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야마와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마와로는 서일본 지역에서 전해지는 전승 속 존재로, 갓파가 산으로 들어가면 야마와로가 되고, 야마와로가 강으로 내려오면 갓파가 된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전환은 계절에 따라 이루어지며, 민속학자 야나기타 구니오는 이를 계절에 따른 신앙의 변화나 철새와 같은 자연 현상과 연관 지어 해석했다. 야마와로와 갓파는 오사키라는 길을 따라 이동하며, 이 길을 막으면 해를 입힌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쿠오카현의 요괴 - 큰메기
    일본 신화와 전설에서 지진을 일으키는 존재로 여겨지는 큰메기는 땅속에 살며 가시마 신궁의 신이 요석으로 억누르고 있다는 전설과 에도 시대 메기 그림 유행, 현대 지진 대비 활동 및 대중 문화 활용 등의 특징을 지닌다.
  • 미야자키현의 요괴 - 화차 (일본 요괴)
    화차는 일본의 요괴로, 원래는 죄인을 태워 지옥으로 끌고 가는 불타는 수레를 의미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장례식에 나타나 시체를 훔쳐가는 고양이 요괴의 이미지를 갖게 되었으며, 지역별 전승에 따라 다양한 모습과 의미를 지니고 현대에는 속담이나 은유적 표현에도 사용된다.
  • 미야자키현의 요괴 - 얀보시
    얀보시는 일본 전승에 등장하는 요괴로, 지역에 따라 모습과 특징이 다양하며, 주로 외딴 곳에서 나타나 사람을 홀린다고 전해진다.
  • 나가사키현의 요괴 - 로쿠로쿠비
    로쿠로쿠비는 일본의 요괴로, 목이 자유자재로 늘어나거나 몸에서 분리될 수 있으며, 목이 분리되어 날아다니는 분리비행형과 목이 신축적으로 늘어나는 신축인장형으로 나뉜다.
  • 나가사키현의 요괴 - 야호 (요괴)
    야호는 에도 시대 일본에서 특별한 능력 없는 들판의 여우를 지칭하는 말로, 인간에게 해를 끼치거나 장난치는 요괴로 묘사되며, 규슈 지방에서는 '야호씌임'이라는 특이한 현상으로 보고되기도 하고, 현대에는 사회심리학적 관점에서 집단 심리 및 사회적 불안과 연결하여 해석되기도 한다.
야마와로

2. 갓파와의 관계

서일본 각지에서는 캇파(河童)가 산에 들어가면 야마와로(山童)가 되고, 야마와로가 강으로 내려오면 캇파가 된다는 전승이 전해진다. 가을 피안(춘분) 무렵에 캇파가 산으로 들어가 야마와로가 되고, 봄의 피안(추분) 무렵에 야마와로가 강으로 내려가 캇파가 된다고 한다.

2. 1. 갓파와 야마와로의 전환

서일본 각지에서는 갓파가 산에 들어간 것이 야마와로(山童)로서 둘은 사실 같은 것이라는 전승이 확인된다. 가을 춘분 무렵에 갓파가 산으로 들어가 야마와로가 되고, 봄의 추분 무렵에 야마와로가 강으로 내려가 갓파가 된다고 한다.

  • 구마모토현: 가랏파(ガラッパ)가 추분에 산으로 들어가 야마와로가 되고, 춘분에 강으로 내려가 가랏파가 된다.[8]
  • 구마모토현 구마군: 카완타로(川ん太郎)와 야만타로(山ん太郎)가 2월 1일에 자리를 바꾸며, 이 날을 타로삭일(太郎朔日|타로츠이타치일본어)이라고 한다.[6]
  • 구마모토현 미나마타시: 가랏파가 음력 6월 1일(빙삭일氷朔日)에 산에서 강으로 내려온다.[5]
  • 와카야마현: 가오로(ガオロ)가 추분에 입산해서 카샨보가 되고, 춘분에 강으로 내려와 가오로가 된다.[7]
  • 나라현 요시노: 카와타로가 추분에 입산해서 야마타로가 되고, 춘분에 강으로 돌아와 카와타로가 된다.[7]
  • 미야자키현 니시메라촌: 세코는 저녁이 되면 산에 들어갔다가 아침이 되면 강으로 돌아온다.[8]


민속학자 야나기타 쿠니오는 「캇파의 이동(川童の渡り)」 등의 글에서, 이러한 갓파와 야마와로의 계절에 따른 변화를 계절에 따라 논밭(즉, 강)의 신과 산의 신에 대한 신앙이 변동한 것, 또는 철새 등과 관련된 계절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 아닌가 하는 설을 제기하였다.[9]

갓파=야마와로는 산을 오갈 때 오사키(オサキ)를 따라 집단으로 이동한다고 한다. 인간이 이 길을 가로막고 집을 지어놓으면 화를 내며 벽에 구멍을 내고 뚫고 지나간다고 한다. 또한 산에서 강으로 내려가는 야마와로를 보러 가면 병이 난다고도 한다.[10] 오사키란 한자로는 미선(尾先)이라고 쓰는데, 산기슭에서 내려오는 지형을 의미하며 집을 짓기에 적합하지 않은 땅으로 알려져 있다.[11] 구마모토현 아소군 오미네촌에서는 야마와로들이 이동하는 길목을 “토오리스지(通り筋|토오리스지일본어)”라고 불렀다.[5]

2. 2. 민속학적 해석

서일본 각지에서는 캇파(河童)가 산에 들어간 것이 야마와로(山童)로서 둘은 사실 같은 것이라는 전승이 확인된다. 가을 피안(춘분) 무렵에 캇파가 산으로 들어가 야마와로가 되고, 봄의 피안(추분) 무렵에 야마와로가 강으로 내려가 캇파가 된다고 한다.

지역내용
구마모토현가랏파(ガラッパ)가 추분에 산으로 들어가 야마와로가 되고, 춘분에 강으로 내려가 가랏파가 된다.[8]
구마모토현 구마군카완타로(川ん太郎)와 야만타로(山ん太郎)가 2월 1일에 자리를 바꾸며, 이 날을 타로삭일(太郎朔日|타로츠이타치일본어)이라고 한다.[6]
구마모토현 미나마타시가랏파가 음력 6월 1일(빙삭일氷朔日)에 산에서 강으로 내려온다.[5]
와카야마현가오로(ガオロ)가 추분에 입산해서 카샨보가 되고, 춘분에 강으로 내려와 가오로가 된다.[7]
나라현 요시노카와타로가 추분에 입산해서 야마타로가 되고, 춘분에 강으로 돌아와 카와타로가 된다.[7]
미야자키현 니시메라촌세코는 저녁이 되면 산에 들어갔다가 아침이 되면 강으로 돌아온다.[8]



민속학자 야나기타 쿠니오는 「캇파의 이동(川童の渡り)」 등의 글에서, 이러한 캇파와 야마와로의 계절에 따른 변화를 계절에 따라 논밭(즉, 강)의 신과 산의 신에 대한 신앙이 변동한 것, 또는 철새 등과 관련된 계절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 아닌가 하는 설을 제기하였다.[9]

캇파=야마와로는 산을 오갈 때 오사키(オサキ)를 따라 집단으로 이동한다고 한다. 인간이 이 길을 가로막고 집을 지어놓으면 화를 내며 벽에 구멍을 내고 뚫고 지나간다고 한다. 또한 산에서 강으로 내려가는 야마와로를 보러 가면 병이 난다고도 한다.[10] 오사키란 한자로는 미선(尾先)이라고 쓰는데, 산기슭에서 내려오는 지형을 의미하며 집을 짓기에 적합하지 않은 땅으로 알려져 있다.[11] 구마모토현 아소군 오미네촌에서는 야마와로들이 이동하는 길목을 “토오리스지(通り筋|토오리스지일본어)”라고 불렀다.[5]

2. 3. 이동 경로와 금기

캇파(河童)와 야마와로는 산을 오갈 때 오사키(オサキ)를 따라 집단으로 이동한다고 한다. 인간이 이 길을 가로막고 집을 지으면 화를 내며 벽에 구멍을 내고 뚫고 지나간다고 한다. 또한 산에서 강으로 내려가는 야마와로를 보면 병이 난다고도 한다.[10] 오사키란 한자로는 미선(尾先)이라고 쓰는데, 산기슭에서 내려오는 지형을 의미하며 집을 짓기에 적합하지 않은 땅으로 알려져 있다.[11] 구마모토현 아소군 오미네촌에서는 야마와로들이 이동하는 길목을 “토오리스지(通り筋|토오리스지일본어)”라고 불렀다.[5]

참조

[1] 서적 和漢三才図会 平凡社 1986
[2] 서적 別冊太陽 日本の妖怪 平凡社 1987
[3] 서적 現代民話考〈1〉河童・天狗・神かくし 筑摩書房 2003-04
[4] 서적 現代民話考〈1〉河童・天狗・神かくし
[5] 논문 山童 三一書房 1988
[6] 서적 山童伝承 三一書房 1988
[7] 서적 妖怪談義 講談社 1977
[8] 서적 妖怪事典 毎日新聞社 2000
[9] 서적 川童の渡り 講談社 1977
[10] 서적 幻想世界の住人たち IV 日本編 新紀元社 1990
[11] 서적 綜合日本民俗語彙 平凡社 195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