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 방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계 방향은 시계 바늘이 도는 방향을 의미하며, 반대 방향은 반시계 방향이다. 시계가 보편화되기 전에는 해시계의 그림자 움직임에서 유래된 용어들이 사용되었다. 시계는 북반구에서 해시계의 그림자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본떠 만들어졌으며, 일부 시계는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제작되기도 한다.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은 기계, 수학,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기계에서는 오른손 법칙에 따라 나사 등을 조이는 데 사용되며, 수학에서는 각도를 반시계 방향으로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게임이나 활동에서는 문화적 차이에 따라 진행 방향이 다를 수 있으며, 사람의 경우 왼손잡이와 오른손잡이에 따라 원을 그리거나 회전하는 방향의 경향이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운동학 - 4절 링크
4절 링크는 4개의 링크가 4개의 1자유도 관절로 연결된 기구로, 관절 조합에 따라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며, 각 링크는 특정 역할을 수행하고, 그라쇼프 조건은 움직임 특성을 예측하는 데 사용되며, 여러 기계 시스템에 활용되는 기계 공학의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 - 운동학 - 가상일
가상일은 역학계에서 외력이 가상 변위에 대해 하는 일의 합으로, 정역학에서는 계의 정적 평형 조건으로 활용되며, 달랑베르 원리를 통해 동역학에도 적용되어 구조 해석 및 계산에 널리 쓰이는 물리량이다. - 방향 - 측지계
측지계는 지구의 형태와 위치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여 위도, 경도, 고도 등을 정의하고 측량, 지도 제작, GPS 등에 활용되는 기준 좌표계이다. - 방향 - 키블라
키블라는 무슬림이 기도할 때 향하는 메카 대모스크 내 카바 신전 방향을 의미하며, 이슬람력 2년에 예루살렘에서 카바로 변경되었고, 결정 방법과 해석에 다양한 방식과 논쟁이 존재한다. - 물리학 개념 - 절연체
절연체는 전기 전도성을 막아 전기의 흐름을 제어하고 안전을 확보하며, 밴드 이론에 따라 큰 띠틈을 가져 외부 전압이 띠틈을 넘어서면 절연 파괴가 발생하며, 유리에서 세라믹, 고분자 복합 재료 등으로 제작되어 전선, 케이블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 물리학 개념 - 전기 전도체
전기 전도체는 전기를 잘 통하는 물질로, 금속, 전해질, 초전도체, 반도체 등이 있으며, 구리, 은, 알루미늄 등 다양한 재료가 전선 등에 사용된다.
시계 방향 | |
---|---|
일반 정보 | |
방향 | 회전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향하는 곡선(보통 원)을 따라 점진적으로 진행하는 방향 감각 |
시계 방향 | 시계의 바늘이 움직이는 방향과 같은 방향 |
반시계 방향 | 시계 방향의 반대 방향 |
응용 | |
수학 | 수학 및 삼각법에서 각도는 일반적으로 x축에서 시작하여 시계 반대 방향으로 측정됨 원에서 시계 방향 회전은 음수로 간주됨 |
물리 | 물리학에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회전력과 관련된 물체에 적용됨 예를 들어, 코리올리 효과는 북반구에서 물체가 오른쪽(즉, 시계 방향으로)으로 휘어지게 하는 경향이 있음 |
기타 | |
기억법 | 시계 방향은 오른쪽으로, 반시계 방향은 왼쪽으로 기억하는 데 도움이 됨 |
2. 용어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이라는 용어는 회전 평면이 정해졌을 때 쓸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구의 일주 자전 운동은 남극 쪽에서 봤을 때 시계 방향이고 북극 쪽에서 봤을 때 반시계 방향이다.[5]
시계의 기원인 해시계의 그림자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했기 때문에 시계도 전통적으로 같은 방향을 따른다.[6] 침이 달린 시계는 최초로 북반구에서 만들어졌고,[7] 세로로 세워져 있었다. 이런 해시계가 적도 북쪽 지역에서 봄과 여름, 또는 북회귀선 북쪽에서 1년 내내 기능을 하려면 태양이 남중했을 때 해시계의 그림자가 북쪽으로 생겨야 한다. 그러면 태양이 서쪽, 남쪽, 동쪽 순서대로 이동할 때 그림자는 반대편인 동쪽, 남쪽, 서쪽 순서로 움직인다. 수평 해시계와 현대 침이 있는 시계가 시계 방향으로 도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수직 해시계(건물 벽에 붙어 있는 해시계)의 경우 태양은 오른쪽, 위, 왼쪽 순서로 위치해 있기 때문에 그림자는 왼쪽, 위, 오른쪽 순서로 움직인다. 즉 반시계 방향이다. 이는 해시계의 평면이 태양이 움직이는 평면에서 움직이면서 태양 반대편에 그림자가 생기기 때문이다.[8] 어떤 시계는 이런 원리를 따라서 침이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는데, 지금까지 남아있는 잘 알려진 시계는 뮌스터 천문 시계(영어판])이다.
가끔 시침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시계가 특이한 제품으로 판매되기도 한다. 역사적으로 유대교 시계 중 하나는 18세기 프라하 유대인 회관에 제작되었으며, 히브리어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는 방식을 사용했다. 2014년 볼리비아 대통령 에보 모랄레스 치하에서 라 파스의 무릴로 광장에 있는 국회의사당 밖의 시계가 원주민 가치를 장려하기 위해 반시계 방향으로 바뀌었다.[3]
2. 1. 어원
시계 방향은 영어 단어 "clockwise"의 번역어이며, 해시계의 그림자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서 유래했다. 시계가 보편화되기 전에는 "sunwise"(해의 이동 방향)와 "deasil", "deiseil", "deocil"이라는 용어가 스코틀랜드 게일어에서 유래했고, 같은 어원의 라틴어 단어 "dexter"(오른쪽)도 시계 방향을 의미했다. 반시계 방향은 영어 단어 "counter-clockwise" 또는 "anticlockwise"의 번역어이며, "Widdershins"(반시계 방향으로 가다) 또는 "withershins"는 반대 방향을 뜻하는 중세 저지 독일어에서 유래했다.[5]2. 2. 지구 자전과의 관계
지구의 자전은 남극에서 보면 시계 방향, 북극에서 보면 반시계 방향으로 보인다.[5]
3. 역사
시계가 보편화되기 전에는 스코틀랜드 게일어에서 유래한 "sunwise"(해의 이동 방향), "deasil", "deiseil", "deocil"이나, 같은 어원의 라틴어 단어 "dexter"(오른쪽)가 시계 방향을 의미했다. 중세 저지 독일어인 "Widdershins"(반시계 방향으로 가다) 또는 "withershins"는 반대 방향, 즉 반시계 방향을 뜻했다.[5]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이라는 용어는 회전 평면이 정해졌을 때 쓸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구의 일주 자전 운동은 남극 쪽에서 봤을 때 시계 방향이고 북극 쪽에서 봤을 때 반시계 방향이다.
3. 1. 해시계
시계의 기원인 해시계의 그림자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했기 때문에 시계도 전통적으로 같은 방향을 따른다.[6] 침이 달린 시계는 최초로 북반구에서 만들어졌고,[7] 세로로 세워져 있었다. 이런 해시계가 적도 북쪽 지역에서 봄과 여름, 또는 북회귀선 북쪽에서 1년 내내 기능을 하려면 태양이 남중했을 때 해시계의 그림자가 북쪽으로 생겨야 한다. 그러면 태양이 서쪽, 남쪽, 동쪽 순서대로 이동할 때 그림자는 반대편인 동쪽, 남쪽, 서쪽 순서로 움직인다. 수평 해시계 그리고 현대 침이 있는 시계가 시계 방향으로 도는 같은 이유이다. 수직 해시계(건물 벽에 붙어 있는 해시계)에서 태양은 오른쪽, 위, 왼쪽 순서로 위치해 있기 때문에 그림자는 왼쪽, 위, 오른쪽 순서로 움직인다. 즉 반시계 방향이다. 이는 해시계의 평면이 태양이 움직이는 평면에서 움직이면서 태양 반대편에 그림자가 생기기 때문이다.[8] 어떤 시계는 이런 원리를 따라서 침이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는데, 지금까지 남아있는 잘 알려진 시계는 뮌스터 천문 시계(영어판)이다.
3. 2. 시계
해시계의 그림자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했기 때문에 시계도 전통적으로 같은 방향을 따른다.[6] 침이 달린 시계는 최초로 북반구에서 만들어졌고,[7] 세로로 세워져 있었다. 이러한 해시계가 적도 북쪽 지역에서 봄과 여름, 또는 북회귀선 북쪽에서 1년 내내 기능을 하려면 태양이 남중했을 때 해시계의 그림자가 북쪽으로 생겨야 한다. 그러면 태양이 서쪽, 남쪽, 동쪽 순서대로 이동할 때 그림자가 반대편인 동쪽, 남쪽, 서쪽 순서로 움직인다. 수평 해시계와 현대 침이 있는 시계가 시계 방향으로 도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수직 해시계(건물 벽에 붙어 있는 해시계)에서 태양은 오른쪽, 위, 왼쪽 순서로 위치해 있기 때문에 그림자는 왼쪽, 위, 오른쪽 순서로 움직인다. 즉 반시계 방향이다. 이는 해시계의 평면이 태양이 움직이는 평면에서 움직이면서 태양 반대편에 그림자가 생기기 때문이다.[8]이러한 원리에 따라 침이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는 시계도 있는데, 지금까지 남아있는 잘 알려진 시계는 뮌스터 천문 시계(영어판)이다. 가끔 시침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시계가 특이한 제품으로 판매되기도 한다. 역사적인 유대교 시계 중 하나는 18세기 프라하 유대인 회관에 제작되었으며, 히브리어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는 방식을 사용했다. 2014년 볼리비아 대통령 에보 모랄레스 치하에서 라 파스의 무릴로 광장에 있는 국회의사당 밖의 시계가 원주민 가치를 장려하기 위해 반시계 방향으로 바뀌었다.[3]
4. 사용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은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기계 분야에서는 대부분의 나사, 볼트, 너트, 병뚜껑이 오른손 법칙에 따라 시계 방향으로 조여지고 반시계 방향으로 풀린다. 수학의 삼각법에서는 보통 평면 상의 각을 반시계 방향으로 측정하고, 데카르트 좌표계의 단위원에서 ''t''가 증가할 때 ''x'' = cos ''t'', ''y'' = sin ''t''는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인다. 반면 내비게이션이나 나침반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각도가 증가한다.
야구 경기는 반시계 방향으로 진행된다.
4. 1. 기계
대부분의 나사, 볼트, 너트, 병뚜껑은 오른손 법칙에 따라 시계 방향으로 조여지고 반시계 방향으로 풀린다.[9]오른손 법칙을 사용하려면, 엄지를 편 오른손을 꽉 쥐지 않고 놓는다. 엄지가 나사나 뚜껑을 빼는 방향을 가리키면, 네 손가락이 돌아간 방향이 나사나 뚜껑을 돌려야 하는 방향이다. 대부분의 경우 이 법칙을 따르지만, 풀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왼나사를 사용하는 예외도 있다.[9]
이러한 규칙이 적용되는 이유는 오른손잡이인 사람이 나사를 시계 방향으로 조일 때 팔의 뒤침(supination)이 반시계 방향으로 풀 때 팔의 엎침(pronation)보다 일반적으로 강하기 때문이다.[9]
왼나사가 사용되는 예는 다음과 같다.
- 자동차나 트럭의 바퀴 너트: 풀림 방지를 위해 왼쪽 바퀴에는 왼나사를 사용한다.[10]
- 자전거 발판: 사용 중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왼쪽 페달은 왼나사로 조인다.
- 물레: 실바퀴가 풀리는 것을 막기 위해 왼나사를 사용한다.
- 턴버클(영어판): 한쪽 끝은 오른나사, 다른 쪽 끝은 왼나사이다.
- 가스 피팅: 잘못된 연결로 인한 사고를 막기 위해 일부 가스 피팅은 왼나사로 만든다. 예를 들어, 아세틸렌, 프로페인과 같은 가연성 기체 보관 장치는 왼나사를 사용한다.[10][11]
4. 2. 수학

일반적으로 삼각법과 수학에서 평면 상의 각은 반시계 방향으로 측정한다. 오른쪽(동쪽)을 가리킬 때 0° 또는 0 라디안에서 시작해서, 위쪽(북쪽)을 가리킬 때 90° 또는 가 되는 식이다. 하지만 내비게이션이나 나침반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각도가 증가한다. 나침반의 가장 위쪽(북쪽)에서 0°, 오른쪽(동쪽)에서 90°가 된다.
데카르트 좌표계의 단위원에서 ''t''가 증가할 때마다 ''x'' = cos ''t''와 ''y'' = sin ''t''는 반시계 방향으로 따라가고, ''t'' = 0에서 가장 오른쪽이다. 공식에서 sin과 cos을 바꿔서 정의하면 가장 위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자취가 생길 것이다.
4. 3. 게임 및 활동
카드 게임, 보드 게임, 실내 게임, 팀 스포츠 게임은 서양에서 시계 방향 순서로, 라틴 아메리카나 아시아 국가에서 반시계 방향 순서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서양에서는 정해진 규칙 없이도 말하기나 토론 활동을 시계 방향으로 진행하는데, 게임과는 다르게 반시계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을 반대하는 사람은 없다.[1]특이하게 야구 경기는 반시계 방향으로 진행한다.[1]
5. 사람
왼손잡이인 사람은 원을 그리거나 건물 주위를 돌 때 시계 방향으로 돌고, 오른손잡이인 사람들은 반시계 방향으로 도는 경우가 많다. 좌뇌와 우뇌의 우열 차이 때문이라는 이론이 있었지만,[12] 연구에 따르면 상관관계가 거의 없고 근육의 움직임 때문이다.[13]
참조
[1]
뉴스
COUNTERCLOCKWISE {{!}} meaning in the Cambridge English Dictionary
https://dictionary.c[...]
2020-06-26
[2]
웹사이트
Definition of widdershins in English
https://en.oxforddic[...]
2019-03-04
[3]
웹사이트
Bolivia turns back the clock in bid to rediscover identity and 'southernness'
https://www.theguard[...]
2014-06-25
[4]
웹인용
COUNTERCLOCKWISE {{!}} meaning in the Cambridge English Dictionary
https://dictionary.c[...]
2020-06-26
[5]
웹인용
Definition of widdershins in English
https://en.oxforddic[...]
2019-03-04
[6]
웹인용
Why do clocks go clockwise?
https://www.sciencef[...]
2022-04-23
[7]
문서
en:Clock face#Historical development 참조
[8]
웹인용
Why Clocks Run Clockwise—and Some Watches That Don’t
https://www.bloomber[...]
2022-04-23
[9]
웹인용
Why Do We Turn Counterclockwise to Open?
https://viking626.wo[...]
2022-04-23
[10]
웹인용
돌려서 여는 병뚜껑은 왜 왼쪽으로만 열게 되어 있나요?
http://www.laborplus[...]
2022-04-23
[11]
웹인용
Gas Fittings Information
https://www.globalsp[...]
2022-04-23
[12]
문서
The torque test: A measurement of cerebral dominanc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74
[13]
저널
Does the 'Torque Test' Measure Cerebral Dominance in Adults?
1980-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