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로아시아어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은 동남아시아, 인도 북동부, 니코바르 제도 등에서 사용되는 언어들의 어족으로, 단어 구조, 모음 체계, 조상 언어, 원향, 분류, 문자, 계통, 이주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단어 구조는 부음절 패턴을 가지며, 모음 체계가 크고 성역 대립을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 조상 언어인 몬크메르조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며, 원향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존재한다. 전통적으로 몬크메르어파와 문다어파로 분류되었으나, 다양한 분류 체계가 제시되고 있다. 로마자를 비롯해 크메르 문자, 타이 문자 등 다양한 문자를 사용하며,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의 관련성도 제기된다. 오스트로아시아인의 이주 경로와 관련하여 유전자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한국어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로아시아어족 - 크무어
크무어는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 크무어어파의 언어로, 표준어 없이 서부와 동부 크무어로 나뉘는 여러 방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메르어와 어휘적 유사성이 있지만 별개의 언어이다. - 오스트로아시아어족 - 니코바르어파
니코바르어파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속하며, 인도 니코바르 제도에서 사용되는 여러 언어를 포함한다. - 고립어 (언어유형론) - 버마어
버마어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미얀마의 공용어로 사용되고, 고대 몬 문자 또는 퓨 문자에 기원을 두며, 다양한 방언과 문어체, 구어체를 가지며, 유니코드와 Zawgyi 글꼴을 지원한다. - 고립어 (언어유형론)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어족 - 파푸아 제어
파푸아 제어는 뉴기니섬과 주변 지역에 분포하며 여러 어족과 고립된 언어를 포함하는 언어 집단으로, SOV 어순을 주로 사용하며 트랜스뉴기니어족이 가장 큰 어족에 속한다. - 어족 - 대안다만어족
대안다만어족은 안다만 제도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18세기 후반 대안다만족이 사용했으나 인구 감소와 혼합어 사용으로 멸망 위기에 처했으며, 신체 부위를 기반으로 한 독특한 명사 체계를 가진다.
오스트로아시아어족 | |
---|---|
지도 | |
개요 | |
이름 | 오스트로아시아어족 |
다른 이름 | 아우스트로아시아어족 |
지역 |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동아시아 |
어족 색상 | 오스트로아시아 |
계통 | 세계의 주요 어족 중 하나 |
조상 언어 | 원시 오스트로아시아어 |
ISO 5 | aav |
글롯토로그 | aust1305 |
글롯토로그 이름 | Austroasiatic |
추정 시기 | 기원전 3000년 ~ 기원전 2000년 |
다른 추정 시기 | 기원전 2500년 ~ 기원전 2000년 |
![]() | |
하위 어파 | |
하위 어파 1 | 문다어파 |
하위 어파 2 | 카시팔라웅어파 |
하위 어파 3 | 크무어파 |
하위 어파 4 | 망어파 |
하위 어파 5 | 파칸어파 |
하위 어파 6 | 비엣어파 |
하위 어파 7 | 카투어파 |
하위 어파 8 | 바나르어파 |
하위 어파 9 | 크메르어 |
하위 어파 10 | 페아르어파 |
하위 어파 11 | 몬어파 |
하위 어파 12 | 아슬리어파 |
하위 어파 13 | 니코바르어파 |
기타 | |
참고 | 때로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 또는 '오스트로아시아'라고도 함. |
관련 정보 |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 |
참고 자료 | Austroasiatic |
유전자 연구 | Y-chromosome diversity suggests southern origin and Paleolithic backwave migration of Austro- Asiatic speakers from eastern Asia to the Indian subcontinent OPEN |
2. 유형론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은 단어 구조와 모음 체계에서 독특한 특징을 보인다. 단어는 부음절 패턴을 따르며, 모음 체계는 성역 대립을 사용한다.[63][64] 그러나 일부 언어에서는 이러한 특징이 변화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베트남어는 중국어의 영향으로 성조발생이 일어났고, 크메르어는 산스크리트어의 영향으로 원래 구조를 보존하고 있다.
2. 1. 단어 구조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은 음절 앞에 약한 음절 하나가 붙은 "부음절" 패턴을 갖는 것으로 유명하다. 기본적인 명사와 동사는 강세가 없고 축약된 부음절로 시작해서 강세가 있고 축약되지 않은 단음절이 뒤따르는 구조이다.[63] 전음절이 축약되면서 오스트로아시아조어의 원래 접두사들이 오늘날에 이르러서는 CVC 음절, 자음군, 단일 자음까지 다양한 음운론적 형태를 보인다.[63] 단어 형성 면에서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은 대부분 다양한 파생 접두사가 있고, 다수는 접요사도 있지만, 문다어파 및 일부 특수한 예외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어파에는 접미사가 거의 없다.[63]오스트로아시아어족은 또한 모음 체계가 아주 크고, 기본(보통)소리와 숨섞인(이완된)소리 또는 짜내기소리 간의 성역 대립을 사용한다는 특징이 있다.[64] 페아르어파와 일부 비엣어파 언어들은 발성 대립이 서너 가지도 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언어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성역 대립이 사라지고 대신 이중모음이 더 생기거나, 베트남어 등의 몇몇 경우에는 성조발생이 일어났다. 베트남어는 중국어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아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원래 음운론적 성질이 옅어지고 이제는 남부 중국어와 유사한 반면, 크메르어는 산스크리트어의 영향을 더 받아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전형적인 구조를 보존하고 있다.
2. 2. 모음 체계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은 모음 체계가 아주 크고, 기본(보통) 소리와 숨섞인(이완된) 소리 또는 짜내기소리 간의 성역 대립을 사용한다는 특징이 있다.[64] 페아르어파와 일부 비엣어파 언어들은 발성 대립이 서너 가지도 될 수 있다.그러나 일부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언어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성역 대립이 사라지고 대신 이중모음이 더 생기거나, 베트남어 등의 몇몇 경우에는 성조발생이 일어났다. 베트남어는 중국어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아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원래 음운론적 성질이 옅어지고 이제는 남부 중국어와 유사한 반면, 크메르어는 산스크리트어의 영향을 더 받아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전형적인 구조를 보존하고 있다.
2. 3. 기타 특징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은 단어 구조 면에서 음절 앞에 약한 음절 하나가 붙은 "부음절" 패턴을 갖는 것으로 유명하다. 기본적인 명사와 동사는 강세가 없고 축약된 부음절로 시작해서 강세가 있고 축약되지 않은 단음절이 뒤따르는 구조이다.[63] 전음절이 축약되면서 오스트로아시아조어의 원래 접두사들이 오늘날에는 다양한 음운론적 형태를 보이게 되었는데, 그 형태는 CVC 음절, 자음군, 단일 자음까지 있다.[63] 단어 형성 면에서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은 대부분 다양한 파생 접두사가 있고, 다수는 접요사도 있지만, 문다어파 및 일부 특수한 예외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어파에는 접미사가 거의 없다.[63]오스트로아시아어족은 또한 모음 체계가 아주 크고, 기본(보통)소리와 숨섞인(이완된)소리 또는 짜내기소리 간의 성역 대립을 사용한다는 특징이 있다.[64] 페아르어파와 일부 비엣어파 언어들은 발성 대립이 서너 가지도 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언어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성역 대립이 사라지고 대신 이중모음이 더 생기거나, 베트남어 등의 몇몇 경우에는 성조발생이 일어났다. 베트남어는 중국어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아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원래 음운론적 성질이 옅어지고 이제는 남부 중국어와 유사한 반면, 크메르어는 산스크리트어의 영향을 더 받아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전형적인 구조를 보존하고 있다.
3. 조상 언어
해리 쇼토의 "몬크메르 비교 사전"으로 몬크메르조어에 대해서는 재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문다어파는 기록이 부족해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기본 어파에서 몬크메르어파를 제외하는 경우 몬크메르조어는 오스트로아시아조어와 같은 뜻이 된다. 또한 양쯔강 이남 전체에 존재하던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대한 연구 또한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오스트로아시아어족(Austroasiatic)이라는 명칭은 빌헬름 슈미트(독일어: austroasiatischde)가 만들었다. "남쪽"을 의미하는 라틴어 단어 austerla(하지만 슈미트는 특이하게 동남쪽을 가리키는 데 사용했다)와 "아시아"를 결합한 것이다.[6] 이름의 문자 그대로의 의미와는 달리,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세 가지 어파만 실제로 남아시아에서 사용된다: 크하시어파, 문다어파, 니코바르어파.
3. 1. 몬크메르조어
해리 쇼토의 "몬크메르 비교 사전"을 통해 몬크메르조어에 대한 재구가 많이 이루어졌다.[10] 폴 시드웰은 2005년에 몬크메르조어의 자음 체계를 다음과 같이 재구했다.[10]
이 체계는 *ʄ를 제외하면 이전의 재구와 동일하다. *ʄ는 시드웰이 전공한 카투어파에 잘 보존되어 있다.[10]
3. 2. 문다어파
문다어파는 기록이 부족해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11]3. 3. 기타 연구
해리 쇼토의 "몬크메르 비교 사전"으로 몬크메르조어에 대해서는 재구가 많이 되어 있다. 문다어파는 기록이 부족해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기본 어파에서 몬크메르어파를 제외하는 경우 몬크메르조어는 오스트로아시아조어와 같은 뜻이 된다. 또한 양쯔강 이남 전체에 존재하던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대한 연구 또한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폴 시드웰이 2005년 재구한 몬크메르조어의 자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p | *t | *c | *k | *ʔ |
*b | *d | *ɟ | *ɡ | |
*ɓ | *ɗ | *ʄ | ||
*m | *n | *ɲ | *ŋ | |
*w | *l, *r | *j | ||
*s | *h |
이 체계는 *ʄ영어를 제외하면 이전의 재구와 동일하다. *ʄ영어는 시드웰이 전공한 카투어파에 잘 보존되어 있다.
4. 원향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원향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존재한다. 메콩강 중류 지역이 원향이라는 주장이 초기에는 있었으나, 양쯔강 유역, 주강 유역, 홍강 삼각주 등 중국 남부 지역이 원향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4. 1. 메콩강 중류설 (시드웰)
폴 시드웰(Sidwell, 2011)은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원향이 바나르어파와 카투어파가 사용되는 메콩강 중류(오늘날의 라오스, 태국, 캄보디아가 만나는 지점)였을 것이라고 추정했으며, 기원전 2000년경에 분화했을 것이라고 보았다.[81] 그러나 이후 Peiros (2011)는 시드웰의 이론이 모순된다고 비판하며, 양쯔강 근처가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원향이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65]이후 시드웰(Sidwell, 2021)은 홍강 삼각주가 4,000년에서 4,500년 전에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기원이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그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이 일부는 해상 경로를 통해 해안 지역으로, 일부는 강을 통해 계곡을 따라 확장되었다고 주장한다.[69]
4. 2. 양쯔강 유역설 (페이로스, 반 드림, 벨우드, Sagart)
페이로스(Peiros, 2011)는 시드웰의 이론을 강하게 비판하며, 자신의 분석을 통해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원향이 양쯔강 근처 어딘가였을 것이라고 보았다. 오스트로아시아조어가 중국 중부 및 남부와 동남아시아로 이주하기 전에 중국 상하이 양쯔강 이남 지역과 중국 화남지역, 쓰촨 분지에서 쓰였다는 것이다. 또한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이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이나 중국티베트어족만큼 또는 그보다 오래되었을 것으로 본다.[65]조지 반 드림은 2011년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원향이 중국 남부 어딘가였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주강(주장강) 주변 지역이 오스트로아시아어족 및 오스트로아시아인의 기원지였다는 것이다. 또한 유전학 연구 성과를 근거로 크라다이어족이 타이완에서 이주해 오면서 원래 있던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언어들을 대체했지만 민족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았다고 추정한다. 현지의 오스트로아시아어 화자들이 크라다이어를 받아들이고 문화도 부분적으로 수용한 것이다.[66]
사가르(Sagart, 2011)와 벨우드(Bellwood, 2013)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이 중국 남부의 장강 유역에서 기원했다는 이론을 지지한다.[67]
4. 3. 기타 가설
2015년 유전학 및 언어학 연구에서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이 오늘날의 중국 남부 또는 더 북쪽에서 기원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68]5. 분류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분류는 여러 학설이 존재하며, 어휘 통계학적으로 확실한 증거가 발견되지 않아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52] 전통적으로는 동남아시아, 인도 북동부, 니코바르 제도에서 사용되는 몬크메르어파와 인도 동부, 인도 중부, 방글라데시와 네팔 일부에서 사용되는 문다어파의 두 어파로 분류해 왔으나, 이에 대한 명확한 증거는 발표된 바 없다.
폴 시드웰은 몬크메르어파라는 묶음을 사용하지 않고 몬어족, 크메르어, 베트어족을 문다어족과 병치하는 입장을 취한다.[53] 그는 로저 블렌치의 말을 인용하며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이 모든 어족 중 가장 연구가 부족하며, 특히 중국에서 발견된 여러 언어는 분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지적한다.[55]
최근에는 전통적인 분류 외에도 몬크메르어파를 인정하지 않는 두 가지 분류안이 제시되었으나, 사용된 자료가 거의 발표되지 않아 동료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또한, 수마트라섬의 아체어, 베트남의 참어군, 보르네오섬의 육지다약어군에 기층으로 남아 있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또 다른 어파들이 있었다는 주장도 있다.[70]
5. 1. 전통적 분류 (디플로스, 1974)
언어학자들은 전통적으로 오스트로아시아어족 내에 두 개의 기본 어파, 즉 동남아시아, 인도 북동부, 니코바르 제도에서 쓰이는 몬크메르어파와 인도 동부, 인도 중부, 방글라데시와 네팔 일부에서 쓰이는 문다어파를 상정했다. 그러나 이러한 분류에 대한 증거는 발표된 적 없다.[70]제라르 디플로트(Gérard Diffloth)의 초기 분류는 현재 디플로스 자신은 폐기했으나, 브리태니커 백과사전과 (남몬크메르어군을 해체한 것을 제외하면) 에스놀로그 등에서 널리 인용되고 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문다어파'''
- * 북문다어군
- ** 코르쿠어
- ** '''케르와리어군'''
- * 남문다어군
- ** '''카리아주앙어군'''
- ** '''코라푸트 문다어군'''
- '''몬크메르어파'''
- * 동몬크메르어군
- ** '''크메르어'''(캄보디아어)
- ** '''페아르어군'''
- ** '''바나르어군'''
- ** '''카투어군'''
- ** '''비엣어군'''(베트남어 포함)
- * 북몬크메르어군
- ** '''카시어군'''(인도 메갈라야주)
- ** '''팔라웅어군'''
- ** '''크무어군'''
- * 남몬크메르어군
- ** '''몬어'''
- ** '''아슬리어군'''(말레이 반도)
- ** '''니코바르어군'''(니코바르 제도)
5. 2. 페이로스 (2004)
페이로스(Peiros)는 어휘통계학적 분류를 수행했다.[70] 그는 공통 어휘의 비율을 기준으로 분류했는데, 이는 실제로는 멀리 떨어진 언어들이 언어접촉으로 인해 더 가까워 보일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페이로스는 몬크메르어파를 인정하지 않고, 니코바르어파와 문다크메르어파로 나누었다.
- '''니코바르어파'''
- 문다크메르어파
- * '''문다어군'''
- * 몬크메르어파
- ** '''카시어군'''
- ** 핵심 몬크메르어파
망어파 (망어 + 파류어) (북몬크메르어군에 속할 수 있음)
'''비엣어군''' (북몬크메르어군에 속할 수 있음)
북몬크메르어군
* '''팔라웅어군'''
* '''크무어군'''
중앙몬크메르어군
* '''크메르어''' 방언들
* '''페아르어군'''
* 아슬리바나르어군
** '''아슬리어군'''
** 몬바나르어군
*** '''몬어군'''
*** 카투바나르어군
'''카투어군'''
'''바나르어군'''
5. 3. 디플로스 (2005)
제라르 디플로트는 여러 분기군의 재구를 비교하여, 공통된 혁신을 기준으로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을 분류하려 시도했다. 그는 몬크메르어파를 인정하지만, 내부 구조를 재구성했다. 디플로트의 분류 체계는 다음과 같다.[70]- '''문다어파'''(인도)
:* '''코라푸트어군''': 7개 언어
:* 핵심 문다어파
::* '''카리아주앙어군''': 2개 언어
::* 북문다어군
::: ''코르쿠어''
::: '''케르와리어군''': 12개 언어
- 카시크무어파 (북몬크메르어군)
:* '''카시어군''': 인도 북동부와 방글라데시의 인접 지역의 3개 언어
:* 팔라웅크무어군
::* '''크무어군''': 라오스와 태국의 13개 언어
::* 팔라웅파칸어군
::: '''파칸어군''' 또는 '''파류어군''': 중국 남부와 베트남의 4~5개 언어
::: '''팔라웅어군''': 버마, 중국 남부, 태국의 21개 언어
- 핵심 몬크메르어파
:* 크메르비엣어군 (동몬크메르어군)
::* 비엣카투어군 [71]
::: '''비엣어군''':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중 화자 수가 가장 많은 베트남어를 포함한 베트남과 라오스의 10개 언어
::: '''카투어군''': 라오스, 베트남, 태국의 19개 언어
::* 크메르바나르어군
:::* '''바나르어군''':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의 40개 언어
:::* 크메르어군
:::: 캄보디아, 태국, 베트남의 '''크메르어''' 방언들
:::: '''페아르어군''': 캄보디아의 6개 언어
:* 니코바르몬어군 (남몬크메르어군)
::* '''니코바르어군''': 인도령 니코바르 제도의 6개 언어
::* 아슬리몬어군
::: '''아슬리어군''': 말레이 반도와 태국의 19개 언어
::: '''몬어군''': 버마의 몬어와 태국의 냐흐쿠르어 2개 언어
5. 4. 시드웰 (2009, 2011, 2015, 2018)
폴 시드웰은 2009년 차용어를 제외할 수 있을 만큼 잘 알려진 36개 언어의 어휘통계학적 비교를 통해, 내부 분기를 설정할 만한 근거를 찾지 못했고, 바나르어파와 카투어파 사이의 유사성은 접촉으로 인한 것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시드웰은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열세 어파가 현전하는 증거를 기반으로는 서로 모두 동등하게 떨어져 있다고 봐야 한다는 보수적 관점을 취한다.[81] 시드웰과 블렌치 (2011)는 이 관점을 더욱 깊이 논의하며, 카시팔라웅어파를 설정할 근거는 충분하고, 이 어파가 크무어파와도 가까울 수 있다고 지적한다.[81]시드웰과 블렌치는 이 가설이 옳다면, 카시어파는 팔라웅어파에서 초기에 서쪽으로 뻗어나간 일파일 것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시드웰과 블렌치(2011)는 숌펜어를 어파로 추가하고, 비엣어파와 카투어파 간의 관련성도 조사해 볼 만 하다고 믿는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이 너무 빠르게 분화해서 깊은 계층 구조가 형성되지 못했다고 보는데, 시드웰은 오스트로아시아조어 화자들이 메콩강 중류 계곡에서 비교적 빠르게 퍼져나갔다고 믿기 때문이다.
2015년, 시드웰은 카시어파와 팔라웅어파처럼 니코바르어파와 아슬리어파를 묶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82] 이후 시드웰은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계통을 컴퓨터로 분석하여(2015b),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어파들이 완벽히 갈라져 나가는 구조가 아니라 느슨하게 계층이 있는 구조를 가지며, 동서 분기(문다어파, 카시어파, 팔라웅어파, 크무어파가 서부 분기군, 나머지가 동부 분기군)가 지금으로부터 약 7000년 전에 일어났을 수 있다고 보았다.[83]
2015년, 시드웰은 컴퓨터 계통언어학과 최근의 고고학적 발견을 결합하여 메콩강 가설을 더욱 확장했다.[84] 그는 오스트로아시아계 신석기 농부들이 중국 남부의 링난 지역에서 대륙부 동남아시아로 이주했고, 이후 메콩강 유역을 따라 퍼져나갔다고 주장했다.
시드웰(2015c)에 따르면,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분기는 대륙부 동남아시아의 신석기 전환기인 지금으로부터 5000년 전에 시작되었고, 4000년 전까지는 주요 어파가 모두 형성되었다.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확산 경로는 링난의 주장강 분수령 서쪽 끝에서 베트남 해안을 따라 내려가는 경로와, 윈난을 지나 메콩강을 따라 내려가는 경로 두 가지가 있었을 수 있다.[84] 재구된 오스트로아시아조어 어휘와 고고학 기록 양쪽에서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초기 오스트로아시아어족 화자들이 쌀과 조를 경작했고, 개, 돼지, 닭 등의 가축을 길렀으며, 해안보다는 강 하구 지역에서 주로 번성했음을 분명히 보여준다.[84]
시드웰(2018)[19](Sidwell 2021[20]에서 인용)은 200단어 목록을 사용한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언어의 계산적 계통 발생 분석을 통해 제안된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가지에 대한 보다 중첩된 분류를 제시한다.
5. 5. 과거에 존재했던 어파들 (블렌치)
로저 블렌치는 2009년에[74] 오늘날의 언어들에 기층으로 존재하는, 지금은 사멸한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기본 어파들이 있었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블렌치가 주장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선(先)참어파''': 참어군의 이주 이전 베트남 해안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들이다. 참어군에는 현존하는 어파에서 찾을 수 없는 오스트로아시아계 차용어가 많다.[75][76] Larish (1999)[77]에서는 모클렌어군에도 참어군의 차용어와 유사한 오스트로아시아계 차용어가 많다고 지적한다.
- '''아체어 기층어''':[75] 아체어에는 오스트로아시아계 기초 어휘가 많은데, 이는 수마트라 북부에 원래 거주하던 오스트로아시아인들을 오스트로네시아어 화자들이 흡수했거나, 베트남 남부의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언어들에서 차용되었거나, 혹은 둘 다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Sidwell (2006)에서는 아체어와 참어군이 서로 독자적으로 오스트로아시아어족 단어들을 종종 차용하기도 했고, 일부 차용어들은 아체참조어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도 있다고 주장한다. Sidwell (2006)에서는 아체어와 참어군 사이의 친연 관계를 받아들이지만, 서로 갈라진 시점은 참어군이 오스트로아시아어계 어휘 대부분을 차용해 오기 이전이라고 본다.
- '''보르네오어군 기층어파''':[78] 블렌치는 육지다약어군(비다유어군, 바카티어 등), 두순어군(중앙두순어, 비사야어 등), 카얀어, 케냐어 등 오늘날의 보르네오어군 언어들에서 오스트로아시아어족 기원의 단어들을 언급하면서, 아슬리어군과의 유사성을 강조한다. 또 다른 증거로서 블렌치는 대륙부 동남아시아의 오스트로아시아어족 화자 집단과 공통된 보르네오의 악기 등 민족학적 근거를 든다. Adelaar (1995)[79]에서도 육지다약어군과 아슬리어군 사이의 음운 및 어휘의 유사성을 포착한 바 있다.
- '''렙차어 기층어'''("'''롱어파'''"):[80] 렙차어에서 오스트로아시아어족 기원의 단어들이 많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 기층 위에 중국티베트어족 상층 언어가 덮여씌워졌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Blench (2013)에서는 이 어파를 렙차인의 자언어명 'Róng'에서 따온 "롱어파"라는 이름을 붙였다.
6. 문자
로마자 기반 알파벳 외에도, 많은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언어들이 크메르 문자, 타이 문자, 라오 문자, 버마 문자 등으로 표기된다. 베트남어는 독자적인 한자 기반 고유 문자인 쯔놈 문자[87]를 가지고 있었으나, 20세기 이후 로마자로 대체되었다.
6. 1. 현재 사용되는 문자
로마자 기반 알파벳 외에도, 많은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언어들이 크메르 문자, 타이 문자, 라오 문자, 버마 문자로 표기된다. 베트남어는 독자적으로 한자 기반의 고유 문자인 쯔놈 문자가 있었으나, 20세기 이후 로마자로 대체되었다.[87] 다음은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언어의 표기에 과거 또는 현재 사용된 적 있는 문자들의 예시이다.- 쯔놈 문자[87]
- 크메르 문자[88]
- 콤 문자 (20세기 초 라오스 토착어 표기에 잠깐 사용)
- 몬 문자
- 문다리바니 (문다어 문자)
- 올치키 문자 (산탈어 문자)[89]
- 파하우몽 (한때 크무어 표기에 '파하우 크무'라는 이름으로 사용)
- 소랑솜펭 문자 (소라 문자)[90]
- 타이르 문자 (팔라웅어, 블랑어)
- 타이탐 문자 (블랑어)
- 와랑치티 문자 (호 문자)[91]
6. 2. 과거에 사용되었던 문자
다음은 과거 또는 현재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언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된 문자들이다.7. 계통
몽몐어족과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사이에는 어휘적 유사성이 꽤 발견되는데(Ratliff 2010), 그 중 일부는 오드리쿠르가 1951년에 이미 제시한 바 있다. 이러한 유사성은 계통 관계 또는 장강(양쯔강) 유역에서의 오래된 언어 접촉을 의미할 수 있다.[95]
Cai et al. (2011)에 따르면, 몽몐어족은 최소한 오스트로아시아어족과 부분적으로라도 계통적 관련이 있으나, 중국티베트어족, 특히 티베트버마어파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고 한다.[96]
7. 1. 오스트로어족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은 종종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간혹 일본어족을 포함하는 오스트로어족으로 분류된다.[92]자동화 유사도 판정 프로그램을 이용한 2015년의 분석 결과는 오스트로타이어족을 지지하지만 오스트로어족은 지지하지 않는다.[93] 이 분석에서는 가설적인 “오스트로어족”을 오스트로타이어족과 오스트로아시아일본어족이라는 서로 다르고 관련 없는 분기군으로 나누었다.[93] 그러나 자동화 유사도 판정 프로그램이 역사언어학계에서 어족 간의 계통 관계를 확립하거나 평가하는 적절한 방법이라는 합의가 없다는 점을 알아두어야 한다.[94]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이 포함되고, 일부 제안에서는 크라다이어족과 몽미어족도 포함되는, 논란의 여지가 있는 오스트릭어족 가설의 중요한 부분이다.[37]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전체에 공통되는 특징은 적지만(공통 기본 어휘를 바탕으로 정리되어 있다), 옛날에는 접두사와 접중사가 문법·파생 기능을 담당했던 것 같다. 이 점에서 유사한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함께 오스트릭 대어족(Austric superfamily)으로 묶는 설도 있다.
7. 2. 몽몐어족
몽몐어족과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사이에는 어휘적 유사성이 꽤 발견되는데(Ratliff 2010), 그 중 일부는 오드리쿠르가 1951년에 이미 제시한 바 있다. 이러한 유사성은 계통 관계 또는 장강(양쯔강) 유역에서의 오래된 언어 접촉을 의미할 수 있다.[95]Cai et al. (2011)에 따르면, 몽몐어족은 최소한 오스트로아시아어족과 부분적으로라도 계통적 관련이 있으나, 중국티베트어족, 특히 티베트버마어파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고 한다.[96]
7. 3. 인도아리아어족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이 산스크리트어를 포함한 인도아리아어족과 중세 인도아리아어에 영향을 미쳤다는 주장이 있다. 인도 언어학자 수니티 쿠마르 차터지는 힌디어, 펀자브어, 벵갈어와 같은 언어의 상당수 명사가 문다어족에서 차용되었다고 지적했다. 프랑스 언어학자 장 프릴루스키는 오스트로아시아어권의 이야기와 마츠야간다(《마하바라타》의 사탸바티) 및 나가의 인도 신화 이야기 사이의 유사성을 제시했다.[40]8. 오스트로아시아인의 이주
오스트로아시아인의 이동은 복잡하고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이루어졌다. 이들의 이동과 관련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동남아시아 도서 지역으로의 확장: Larena et al. (2021)의 연구에 따르면, 므라브리족으로 대표되는 오스트로아시아인의 조상 집단은 약 12,000년 전 동남아시아 본토에서 기저 동아시아인 집단으로부터 분리되었다. 이들은 12,000년에서 8,000년 전 사이에 동남아시아 도서 지역으로 확장하여 사마 바자우와 같은 집단의 공통 조상이 되었다. 이들은 이전의 도서 지역 인구를 대체하였으나, 약 7,000년 전 대만 섬에서 이주해 온 오스트로네시아인에 의해 다시 대체되었다.[100]
- 인도로의 이주: Zhang et al. (2015)에 따르면, 동남아시아에서 인도로의 이주는 약 1만 년 전 경 최종 빙기 최대기 이후에 일어났다. Arunkumar et al. (2015)는 오스트로아시아인이 동남아시아에서 약 5800~4600년 전에 인도 북동부로, 4500~4100년 전에 인도 동부로 이주했다고 주장한다.[103]
8. 1. Y염색체 하플로그룹 O1b1
미쓰루 사키타니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과 중국 남부의 다른 민족 집단에 흔한 하플로그룹 O1b1이 양쯔강(백월) 문명의 주도 집단이었다고 주장한다.[97] 다른 연구에서는 하플로그룹 O1b1이 오스트로아시아인의 주요 부계라고 주장한다.[98]오스트로아시아어족 사용 사람들의 유전자는 Y염색체 해프로그룹 O1b1과 관련이 있다고 추측된다.[56] O1b1은 오스트로아시아계 민족에게서 발견되며, 니코바르 제도에서는 100%이다.[57]
장(Zhang) 등에 따르면, 동남아시아에서 인도로의 오스트로아시아계 이주는 최종 빙기 최대기 이후, 약 1만 년 전에 일어났다.[47]
8. 2. 기타 연구
Tagore et al. (2021)의 연구는 오늘날의 오스트로아시아어족 화자 집단이 유전적으로 다양하며, 이들의 조상이 동남아시아 본토와 인도 북동부의 넓은 지역에 걸쳐 분포하던 토착 수렵채집민(호아빈 문화와 연관됨)에서 유래했다고 추정한다. 그러나 이후 북쪽에서 들어온 동아시아인 인구와의 혼혈로 인해 오늘날과 같은 유전적 차이가 발생했을 것으로 본다.[99]Larena et al. (2021)의 논문은 므라브리족으로 대표되는 오스트로아시아인의 조상 집단이 약 12,000년 전 동남아시아 본토에서 기저 동아시아인 집단으로부터 분리되었음을 추론한다. 이 혈통은 동남아시아 도서 지역의 사마 바자우와 오스트로아시아인의 가까운 공통 조상이며, 12,000년에서 8,000년 전 사이에 동남아시아 도서 지역으로 확장했다고 주장한다. 이 이주 물결은 네그리토를 비롯한 이전의 도서 지역 인구를 대체하였으나, 약 7,000년 전 대만 섬에서 들어오기 시작한 오스트로네시아인의 확장에 의해 다시 대체되었다. 오늘날의 네그리토 언어나 보르네오의 다약어 등 오스트로네시아 언어 중에도 오스트로아시아어 기층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언어들이 있으며, 이는 인도네시아에서 오스트로아시아 관련 집단이 오스트로네시아인에 동화된 적이 있음을 시사한다.[100]
Chaubey et al. (2010)에 따르면, 현재 인도의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언어 화자들은 동남아시아에서 이주해 왔고, 현지 인도인 집단과 성별 특이적인 혼합을 크게 겪으며 형성되었다. Riccio et al. (2011)에 따르면, 몬다족은 동남아시아에서 이주해 온 오스트로아시아인들의 후손일 가능성이 높다.[101][102]
Zhang et al. (2015)에 따르면, 동남아시아에서 인도로의 이주는 1만 년 전 경 최종 빙기 최대기 이후에 일어났다. Arunkumar et al. (2015)에서는 오스트로아시아인이 동남아시아에서 약 5800~4600년 전에 인도 북동부로, 4500~4100년 전에 인도 동부로 이주했다고 주장한다.[103]
참조
[1]
웹사이트
Austroasiatic
http://www.languages[...]
2017-10-15
[2]
서적
MK in the wider sense including the Munda languages of eastern South Asia is also known as Austroasiatic
2012
[3]
서적
2005
[4]
서적
2009
[5]
논문
Y-chromosome diversity suggests southern origin and Paleolithic backwave migration of Austro- Asiatic speakers from eastern Asia to the Indian subcontinent OPEN
https://www.research[...]
2015-10-20
[6]
논문
Die Mon–Khmer-Völker, ein Bindeglied zwischen Völkern Zentralasiens und Austronesiens ('The Mon–Khmer Peoples, a Link between the Peoples of Central Asia and Austronesia')
1906
[7]
서적
2014, 2015
[8]
웹사이트
Proto-Austroasiatic creaky voice
http://www.sealang.n[...]
1989
[9]
간행물
Are there four additional unrecognised branches of Austroasiatic?
ICAAL-4
2009-10-29
[10]
서적
The Austroasiatic Urheimat: the Southeastern Riverine Hypothesis
2005
[11]
논문
The Austroasiatic Urheimat: the Southeastern Riverine Hypothesis
http://rogerblench.i[...]
Pacific Linguistics
2011
[12]
논문
Austroasiatic classification
Brill
2015a
[13]
발표자료
A comprehensive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Austroasiatic languages
https://www.eva.mpg.[...]
2015-05-01
[14]
발표자료
Phylogeny, innovations, and correlations in the prehistory of Austroasiatic
2015-06-22
[15]
발표자료
Austroasiatic deep chronology and the problem of cultural lexicon
Southeast Asian Linguistics Society
2018-05-17
[16]
발표자료
Waterworld: lexical evidence for aquatic subsistence strategies in Austroasiatic
http://southasiabibl[...]
ICAAL 7
2017
[17]
논문
Austroasiatic Dispersal: the AA "Water-World" Extended
https://evols.librar[...]
2022-01-28
[18]
발표자료
Austroasiatic Dispersal: the AA "Water-World" Extended
https://drive.google[...]
SEALS 2021
2021
[19]
발표자료
Austroasiatic deep chronology and the problem of cultural lexicon
https://drive.google[...]
Southeast Asian Linguistics Society
2018-05-17
[20]
논문
Classification of MSEA Austroasiatic languages
De Gruyter
2021-08-09
[21]
발표자료
Are there four additional unrecognised branches of Austroasiatic?
http://icaal.org/abs[...]
ICAAL
2009
[22]
논문
Dating the Separation of Acehnese and Chamic By Etymological Analysis of the Aceh-Chamic Lexicon
http://sealang.net/s[...]
2006
[23]
논문
The Mon-Khmer Substrate in Chamic: Chamic, Bahnaric and Katuic Contact
http://sealang.net/s[...]
Pacific Linguistics
2007
[24]
논문
The Position of Moken and Moklen Within the Austronesian Language Family
University of Hawai'i at Mānoa
1999
[25]
논문
Was there an Austroasiatic Presence in Island Southeast Asia prior to the Austronesian Expansion?
https://digital.lib.[...]
2010
[26]
논문
Borneo as a cross-roads for comparative Austronesian linguistics
http://citeseerx.ist[...]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995
[27]
발표자료
Between mainland and island Southeast Asia: Evidence for a Mon-Khmer presence in Borneo
https://bahasawan.co[...]
Kahin Center for Advanced Research on Southeast Asia, Cornell University
2018
[28]
논문
Rongic: a vanished branch of Austroasiatic
https://www.academia[...]
2013
[29]
논문
The aberrancy of the Jiamao dialect of Hlai: speculation on its origins and history
http://sealang.net/s[...]
1992
[30]
논문
Some Remarks on the Dialects of North Kerintji: A link with Mon-Khmer Languages
1974
[31]
발표자료
The prehistorical spread of Austro-Asiatic in South Asia
http://southasiabibl[...]
ICAAL 7
2017
[32]
웹사이트
Vietnamese Chu Nom script
http://www.omniglot.[...]
2012-03-11
[33]
웹사이트
Khmer/Cambodian alphabet, pronunciation and language
https://web.archive.[...]
2012-03-11
[34]
웹사이트
Santali alphabet, pronunciation and language
http://www.omniglot.[...]
2012-03-11
[35]
논문
N4259: Final proposal for encoding the Warang Citi script in the SMP of the UCS
https://www.unicode.[...]
2012-04-19
[36]
웹사이트
Sorang Sompeng script
http://www.omniglot.[...]
Omniglot.com
1936-06-18
[37]
서적
Concise Encyclopaedia of Languages of the World
Elsevier
[38]
웹사이트
Introduction à la phonologie historique des langues miao-yao
https://www.persee.f[...]
1951
[39]
학술지
Human Migration through Bottlenecks from Southeast Asia into East Asia during Last Glacial Maximum Revealed by Y Chromosomes
2011-08-31
[40]
서적
Pre-Aryan and Pre-Dravidian in India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1993
[41]
서적
DNA・考古・言語の学際研究が示す新・日本列島史
勉誠出版
[42]
서적
Language Dispersal Beyond Farming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17-12-21
[43]
학술지
Ancient genomes document multiple waves of migration in Southeast Asian prehistory
[44]
학술지
Reconstructing Austronesian population history in Island Southeast Asia
2014-08-19
[45]
학술지
Genomic insights into Neolithic farming-related migrations in the junction of east and southeast Asia
https://onlinelibrar[...]
[46]
학술지
The Austroasiatic Munda population from India and Its enigmatic origin: a HLA diversity study
[47]
학술지
A late Neolithic expansion of Y chromosomal haplogroup O2a1-M95 from east to west
[48]
학술지
Insights into the demographic history of Asia from common ancestry and admixture in the genomic landscape of present-day Austroasiatic speakers
https://bmcbiol.biom[...]
2021
[49]
서적
A Reconstruction of Proto-Ainu
Brill
[50]
학술지
A reconstruction of Proto-Ainu. By Alexander Vovin
[51]
학술지
Support for linguistic macrofamilies from weighted sequence alignment
2015-09-24
[52]
저자
[53]
서적
Classifying the Austroasiatic languages: History and state of the art
https://www.research[...]
LINCOM EUROPA
[54]
서적
The Peopling of East Asia: Putting Together Archaeology, Linguistics and Genetics
Routledge/Curzon
[55]
서적
Past Human Migrations in East Asia: Matching archaeology, linguistics and genetics
https://books.google[...]
Routledge
[56]
서적
DNA・考古・言語の学際研究が示す 新・日本列島史
勉誠出版
[57]
학술지
Modelling the Geographical Origin of Rice Cultivation in Asia Using the Rice Archaeological Database
2015-09-01
[58]
서적
남아시아 동부의 문다어파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몬크메르어족은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이라고도 부른다.
[59]
웹인용
Austroasiatic
http://www.languages[...]
[60]
서적
Stratification in the peopling of China: how far does the linguistic evidence match genetics and archaeology?
Routledge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64]
웹사이트
Proto-Austroasiatic creaky voice
http://www.sealang.n[...]
[65]
웹인용
Some thoughts on the problem of the Austro-Asiatic homeland
http://www.jolr.ru/f[...]
Peiros (2011)
[66]
서적
Rice and the Austroasiatic and Hmong-Mien homelands
Pacific Linguistics
[67]
서적
Reconstructing Austroasiatic prehistory
Brill
[68]
서적
Y-chromosome diversity suggests southern origin and Paleolithic backwave migration of Austro- Asiatic speakers from eastern Asia to the Indian subcontinent OPEN
https://www.research[...]
2015-10-20
[69]
서적
JSEALS Special Publication No. 8: Papers from the 30th Meeting of the Southeast Asian Linguistics Society (2021)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22
[70]
발표자료
Are there four additional unrecognised branches of Austroasiatic?
2009-10-29/30
[71]
서적
[72]
저널
Y-chromosome evidence suggests a common paternal heritage of Austroasiatic populations
http://repository.ia[...]
[73]
저널
Figure
www.biomedcentral.com
[74]
웹사이트
Are there four additional unrecognised branches of Austroasiatic?
http://icaal.org/abs[...]
[75]
간행물
Dating the Separation of Acehnese and Chamic By Etymological Analysis of the Aceh-Chamic Lexicon
http://sealang.net/s[...]
[76]
간행물
The Mon-Khmer Substrate in Chamic: Chamic, Bahnaric and Katuic Contact
http://sealang.net/s[...]
Pacific Linguistics, Research School of Pacific and Asian Studies,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77]
논문
The Position of Moken and Moklen Within the Austronesian Language Family
University of Hawai'i at Mānoa
[78]
간행물
Was there an Austroasiatic Presence in Island Southeast Asia prior to the Austronesian Expansion?
https://digital.lib.[...]
[79]
간행물
Borneo as a cross-roads for comparative Austronesian linguistics
http://citeseerx.ist[...]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80]
웹사이트
Rongic: a vanished branch of Austroasiatic
https://www.academia[...]
[81]
간행물
The Austroasiatic Urheimat: the Southeastern Riverine Hypothesis
http://rogerblench.i[...]
Pacific Linguistics
[82]
서적
Austroasiatic classification
Brill
[83]
발표자료
A comprehensive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Austroasiatic languages
https://www.eva.mpg.[...]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84]
발표자료
Phylogeny, innovations, and correlations in the prehistory of Austroasiatic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85]
발표자료
Austroasiatic deep chronology and the problem of cultural lexicon
https://drive.google[...]
Southeast Asian Linguistics Society
2020-12-16
[86]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Mainland Southeast Asia
De Gruyter
2021-08-09
[87]
웹인용
Vietnamese Chu Nom script
http://www.omniglot.[...]
Omniglot.com
null
[88]
웹인용
Khmer/Cambodian alphabet, pronunciation and language
http://www.omniglot.[...]
Omniglot.com
null
[89]
웹인용
Santali alphabet, pronunciation and language
http://www.omniglot.[...]
Omniglot.com
null
[90]
웹인용
Sorang Sompeng script
http://www.omniglot.[...]
Omniglot.com
1936-06-18
[91]
웹인용
N4259: Final proposal for encoding the Warang Citi script in the SMP of the UCS
https://www.unicode.[...]
2012-04-19
[92]
서적
Die Beziehungen der austrischen Sprachen zum Japanischen, 'The connections of the Austric languages to Japanese'
[93]
저널
Support for linguistic macrofamilies from weighted sequence alignment
[94]
간행물
Automated Dating of the World’s Language Families Based on Lexical Similarity
[95]
간행물
Introduction à la phonologie historique des langues miao-yao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ical phonology of the Miao-Yao languages]
https://www.persee.f[...]
[96]
저널
Human Migration through Bottlenecks from Southeast Asia into East Asia during Last Glacial Maximum Revealed by Y Chromosomes
2011-08-31
[97]
서적
DNA・考古・言語の学際研究が示す新・日本列島史
勉誠出版
[98]
서적
Language Dispersal Beyond Farming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17-12-21
[99]
저널
Insights into the demographic history of Asia from common ancestry and admixture in the genomic landscape of present-day Austroasiatic speakers
2021-03-29
[100]
저널
Multiple migrations to the Philippines during the last 50,000 years
2021-03-30
[101]
저널
The Austroasiatic Munda population from India and Its enigmatic origin: a HLA diversity study
[102]
웹사이트
Austroasiatic Languages
http://www.languages[...]
The Language Gulper
[103]
저널
A late Neolithic expansion of Y chromosomal haplogroup O2a1-M95 from east to wes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