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문여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문여장》은 송나라와 서하 간의 전쟁을 배경으로, 양가 장군의 죽음 이후 그의 미망인 목계영과 양가 여인들이 남편의 유지를 이어받아 전장에 나서는 이야기를 그린다. 양가문의 마지막 남은 아들 양문광이 병마대원수로 임명되어 전쟁에 참여하지만, 함정에 빠져 위기에 직면한다. 이후 양종보가 생환하고, 황토성 전투에서 서하군과 최후의 결전을 벌인다. 영화는 화려한 액션과 스펙터클한 전투 장면을 선보였지만, 빈약한 스토리와 개연성 부족으로 비판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역사 영화 - 붉은 수수밭
《붉은 수수밭》은 중일 전쟁 시기 중국 산둥성의 시골 마을을 배경으로, 일본군의 침략에 맞서 싸우는 여인의 삶을 그린 영화로, 붉은색의 강렬한 영상미와 민중의 저항 정신을 표현하여 국제적인 호평을 받았다. - 중국의 역사 영화 - 야연
2006년 펑샤오강 감독이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햄릿》을 각색하여 당나라 말기의 궁중 암투와 복수를 그린 영화 야연은 장쯔이, 거유, 오언조, 주신, 황효명 등 유명 배우들이 출연했으며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퓨처 필름 페스티벌 디지털 상을 수상했다. - 과부와 홀아비를 소재로 한 영화 - 우리는 동물원을 샀다
《우리는 동물원을 샀다》는 벤자민 미 가족이 폐업 위기의 동물원을 인수하여 운영하는 이야기를 그린 2011년 미국 영화로, 맷 데이먼, 스칼릿 조핸슨 등이 출연하며 실화를 바탕으로 각색되었고, 엇갈린 평가에도 불구하고 흥행에 성공했다. - 과부와 홀아비를 소재로 한 영화 - 나이트메어 7: 뉴 나이트메어
《나이트메어 7: 뉴 나이트메어》는 1984년 영화 《나이트메어》 시리즈의 일곱 번째 작품으로, 프레디 크루거가 현실 세계로 침투하여 배우와 제작진을 위협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웨스 크레이븐이 감독과 각본을 맡았다. - 2011년 영화 - 블랙손 (영화)
《블랙손》은 1908년 총격전에서 살아남아 볼리비아에서 가명으로 살아가던 부치 캐시디가 고향으로 돌아가려 하는 여정을 그린 2011년 스페인 서부극 영화로, 샘 셰퍼드가 주연을 맡았으며 고야상에서 여러 상을 수상하는 등 평론가들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2011년 영화 - 통증 (영화)
통증은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로 통증을 느끼지 못하는 채권추심원과 혈우병 환자의 만남을 통해 서로의 고통을 공유하며 희망을 찾아가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이다.
양문여장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楊門女將之軍令如山 |
중국어 간체 | 杨门女将之军令如山 |
병음 | Yáng Mén Nǚ Jiàng Zhī Jūn Lìng Rú Shān |
광둥어 | Joeng4 Mun4 Neoi5 Zoeng3 Zi1 Gwan1 Ling6 Jyu4 Saan1 |
영어 제목 | Legendary Amazons |
일본어 제목 | 女ドラゴンと怒りの未亡人軍団 |
영화 정보 | |
감독 | 프랭키 찬 |
제작 | 성룡 , 왕톈윈 |
각본 | 프랭키 찬, 류헝, 마훙루 |
출연 | 리치 런, 장백지, 청페이페이, 류샤오칭, 캐시 차우 |
음악 | 뤄천 |
촬영 | 우룽지에, 천여우량, 장원지에 |
편집 | 장하이차오 |
무술 감독 | 우빈, 프랭키 찬, 펑학안 |
의상 | 루젠밍 |
제작사 | 상하이 필름 그룹 코퍼레이션, 펑황 모션 픽처 유한공사, 중시문화유한공사, 베이징 센추리 컬처 커뮤니케이션 유한공사, 러다오 문화투자 유한공사, 퉁팡 연합 영화 그룹 유한공사 |
배급사 | 상하이 둥팡 영화 발행공사, 중국 영화 주식회사 베이징 영화 발행 분공사, 상시 영화 |
개봉일 | 2011년 11월 18일 |
상영 시간 | 108분 |
국가 | 중국 |
언어 | 중국어 |
제작비 및 흥행 | |
제작비 | 5000만 위안 (약 63억원) |
관련 정보 | |
원작 | 양문여장 |
2. 줄거리
송나라와 서하 간의 전쟁이 치열해지던 중, 양가의 마지막 남은 장군 양종보(楊宗保)는 간신 방(龐)의 증원 거부로 천문관에서 전사한다. 그의 미망인 목계영은 양가의 다른 과부들과 함께 남편의 유지를 이어받아 전장에 나선다.
양종보의 아들 양문광(楊文广)이 병마대원수로 임명되어 1만 병사와 양가의 미망인들을 이끌고 전장으로 향한다. 미망인들은 무모한 싸움에 뛰어들고, 태군은 오랑을 척후로 삼아 병사 4천 명을 나누어 적을 교란하고 매복 공격하는 작전을 세운다.
서하군 선행 부대는 죄수 차에 묶인 가짜 양종보를 미끼로 양문광을 유인한다. 목계영이 지휘권을 빼앗지만, 양문광은 이를 무시하고 적진에 돌입하여 가짜 양종보를 구출하려다 함정에 빠진다. 목계영은 나한 회전과 언월진으로 대항하지만, 칠랑과 대랑이 전사하고 양문광은 계곡 아래로 떨어져 생사를 알 수 없게 된다.
한편, 소수 민족 족장의 손녀 소두자가 기절한 양문광을 돕는다. 놀랍게도 소두자의 아지트에는 양종보가 있었는데, 그는 천문관에서 소두자 일당의 도움을 받아 서하군에 반격할 기회를 엿보고 있었다.
양가군은 황토성에서 서하군과 최후의 결전을 벌인다. 태군은 오랑을 척후로 삼고, 병사 4천 명을 천 명씩 소대로 나누어 난수와 이랑에게 각각 적 좌익·우익 교란, 사랑에게 적 후방 보급 부대 공격, 계영·문광·칠랑·배풍에게 매복 공격을 명령한다. 자신은 6천 명의 병사로 적을 맞이하고 황토성에서 합류하는 작전을 세운다.
9만 명의 서하군 중, 3만 명의 경장병을 이끌고 선행한 은기 원수는 죄수 차에 묶인 종보를 미끼로 문광을 유인한다. 계영이 지휘권을 빼앗지만, 문광은 무시하고 적진에 돌입하여 종보를 구출한다. 그러나 종보는 가짜였고, “공성계”를 사용한 적의 함정이었다. 서하군의 활을 방패로 막으면 낭아봉으로 공격당하기 때문에, 계영은 나한 회전과 “언월진”으로 대항한다. 그곳에 대랑 등이 병사의 절반을 이끌고 구원에 달려오지만, 적의 매복으로 칠랑이 희생되고, 이어서 대랑도 붙잡혀 죽는다. 문광도 적의 장수와 함께 계곡 아래로 떨어져 생사를 알 수 없게 된다.
태군 등 양가군의 주력은 서하군의 매복에 걸려 아사곡을 빠져나가려 하지만, 계곡 위에서 불덩이를 떨어뜨려 동굴로 도망친다. 팔저가 폭약으로 동굴 입구를 막는다. 동굴의 앞은 깊은 낭떠러지라 길이 막히지만, 병사의 쇄자갑으로 맞은편까지 다리를 만들어 모두를 건너게 하는 데 성공한다. 그러나 도중에 다리가 무너져 삼랑이 계곡 아래로 추락한다. 한편, 계곡 위에서 교전 중이던 육랑을 사랑이 구원한다. 태군 등은 상당한 전력을 잃었지만, 황토성으로 입성한다. 난수도 적의 좌익을 교란하여 합류하지만, 이미 이랑은 전사했다.
그때 왕강 원수가 10만 명의 송군을 이끌고 나타나, 군기를 문란시킨 계영을 불러 처형하려 한다. 그때 문광과 종보가 잇달아 나타나, 처형 대신 전장에서 죽겠다고 말하고 계영과 종보는 출진한다.
서하군의 주력의 중장병과 합류한 은기는 황토성 공격을 시작한다. 바람을 타고 오랑이 출격하여 분전하지만, 화살에 희생된다. 계영 등은 대장 은기를 노려, 밀집 대형 “불장진”으로 출격한다. 노궁포를 “장사진”으로 피하고, “독사 토신”으로 난수가 튀어나와 기습을 가하고, “선녀 산화”로 모두 흩어져 난투가 벌어진다. 난수가 빠져나와 은기에게 도전하지만, 한 발 늦어 패한다.
왕강의 진영에서 육랑이 왕강을 매화관심침으로 붙잡고, 태조 황제의 “면사금패”를 보여준다. 유 부장군은 따라 군령부를 태군에게 건네준다. 곧 문광과 팔저가 가세하여 은기를 몰아붙이고, 종보가 은기를 붙잡고, 계영이 쳐 죽인다. 육랑이 은기의 목을 베자, 서하군은 흩어져 양가군이 승리한다. 그러나 종보와 계영도 목숨을 잃는다.
전쟁이 끝난 후, 양문광은 평서 부원수로 임명되어 원수 적청과 함께 변경 수비를 맡게 되었다. 문광은 양종보와 목계영이 말을 타고 달리는 모습을 보며 새로운 임무를 시작한다.
2. 1. 배경
11세기 초, 송나라의 송 인종은 국정을 멀리하고 사치스러운 생활에 빠져 있었다. 이로 인해 조정은 부패하였고, 서하의 침략이 끊이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양가의 마지막 생존자인 양종보(楊宗保)는 외세의 침략으로부터 송나라를 지키기 위해 평생을 헌신했다.2. 2. 양종보의 죽음과 목계영의 등장
송나라 인종 시기, 양가장은 서하의 침입에 맞서 싸우고 있었다. 양가장의 마지막 생존자인 양종보는 서하와의 전투에서 간신 방길의 배신으로 인해 전사한다. 그의 아내 목계영은 남편의 유지를 이어받아 양가의 과부들을 이끌고 전장에 나선다.18년 전, 양종보는 요나라의 천문진을 깨기 위해 강룡목을 찾던 중 산적의 딸 목계영을 만나 부부가 되었다.
2. 3. 양문광의 성장과 출정
송나라의 송 인종 치세 시기, 정부의 부패와 계속되는 전란 속에서 서하의 침략이 있었다. 양가의 마지막 생존자 양종보(楊宗保)는 외세로부터 나라를 지키기 위해 헌신했지만, 간신 방(龐)의 증원 거부로 전사한다. 그의 미망인 목계영은 다른 양가 과부들을 이끌고 전투에 나선다.이전, 요나라의 천문진을 깨기 위해 강룡목을 찾던 양종보는 산적의 딸 목계영과 만나 부부가 되었다.
단 한 명 남은 양가의 남자 양문광은 병마대원수로 임명되어, 1만의 병사와 양가의 미망인들을 이끌고 전장으로 향했다. 태군은 오랑을 척후로 삼고, 병사 4천 명을 천 명씩 소대로 나누어 적 좌익·우익 교란, 적 후방 보급 부대 공격, 매복 공격을 명령하는 작전을 세운다.
서하군의 은기 원수는 종보를 미끼로 문광을 유인하나, 이는 공성계를 사용한 함정이었다. 계영은 나한 회전과 “언월진”으로 대항하지만, 칠랑, 대랑 등이 희생되고 문광은 생사를 알 수 없게 된다.
이후, 소수 민족 족장의 손녀 소두자가 기절한 문광을 돕고, 종보 역시 소두자 일당의 도움을 받아 서하군에 반격할 기회를 엿보고 있었다.
2. 4. 천문관 전투와 함정
송나라와 서하 간의 전쟁이 치열해지던 중, 양가의 마지막 남은 장군 양종보(楊宗保)는 간신 방(龐)의 증원 거부로 천문관에서 전사한다. 그의 미망인 목계영은 양가의 다른 과부들과 함께 남편의 유지를 이어받아 전장에 나선다.
양종보의 아들 양문광(楊文广)이 병마대원수로 임명되어 1만 병사와 양가의 미망인들을 이끌고 전장으로 향한다. 미망인들은 무모한 싸움에 뛰어들고, 태군은 오랑을 척후로 삼아 병사 4천 명을 나누어 적을 교란하고 매복 공격하는 작전을 세운다.
서하군 선행 부대는 죄수 차에 묶인 가짜 양종보를 미끼로 양문광을 유인한다. 목계영이 지휘권을 빼앗지만, 양문광은 이를 무시하고 적진에 돌입하여 가짜 양종보를 구출하려다 함정에 빠진다. 목계영은 나한 회전과 언월진으로 대항하지만, 칠랑과 대랑이 전사하고 양문광은 계곡 아래로 떨어져 생사를 알 수 없게 된다.
한편, 소수 민족 족장의 손녀 소두자가 기절한 양문광을 돕는다. 놀랍게도 소두자의 아지트에는 양종보가 있었는데, 그는 천문관에서 소두자 일당의 도움을 받아 서하군에 반격할 기회를 엿보고 있었다.
2. 5. 양종보의 생환과 재회
죽은 줄 알았던 양종보는 천문관에서 소수 민족 족장의 손녀 소두자 일당의 도움을 받아 살아남아 서하군에 반격할 기회를 엿보고 있었다. 목계영과 양종보는 재회하고, 함께 복수를 다짐한다.2. 6. 황토성 전투와 최후의 결전
양가군은 황토성에서 서하군과 최후의 결전을 벌인다. 태군은 오랑을 척후로 삼고, 병사 4천 명을 천 명씩 소대로 나누어 난수와 이랑에게 각각 적 좌익·우익 교란, 사랑에게 적 후방 보급 부대 공격, 계영·문광·칠랑·배풍에게 매복 공격을 명령한다. 자신은 6천 명의 병사로 적을 맞이하고 황토성에서 합류하는 작전을 세운다.
9만 명의 서하군 중, 3만 명의 경장병을 이끌고 선행한 은기 원수는 죄수 차에 묶인 종보를 미끼로 문광을 유인한다. 계영이 지휘권을 빼앗지만, 문광은 무시하고 적진에 돌입하여 종보를 구출한다. 그러나 종보는 가짜였고, “공성계”를 사용한 적의 함정이었다. 서하군의 활을 방패로 막으면 낭아봉으로 공격당하기 때문에, 계영은 나한 회전과 “언월진”으로 대항한다. 그곳에 대랑 등이 병사의 절반을 이끌고 구원에 달려오지만, 적의 매복으로 칠랑이 희생되고, 이어서 대랑도 붙잡혀 죽는다. 문광도 적의 장수와 함께 계곡 아래로 떨어져 생사를 알 수 없게 된다.
태군 등 양가군의 주력은 서하군의 매복에 걸려 아사곡을 빠져나가려 하지만, 계곡 위에서 불덩이를 떨어뜨려 동굴로 도망친다. 팔저가 폭약으로 동굴 입구를 막는다. 동굴의 앞은 깊은 낭떠러지라 길이 막히지만, 병사의 쇄자갑으로 맞은편까지 다리를 만들어 모두를 건너게 하는 데 성공한다. 그러나 도중에 다리가 무너져 삼랑이 계곡 아래로 추락한다. 한편, 계곡 위에서 교전 중이던 육랑을 사랑이 구원한다. 태군 등은 상당한 전력을 잃었지만, 황토성으로 입성한다. 난수도 적의 좌익을 교란하여 합류하지만, 이미 이랑은 전사했다.
그때 왕강 원수가 10만 명의 송군을 이끌고 나타나, 군기를 문란시킨 계영을 불러 처형하려 한다. 그때 문광과 종보가 잇달아 나타나, 처형 대신 전장에서 죽겠다고 말하고 계영과 종보는 출진한다.
서하군의 주력의 중장병과 합류한 은기는 황토성 공격을 시작한다. 바람을 타고 오랑이 출격하여 분전하지만, 화살에 희생된다. 계영 등은 대장 은기를 노려, 밀집 대형 “불장진”으로 출격한다. 노궁포를 “장사진”으로 피하고, “독사 토신”으로 난수가 튀어나와 기습을 가하고, “선녀 산화”로 모두 흩어져 난투가 벌어진다. 난수가 빠져나와 은기에게 도전하지만, 한 발 늦어 패한다.
왕강의 진영에서 육랑이 왕강을 매화관심침으로 붙잡고, 태조 황제의 “면사금패”를 보여준다. 유 부장군은 따라 군령부를 태군에게 건네준다. 곧 문광과 팔저가 가세하여 은기를 몰아붙이고, 종보가 은기를 붙잡고, 계영이 쳐 죽인다. 육랑이 은기의 목을 베자, 서하군은 흩어져 양가군이 승리한다. 그러나 종보와 계영도 목숨을 잃는다.
2. 7. 양문광의 새로운 임무
전쟁이 끝난 후, 양문광은 평서 부원수로 임명되어 원수 적청과 함께 변경 수비를 맡게 되었다. 문광은 양종보와 목계영이 말을 타고 달리는 모습을 보며 새로운 임무를 시작한다.3. 등장인물
- 장백지 - 목계영 역
- 임현제 - 양종보 역
- 정패패 - 사새화 역
- 유효경 - 채청운 역
- 거춘연 - 주운경 역
- 오시마 유카리 - 추람수 역
- 이경 - 경금화 역
- 금교교 - 동월아 역
- 양자동 - 맹진방 역
- 주해미 - 마새영 역
- 유나 - 호연적진 역
- 진자한 - 양연기 역
- 류동 - 양연영 역
- 소명우 - 양문광 역
- 주소비 - 양배봉 역
- 왕제 - 양금화 역
- 조천우 - 소두 역
- 당요림 - 소작 역
- 석범희 - 은기 역
- 오마 - 방길 역
- 린웨이 - 왕강 역
- 종초 - 유부 역
- 이보우 - 교정귀 역
- 뤄잉위안 - 맹회원 역
- 한우 - 맹량 역
- 호표 - 교찬 역
- 임설해 - 범중엄 역
- 소용생 - 양연소 역
- 서소 - 적인 역
- 풍가안 - 소두의 할아버지 역
3. 1. 주연
- 장백지 - 목계영 역
- 임현제 - 양종보 역
- 정패패 - 사새화 역
- 유효경 - 채청운 역
- 거춘연 - 주운경 역
- 오시마 유카리 - 추람수 역
- 이경 - 경금화 역
- 금교교 - 동월아 역
- 양자동 - 맹진방 역
- 주해미 - 마새영 역
- 유나 - 호연적진 역
- 진자한 - 양연기 역
- 류동 - 양연영 역
- 소명우 - 양문광 역
- 주소비 - 양배봉 역
- 왕제 - 양금화 역
- 조천우 - 소두 역
- 당요림 - 소작 역
- 석범희 - 은기 역
- 오마 - 방길 역
- 린웨이 - 왕강 역
- 종초 - 유부 역
- 이보우 - 교정귀 역
- 뤄잉위안 - 맹회원 역
- 한우 - 맹량 역
- 호표 - 교찬 역
- 임설해 - 범중엄 역
- 소용생 - 양연소 역
- 서소 - 적인 역
- 풍가안 - 소두의 할아버지 역
3. 2. 조연
정패패, 류샤오칭, 진자함, 금교교, 양자동, 과춘염, 오시마 유카리, 이정, 저우하이메이, 류둥, 우나, 조천우 등이 출연하였다.4. 제작진
5. 평가
이 영화는 화려한 액션과 스펙터클한 전투 장면을 선보이지만, 빈약한 스토리와 개연성 부족으로 비판을 받았다. 경극 『양문여장/杨门女将 (京剧)중국어』의 영상화 작품으로, 1972년 영화 『14 아마조네스 왕녀의 검/十四女英豪중국어』의 리메이크작이다. 제작비 5000만 위안(약 6.3억 엔)이 투입된 대작이지만, 중국의 라지상으로 불리는 "금 빗자루상"에서 2012년 작품상, 감독상, 남우주연상, 여우주연상 전 부문에 노미네이트되었으며, 주연을 맡은 장백지가 "가장 실망스러운 여배우상"을 수상했다.
6. 기타
일본판 『'''양가여장전 ~여 드래곤과 분노의 미망인 군단~'''』은 닛카츠에서 발매하였고, 하피넷에서 판매를 담당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