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드워드 노턴 로렌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드워드 노턴 로렌즈는 1917년 미국에서 태어나 2008년 사망한 기상학자이자 수학자이다. 다트머스 대학교와 하버드 대학교에서 수학을 전공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기상 관측사로 복무한 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기상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0년대 기상학의 선형 모델에 대한 회의를 품고, 1963년 발표한 논문 〈결정론적인 비주기적 유동〉을 통해 혼돈 이론의 시초를 열었다. 그는 이 이론을 나비 효과로 명명했으며, 컴퓨터를 이용한 장기 기상 예보의 불가능성을 제시했다. 로렌츠는 1969년 칼-구스타프 로스비 연구 메달을 시작으로 크라포드상, 교토상 등 여러 상을 수상했으며, 혼돈 이론과 기상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로렌츠 센터가 설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혼돈 이론가 - 브누아 망델브로
브누아 망델브로는 프랙탈 기하학의 창시자로서 자연 현상의 불규칙성과 자기 유사성을 설명하는 '프랙탈' 개념을 도입하고 금융 시장 변동성 분석에 프랙탈 이론을 적용한 폴란드 태생의 프랑스-미국 수학자이자 과학자이다. - 혼돈 이론가 - 미첼 파이겐바움
미첼 파이겐바움은 카오스 이론 연구를 통해 파이겐바움 상수를 제시하고, 맥아더 펠로우쉽과 울프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금융 소프트웨어 회사를 설립하기도 한 미국의 수리물리학자이다. - 미국의 기상학자 - 어빙 랭뮤어
어빙 랭뮤어는 백열전구, 플라스마, 표면 화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1932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화학자, 물리학자, 공학자이다. - 미국의 기상학자 - 윌리엄 페렐
윌리엄 페렐은 코리올리 효과를 활용한 대기 운동 이론 발전, 조석 예측 기계 개발 기여, 인간 시각 작용 이론 제시 등 대기 과학과 조석 연구에 중요한 업적을 남긴 미국의 기상학자이자 과학자이다. - 다트머스 대학교 동문 - 호머 헐버트
호머 헐버트는 미국의 교육자이자 선교사이자 언론인이자 역사학자이자 독립운동가로서, 육영공원 교사로 한국과 인연을 맺은 후 한글 연구 및 보급, 한국 역사와 문화 알리기, 고종의 외교 특사 활동, 헤이그 특사 파견 지원 등 대한제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했으며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 다트머스 대학교 동문 - 데이비드 베니오프
데이비드 베니오프는 미국의 작가이자 영화 및 텔레비전 제작자로, 소설 집필과 영화 각본 작업 외에 D.B. 와이스와 함께 HBO 드라마 《왕좌의 게임》의 쇼러너 및 각본가로, 넷플릭스 《삼체》 시리즈 제작으로도 유명하다.
에드워드 노턴 로렌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에드워드 노턴 로렌즈 |
원어 이름 | Edward Norton Lorenz |
출생일 | 1917년 5월 23일 |
출생지 | 미국 코네티컷주 웨스트하트퍼드 |
사망일 | 2008년 4월 16일 |
사망지 |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 |
국적 | 미국 |
연구 분야 | |
분야 | 수학 기상학 |
근무 기관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
학력 | 다트머스 대학교 (학사) 하버드 대학교 (석사)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석사, 박사) |
박사 지도교수 | 제임스 머독 오스틴 |
박사 학위 논문 제목 | 대기 모델에 유체역학 및 열역학 방정식을 적용하는 방법 (A Method of Applying the Hydrodynamic and Thermodynamic Equations to Atmospheric Models) |
박사 학위 논문 URL | http://dspace.mit.edu/handle/1721.1/44688 |
박사 학위 취득 년도 | 1948년 |
주요 업적 | 카오스 이론 버터플라이 효과 로렌츠 끌개 로렌츠 에너지 순환 로렌츠 96 모델 |
주요 지도 학생 | 케빈 E. 트렌버 윌리엄 D. 셀러스 |
수상 | |
수상 내역 | 시몬스 금메달 (1973년) 크라포르드상 (1983년) 교토상 기초과학부문 (1991년) 로저 레벨 메달 (1992년) 로모노소프 금메달 (2004년) |
2. 생애
에드워드 노턴 로렌즈는 1917년 미국 코네티컷주 웨스트하트퍼드에서 태어났다.[5][30] 그는 뉴햄프셔주의 다트머스 대학교와 매사추세츠주의 하버드 대학교에서 수학을 전공하였다. 1942년부터 1946년까지 미국 공군의 기상 관측사로 복무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자 기상학을 연구하기로 결정하고,[29]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에서 두 개의 학위를 획득하였다. 1987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의 교수로 취임하였으며 이후 생애 끝까지 재직하였다.[29]
에드워드 노턴 로렌즈는 다음의 학력을 가지고 있다.
에드워드 로렌즈는 미국 코네티컷주 웨스트하트퍼드에서 태어났다.[30] 그는 뉴햄프셔주의 다트머스 대학교와 매사추세츠주의 하버드 대학교에서 수학을 전공하였다. 1942년부터 1946년까지 미국 공군의 기상 관측사로 복무하였다. 2차 대전이 끝나자 기상학을 연구하기로 결정하였고,[29]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두 개의 학위를 획득하였다. 1987년 매사추세스 공과대학의 교수로 취임하였으며 이후 생애 끝까지 재직하였다.[29]
1950년대 로렌즈는 기상학의 선형적인 모델에 회의를 느꼈다. 그가 관측한 기상 현상은 비선형이었기 때문이다.[29] 1963년 《대기과학 저널》에 〈결정론적인 비주기적 유동〉(Deterministic Nonperiodic Flow)을 발표하였다. 이 논문은 로렌즈의 가장 큰 업적이 되었으며 혼돈 이론의 시점으로 평가받고 있다.[31] 1969년 자신의 이론을 나비 효과라 불렀다.[32]
로렌즈는 아버지 에드워드 헨리 로렌즈와 외할아버지 루이스 M. 노턴으로부터 과학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 아버지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기계 공학을 전공했으며, 외할아버지는 1888년 MIT에서 최초의 화학 공학 과정을 개발했다. 한편, 어머니인 그레이스 펠루베 노턴은 로렌츠에게 체스를 포함한 게임에 대한 관심을 심어주었다.[6]
이후 아내 제인 로반과 세 자녀인 낸시, 셰릴, 에드워드와 함께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서 살았다.[7] 그는 하이킹, 등반, 크로스컨트리 스키를 즐기는 열렬한 야외 활동가였다. 그는 생의 말년까지 이러한 활동을 지속했다. 2008년 4월 16일, 케임브리지 자택에서 암으로 9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8][33]
3. 학력
학교 학위 전공 년도 다트머스 대학교 학사 수학 1938년 하버드 대학교 석사 수학 1940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석사 기상학 1943년[7]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박사 기상학 1948년[7]
그의 박사 학위 논문은 지도교수 제임스 머독 오스틴의 지도 아래 작성되었으며, 제목은 "대기 모델에 유체역학 및 열역학 방정식을 적용하는 방법"으로, 폭풍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실질적인 문제에 유체 역학 방정식을 적용하는 것을 설명했다.[9]
4. 경력
1950년대 로렌즈는 기상학의 선형적인 모델에 회의를 느끼게 되었다. 그가 관측한 기상 현상은 비선형이었기 때문이다.[29] 1963년 《대기과학 저널》에 〈결정론적인 비주기적 유동〉(Deterministic Nonperiodic Flow)을 발표하였다. 이 논문은 로렌즈의 가장 큰 업적이 되었으며 혼돈 이론의 시점으로 평가받고 있다.[31] 1969년 로렌즈는 자신의 이론을 나비 효과라 불렀다.[32]
로렌츠는 과학 경력 전체를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에서 보냈다. 1948년, MIT 기상학과에 연구 과학자로 합류했고, 1955년에는 조교수, 1962년에는 정교수로 승진했다. 1977년부터 1981년까지 MIT 기상학과 학과장을 역임했다. 1983년, MIT 기상학과 및 물리해양학과는 지질학과와 합병하여 현재의 MIT 지구, 대기 및 행성 과학과가 되었으며, 로렌츠는 1987년에 명예 교수가 되기 전까지 교수로 재직했다.[10]
5. 연구 업적
1950년대에 로렌츠는 수치 예보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시작했다. 수치 예보는 온도, 기압, 풍속과 같은 관측 데이터를 처리하여 날씨를 예측하기 위해 컴퓨터에 의존했다. 고등연구소를 방문하여 당시 기상 연구 그룹 책임자이자 역학 기상학자였던 줄 샤니를 만난 것을 계기로 이 분야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12] 1953년 로렌츠는 MIT에서 통계적 예측 기법 평가를 위한 기상 모델 시뮬레이션 프로젝트를 이끌었다.[12] 1950년대 후반, 로렌츠는 기상학에서 선형 시스템 선형 통계 모델의 적절성에 대해 회의적이었는데, 날씨 예보에 관련된 대부분의 대기 현상이 비선형적이었기 때문이다.[2]
1961년, 로렌츠는 온도와 풍속 등 12개의 변수를 모델링하여 기상 패턴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로열 맥비(Royal McBee) LGP-30이라는 간단한 디지털 컴퓨터를 사용했다. 시뮬레이션 중간 지점에서 시작하여 데이터의 시퀀스를 다시 확인하고자 했고, 원래 시뮬레이션 중간 데이터의 인쇄물을 입력했다. 그런데 기계가 예측한 날씨는 이전 계산과 완전히 달랐다. 이는 컴퓨터 인쇄물의 숫자가 반올림되었기 때문이었다. 컴퓨터는 6자리 정밀도로 작동했지만, 인쇄물은 변수를 3자리 숫자로 반올림하여 출력했다. 이 작은 차이가 장기적인 결과에 큰 변화를 가져온다는 것을 로렌츠는 발견했다.[15]
로렌츠는 자신의 논문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로렌츠는 결정론적 비주기 흐름(Deterministic Nonperiodic Flow)이라는 논문을 1963년 대기 과학 저널(Journal of the Atmospheric Sciences)에 발표하여 카오스 이론(chaos theory)의 기초를 다졌다.[2][14]
생애 후반, 로렌츠는 결정론적 카오스 연구로 국제적인 찬사를 받았다. 1983년 헨리 스토멜(Henry Stommel)과 함께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에서 크라포드 상(Crafoord Prize)을 받았으며, 이는 노벨상(Nobel Prize)과 거의 동등하게 여겨진다.[8] 1991년 지구 및 행성 과학 분야 기초 과학 부문에서 교토 상(Kyoto Prize)을 받았고,[24] 2004년 뷔스 발로 상(Buys Ballot Medal)을, 2008년 토마소니 상(Tomassoni awards)을 수상했다.[25]
케리 에마누엘(Kerry Emanuel) MIT 기상학자는 로렌츠의 업적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8]
5. 1. 대기 순환
1940년대 후반과 1950년대 초반, 로렌츠는 빅터 스타와 함께 MIT에서 일반 대기 순환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기상 시스템이 대기 전체 순환의 에너지학을 결정하는 데 어떤 역할을 하는지 연구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로렌츠는 1967년, 에너지학적 관점에서 대기 순환에 대한 획기적인 논문인 "대기 일반 순환의 본질과 이론"을 발표하여 가용 위치 에너지 개념을 발전시켰다.[11]
5. 2. 수치 예보 연구와 한계점 발견
1960년 로렌즈는 초기조건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초보적인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한 기상 모델을 관찰하던 중, 기상 패턴이 초기값의 미세한 차이에도 매우 크게 발산한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계산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똑같은 데이터를 초기값으로 여러 차례 반복하여 시뮬레이션을 하였는데, 초기값의 미세한 차이는 계산 결과에 사소한 영향만 줄 것이라고 생각하고 소수점 아랫자리를 모두 입력하지 않았다. 그런데 크게 다른 결과를 얻게 된 것이다. 이러한 민감한 초기 상태 의존성은 나비효과로 명명되었다. 또 이 결과에 따라 컴퓨터를 이용한 정확한 장기 기상 예보는 불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해졌다.[12]
로렌즈는 이러한 결과를 일으킨 수학적 성질을 계속 연구하여, 그 결과를 〈결정론적 비주기 흐름〉(Deterministic Nonperiodic Flow)이라는 제목으로 1963년 기상학 학회지에 발표했다. 이 논문에서 그는 방정식에 의한 비교적 단순한 계가 무한히 복잡한 패턴을 만들어낼 수 있다고 기술하고 있으며, 그것이 로렌즈 끌개이다.[14]
5. 3. 혼돈 이론과 나비 효과
1960년 로렌즈는 초기조건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초보적인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한 기상 모델을 관찰하던 중, 기상 패턴이 초기값의 미세한 차이에도 매우 크게 발산한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그는 계산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똑같은 데이터를 초기값으로 여러 차례 반복하여 시뮬레이션을 했는데, 초기값의 미세한 차이는 계산 결과에 사소한 영향만을 줄 것이라 생각하고 소수점 아래 자리를 모두 입력하지 않았다. 그런데 크게 다른 결과를 얻게 된 것이다. 이러한 민감한 초기 상태 의존성은 나비효과로 명명되었다. 또 이 결과에 따라 컴퓨터를 이용한 정확한 장기 기상 예보는 불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해졌다.[15]
로렌즈는 이러한 결과를 일으킨 수학적 성질을 계속 연구하여, 그 결과를 〈결정론적 비주기 흐름〉(Deterministic Nonperiodic Flow)이라는 제목으로 1963년 대기 과학 저널(Journal of the Atmospheric Sciences)에 발표했다. 이 논문에서 그는 방정식에 의한 비교적 단순한 계가 무한히 복잡한 패턴을 만들어낼 수 있다고 기술하고 있으며, 그것이 로렌즈 끌개이다.[2][14]
엘렌 페터(Ellen Fetter)의 도움을 받아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작은 변화가 큰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나비 효과(butterfly effect)에 대한 그의 설명은 1969년에 이어졌다.[2][16][17][18][19][20][21]
1993년 에드워드 로렌츠와 크지슈토프 에드워드 하만(Krzysztof Edward Haman)이 저술한 "카오스의 본질"이라는 책의 "우리의 혼돈스러운 날씨" 챕터에서 저자들은 날씨 예측의 어려움을 설명했다. 이 연구는 대기 중의 카오스의 결과와 날씨 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한다. 그들은 컴퓨터 시대에 기상학자들이 유사하지만 다른 초기 대기 조건을 기반으로 앙상블 예측(Ensemble forecasting)을 생성하는 시나리오를 설명한다. 예측 결과의 차이는 시스템이 초기 조건에 민감하기 때문에 발생한다.[22]
결정적 카오스에 대한 로렌츠의 통찰력은 1970년대와 80년대부터 널리 공감을 얻었으며, 이는 생물학에서 지질학, 물리학에 이르기까지 과학의 거의 모든 분야에서 새로운 연구 분야를 촉진했다. 기상학에서는 합리적인 수준의 정확도로 2~3주 이상 날씨를 예측하는 것이 근본적으로 불가능할 수 있다는 결론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카오스에 대한 인식은 날씨 예측(weather forecasting)의 개선으로 이어졌으며, 이제 예측자들은 측정값이 불완전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약간 다른 조건에서 시작하는 많은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데, 이를 앙상블 예측(ensemble forecasting)이라고 한다.[23]
로렌츠의 획기적인 중요성에 대해 케리 에마누엘(Kerry Emanuel) MIT의 저명한 기상학자이자 기후 과학자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8]
6. 수상 내역
연도 | 수상 내역 |
---|---|
1969년 | 칼-구스타프 로스비 연구 메달, 미국 기상학회 |
1973년 | 사이먼스 금메달, 왕립 기상학회 |
1975년 |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 |
1981년 | 노르웨이 과학 문학 아카데미 회원 |
1983년 | 크라포드상,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 |
1984년 | 왕립 기상학회 명예회원 |
1989년 | 엘리엇 크레슨 메달, 프랭클린 연구소 |
1991년 | "결정론적 카오스"를 발견한 그의 가장 대담한 과학적 업적으로 교토상 기초과학 분야 수상[33] |
1992년 | 로저 레벨 메달 |
2000년 | 세계 기상 기구의 국제 기상 기구상 |
2004년 | 네덜란드 왕립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바이스 발로트 메달,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의 로모노소프 금메달 |
2008년 | 펠리체 피에트로 키에시 에 카테리나 토마소니상 |
7. 저서
로렌즈는 많은 책과 논문을 출판했으며, 그중 일부는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다. 더 자세한 목록은 로렌츠 센터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출판 연도 | 제목 | 학술지/출판사 | 비고 |
---|---|---|---|
1955 | 가용 위치 에너지와 일반 대기의 순환 유지 | Tellus Vol. 7; 2 | |
1963 | 결정론적 비주기적 흐름 | Journal of the Atmospheric Sciences Vol. 20: 130–141 | |
1967 | 대기 일반 순환의 본질과 이론 |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Vol. 218 | |
1969 | 대기 예측 가능성에 대한 세 가지 접근 방식 |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50; 345–349 | |
1972 | 예측 가능성: 브라질에서 나비 날갯짓이 텍사스에서 토네이도를 유발할 수 있는가? |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s; 139차 회의 | |
1976 | 기후 변화의 비결정론적 이론 | Quaternary Research Vol. 6 | |
1990 | 혼돈과 비추이성이 연간 변동성을 유발할 수 있는가? | Tellus Vol. 42A | |
2005 | 혼돈 모델 설계 | Journal of the Atmospheric Sciences Vol. 62, No. 5: 1574–1587 | |
1997 | 로렌츠 카오스의 에센스 | 공립출판 | 스기야마 마사루, 스기야마 토모코 역 |
8. 기타
로렌즈는 1917년 코네티컷주 웨스트하트퍼드에서 태어났다.[5] 아버지와 외할아버지로부터 과학에 대한 관심을, 어머니로부터는 체스를 포함한 게임에 대한 관심을 물려받았다.[6]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서 아내 제인 로반(1919–2001)과 세 자녀와 함께 살았으며,[7] 하이킹, 등반 등을 즐기는 야외 활동가였다. 2008년 케임브리지 자택에서 암으로 사망했다.[8] 조용한 태도와 겸손함, 자연에 대한 사랑으로 동료들에게 기억된다.[12]
8. 1. 로렌츠 센터
2011년, MIT에 기후 싱크탱크인 로렌츠 센터(The Lorenz Center)가 설립되었다. 이 센터는 로렌즈와 그의 혼돈 이론 및 기후 과학에 대한 선구적인 연구를 기리기 위해 설립되었다.[27]8. 2. 100주년 기념
2018년 2월, 에드워드 로렌츠 센터와 헨리 호튼 기금은 로렌츠와 샤니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카오스와 기후에 관한 MIT"라는 심포지엄을 개최했다.[13] 이틀간 진행된 이 행사에서는 수치 일기 예보, 물리 해양학, 대기 역학, 유체 역학 분야에서 두 선구자가 이룩한 수많은 과학적 업적과 그들이 남긴 정직함, 낙관주의, 협력이라는 개인적인 유산에 대해 세계적인 전문가들이 발표했다. 이 행사를 위해 제작된 영상은 샤니와 로렌츠가 MIT와 기상학 분야 전체에 남긴 지울 수 없는 발자취를 조명했다.[28]참조
[1]
저널
Edward Norton Lorenz. 23 May 1917 -- 16 April 2008
[2]
저널
Edward Norton Lorenz
[3]
저널
Chaos at fifty
http://www.physicsto[...]
[4]
뉴스
Edward N. Lorenz, a Meteorologist and a Father of Chaos Theory, Dies at 90
https://www.nytimes.[...]
2019-04-01
[5]
웹사이트
Lorenz Receives 1991 Kyoto Prize
http://web.mit.edu/n[...]
MIT News Office
[6]
서적
Edward Norton Lorenz (1917-2008)
http://www.nasonlin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7]
뉴스
Edward N. Lorenz, a Meteorologist and a Father of Chaos Theory, Dies at 90
https://www.nytimes.[...]
2010-05-01
[8]
뉴스
Edward Lorenz, father of chaos theory, dies at age 90
https://news.mit.edu[...]
2008-04-16
[9]
논문
A method of applying the hydrodynamic and thermodynamic equations to atmospheric model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Dept. of Meteorology
[10]
뉴스
Edward Lorenz, father of chaos theory and butterfly effect, dies at 90
https://news.mit.edu[...]
2019-04-01
[11]
저널
The Nature and Theory of the General Circulation of the Atmosphere
http://users.uoa.gr/[...]
[12]
서적
Edward Norton Lorenz (1917-2008)
http://www.nasonlin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3]
웹사이트
MIT Celebrates the Science of Jule Charney and Ed Lorenz
http://lorenz.script[...]
2019-04-03
[14]
저널
Deterministic non-periodic flow
[15]
서적
Chaos: Making a New Science
Cardinal
[16]
저널
Atmospheric predictability as revealed by naturally occurring analogues
[17]
저널
Three approaches to atmospheric predictability
http://eapsweb.mit.e[...]
[18]
웹사이트
Does the flap of a butterfly's wings in Brazil set off a tornado in Texas?
https://eapsweb.mit.[...]
1972-12-29
[19]
저널
The predictability of a flow which possesses many scales of motion
1969-01-01
[20]
웹사이트
The Hidden Heroines of Chaos
https://www.quantama[...]
2021-10-23
[21]
저널
Three Kinds of Butterfly Effects within Lorenz Models
2022-07-04
[22]
저널
The essence of chaos
Basel, Birkhauser Verlag
[23]
잡지
When the Butterfly Effect Took Flight
https://www.technolo[...]
2019-04-03
[24]
뉴스
Edward Lorenz, father of chaos theory, dead at 90
https://www.reuters.[...]
[25]
웹사이트
Tomassoni awards
http://www.phys.unir[...]
Dipartimento di Fisica, Università degli Studi di Roma "La Sapienza"
2013-12-13
[26]
비디오
Weather and Chaos: The Work of Edward N. Lorenz
https://vimeo.com/28[...]
[27]
웹사이트
The Lorenz Center About Us
https://lorenz.scrip[...]
[28]
웹사이트
Celebrating the Science of Jule Charney and Ed Lorenz
https://www.youtube.[...]
[29]
저널
[30]
웹사이트
1991년 교토상 수상자
http://web.mit.edu/n[...]
[31]
저널
결정론적인 비주기적 유동
http://ams.allenpres[...]
[32]
저널
기상예측에 대한 세가지 접근 방법
http://eapsweb.mit.e[...]
[33]
뉴스
혼돈 이론의 아버지 에드워드 로렌즈 타계
http://www.reuters.c[...]
로이터
2008-04-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