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우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우락(Âu Lạc)은 '구(Âu)'와 '락(Lạc)'이라는 두 부족의 결합을 의미하는 고대 베트남의 국가이다. 촉(蜀)의 왕자 촉반(Thục Phán)이 훙 왕조를 몰아내고 월랑(文郎)을 병합하여 건국했으며, 안양왕(安陽王)을 칭하고 풍계(封溪, 현재 하노이)를 수도로 삼았다. 어우락은 고라성(Cổ Loa Citadel)을 건설하고 강력한 중앙 집권 체제를 갖추었으며, 농업을 기반으로 경제 발전을 이루었다. 기원전 179년 남월(南越)의 침공으로 멸망하여 남월에 병합되었다.
어우락(甌雒)이라는 국호는 '구(甌)'와 '낙(駱)'이라는 두 부족 또는 지역의 결합을 의미한다. 한자 표기로는 구락(甌雒) 외에 “구막(甌貉)”[15][16], “구락(甌駱)”[17] 등이 있다.
촉의 왕자 촉반은 중국 사천성에서 베트남 북부로 와서, 산악 지대의 Âu Việt|구월영어(현재 베트남 최북부 및 중국 남부 일부)과 그 남쪽의 낙월(현재 베트남 북부 홍강 삼각주)을 통합하여 나라를 세웠다.[22][23]
안양왕을 중심으로 한 강력한 중앙집권 체제가 어우락국의 정치 체제였다. 낙후(雒侯)를 중심으로 여러 행정 구역으로 나뉘었고, 각각 보정(蒲正)이라 불리는 지사가 배치되었다.[1] 여성은 낙월 사회에서 높은 지위를 누렸다.[2] 모계 사회 전통이 강했으며, 여성은 상속권을 가졌고[3] 레비어트 결혼 풍습도 존재했다.[4]
어우락의 경제는 농업, 특히 벼농사를 기반으로 하였다. 역축, 금속 쟁기, 도끼 및 기타 도구, 그리고 관개 시설이 발달하여 높은 농업 생산성을 유지했다.[1] 관개 벼농사는 기원전 2000년 초에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꽃가루 분석 결과가 이를 뒷받침한다.[2][1] 금속 도구는 중국과 베트남 간 문화 교류가 본격화되기 전부터 널리 사용되었다.[1]
어우락은 홍강 삼각주를 중심으로 인구 밀도가 높았다. 고고학적 증거와 서기 2년 한나라의 인구 조사 기록에 따르면, 당시 교지(Giao Chỉ), 구진(Cửu Chân), Nhật Nam의 세 현에는 981,755명이 거주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고뢰(Cổ Loa)와 그 주변 지역의 인구는 수천 명으로 추산되며, 더 넓은 삼각주 지역의 인구는 수만 명, 혹은 수십만 명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
[1]
논문
2. 명칭
3. 역사
문랑국 말기, 18대 우왕(雄王)은 향락에 빠져 국방을 소홀히 했고, 진의 침공을 막지 못했다. 4년간의 전쟁 끝에 문랑국은 진나라 군대를 북부 지역으로 받아들였으나, 서구(西甌)는 진나라에 저항했고, 낙월(駱越) 또한 진나라의 지배를 거부하고 숲으로 도망쳤다.[24] 이들은 촉반을 지도자로 삼아 6년간 항전하여 진나라 군교위(軍校尉)인 屠睢|도서중국어를 무찌르고 진나라 군대를 물리쳤다. 서구와 낙월의 지도자가 된 촉반은 기원전 257년에 구(甌)와 낙(駱)월을 통합하여 구락(甌駱)을 건국했고, 같은 시기에 문랑국의 북쪽 이웃이었던 남강국(南崗國)도 병합했다.
촉반은 안양왕이라는 칭호로 통치했고, 수도는 풍계(封溪, 오늘날 하노이 북부 동아인현 고라)에 두었다.[25][26][27]
3. 1. 건국
촉의 왕자 촉반이 중국 사천성에서 베트남 북부에 도달하여,[22] 산악 지대의 Âu Việt|구월영어(현재 베트남 최북부 및 중국 남부 일부)과 그 남쪽의 낙월(현재 베트남 북부에 있는 홍강 삼각주)을 통합하여 건국하였다.[23]
문랑국 말기, 18대 우왕(雄王)은 향락에 빠져 군비를 소홀히 하였고, 진의 침공을 막지 못하였다. 4년간의 전쟁 끝에 문랑국은 진나라 군대를 북부 지역으로 받아들였으나, 서구(西甌)는 진나라에 저항하였고, 낙월(駱越) 또한 진나라의 지배를 받아들이지 않고 숲으로 도망쳤다.[24] 그들은 촉반을 지도자로 삼아 6년간의 항전 끝에 진나라 군교위(軍校尉)인 屠睢|도서중국어를 무찌르고 진나라 군대를 퇴각시켰다. 서구와 낙월의 지도자가 된 촉반은 기원전 257년에 구(甌)와 낙(駱)월을 통합하여 구락(甌駱)을 건국하였다. 같은 시기에 문랑국의 북쪽 이웃이었던 남강국(南崗國)도 병합하였다.
촉반은 안양왕이라는 칭호로 통치하였고, 수도는 풍계(封溪, 오늘날 하노이 북부 동아인현 고라)에 두었다.[25][26][27]
3. 2. 고라성 건설
안양왕은 진의 재침공에 대비하여 풍계에 고라성을 건설하였다.[28] 3중의 토루(土塁)와 수호(水堀)로 이루어진 고라성은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큰 선사 시대 해자 도시 유적 중 하나였다.[29] 고라성은 외곽 둘레 8km, 중곽 둘레 6.6km, 내곽 둘레 1.6km, 높이 5m~10m에 달하는 거대한 규모였다. 황하와 카 늪을 포함하여 축조되었고, 그 형태가 소라와 닮았다고 하여 고라성이라 불렸다.[29]
고라성 건설에는 600ha의 면적에 200만 세제곱미터에 달하는 자재가 사용되었다. Kim(2015)은 이러한 대규모 프로젝트 건설에는 3,171,300일에서 5,285,500일의 노동력이 필요했을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오락국이 고도로 중앙집권화된 국가였음을 보여준다. 고라성은 "물리적, 상징적, 심리적 보호"를 제공하여 정치체의 힘과 자위 능력을 과시하고 잠재적인 위협을 억제하는 역할을 했다.
3. 3. 남월과의 갈등과 멸망
기원전 204년, 조타(趙佗)가 판여에서 남월(南越)을 건국했다.[10] 남월과 어우락은 초기에 한나라에 대한 반감으로 협력했지만, 한나라와의 관계가 정상화되면서 남월은 어우락을 공격할 수 있게 되었다.[10]
조타(趙佗)의 초기 침공은 실패했지만, 그는 계략을 사용했다. 아들 중씨를 안양왕의 딸 미주(媚 Châu)와 결혼시켜 어우락 왕실에 침투했다.[12] 모계 사회 풍습에 따라 중씨는 안양왕의 궁에 거주하며, 미주를 통해 어우락의 군사 기밀인 석궁의 비밀을 알아냈다.[12]
중씨는 석궁의 방아쇠를 몰래 고장낸 후, 아버지에게 돌아가 남월의 재침공을 가능하게 했다. 결국 안양왕은 패배하고, 딸의 배신을 알게 된 후 딸을 죽였다.[12]
기원전 179년, 어우락에서 내란이 발생하여 여러 장수들이 안양왕을 떠났고, 남월 군대가 다시 침공하여 어우락을 병합했다.[30] 조타는 어우락 지역을 남월에 편입했지만, 토착 수장들에게 통치를 맡겼다.[30] 홍하 삼각주의 교지(交趾)와 마 강, 카 강 유역의 구진(九真)에 두 명의 관리를 파견하여 감독하게 했지만, 이들의 영향력은 제한적이었고 지역 사회는 이전과 다름없이 유지되었다.[30]
3. 4. 전설
안양왕이 고라성을 쌓을 때 금빛 거북이가 나타나 건설을 도왔고, 거북이의 발톱으로 만든 쇠뇌는 남월의 침공을 막는 데 큰 역할을 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31]
안양왕은 고라를 도읍으로 정하고 성을 쌓으려 했으나, 몇 번을 시도해도 무너져 난감해하고 있었다. 그때 금빛 거북이가 나타나 건설에 대한 조언을 해주었다. 안양왕은 조언대로 다시 쌓아 견고한 성벽을 완성했다. 또한 금빛 거북이는 자신의 발톱을 주었는데, 이 발톱으로 만든 쇠뇌는 침공해 온 남월국을 물리칠 정도로 뛰어났다. 남월의 왕 조타는 패배 후 강화를 맺고, 아들 赵始|중시중국어와 안양왕의 딸 媚珠|미주중국어의 혼인을 제안했다. 두 사람은 사이좋은 부부가 되었지만, 이는 조타의 계략이었다. 어느 날, 중시는 경계가 느슨해진 틈을 타 쇠뇌를 훔치는 데 성공한다. 이 일로 강화는 결렬되고 다시 전쟁이 시작되었지만, 안양왕은 패하고 도읍에서 딸들을 데리고 도망치려 한다. 하지만 미주는 중시를 사랑하여, 그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리기 위해 길에 표식을 남겼다. 그러나 이 사실이 안양왕에게 알려져, 분노한 안양왕은 딸을 죽인다. 중시는 표식을 따라 미주에게 도착했지만, 미주는 이미 숨을 거둔 뒤였고, 낙담한 중시는 우물에 몸을 던져 뒤따라 죽었다.[31]
4. 정치와 사회
한나라 사료에는 오락국 사람들이 미개하다고 기록되어 있으나,[5] 고고학적 증거는 오락국이 안정적이고, 구조화되고, 생산적이며, 인구가 많고, 비교적 정교한 사회였음을 보여준다.[6]
5. 경제
베트남 북부는 기원전 1000년 이전부터 광범위한 지역 간 무역 네트워크의 중심지였다. 이는 전략적 위치, 주요 교류 경로 및 자원(주요 강이나 해안과의 근접성 포함)[3]과 구리, 주석, 납 광석의 풍부한 매장량 덕분이었다.[4][5] 김남길(Kim, 2015)은 이 지역의 위치, 주요 수로에 대한 접근성, 그리고 열대 지방 특산품에 대한 접근성을 포함한 경제적, 상업적 가치가 중국이 이 지역을 정복한 주요 이유였으며, 이를 통해 동남아시아의 다른 지역에 대한 제한 없는 접근을 확보할 수 있었다고 보았다.[6]
6. 인구
후대 중국 관리들은 현지 주민들을 낙(Lạc, Lou)과 Âu(Ou)라고 불렀다. 락(Lac)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를 사용했던 것으로 여겨진다.[2] 테일러(Taylor, 2013)는 저지대 주민들은 대부분 프로토-베트-므엉어(Proto-Viet-Muong)를 사용했고, 홍강 삼각주의 북쪽과 서쪽 산악 지역 주민들은 현대 크무어와 유사한 고대 언어를 사용했다고 보았다. 반면, Âu 사람들은 타이-카다이어족과 관련된 언어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2]
참조
[2]
웹사이트
Đại Việt sử ký toàn thư, quyển I
http://www.informati[...]
[3]
문서
ĐVSKTT (Peripheral Records/Volume 1:6a)
[4]
문서
Shiji (Volume 113)
[5]
논문
[6]
웹사이트
Đại Việt sử ký toàn thư, quyển I
http://www.informati[...]
[7]
문서
ĐVSKTT (Peripheral Records/Volume 1:6a)
[8]
문서
ĐVSKTT (Peripheral Records/Volume 1:6b-7b)
[9]
문서
ĐVSKTT (Peripheral Records/Volume 1:6b-7b)
[10]
문서
SJZ (Volume 37)
[11]
문서
Shiji (Volume 113)
[12]
문서
ĐVSKTT (Peripheral Records/Volume 1:10a)
[13]
논문
[14]
서적
東南アジアの歴史―人・物・文化の交流史
[15]
서적
東南アジア史 I 大陸部
[16]
논문
[17]
서적
史記
[18]
논문
[19]
문서
Đại Việt sử ký toàn thư
[20]
문서
Khâm định Việt sử Thông giám cương mục
[21]
서적
The Birth of the Vietna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2]
뉴스
漢化與夷化:「中國人早已被遊牧民族化」是否成立?
https://www.thenewsl[...]
關鍵評論網
2020-05-07
[23]
서적
The Birth of Vietnam
[24]
논문
[25]
서적
Understanding Vietnam
[26]
서적
Vietnamese-American engineers: An examination of the leadership ...
University of Phoenix
[27]
서적
Postcolonial Vietnam: New Histories of the National Past
[28]
논문
[29]
논문
[30]
논문
[31]
논문
[32]
문서
오늘날의 베트남 최북단 및 중국 남부 일부
[33]
서적
https://books.google[...]
[34]
서적
Co Loa Citadel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