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드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EDSAC은 1949년 영국에서 개발된 최초의 저장 프로그램 컴퓨터 중 하나이다. 수은 지연선 메모리와 진공관을 사용했으며, 천공 테이프를 통해 입력하고 텔레프린터를 통해 출력했다. EDSAC은 서브루틴 개념의 발명, 최초의 어셈블러 개발, 그리고 과학 연구 및 게임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었다. EDSAC은 1950년대 후반 EDSAC 2로 대체되었고, 현재는 국립 컴퓨팅 박물관에서 복원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9년 컴퓨팅 - 집적 회로
    집적 회로는 회로 소자들이 분리 불가능하게 결합된 회로로, 모놀리식 집적 회로 외 다양한 기술로 제작되며, 잭 킬비의 최초 개발과 로버트 노이스의 실리콘 기반 공정을 거쳐 무어의 법칙에 따라 집적도가 증가, 현대 전자 기기의 핵심 구성 요소로 활용된다.
  • 1940년대 컴퓨터 - 모니악
    모니악은 빌 필립스가 개발한 아날로그 컴퓨터로, 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경제 시스템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경제 변수 간의 관계 및 정책 효과를 보여주며, 경제학 교육과 연구에 활용되었다.
  • 1940년대 컴퓨터 - 아타나소프-베리 컴퓨터
    아타나소프-베리 컴퓨터는 1930년대 후반 존 빈센트 아타나소프와 클리포드 베리가 개발한 세계 최초의 전자식 디지털 컴퓨터 중 하나로, 연립 선형 방정식 시스템을 풀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현대 컴퓨터의 핵심 아이디어를 최초로 구현하여 컴퓨터 역사에 중요한 선구적 업적으로 평가받는다.
  • 초기의 컴퓨터 - 아타나소프-베리 컴퓨터
    아타나소프-베리 컴퓨터는 1930년대 후반 존 빈센트 아타나소프와 클리포드 베리가 개발한 세계 최초의 전자식 디지털 컴퓨터 중 하나로, 연립 선형 방정식 시스템을 풀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현대 컴퓨터의 핵심 아이디어를 최초로 구현하여 컴퓨터 역사에 중요한 선구적 업적으로 평가받는다.
  • 초기의 컴퓨터 - 유니박 I
    유니박 I은 1950년대 초에 개발된 최초의 상업용 컴퓨터 중 하나로, 비즈니스 및 행정용으로 설계되었으며, 5,000개의 진공관을 사용하고 7.5톤의 무게에 125kW의 전력을 소비했으며, 1952년 미국 대통령 선거 예측에 사용되기도 했다.
에드삭
기본 정보
1948년 6월의 EDSAC I
개발자모리스 윌크스와 캠브리지 대학교 수학 연구소 팀
제조사캠브리지 대학교
제품군해당 사항 없음
유형해당 사항 없음
세대1세대
출시일1949년 5월 6일
수명1949년–1958년
가격해당 사항 없음
단종
판매량해당 사항 없음
출하량1대
미디어해당 사항 없음
운영 체제없음
전력 소비11 kW
시스템 온 칩해당 사항 없음
중앙 처리 장치디레이트된 열이온 밸브
메모리512 17비트 워드 (1952년에 1024 17비트 워드로 업그레이드)
램 종류온도 안정화된 수은 지연 라인
저장 장치해당 사항 없음
메모리 카드해당 사항 없음
디스플레이텔레프린터
그래픽해당 사항 없음
사운드해당 사항 없음
입력 장치5홀 펀치 테이프
컨트롤러해당 사항 없음
카메라해당 사항 없음
터치패드해당 사항 없음
연결성해당 사항 없음
현재 펌웨어해당 사항 없음
플랫폼해당 사항 없음
서비스해당 사항 없음
크기해당 사항 없음
무게해당 사항 없음
최고 게임해당 사항 없음
호환성없음
이전 모델해당 사항 없음
다음 모델EDSAC 2 및 LEO I
관련 항목EDVAC
웹사이트해당 사항 없음

2. 기술 개요

EDSAC은 가동되자마자 대학교의 연구 요구를 충족시키기 시작했다. 주 기억 장치로는 수은 지연선을 사용했고, 논리 회로에는 디레이트된 진공관을 사용했다. 전력 소비량은 11kW였다.[8][9] 사이클 시간은 모든 일반적인 명령어에 대해 1.5ms였고, 곱셈에는 6ms였다. 입력은 5홀 천공 테이프를 통해 이루어졌고, 출력은 텔레프린터를 통해 이루어졌다.[9]

내부적으로 EDSAC은 2의 보수 이진수를 사용했다. 숫자는 17비트(1단어) 또는 35비트(2단어)였다. 곱셈기는 특이하게도 숫자를 -1 ≤ *x* < 1 범위의 고정 소수점 분수로 처리하도록 설계되어, 이진 소수점이 부호 바로 오른쪽에 위치했다.[38]

초기에는 레지스터가 누산기와 곱셈기 레지스터로 제한되었다. 1953년 데이비드 휠러가 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샴페인에서 돌아와 인덱스 레지스터를 설계했다.[9]

1952년까지 사용 가능한 주 메모리(명령어 및 데이터)는 512개의 18비트 단어였고, 보조 저장 장치는 없었다.[10] 전체 1024 단어 지연선 저장 장치는 1955년 또는 1956년 초까지 사용할 수 없었고,[11] 그때까지 프로그램은 약 800 단어로 제한되었다.

EDSAC에서 수행된 첫 번째 계산은 1949년 5월 6일에 제곱수 계산 프로그램이었다.[15]

2. 1. 하드웨어 구성

EDSAC은 가동되자마자 대학교의 연구 요구를 충족시키기 시작했다. 주 기억 장치로는 수은 지연선을 사용했고, 논리 회로에는 디레이트된 진공관을 사용했다. 전력 소비량은 11kW였다.[8][9] 사이클 시간은 모든 일반적인 명령어에 대해 1.5ms였고, 곱셈에는 6ms였다. 입력은 5홀 천공 테이프를 통해 이루어졌고, 출력은 텔레프린터를 통해 이루어졌다.

초기에는 레지스터가 누산기와 곱셈기 레지스터로 제한되었다. 1953년, 데이비드 휠러가 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샴페인에서 돌아와, EDSAC 하드웨어의 확장으로 인덱스 레지스터를 설계했다.

1952년에 자기 테이프 드라이브가 추가되었지만, 실제 사용에 충분할 정도로 작동하지는 못했다.[9]

1952년까지 사용 가능한 주 메모리(명령어 및 데이터)는 512개의 18비트 단어에 불과했고, 보조 저장 장치는 없었다.[10] 지연선(또는 "탱크")은 각각 512 단어를 제공하는 두 개의 뱅크로 배열되었다. 두 번째 뱅크는 1952년에 가동되었다.[9]

전체 1024 단어 지연선 저장 장치는 1955년 또는 1956년 초까지 사용할 수 없었고,[11] 그때까지 프로그램은 약 800 단어로 제한되었다.

존 린들리(1958–1959년 졸업생)는 "50년대 후반에 사용 가능했던 조악하고 신뢰할 수 없는 자체 제작 펀칭, 인쇄 및 검증 장치로 단 하나의 정확한 종이 테이프를 제작하는 데 엄청난 어려움이 있었다"고 언급했다.[12]

2. 2. 메모리 및 명령어

EDSAC의 주 메모리는 1024개의 위치로 구성되었으나, 초기에는 512개의 위치만 설치되었다. 각 위치는 18비트였지만, 타이밍 문제로 인해 최상위 비트는 사용되지 않아 실제로는 17비트만 사용되었다.[38] 명령어는 5비트 명령어 코드, 1비트 여유 비트, 10비트 피연산자(일반적으로 메모리 주소), 그리고 17비트 또는 35비트 피연산자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1비트로 구성되었다.[38] 모든 명령어 코드는 설계상 하나의 니모닉 문자로 표현되었는데, 예를 들어 '더하기(Add)' 명령어는 문자 A에 해당하는 EDSAC 문자 코드를 사용했다.[38]

내부적으로 EDSAC은 2의 보수 이진수를 사용했다. 숫자는 17비트(1단어) 또는 35비트(2단어)였다. 곱셈기는 특이하게도 숫자를 -1 ≤ *x* < 1 범위의 고정 소수점 분수로 처리하도록 설계되어, 이진 소수점이 부호 바로 오른쪽에 위치했다.[38] 누산기는 부호를 포함하여 71비트를 저장할 수 있었고, 두 개의 긴(35비트) 숫자를 정밀도를 잃지 않고 곱할 수 있었다.[38]

사용 가능한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38]

  • 더하기(Add)
  • 빼기(Subtract)
  • 곱셈 후 더하기(Multiply-and-add)
  • AND 후 더하기("Collate"라고 함)
  • 왼쪽 시프트
  • 산술 오른쪽 시프트
  • 곱셈기 레지스터 로드
  • 누산기 저장 (선택적으로 지우기)
  • 조건부 이동(goto)
  • 입력 테이프 읽기
  • 문자 인쇄
  • 누산기 반올림
  • 널 연산(No-op)
  • 정지


나눗셈 명령어는 없었지만, 다양한 나눗셈 서브루틴이 제공되었다.[38] 또한, 숫자를 누산기에 직접 로드하는 방법은 없었으며, "저장 후 누산기 0" 명령어 다음에 "더하기" 명령어를 사용해야 했다.[39] 무조건적인 점프 명령어와 프로시저 호출 명령어는 아직 발명되지 않았기 때문에 없었다.[38]

모리스 윌크스(Maurice Wilkes)는 1953년에 발표된 논문에서 서브루틴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EDSAC의 상대 주소 지정 모드에 대해 논의했다.[38]

주 기억 장치의 용량은 1024 워드(1 워드(쇼트 워드)는 17비트)였지만, 실제로 메모리가 구현된 것은 512 워드까지였다. 롱 워드는 35비트였으며, 짝수 주소와 홀수 주소의 쇼트 워드를, 가운데에 "샌드위치 비트"라고 불리는 비트(기억 장치의 사정으로 인한 시작 비트 겸 정지 비트와 같은 것이 그대로 들어간다)를 끼워 연속해서 사용했다. 숫자는 2의 보수 표현의 이진수이다.[38]

17비트 쇼트 워드의 선두 5비트가 명령어 코드였지만, 종이 테이프의 문자 코드를 그대로 사용했고, 니모닉의 문자 코드를 명령어 코드로 사용했다. 예를 들어 "Add" 명령의 명령어 코드는 "A"의 문자 코드였다. 그 뒤에 1비트의 미사용 비트가 있고, 10비트의 메모리 주소가 있었으며, 마지막 1비트는 오퍼랜드가 쇼트 워드인지 롱 워드인지를 지정한다.[38]

2. 3. 시스템 소프트웨어

초기 명령어는 일련의 유니셀렉터 스위치에 하드와이어링되어 시동 시 메모리의 낮은 단어로 로드되었다. 1949년 5월까지 초기 명령은 위에 설명된 니모닉 디자인을 활용하는 원시적인 재배치 어셈블러를 제공했으며, 이는 모두 31개의 단어에 불과했다. 이것은 세계 최초의 어셈블러였으며, 전 세계 소프트웨어 산업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EDSAC 시뮬레이션이 있으며, 초기 명령 및 최초 프로그램에 대한 전체 설명이 있다.[14]

EDSAC에서 수행된 첫 번째 계산은 1949년 5월 6일에 제곱수를 계산하기 위해 실행된 프로그램이었다.[15] 이 프로그램은 캐나다에서 이 기계를 연구하기 위해 온 비아트리스 워슬리가 작성했다.[16][15]

이 기계는 대학교의 다른 구성원들이 실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현재 운영체제에 포함된 많은 초기 기술이 개발되었다.

사용자는 종이 테이프에 (어셈블러로) 펀칭하여 프로그램을 준비했다. 그들은 곧 종이 테이프를 빛에 대고 코드를 읽는 데 능숙해졌다. 프로그램이 준비되면 종이 테이프 리더 근처에 걸려 있는 줄에 매달았다. 주간에 참석한 기계 운영자는 줄에서 다음 테이프를 선택하여 EDSAC에 로드했다. 이는 오늘날 작업 큐로 잘 알려져 있다. 무언가를 인쇄하면 테이프와 인쇄물이 사용자에게 반환되었고, 그렇지 않으면 중지된 메모리 위치를 알려주었다. 디버거는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음극선관 화면을 설정하여 특정 메모리 조각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숫자가 수렴하는지 확인하는 데 사용되었다. 확성기는 누산기의 부호 비트에 연결되었다. 숙련된 사용자는 프로그램의 건강하고 건강하지 않은 소리, 특히 루프에서 "멈춘" 프로그램의 소리를 알고 있었다.

근무 시간 이후 특정 "승인된 사용자"는 직접 기계를 작동할 수 있었는데, 밸브가 고장 날 때까지 밤늦게까지 계속되었다고 한다.[17] 이는 프레드 호일의 소설 ''검은 구름''에서 언급되었다.

3. 프로그래밍 기법

초기 프로그래머들은 오늘날에는 권장되지 않는 기술, 특히 자기 수정 코드를 사용해야 했다. 훨씬 나중에야 인덱스 레지스터가 등장했기 때문에, 배열에 접근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특정 명령어가 참조하는 메모리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었다.[18]

데이비드 휠러는 이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세계 최초의 컴퓨터 과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서브루틴의 개념을 발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용자는 반환 주소(점프 자체의 위치 + 1)를 누산기에 넣고 서브루틴의 시작 부분으로 점프하여 루틴을 호출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했다(휠러 점프). 관례상 서브루틴은 이를 예상했으며, 가장 먼저 수행한 작업은 결론적인 점프 명령어를 해당 반환 주소로 수정하는 것이었다. 사용자는 점프할 위치를 계산하기 위해 각 서브루틴의 길이를 알고 있는 한, 여러 개의 중첩된 서브루틴을 호출할 수 있었다. 재귀 호출은 금지되었다.[18]

인덱스 레지스터가 없다는 점은 서브루틴 작성자에게도 문제를 제기했는데, 이는 서브루틴이 메모리의 어디에 로드될지 미리 알 수 없었기 때문에 데이터 저장을 위해 사용되는 코드 영역(소위 "의사 명령어")을 어떻게 주소 지정해야 하는지 알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는 펀치 테이프에서 메모리로 서브루틴을 로드하는 역할을 하는 초기 입력 루틴을 사용하여 해결되었다. 서브루틴을 로드할 때 시작 위치를 기록하고 필요에 따라 내부 메모리 참조를 증가시켰다.[19]

EDSAC의 프로그래머들은 제한된 메모리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특별한 기술을 사용했다. 예를 들어, 펀치 테이프에서 메모리로 서브루틴을 로드하는 시점에서 특정 상수를 계산해야 하고, 이후에는 재계산할 필요가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수는 "간주곡"에서 계산되었다. 상수를 계산하는 데 필요한 코드는 전체 서브루틴과 함께 제공되었다. 초기 입력 루틴이 계산 코드를 로드한 후 이 코드로 제어권을 이전했다. 상수가 계산되어 메모리에 기록되면 제어권은 초기 입력 루틴으로 다시 반환되어 서브루틴의 나머지 부분을 메모리에 계속 기록하지만, 먼저 시작점을 조정하여 상수를 계산한 코드를 덮어썼다. 이를 통해 특정 상황에 맞춰 조정된 경우보다 메모리에서 최종 공간을 더 크게 만들지 않고도 범용 서브루틴에 대해 상당히 복잡한 조정을 할 수 있었다.[20]

4. 응용 소프트웨어

EDSAC은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었는데, 서브루틴 개념을 바탕으로 방대한 라이브러리가 구축되었다. 1951년까지 부동소수점 연산, 복소수 연산, 나눗셈, 지수 함수, 미분 방정식, 특수 함수, 거듭제곱 급수, 로그 함수, 수치 적분, 삼각 함수, 행렬 연산 등 87개의 서브루틴이 널리 사용되었다.

EDSAC을 위해 개발된 초기 어셈블리 언어는 다른 어셈블리 언어 개발에 영향을 주었다.

연도이름주요 개발자, 회사
1951Regional Assembly Language모리스 윌크스
1951Whirlwind 어셈블러찰스 아담스 및 잭 길모어, MIT
1951로체스터 어셈블러내트 로체스터



EDSAC은 과학 연구와 게임 개발 등에도 활용되었다.

4. 1. 과학 연구 응용

EDSAC(에드삭)은 계산을 위한 수학 연구소의 지원 서비스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특별히 설계되었다.[21] 컴퓨터를 사용하여 계산을 수행하여 발표된 최초의 과학 논문은 로널드 피셔에 의해 작성되었다. 윌크스와 휠러는 EDSAC을 사용하여 그의 유전자 빈도와 관련된 미분 방정식을 풀었다.[22] 1951년, 밀러와 휠러는 이 기계를 사용하여 79자리 소수를 발견했는데,[23] 이는 당시 가장 큰 소수였다.

존 켄드루맥스 퍼루츠(화학, 1962), 앤드루 헉슬리(의학, 1963) 및 마틴 라일(물리학, 1974) 등 3명의 노벨상 수상자는 EDSAC의 혁신적인 컴퓨팅 파워의 혜택을 받았다. 그들은 노벨상 수상 연설에서 EDSAC이 그들의 연구에서 수행한 역할에 대해 각각 감사를 표했다.

1960년대 초 피터 스위너턴-다이어는 EDSAC 컴퓨터를 사용하여 랭크가 알려진 타원 곡선에서 많은 소수 ''p''에 대해 법 ''p'' 모듈로의 점의 수(''Np'')를 계산했다. 이러한 수치 결과를 바탕으로 비르치와 스위너턴-다이어 추측이라는 점근적 법칙을 따른다고 추측했는데, 이는 2024년 현재 수학의 주요 미해결 문제 중 하나로 여겨진다.

  • 1950년, 윌크스와 휘러는 로널드 피셔의 논문[43]에 있던 유전자 빈도에 관한 미분 방정식을 EDSAC으로 풀었다. 이는 생물학 분야에서 세계 최초의 컴퓨터 이용 사례이다.
  • 1951년, 밀러와 휘러는 당시로서는 최대인 79자리의 소수를 발견했다.[44].
  • 1952년, 대학원생이었던 Alexander Sandy Douglas|알렉산더 샌디 더글러스영어틱택토의 그래픽 버전인 OXO라는 프로그램을 EDSAC상에서 만들었다. 이것이 화면 사진이 남아있는 세계 최초의 컴퓨터 게임이다.
  • 1960년대, 타원 곡선에 관한 수치 연산에 사용되었다. 구체적으로는,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 (BSD 추측)을 이끌어낸 계산이다.

4. 2. 게임 개발

1952년, 샌디 더글라스는 EDSAC용 OXO를 개발했는데, 이는 6인치 음극선관인 VCR97에 그래픽 출력을 하는 가위, 바위, 보 (틱택토) 버전이었다. 이것은 세계 최초의 비디오 게임일 가능성이 높다.[25][26]

스탠리 길은 또 다른 비디오 게임을 만들었는데, 두 개의 게이트 중 하나를 열 수 있는 선으로 접근하는 점(양이라고 함)이 등장하는 게임이었다.[27] 스탠리 길의 게임은 EDSAC의 종이 테이프 리더의 광선을 통해 제어되었다.[27] 플레이어가 손을 대는 것과 같이 광선을 방해하면 위쪽 게이트가 열렸다.[27] 광선을 끊지 않으면 아래쪽 게이트가 열렸다.[27]

알렉산더 샌디 더글러스는 틱택토의 그래픽 버전인 OXO라는 프로그램을 EDSAC상에서 만들었다. 이것이 화면 사진이 남아있는 세계 최초의 컴퓨터 게임이다.

4. 3.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

1960년대 초 피터 스위너턴-다이어는 EDSAC 컴퓨터를 사용하여 랭크가 알려진 타원 곡선에서 많은 소수 ''p''에 대해 법 ''p'' 모듈로의 점의 수(''Np'')를 계산했다. 이러한 수치 결과를 바탕으로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이라는 점근적 법칙을 제안했는데,[23] 이는 2024년 현재 수학의 주요 미해결 문제 중 하나로 여겨진다.

5. 후속 개발

EDSAC 2는 에드삭의 후속 기종으로 1958년에 제작되었다.[1]

1961년, 데이비드 하틀리는 과학자와 기술자를 위한 ALGOL과 유사한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인 오토코드의 EDSAC 2 버전을 개발했다.[1]

1960년대 중반에 EDSAC 2의 후속 기종이 계획되었지만, 대신 맨체스터 대학교, 페란티, 플레시가 개발한 아틀라스 컴퓨터를 기반으로 한 프로토타입인 타이탄으로 전환되었다.[1]

6. 복원 프로젝트

2018년 10월 EDSAC 복제품


2011년 1월 13일, 컴퓨터 보존 협회는 모리스 윌크스의 제자인 앤드류 허버트의 감독하에 블레츨리 파크에 위치한 국립 컴퓨터 박물관(TNMoC)에서 EDSAC의 작동하는 복제품을 제작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28] 복제품의 첫 번째 부분은 2014년 11월에 작동되었다.[29][30] EDSAC 논리 회로는 시뮬레이터 개발과 일부 재발견된 원본 회로도를 재검토하여 세심하게 재구성되었다. 이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에 따라 공개되었다.[31] 진행 중인 이 프로젝트는 박물관 방문객에게 공개된다. 2016년에는 EDSAC 원본 운영자인 마가렛 마르스와 조이스 휠러가 프로젝트를 돕기 위해 박물관을 방문했다.[32] 2016년 11월 기준으로, 복제품의 완전한 완성 및 작동 상태의 시운전은 2017년 가을로 예상되었으나,[33] 예상치 못한 프로젝트 지연으로 인해 완성되고 완전히 작동하는 기계의 완료 날짜는 미정이다.

참조

[1] 논문 The EDSAC (Electronic delay storage automatic calculator) https://www.ams.org/[...]
[2] 웹사이트 50th Anniversary of the Manchester Baby computer http://www.computer5[...] 2014-01-05
[3] 논문 Arithmetic on the EDSAC https://ieeexplore.i[...]
[4] 논문 Pioneer computer to be rebuilt 2011
[5] 서적 Dependable and Historic Computing: Essays Dedicated to Brian Randell on the Occasion of his 75th Birthda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2-01-24
[6] 논문 9. The EDSAC, Cambridge University, England https://apps.dtic.mi[...] 1950-01-01
[7] 간행물 EDSAC 99: 15–16 April 1999 http://www.cl.cam.ac[...] University of Cambridge Computer Laboratory 2013-06-29
[8] 웹사이트 EDSAC Simulator https://www.youtube.[...] Computerphile 2018-02-21
[9] 웹사이트 Some EDSAC statistics http://www.cl.cam.ac[...] University of Cambridge Computer Laboratory
[10] 웹사이트 EDSAC 1 applications http://www.cl.cam.ac[...] University of Cambridge Computer Laboratory
[11] 웹사이트 EDSAC 1 maintenance http://www.cl.cam.ac[...] University of Cambridge Computer Laboratory
[12] 웹사이트 EDSAC 1 operating http://www.cl.cam.ac[...] University of Cambridge Computer Laboratory
[13] 문서 Proceedings of the Cambridge Philosophical Society, Vol. 49, Pt. 1, p. 84–89.
[14] 웹사이트 Edsac Simulator https://www.dcs.warw[...] University of Warwick 2023-05-24
[15] 웹사이트 EDSAC performed its first calculations http://www.computing[...] 2018-11-23
[16] 웹사이트 Beatrice Worsley https://www.thecanad[...] 2018-11-23
[17] 문서 Professor David Barron, Emeritus Professor of the University of Southampton at a Cambridge Computer Lab seminar to mark the 60th anniversary 6 May 2009.
[18] 뉴스 Two new EDSAC videos: EDSAC's VDU screens http://www.tnmoc.org[...] 2015-12-11
[19] 서적 Automatic digital computers Methuen 1956
[20] 서적 Automatic digital computers Methuen 1956
[21] 문서 70 years since the first computer designed for practical everyday use https://www.cst.cam.[...]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and Technology, University of Cambridge 2019-05-03
[22] 문서 Gene Frequencies in a Cline Determined by Selection and Diffusion https://www.jstor.or[...] 1950-12
[23] 문서 Caldwell – largest known primes by year http://primes.utm.ed[...]
[2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dcs.warwi[...] University of Warwick 2016-11-18
[25] 웹사이트 OXO aka Noughts and Crosses – The First Video Game http://classicgames.[...] IAC (company) 2015-12-18
[26] 서적 Encyclopedia of Video Games: The Culture, Technology, and Art of Gaming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2-08-16
[27] 논문 The Dawn of Digital Light 2015-06-09
[28] 뉴스 Pioneering Edsac computer to be built at Bletchley Park https://www.bbc.co.u[...] 2011-01-13
[29] 문서 Museum switches on historic computer https://www.bbc.co.u[...]
[30] 서적 Making the History of Computing Relevant 2013
[31] 웹사이트 EDSAC Logic Rebuild Sub-project http://www.billp.org[...] 2023-08-24
[32] 웹사이트 Inside the project to rebuild the EDSAC, one of the world's first general purpose computers https://www.zdnet.co[...] 2020-05-24
[33] 웹사이트 Inside the project to rebuild the EDSAC, one of the world's first general purpose computers https://www.zdnet.co[...] 2016-12-01
[34] 문서 delay storage は使用している遅延記憶装置を指している
[35] 논문 The EDSAC (Electronic delay storage automatic calculator) http://www.ams.org/j[...]
[36] 문서 Manchester Mark I
[37] 논문 Pioneer computer to be rebuilt 2011
[38] 문서
[39] 문서
[40] 웹사이트 EDSAC Initial Orders and Squares Program http://www.cl.cam.ac[...] University of Cambridge, Computer Laboratory 2024-03-20
[41] 문서
[42] Youtube (79) EDSAC 1951 https://www.youtube.[...]
[43] 간행물 Gene Frequencies in a Cline Determined by Selection and Diffusion http://www.jstor.org[...] 1950-12
[44] 문서
[45] 웹사이트 Pioneering Edsac computer to be built at Bletchley Park http://www.bbc.co.uk[...] BBC News 2024-03-20
[46] 논문 'Review: ''The Preparation of Programs for an Electronic Digital Computer'', by M. V. Wilkes, D. Wheeler, and S. Gill' http://www.ams.org/j[...]
[47] 저널 The EDSAC (Electronic delay storage automatic calculator) https://www.ams.org/[...]
[48] 저널 Pioneer computer to be rebuilt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