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슐리 와그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애슐리 와그너는 미국의 은퇴한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자 해설자이다. 1991년 독일 하이델베르크에서 태어난 그녀는 5세에 스케이팅을 시작하여 2007-2008 시즌 시니어 무대에 데뷔했다. 와그너는 2012년 사대륙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고, 2012년과 2013년 전미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으며,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 단체전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2016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9년 은퇴 후에는 NBC에서 해설자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4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김연아
김연아는 대한민국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서 올림픽 금메달과 은메달을 획득하고, 독창적인 기술과 예술성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은퇴 후에도 사회 활동과 유니세프 친선대사로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 2014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카롤리나 코스트너
카롤리나 코스트너는 1987년 이탈리아에서 태어난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2012년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유럽 선수권 대회 5회, 그랑프리 파이널 1회 우승을 기록했다. - 미국의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토냐 하딩
토냐 하딩은 미국의 전직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미국 여자 선수 최초로 트리플 악셀을 성공시키고 1991년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으나, 1994년 낸시 케리건 폭행 사건에 연루되어 선수 자격을 박탈당했다. - 미국의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타라 리핀스키
타라 리핀스키는 1997년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과 1998년 동계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한 미국의 전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자 방송 해설가이다. - 독일에 거주한 미국인 - 티나 터너
로큰롤의 여왕으로 불리는 미국의 가수이자 배우 티나 터너는 아이크 터너와 듀엣 및 솔로 활동으로 성공을 거두며 수많은 히트곡을 발표하고 그래미상을 12번 수상하는 등 음악적 업적을 이루었으며, 1970년대 불교로 개종 후 스위스 시민권을 취득했다. - 독일에 거주한 미국인 - 도나 서머
도나 서머는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반 디스코 음악의 선구자로서 "디스코의 여왕"으로 불리며 수많은 히트곡을 냈고, 디스코 시대 이후에도 꾸준한 음악 활동과 인기를 유지하며 후대 팝 아티스트들에게 큰 영향을 미친 미국의 가수이자 배우이다.
애슐리 와그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Ashley Elisabeth Wagner |
출생일 | 1991년 5월 16일 |
출생지 | 독일 하이델베르크 |
직업 | 피겨 스케이팅 선수, 텔레비전 해설가 |
신장 | 1.60미터 |
배우자 | 알렉스 클라크 (2023년 결혼) |
자녀 | 1명 |
모교 | 노스이스턴 대학교 (이학사) |
선수 정보 | |
종목 | 여자 싱글 |
코치 | 라파엘 아르투니안 |
스케이팅 시작 | 1996년 |
경쟁 연도 | 2002년-2019년 |
은퇴 | 2019년 |
ISU 최고 순위 | 4위 (2015-2017) |
메달 기록 | |
올림픽 (단체전) | 동메달 (2014 소치) |
세계 선수권 | 은메달 (2016 보스턴) |
사대륙 선수권 | 금메달 (2012 콜로라도 스프링스) |
그랑프리 파이널 | 은메달 (2012 소치) 동메달 (2013 후쿠오카) 동메달 (2014 바르셀로나) |
세계 국별 대항전 | 금메달 (2013 도쿄) 금메달 (2015 도쿄) 은메달 (2012 도쿄) 동메달 (2017 도쿄) |
세계 주니어 선수권 | 동메달 (2007 오베르스트도르프) 동메달 (2009 소피아) |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 은메달 (2006 소피아) |
미국 선수권 대회 | 금메달 (2012 새너제이) 금메달 (2013 오마하) 금메달 (2015 그린즈버러) 은메달 (2017 캔자스시티) 동메달 (2008 세인트폴) 동메달 (2010 스포캔) 동메달 (2016 세인트폴) |
개인 최고 기록 | |
총점 | 215.39 (2016년 세계 선수권) |
쇼트 프로그램 | 73.16 (2016년 세계 선수권) |
프리 스케이팅 | 142.23 (2016년 세계 선수권) |
2. 개인사
애슐리 와그너는 1991년 5월 16일 독일 하이델베르크의 미국 육군 기지에서 미국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미국 육군 중령 출신 에릭 와그너이며, 어머니는 전직 교사 멜리사 제임스이다. 남동생도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활동했다.
애슐리 와그너는 5세에 스케이팅을 시작하여 2007-2008 시즌부터 시니어 무대에 진출했다.
와그너는 아버지의 군 복무로 인해 어린 시절 잦은 이사를 경험했다. 독일 외에도 델라웨어, 캘리포니아, 알래스카, 캔자스, 워싱턴 주, 버지니아 등 여러 지역에서 거주했으며, 10살 때 버지니아 북부에 정착했다. 현재 보스턴에 거주하고 있지만, 시벡을 고향으로 여긴다.
와그너는 7개월 동안 어머니에게 홈스쿨링을 받았으며, 웨스트 포토맥 고등학교를 거쳐 노던 버지니아 커뮤니티 칼리지의 온라인 확장 학습 연구소에서 공부했다. 이후 캘리포니아의 새들백 칼리지에 입학했으나 졸업하지는 못했다. 영어 외에 약간의 독일어를 구사할 수 있으며, 현재 노스이스턴 대학교에 재학 중이다.
한 인터뷰에서 와그너는 여러 차례 뇌진탕을 겪었으며, 이로 인해 인지 능력에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했다. 2019년 7월에는 17세 때 동료 피겨 스케이터 존 코글린에게 성폭행을 당했다고 밝혔다.
2023년 9월 파트너 알렉스 클라크와 약혼을 발표했으며, 같은 해 12월 첫 아이인 로잘리 스타버드 클라크를 출산했다. 군인 가정에서 자란 와그너는 강한 자립심을 바탕으로, 쇼핑몰 아르바이트와 마이클 와이즈 장학금을 통해 경기 자금을 마련하기도 했다.[2]
3. 경력
2005-2006 시즌 트리글라프 트로피 주니어 클래스에서 우승했고, 전미 선수권 주니어 클래스에서는 4위를 차지했다. 2006-2007 시즌에는 주니어 그랑프리 2개 대회에서 우승,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캐롤라인 장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전미 선수권 주니어 및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는 3위를 차지했다.
2007-2008 시즌, 그랑프리 시리즈에 참가하여 2007년 에릭 봉파르에서 3위를 기록했다. 전미 선수권에서도 3위에 올라, 사대륙 선수권 및 세계 선수권 대회 출전 자격을 얻었다.
thumb
2008-2009 시즌, 그랑프리 시리즈 NHK컵과 중국컵에서 모두 4위를 기록했다.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는 3위를 차지했다.
2009-2010 시즌부터 2016-2017 시즌까지 주요 대회 출전 및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대회/연도 2009-10 2010-11 2011-12 2012-13 2013-14 2014-15 2015-16 2016-17 동계 올림픽 7 세계 선수권 대회 4 5 7 5 2 7 4대륙 선수권 대회 1 세계 팀 트로피 3 2 전미 선수권 대회 3 6 1 1 4 1 3 2 GP 파이널 4 2 3 3 4 GP 중국 6 GP 스케이트 아메리카 1 2 1 GP NHK 3 5 4 4 GP 스케이트 캐나다 3 2 1 에릭 봉파르 1 1 3 GP 러시아컵 2 3
2012-2013 시즌, 스케이트 아메리카와 2012년 에릭 봉파르에서 연달아 우승하며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 2위를 차지했다.[3]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5위를 기록, 그레이시 골드와 함께 미국의 올림픽 출전권을 3장으로 늘렸다.
2014년 소치 올림픽 단체전에서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개인전에서는 7위를 기록했다.
2015-2016 시즌,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2006년 키미 마이즈너와 사샤 코헨 이후 10년 만에 미국 여자 선수에게 세계 선수권 메달을 안겼다.
2017-2018 시즌,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발목 부상으로 기권했고, 전미 선수권에서 4위를 기록하며 평창 올림픽 출전권을 얻지 못했다.
3. 1. 초기 경력 (2002-2005)
알래스카주 이글 리버에서 5세에 스케이팅을 시작했다. 어머니가 발레 또는 피겨 스케이팅 중 하나를 선택하라고 했을 때 "분홍색 신발은 신지 않을 거예요"라고 말했다. 1998년, 텔레비전으로 타라 리핀스키가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따는 것을 보고 올림픽 출전을 결심했다.
이후 캔자스시티와 워싱턴주 타코마에서 훈련했고, 가족이 오리건주 포틀랜드로 이사한 후 토냐 하딩의 전 코치였던 도디 티치먼에게 지도를 받았다. 2002년 1월부터 버지니아주 알렉산드리아에서 셜리 휴즈와 함께 훈련했다. 질 쉽스타드-토마스가 그녀의 경쟁 프로그램을 안무했다.
2002–03 시즌, 미국 유소년 및 중급 수준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인 U.S. 주니어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중급 레벨에서 17위를 차지했다. 다음 시즌에는 노비스 레벨 시험을 쳤지만, 구역 대회에서 10위를 기록하며 2004년 전국 선수권 대회 출전 자격을 얻지 못했다.
2004–05 시즌, 노비스 레벨에서 노스웨스트 퍼시픽 지역 선수권 대회와 퍼시픽 코스트 구역 선수권 대회에서 모두 1위를 차지한 후 처음으로 U.S. 선수권 대회에 출전했다. 전국 선수권 대회에서는 7위를 차지했다.
3. 2. 주니어 경력 (2005-2007)
와그너는 2006-07 시즌에 주니어 그랑프리에 데뷔했다. 프랑스 쿠르슈벨에서 열린 주니어 그랑프리 대회와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대회에서 모두 우승했다. 이로 인해 불가리아 소피아에서 열린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했고, 여기서 동료 미국 선수 캐롤라인 장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하며 최종 점수 142.01점을 기록했다. 2007년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 와그너는 미라이 나가수와 캐롤라인 장에 이어 3위를 차지하며 세계 주니어 선수권 팀에 합류할 자격을 얻었다. 독일 오버스트도르프에서 열린 2007년 주니어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롱 프로그램에서 7개의 트리플 점프를 성공시켰다. 그녀는 장과 나가수에 이어 동메달을 획득하며 미국 선수들이 처음으로 세계 주니어 시상대를 휩쓸었다.
3. 3. 시니어 경력 (2007-2018)
애슐리 와그너는 2007-2008 시즌부터 시니어 무대에 진출하여 활동했다.
대회/연도 | 2007-08 | 2008-09 | 2009-10 | 2010-11 | 2011-12 | 2012-13 | 2013-14 | 2014-15 | 2015-16 | 2016-17 | 2017-18 |
---|---|---|---|---|---|---|---|---|---|---|---|
올림픽 | 7 | ||||||||||
세계 선수권 | 16 | 4 | 5 | 7 | 5 | 2 | 7 | ||||
4대륙 선수권 | 8 | 1 | |||||||||
전미 선수권 | 3 | 4 | 3 | 6 | 1 | 1 | 4 | 1 | 2 | 4 | |
GP 파이널 | 4 | 2 | 3 | 3 | 4 | ||||||
GP NHK배 | 4 | 3 | 5 | 4 | 4 | ||||||
GP 러시아컵 | 2 | 3 | |||||||||
GP 스케이트 캐나다 | 5 | 3 | 2 | 1 | 3 | ||||||
GP 에릭컵 | 3 | 1 | 1 | 3 | |||||||
GP 스케이트 아메리카 | 1 | 2 | 1 | 기권 | |||||||
GP 중국컵 | 4 | 6 |
3. 3. 1. 2007-2010: 시니어 데뷔 및 국제 무대 진출
와그너는 2007-08 시즌에 국내 및 국제 무대에서 시니어 레벨로 진출했다. 2007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시니어 국제 데뷔전을 치렀고, 퀘벡 시티에서 종합 5위를 기록했다. 2주 후, 2007 트로피 에릭 봉파드에서 생애 첫 시니어 국제 메달을 획득했다. 당시 세계 선수권 은메달리스트였던 아사다 마오와 당시 미국 선수권 챔피언이었던 키미 마이즈너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롱 프로그램에서는 마이즈너보다 앞선 2위를 기록했으며, 최종 순위에서 마이즈너에게 0.11점 차로 졌다. 가을 그랑프리 대회에서 와그너는 처음으로 트리플 러츠-트리플 루프 콤비네이션을 시도했지만, 기술 심판진은 그녀의 시도가 완전히 회전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다운그레이드했다. 와그너는 "그랑프리에서 경쟁하는 것은 내 스케이팅을 성숙시키는 계기가 되었어요. 이제 저는 시니어 여자 선수이고, 그에 걸맞게 연기해야 합니다."라고 말했다.2008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 와그너는 트리플 러츠-트리플 루프 콤비네이션을 성공하며 쇼트 프로그램에서 미라이 나가수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프리스케이팅에서도 트리플 러츠-트리플 루프 콤비네이션을 포함하여 7개의 트리플 점프를 성공시키며 레이철 플랫에 이어 다시 2위를 기록했다. 나가수와 플랫에 이어 종합 3위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나가수, 플랫, 그리고 퓨터 메달리스트 캐롤라인 장은 ISU 시니어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기에는 너무 어려서, 와그너는 4대륙 선수권 대회와 세계 선수권 대회 대표팀에 선발된 유일한 메달리스트였다. 2009 미국 선수권 대회에 시드를 받았다.
2008 4대륙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와그너는 대한민국 고양시에서 쇼트 프로그램 12위, 프리스케이팅 5위를 기록하여 종합 8위를 기록했다. 2008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예테보리에서 쇼트 프로그램 11위, 롱 프로그램 15위를 기록하며 종합 16위를 기록했다. 그녀는 프리스케이팅에서 한 번 넘어졌다.
2008년 6월, 와그너는 오랜 코치였던 셜리 휴즈를 떠나 델라웨어주 윌밍턴에서 프리실라 힐과 함께 훈련을 시작했다.

2008-09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시즌, 2008 중국 컵에 출전하여 4위를 기록했다. 2008 NHK 트로피에서 쇼트 프로그램과 총점에서 새로운 개인 최고 점수를 기록하며 4위를 기록했다.
2009 전미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퓨터 메달을 획득했고, 2009 세계 주니어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 미국 대표로 출전하여 3위를 차지하며 두 번째 주니어 세계 선수권 메달을 획득했다.
2009-2010 시즌, 2009/2010 ISU 그랑프리 시리즈에서 NHK컵에서 3위, 로스텔레콤컵에서 2위를 차지하여, 첫 그랑프리 파이널 출전을 결정했다. 파이널에서의 성적은 4위였다. 전미 선수권에서는 쇼트에서 넘어지면서 5위로 부진했지만, 프리에서 회심의 연기를 선보여 3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올림픽 출전 쿼터는 2개였기 때문에, 대표팀에 합류하지 못했다.
3. 3. 2. 2010-2012: 건강 문제와 코치 변경
2009-2010 시즌, 그랑프리 시리즈 NHK컵에서 3위, 로스텔레콤컵에서 2위를 차지하며 그랑프리 파이널에 처음으로 진출했다. 파이널에서는 쇼트 프로그램 6위, 프리스케이팅 4위로 종합 4위에 올랐다. 2010 전미 선수권에서는 두 번째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0 주니어 세계 선수권 대회에는 대표팀으로 선발되었으나, 대회 전에 기권했다.2010-2011 시즌, 그랑프리 시리즈 NHK컵에서 5위, 로스텔레콤컵에서 3위를 기록하며 파이널 진출에는 실패했다. 전미 선수권에서는 6위에 그쳐 처음으로 시상대에 오르지 못했다.
2011-2012 시즌, 그랑프리 시리즈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프리스케이팅 개인 최고 기록을 경신하며 3위에 올랐고, 4년 연속으로 출전한 NHK컵에서는 4위를 기록하며, 포인트 랭킹 9위로 파이널 진출에 실패했다. 전미 선수권에서는 쇼트 프로그램 3위에서 프리스케이팅 1위로 역전하여 첫 우승을 차지했다. 사대륙 선수권 대회에서는 개인 최고 기록을 25점 경신하며 시니어 국제 대회 첫 우승을 거머쥐었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쇼트 프로그램에서 8위로 부진했지만, 프리스케이팅에서 좋은 연기를 펼쳐 종합 4위에 올랐다.
3. 3. 3. 2012-2014: 전미 선수권 우승과 사대륙 선수권 우승
2011-2012 시즌, 그랑프리 시리즈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FS 개인 최고 기록을 갱신하며 3위를 차지했고, 4년 연속 출전한 NHK컵에서는 4위를 기록하여, 포인트 랭킹 9위로 파이널 진출에는 실패했다. 전미 선수권 대회에서는 쇼트 프로그램(SP) 3위에서 프리스케이팅(FS) 1위로 역전하여 첫 우승을 차지했다. 사대륙 선수권 대회에서는 개인 최고 기록을 25점이나 갱신하며 시니어 국제 대회 첫 우승을 달성했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SP에서 8위로 부진했지만, FS에서 좋은 연기를 펼쳐 4위에 올랐다.2012-2013 시즌,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그랑프리 시리즈 첫 우승을 차지했다. 2012년 에릭 봉파르에서도 우승하며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 FS에서 두 번 넘어지면서 왼쪽 장골능과 오른쪽 무릎에 타박상을 입었지만 2위를 기록했다.[3] 전미 선수권 대회에서는 미셸 콴 이후 처음으로 대회 2연패를 달성했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5위를 기록했지만, 6위를 차지한 그레이시 골드와 함께 미국의 올림픽 출전권을 3장으로 늘렸다. 국가별 대항전에는 팀 주장으로 출전하여 FS 도중 머리카락이 풀리는 해프닝에도 불구하고 개인 최고 기록을 갱신하며 개인 2위, 팀은 우승을 이끌었다. 이후 국제 대회에서 서브 코치 역할을 했던 안무가 필립 밀스와의 관계를 해소하고,[3] 메인 코치 존 닉스는 유지한 채 라파엘 아르투니안을 서브 코치로 영입했다.[4]
2013-2014 시즌,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처음으로 SP와 FS 모두에서 3회전 플립+3회전 토룹 콤비네이션 점프를 성공시키며 은메달을 획득했다. 에릭 봉파르에서는 2년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는 2년 연속 메달을 획득했다. 전미 선수권 대회에서는 실수가 잇따르며 4위에 그쳤지만, 이전 성적을 인정받아 올림픽 대표로 선발되었다. 소치 올림픽 단체전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3. 3. 4. 2014-2016: 소치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 은메달
2013-2014 시즌, 2013년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처음으로 쇼트 프로그램(SP)와 프리스케이팅(FS) 모두에서 3회전 플립+3회전 토룹 콤비네이션 점프를 성공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3년 에릭 봉파르에서는 2년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2013/2014 ISU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는 2년 연속으로 메달을 획득했다. 전미 선수권에서는 실수가 잇따라 4위에 그쳤지만, 이전 실적을 평가받아 소치 올림픽 대표로 선출되었다. 소치 올림픽 단체전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2014-2015 시즌, 2014년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2위, 2014년 에릭 봉파르에서 3위를 기록했다. 2014/2015 ISU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는 SP에서 6위로 부진했지만, FS에서 만회하여 3년 연속 메달을 획득했다. 전미 선수권에서는 2년 만에 3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당초 사대륙 선수권 대회 대표로 선출되었지만, 컨디션 조절을 위해 출전을 포기했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SP에서 넘어짐과 회전 부족으로 11위에 그쳤지만, FS에서 3위로 만회하여 종합 5위로 순위를 올렸다.
2015-2016 시즌, 2015년 스케이트 캐나다 SP에서 70점대를 기록하며 1위에 올랐다. FS에서는 130점을 넘기며 우승을 차지했다. NHK컵에서는 4위를 기록하며 4시즌 만에 그랑프리 시리즈에서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 2015/2016 ISU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는 메달을 놓쳤지만, FS에서 개인 최고 기록을 갱신하며 4위를 기록했다. 미국에서 개최된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SP 4위에서 FS 마지막 순서에서 2위까지 순위를 끌어올려, 자신의 6번째 출전 만에 처음으로 세계 선수권 대회 메달을 획득했다. 미국의 여자 선수가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한 것은 2006년 키미 마이즈너와 사샤 코헨 이후 10년 만이었다.
3. 3. 5. 2016-2018: 평창 올림픽 좌절과 은퇴
2017-2018 시즌,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3위를 차지했지만,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는 발목 통증으로 인해 프리스케이팅 도중 기권했다. 전미 선수권에서 4위를 기록하여, 평창 올림픽 대표로 선발되지 못했다.3. 4. 해설자 경력
와그너는 2013-14 ISU 그랑프리 시즌 첫 대회인 2013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어진 2013 트로피 에릭 봉파르에서는 금메달을 획득하여 일본 후쿠오카에서 열린 2013-14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했다. 와그너는 파이널에서 율리야 리프니츠카야에 이어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4 전미 선수권 대회에서는 4위를 기록했으나, 국제 대회 성적을 바탕으로 2014년 러시아 소치 동계 올림픽 미국 대표팀에 선발되었다. 올림픽 단체전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2014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최종 7위를 기록했다.
4. 스케이팅 기술
애슐리 와그너는 5종류의 3회전 점프를 뛸 수 있다. 점프와 스핀의 회전 방향은 머리 위에서 보면 시계 방향이다.
러츠는 때때로 어텐션이나 에러 판정을 받는 경우가 있다. 콤비네이션 점프는 3회전 플립 - 3회전 토루프를 뛸 수 있다.
5. 후원
2012년 11월, 나이키는 와그너를 후원하기 시작했다. 같은 해 12월, 와그너는 판도라 주얼리의 스타일 앰배서더가 되었다. 2013년 10월에는 커버걸의 모델로 선정되었다.
6. 프로그램
Club des Belugas영어 곡, 셰이린 본 안무
저스틴 허위츠 작곡, 셰이린 본 안무
셰이린 본 안무
Eurythmics영어 작곡, 제프리 배틀 안무
Muse (band)|뮤즈영어 연주, 셰이린 본 안무
뮤즈 연주, 셰이린 본 안무
Club des Belugas영어 곡, 셰이린 본 안무
아리아나 그란데 보컬, 제레미 아보트 안무
아람 하차투리안 작곡, 아담 리폰, Cindy Stuart영어 안무
Clean Bandit영어 연주, Shawn Sawyer영어 안무
핑크 플로이드 곡, 셰이린 본 안무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작곡, 데이비드 윌슨 안무
Eurythmics영어 작곡, 셰이린 본 안무
존 코릴리아노 편곡, Phillip Mills영어 안무
(from 삼손과 데릴라)
카미유 생상스 작곡, Phillip Mills영어 안무
Eurythmics영어 작곡, 셰이린 본 안무
Jeff Beal영어 작곡, Phillip Mills영어 안무
클린트 만셀, 표트르 차이콥스키 작곡, Phillip Mills영어 안무
자넬 모네
엔니오 모리코네 작곡, 이리나 로마노바 안무
에르네스토 레쿠오나 작곡, 이리나 로마노바 안무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엔니오 모리코네
알렉산드르 보로딘
레이디 가가
존 배리
아람 하차투리안
Bette Midler영어
카미유 생상스
J. Gade
Liza Minnelli영어
듀크 엘링턴
조지 거슈윈
패트릭 도일
토마스 뉴먼, Jose Padilla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