이비스
    미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인 제퍼슨 데이비스는 아메리카 연합국의 초대 대통령으로서 남북 전쟁 당시 남부 연합을 이끌었으며, 노예제 옹호와 남부 연합 지도자로서의 역할로 인해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미국의 멕시코-미국 전쟁 참전 군인 - 프랭클린 피어스
    프랭클린 피어스는 캔자스-네브래스카 법안 논쟁과 당파 갈등 속에서 제14대 미국 대통령을 지낸 뉴햄프셔 출신 민주당원으로, 세 아들의 죽음과 알코올 중독으로 고통받았으며 외교 정책은 후대 대통령들에게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애브너 더블데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더블데이, c. 1855-65
더블데이, c. 1855-65
출생일1819년 6월 26일
출생지뉴욕주 볼스턴 스파
사망일1893년 1월 26일
사망지뉴저지주 멘덤
안장 장소알링턴 국립묘지
군사 경력
소속미국 육군
북군
복무 기간1842년–1873년
최종 계급소장
지휘제1군단
제35 미국 보병 연대
제24 미국 보병 연대
참전 전투미멕 전쟁
제3차 세미놀 전쟁
미국 남북 전쟁
미국-인디언 전쟁
기타 정보
종교신지학

2. 초기 생애 및 경력

애브너 더블데이는 뉴욕주 볼스턴 스파에서 태어나 오번에서 성장했다.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하기 전 2년간 측량사와 토목 기사로 일했으며, 1842년 졸업 후 포병 장교로 임관했다.[30][31] 1852년 메리 휴잇과 결혼했다.[7]

2. 1. 가족 배경 및 유년 시절

더블데이는 율리시스 F. 더블데이와 헤스터 도넬리의 아들로, 뉴욕주 볼스턴 스파의 워싱턴 가와 펜윅 가 모퉁이에 있는 작은 집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애브너는 키가 매우 작았다. 가족들은 단칸방의 다락방에서 잠을 잤다.[4] 그의 아버지 쪽 할아버지 역시 애브너라는 이름을 가졌으며, 미국 독립 전쟁에 참전했다. 그의 외할아버지 토마스 도넬리는 14세에 군대에 입대하여 조지 워싱턴의 기마 사자였다. 그의 증조부인 피터 도넬리는 미닛맨이었다. 그의 아버지 율리시스 F.는 1812년 전쟁에 참전했고, 신문과 책을 출판했으며, 미국 하원에서 4년 동안 뉴욕주 오번을 대표했다.[4] 애브너는 오번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고, 나중에는 삼촌과 함께 살면서 사립 예비 고등학교에 다니기 위해 쿠퍼스타운으로 보내졌다.

볼스턴 스파의 생가

2. 2. 웨스트포인트 및 군 경력 초기

1838년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하여[30] 1842년 졸업 후 제3 미국 포병대의 명예 소위로 임관했다.[31] 졸업 당시 동기 56명 중 24등이었으며, 제임스 롱스트리트, D.H. 힐, 윌리엄 로즈크란스 등 훗날 저명한 장군들이 동기생이었다. 졸업 후 처음에는 해안 경비 임무를 맡았고, 1846년부터 1848년까지 미국-멕시코 전쟁에, 1856년부터 1858년까지 세미놀 전쟁에 참전했다.[29] 1852년 볼티모어에서 메리 휴이트와 결혼했다.[32] 1858년 찰스턴 항구의 물트리 요새로 전속되었다.[29]

3. 남북 전쟁

1861년 5월 14일 더블데이는 소령으로 진급했으며, 6월부터 8월까지 셰난도어 계곡에서 포병 부서를 지휘했고, 그 후 나다니엘 뱅크스 소장이 이끄는 포토맥 군의 사단에서 포병을 지휘했다.

1862년 2월 3일 준장으로 임명되어 포토맥 군이 반도 전역을 수행하는 동안 북부 버지니아에서 임무를 수행했다. 앤티텀 전투에서 그는 자신의 부대를 콘필드와 웨스트 우즈의 치열한 전투로 이끌었고, 한 대령은 그를 "용감한 장교 ... 놀라울 정도로 침착하며 전투의 최전선에 있었다"고 묘사했다.[5] 그는 포탄이 그의 말 근처에서 폭발하여 땅에 거세게 떨어지면서 부상을 입었다. 그는 앤티텀 전투에서의 활약으로 정규군에서 중령으로 명예 진급을 받았고, 1863년 3월에는 1862년 11월 29일자로 소장으로 진급했다.[9] 1862년 12월 프레데릭스버그 전투에서 그의 사단은 대부분 활동하지 않았다. 겨울 동안 I 군단이 재편성되었고 더블데이는 제3사단의 지휘를 맡았다. 1863년 5월 챈슬러즈빌 전투에서 사단은 예비대로 유지되었다.[5]

더블데이의 참모들은 그가 무모하거나 충동적인 행동을 피하고 상황과 가능한 대응을 신중하게 고려하는 경향을 칭찬하기 위해 "48시간"이라는 별명을 붙였다.[11] 최근 몇 년 동안, 전기 작가들은 이 별명을 모욕으로 바꾸어 "48시간"이 더블데이의 무능함과 행동의 느림을 강조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잘못 주장했다.[11]

워싱턴에 있는 동안 더블데이는 충성스러운 공화당원이자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의 확고한 지지자로 남았다. 더블데이는 게티즈버그 연설을 위해 링컨과 함께 기차를 타고 게티즈버그로 갔으며, 더블데이 대령 부부는 워싱턴에서 링컨 부부와 함께 행사에 참석했다.

3. 1. 섬터 요새

찰스턴 항구에 있는 섬터 요새 국립 기념관에 전시된 더블데이 사진


로버트 앤더슨 소령의 초상을 새겨 애브너 더블데이에게 수여됨


1858년, 더블데이는 존 L. 가드너 대령 휘하에서 찰스턴 항에 있는 몰트리 요새로 전출되었다. 남북 전쟁이 시작될 무렵, 그는 로버트 앤더슨 소령 휘하의 섬터 요새 수비대에서 대위이자 부사령관이었다.[4] 1861년 4월 12일 남부 연합군의 포격에 대한 응사로 첫 번째 반격 포탄을 발사한 대포의 조준을 맡았다. 그는 이후 이 역할을 수행한 자신을 "섬터의 영웅"이라고 불렀다.[5]

3. 2. 버지니아 전역

더블데이는 1862년 2월 3일 준장으로 임명되어 북부 버지니아 전역에서 임무를 수행했다. 그의 첫 전투 임무는 북부 버지니아 전역 중 버지니아 군의 III 군단 제1사단 제2여단을 이끄는 것이었다. 제2차 불런 전투 직전, 브라우너 농장에서의 전투에서 그는 더 큰 규모의 남부군에 맞서 존 기번 준장의 여단을 지원하기 위해 자신의 연대 2개를 파견하는 과감한 조치를 취하여 팽팽한 교전을 벌였다. 당시 그의 사단장인 루퍼스 킹 준장이 간질 발작으로 무력화되었기 때문에 개인적인 주도력이 필요했다.[8] 그는 존 P. 해치 준장으로 교체되었다.[8] 그의 부대는 제임스 롱스트리트 소장이 이끄는 군단을 만나 패주했지만, 다음 날인 8월 30일 해치가 부상을 입자 사단을 지휘하게 되었고, 연합군의 후퇴를 엄호하기 위해 병력을 이끌었다.[5]

3. 3. 게티즈버그 전투

1863년 7월 1일, 게티즈버그 전투가 시작되었을 때, 더블데이의 사단은 존 버포드 준장의 기병 사단을 지원하기 위해 전장에 투입된 두 번째 보병 사단이었다. 그의 군단장인 존 F. 레이놀즈 소장이 전투 초기에 사망하자 더블데이는 오전 10시 50분에 군단을 지휘하게 되었다.[5] 그의 부대는 오전 동안 훌륭하게 싸우며 완강한 저항을 펼쳤지만, 압도적인 남부 연합군 병력이 그들을 공격하면서 결국 전선이 붕괴되어 게티즈버그 마을을 지나 마을 남쪽의 묘지 언덕으로 후퇴했다. 이는 전쟁 중 더블데이의 가장 뛰어난 활약이었는데, 9,500명의 병력을 이끌고 16,000명이 넘는 10개의 남부 연합군 여단을 상대로 5시간 동안 전투를 벌였다. 이 중 7개의 여단은 35%에서 50%에 이르는 사상자를 냈는데, 이는 북부 연합군의 방어가 얼마나 치열했는지를 보여준다. 그러나 묘지 언덕에서 제1군단은 병력의 3분의 1만 전투에 투입할 수 있었고, 전투가 끝날 때까지 실질적으로 전투력을 상실했다. 1864년 3월에 해체되었고, 생존 부대는 다른 군단에 통합되었다.[5]

1863년 7월 2일, 포토맥 군 사령관 조지 G. 미드 소장은 더블데이를 다른 군단 출신의 더 젊은 장교인 존 뉴턴 소장으로 교체했다.[5] 표면적인 이유는 더블데이의 군단이 먼저 붕괴되어 전체 북부 연합군 전선이 붕괴되었다는 제11군단 사령관 올리버 O. 하워드 소장의 잘못된 보고 때문이었지만, 미드는 또한 더블데이의 전투 효율성에 대한 오랜 불신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사우스 마운틴 전투까지 거슬러 올라간다.[5] 더블데이는 이 모욕에 굴욕감을 느끼고 미드에 대해 오랜 원한을 품었지만, 그는 사단 지휘관으로 복귀하여 전투의 나머지 기간 동안 훌륭하게 싸웠다.[5] 그는 게티즈버그 전투 이틀째에 목에 부상을 입었고, 그의 공로로 정규 육군 대령으로 명예 진급했다.[6] 그는 공식적으로 제1군단장으로 복귀할 것을 요청했지만, 미드는 거절했고, 더블데이는 7월 7일 워싱턴으로 게티즈버그를 떠났다.[10]

3. 4. 워싱턴 D.C. 방어

더블데이는 워싱턴 D.C. 방어 행정 업무를 맡았으며, 그곳에서 군사 재판을 담당하면서 전쟁 후 활용한 법적 경험을 쌓았다. 그의 유일한 전투 복귀는 1864년 밸리 작전에서 남부 연합 주벌 얼리 중장의 공격에 대한 방어의 일부를 지휘한 것이었다.[4] 또한 워싱턴에서 더블데이는 미국 의회 전쟁 수행 공동 위원회에서 조지 미드에 대해 증언하며 게티즈버그 전투에서의 그의 행동을 혹독하게 비판했다.[4]

4. 전후 활동

더블데이는 1865년 8월 24일 의용군에서 제대하여 중령으로 복귀했고, 1867년 9월에는 제35 미국 보병 연대 대령이 되었다. 1870년대에는 뉴욕 상업 명부에 변호사로 등재되기도 했다.

더블데이는 뉴저지주 멘덤에서 심장병으로 사망하여[30], 버지니아주 알링턴의 알링턴 국립묘지에 묻혔다.[31]

4. 1. 샌프란시스코 케이블카

더블데이는 1869년부터 1871년까지 샌프란시스코에 주둔했으며, 그곳에서 현재도 운행되고 있는 케이블카 철도에 대한 특허를 받았고 운영 인가를 받았지만, 재배치되면서 권리를 포기했다.[7]

4. 2. 텍사스 주둔 및 퇴역

1871년, 더블데이는 텍사스주 포트 맥카벳에 본부를 둔 흑인으로만 구성된 제24 미국 보병 연대를 지휘했다.[7] 그는 1873년에 퇴역했다.

4. 3. 신지학 협회 활동

1878년 여름, 더블데이는 뉴저지주 멘덤 타운십에 거주하며 신지학 협회의 저명한 회원이었다.[32] 그해 말 신지학 협회의 창립자 두 명인 헬레나 블라바츠키와 헨리 스틸 올코트가 인도로 이주하자, 그는 미국 지부의 회장으로 임명되었다.[36]

4. 4. 저술 활동

더블데이는 많은 시간을 글을 쓰는 데 보냈다. 그는 남북 전쟁에 관한 두 편의 중요한 저서를 출판했다. 1876년에는 《섬터 요새와 몰트리 요새의 회고록》(Reminiscences of Forts Sumter and Moultrie영어)을, 1882년에는 《챈슬러즈빌과 게티즈버그》(Chancellorsville and Gettysburg영어)를 출판했으며, 후자는 《남북 전쟁의 작전》 시리즈의 한 권이었다.[6][31]

5. 사망 및 유산

더블데이는 1893년 1월 26일 뉴저지주 멘덤 타운십에서 심장병으로 사망했다. 그의 시신은 뉴욕 시청에 안치된 후 기차로 알링턴 군 (버지니아주)의 알링턴 국립묘지로 옮겨져 안장되었다.[6] 유족으로는 부인이 있었다.

5. 1. 죽음과 매장

더블데이의 묘비, 알링턴 국립묘지


더블데이는 1893년 1월 26일, 멘덤 타운십에서 심장병으로 사망했다. 시신은 뉴욕 시청에 안치된 후 기차로 알링턴 국립묘지가 있는 알링턴 군 (버지니아주)의 워싱턴으로 옮겨졌다.[6] 유족으로는 부인이 있었다.

5. 2. 기념 및 유산

게티즈버그에는 더블데이를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졌다.[17] 알링턴 국립묘지에는 약 2.13m 높이의 오벨리스크 기념비가 있다.[18]

더블데이 필드는 야구 명예의 전당 근처의 뉴욕주 쿠퍼스타운에 위치한 9,791석 규모의 야구장으로, 애브너 더블데이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19] 1940년부터 2008년까지 두 메이저 리그 팀 간의 전시 경기인 연례 명예의 전당 경기가 열렸고,[20] 2009년부터 명예의 전당 클래식이 개최되었다.[21]

오번 더블데이즈는 더블데이의 고향인 뉴욕주 오번을 기반으로 하는 대학 여름 야구 팀이다.[22] 육군 블랙 나이츠가 존슨 스타디움에서 경기를 하는 미국 육군사관학교의 더블데이 필드도 더블데이의 명예를 기려 명명되었다.[23]

애브너 더블데이 리틀 리그와 베이브 루스 필드는 그의 출생지인 뉴욕주 볼스턴 스파에 있다. 그의 생가는 여전히 마을 한가운데에 서 있으며, 프론트 스트리트에는 그를 기리는 기념비가 있다.
볼스턴 스파에 있는 애브너 더블데이 기념비


더블데이 힐 기념비의 표지판은 메릴랜드주 윌리엄스포트에 세워졌으며, 남북 전쟁 중 그가 그 언덕을 점령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1835년에 그가 이 경기를 발명했다고 주장한다.[24]

뉴저지주 멘덤 자치구와 멘덤 타운십은 수년 동안 장군을 기리는 "애브너 더블데이의 날"이라는 자치구 공휴일을 개최했으며,[25] 1998년에는 자치구 내 그의 집 근처에 명판을 위탁했다.[26]

2004년, 애브너 더블데이 협회는 그의 출생지 근처인 볼스턴 스파의 아이언 스프링 공원에 더블데이를 기리는 기념비를 세웠다.[27]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의 리버티선 SS 애브너 더블데이는 더블데이의 명예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6. 야구 발명 신화

애브너 더블데이는 남북 전쟁의 여러 주요 전투에서 활약한 유능한 장군이었지만, 1839년 뉴욕주 쿠퍼스타운에서 야구를 발명했다는 신화로 더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역사학자들은 이 주장에 대해 회의적이다. 야구 역사학자 조지 B. 키르시는 에이브러햄 G. 밀스가 위원장을 맡은 밀스 위원회의 결론을 "신화"라고 묘사했다. 더블데이는 야구에 대한 언급을 남기지 않았고, 그의 부고 기사에도 야구에 대한 내용은 없었다. 밀스 위원장 자신도 더블데이의 동료였지만 더블데이가 야구 발명가라는 말을 들은 적이 없다고 회상했다.[14]

더블데이의 야구 발명설은 증거 부족으로 인해 신뢰를 얻지 못하고 있다.

6. 1. 밀스 위원회와 더블데이 신화

1905년 에이브러햄 G. 밀스가 위원장을 맡은 밀스 위원회는 야구의 기원을 밝히기 위해 임명되었다. 1907년 12월 30일에 발표된 위원회의 최종 보고서는 "현재까지 얻을 수 있는 최고의 증거에 따르면 야구를 하는 최초의 계획은 1839년 뉴욕주 쿠퍼스타운에서 애브너 더블데이에 의해 고안되었다"고 결론지었다. 또한 "수십만 명의 야구 팬들과 앞으로 야구를 좋아하게 될 수백만 명을 고려할 때, 애브너 더블데이의 명성은 그가 연방 육군의 장교로서 화려하고 훌륭한 경력을 쌓은 것만큼이나, 아니 그 이상으로 야구의 발명가라는 사실에 기반하게 될 것이다"라고 언급했다.[12]

그러나 야구 역사학자 조지 B. 키르쉬는 밀스 위원회의 결과를 "신화"라고 묘사했다. 그는 "로버트 헨더슨, 해롤드 시모어, 그리고 다른 학자들은 이후 더블데이-쿠퍼스타운 신화를 폭로했지만,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과 쿠퍼스타운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의 노력으로 인해 미국인의 상상 속에서 여전히 강력하게 남아 있다"고 썼다.[13]

더블데이는 사망 당시 야구에 대해 언급하거나 자신이 이 게임의 발전에 중요한 인물이라고 생각한다는 어떤 암시도 담겨 있지 않은 많은 편지와 문서를 남겼으며, 그의 ''뉴욕 타임스'' 부고 기사에는 이 게임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었다.[13] 밀스 위원장 자신은 더블데이의 남북 전쟁 동료이자 뉴욕시에서 더블데이의 시신을 호위한 경비대원이기도 했지만, 더블데이가 발명가로서의 역할을 묘사하는 것을 들은 적이 없다고 회상했다. 더블데이는 이 발명이 이루어졌다고 주장되는 해에 웨스트포인트 사관생도였고, 그의 가족은 그 전 해에 쿠퍼스타운을 떠났다. 또한 야구와 더블데이를 연결하는 위원회에 대한 주요 증언은 애브너 그레이브스의 증언이었는데, 그의 신뢰성은 의심스러웠다. 몇 년 후, 그는 아내를 총으로 쏴 죽이고 남은 생을 정신 이상 범죄자를 위한 시설에 수감되었다.[14]

6. 2. 역사적 증거 부족

애브너 더블데이가 1839년 뉴욕주 쿠퍼스타운에서 야구를 발명했다는 주장은 널리 알려져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역사적 증거는 부족하다. 야구 역사학자 조지 B. 키르쉬는 이 주장을 "신화"라고 묘사했다.[13]

더블데이는 많은 편지와 문서를 남겼지만, 야구에 대한 언급이나 자신이 야구 발전에 중요한 인물이라고 생각한다는 암시는 전혀 없었다. 그의 ''뉴욕 타임스'' 부고 기사에도 야구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13]

밀스 위원회의 위원장 에이브러햄 G. 밀스는 더블데이의 남북 전쟁 동료였음에도 불구하고, 더블데이가 야구 발명가로서의 역할을 언급하는 것을 들은 적이 없다고 회상했다. 더블데이는 야구 발명이 이루어졌다고 주장되는 해에 웨스트포인트 사관학교 생도였고, 그의 가족은 그 전 해에 쿠퍼스타운을 떠난 상태였다.[14]

더블데이와 야구를 연결하는 주요 증언을 한 애브너 그레이브스의 신뢰성도 의심스럽다. 그는 몇 년 후 아내를 총으로 쏴 죽이고 정신 이상 범죄자를 위한 시설에 수감되었다.[14]

6. 3. 한국에서의 인식

한국에서는 더블데이가 야구를 창시했다는 주장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이 지배적이다. 야구 역사학자 조지 B. 키르시는 밀스 위원회의 "더블데이가 야구를 발명했다"는 결론을 "신화"라고 묘사했다.[13] 더블데이는 야구에 대한 언급을 남기지 않았고, 그의 부고 기사에도 야구에 대한 내용은 없었다.[13] 밀스 위원장조차 더블데이의 동료였지만 더블데이가 야구 발명가라는 말을 들은 적이 없다고 회상했다.[14]

이러한 부정적인 인식에는 여러 이유가 있다. 우선 더블데이가 야구를 발명했다는 주장을 뒷받침할 만한 증거가 부족하다. 더블데이는 야구 발명과 관련된 어떠한 기록도 남기지 않았으며, 그가 야구 발명에 기여했다는 동시대의 증언도 존재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가 야구와 무관하다는 증거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더블데이는 야구가 발명되었다고 알려진 1839년에 웨스트포인트 사관학교 생도였고, 그의 가족은 그 이전에 쿠퍼스타운을 떠난 상태였다.[14]

또한, 밀스 위원회의 신뢰성에 대한 문제도 제기된다. 위원회의 주요 증언은 애브너 그레이브스의 증언이었는데, 그는 아내를 살해하고 정신병원에 수감된 인물로 신뢰하기 어렵다.[14]

한국 야구 역사에서 미국 야구의 영향을 배제하고, 한국 야구만의 독자적인 기원과 정통성을 강조하려는 경향 또한 이러한 인식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7. 대중문화 속 더블데이

영화 ''바보 6형제''에서 더블데이는 존 터투로가 연기했다. 이 캐릭터는 6명의 주요 인물과 중국 이민자 그룹 간의 첫 번째 야구 경기를 조직하며, 주로 자신이 이기기 위해 규칙을 만들었다.

애니메이션 ''사무라이 참푸르''의 23화 "야구 블루스"에서 더블데이와 알렉산더 카트라이트는 미국 해군 장교로 등장하여 주인공들과 현지 일본인들을 야구 경기에 참여시키지만 미국인들은 패배한다.

미니시리즈 ''남과 북''에서 조지 해저드는 부상을 입은 오리 메인과 함께 더블데이가 발명했다고 언급하며 원시적인 형태의 야구를 관람하는데, 더블데이는 동료 웨스트포인트 육군사관학교 생도였다.

참조

[1] Britannica 170070
[2] 문서 Kirsch, pp. xiii–xiv.
[3] 웹사이트 The Doubleday myth is Cooperstown's gain: Pastoral village has become the heart of baseball folklore http://baseballhall.[...] National Baseball Hall of Fame and Museum 2012-09-20
[4] 문서 Beckenbaugh, pp. 611–612.
[5] 문서 Tagg, pp. 25–27.
[6] 문서 Eicher, p. 213.
[7] 텍사스 핸드북 Texas Handbook http://www.tshaonlin[...]
[8] 문서 Langellier, pp. 43, 45, 49.
[9] 문서 Eicher, p. 703.
[10] 문서 Coddington, pp. 690–691.
[11] 문서 Barthel, p. 127
[12] 문서 Kirsch, p. xiii.
[13] 뉴스 Obituary – Gen. Abner Doubleday https://www.nytimes.[...] 1893-01-28
[14] 문서 Kirsch, pp. xiii–xiv.
[15] 서적 But Didn't We Have Fun Ivan R. Dee Publishing 2008
[16] 간행물 Bats, Balls, and Bullets 1998-05
[17] 웹사이트 Featured Monument: Major-General Abner Doubleday Monument http://gettysburgscu[...] 2019-06-07
[18] 웹사이트 Burial Detail: Doubleday, Abner https://ancexplorer.[...]
[19] 웹사이트 Cooperstown Connection: Doubleday Field, A Diamond in the Pasture http://baseballhallo[...] National Baseball Hall of Fame
[20] 잡지 Baseball Hall of Fame Game in Cooperstown will end after this year http://sportsillustr[...] 2008-01-29
[21] 웹사이트 History of Doubleday Field https://baseballhall[...] 2021-08-31
[22] 웹사이트 Auburn Baseball History http://www.milb.com/[...] Minor League Baseball 2019-06-07
[23] 웹사이트 Johnson Stadium at Doubleday Field https://goarmywestpo[...] 2019-06-07
[24] 웹사이트 Doubleday Hill http://www.mdhistori[...] 2019-06-07
[25] 뉴스 1 Thing We Love About Morris: Baseball spring training https://www.dailyrec[...] 2019-06-07
[26] 서적 Abner Doubleday : a Civil War biography https://www.worldcat[...] McFarland & Co 2010
[27] 뉴스 Abner Doubleday's presence still felt in Ballston Spa https://www.saratogi[...] 2019-06-07
[28] 뉴스 New York Times, Obituary, January 28, 1893.
[29] 문서 Beckenbaugh, pp. 611-12.
[30] 문서 Tagg, pp. 25-27.
[31] 문서 Eicher, p. 213.
[32] 텍사스 핸드북 Texas Handbook http://www.tshaonlin[...]
[33] 문서 Langellier, pp. 43, 45, 49.
[34] 문서 Eicher, p. 703.
[35] 문서 Coddington, pp. 690-91.
[36] 문서 Theosophy article http://www.theosocie[...]
[37] 서적
[38] 서적 野球の英語A to Z:佐山和夫が語るアメリカ野球用語 三修社
[39] 서적
[40] 웹인용 The Doubleday myth is Cooperstown's gain: Pastoral village has become the heart of baseball folklore http://baseballhall.[...] National Baseball Hall of Fame and Museum 2012-09-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