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드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드푸는 이집트 나일강 서안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 이집트,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로마 제국 시대를 거치며 아폴리노폴리스 마그나 등으로 불렸다. 주요 유적으로는 호루스 신전으로 알려진 에드푸 신전과 텔 에드푸 유적이 있으며, 텔 에드푸는 선왕조 시대부터 비잔틴 시대까지의 유물을 포함하고 있다. 에드푸 신전은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대에 건설되어 이집트 신전 중 가장 완벽하게 보존된 곳으로 꼽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스완주 - 콤 옴보
    콤 옴보는 이집트 남부 나일강 동쪽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 옴비테 노모스의 수도였으며 현재는 사탕수수 재배가 활발한 농업 중심지이고, 호루스 신과 소베크 신에게 바쳐진 독특한 이중 구조의 콤 옴보 신전으로 유명하다.
  • 아스완주 - 필라이
    필라이는 이집트 아스완 남쪽의 고대 도시 섬으로, 이시스 여신을 숭배하는 종교 중심지였으나 아스완 댐 건설로 수몰 위기에 처해 아길키아 섬으로 이전 및 재건되었고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기원전 1세기 완공된 건축물 - 폼페이우스 극장
    기원전 55년경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마그누스가 마르스 광장에 건설한 폼페이우스 극장은 로마 최초의 석조 극장으로, 신전, 정원, 회랑 등 다양한 부대시설을 갖춘 복합 시설이며 율리우스 카이사르 암살 장소로도 알려져 현재는 유적이 캄포 데 피오리와 라르고 디 토레 아르젠티나 사이에 묻혀 있다.
  • 기원전 1세기 완공된 건축물 - 덴데라 신전
    덴데라 신전은 이집트 덴데라에 위치한 신전 단지로 하토르 신전을 중심으로 다양한 신전과 부속 건물, 네크로폴리스로 구성되어 고왕국 시대부터 로마 시대까지 건설 및 개조가 이루어졌으며, 특히 하토르 신전은 예술적, 종교적으로 중요한 유물들을 포함하고 최근까지 복원 및 발굴 작업이 진행 중이다.
  • 이집트의 유적 - 알렉산드리아
    알렉산드리아는 기원전 331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건설한 이집트 북부 지중해 연안의 도시로, 헬레니즘 시대에는 중심지로서 번영을 누렸으며 현재는 이집트의 주요 도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 이집트의 유적 - 헬리오폴리스 (이집트)
    헬리오폴리스는 고대 이집트의 도시로, 태양신 라 숭배의 중심지였으나 현재는 카이로 근교에 흔적만 남아있는 고대 유적지이다.
에드푸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일반 정보
공식 명칭에드푸
원어 명칭إدفو
로마자 표기ʾIdfū
콥트어 (사히드 방언)ⲧⲃⲱ, ⲧⲃⲟ
콥트어 (보하이라 방언)ⲑⲃⲱ, ⲁⲧⲃⲱ
위치이집트
지리
면적2,304 km²
고도86 m
에드푸 신전 전면
에드푸 신전 전면
에드푸 거리 풍경
거리 풍경
나일 강 크루즈선
나일 강
에드푸 마차
마차
행정 구역
국가이집트
도 (Governorate)아스완 주
인구 통계
총 인구 (2021년)488,805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기타 정보
시간대EET
UTC 오프셋+2
지역 번호(+20) 97

2. 역사

에드푸는 선왕조 시대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한 유서 깊은 도시이다. 고대 이집트 시대에는 "웨트제셋-호르"(Wetjeset-hor)라고 불렸으며, 상 이집트 제2주의 주도였다.[2] 그리스어로는 '아폴리노폴리스 마그나'(Apollinopolis Magna)라고 불렸다.

구왕국 시대부터 번성하기 시작하여 제1중간기에는 남부 이집트의 주요 도시 중 하나로 성장하였다. 당시 북부 지역이 경제적으로 쇠퇴한 상황에서 에드푸는 몇 안 되는 남부의 번성한 정착지 중 하나였다. 텔 에드푸(Tell Edfu)라고 불리는 고대 언덕은 구왕국 시대부터 그리스-로마 시대까지 3000년이 넘는 역사를 보여준다.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제국 시대에 에드푸는 '아폴리노폴리스 마그나'로 알려졌다. 프톨레마이오스는 아폴리노폴리스를 헤르몬티테 노메에 속하게 했지만, 일반적으로 아폴로폴리테 노메의 수도로 여겨졌다.[4] 로마 황제 시대에는 제2 트라야나 군단의 본부가 위치하기도 했다.[4]

로마 제국 시대에 에드푸 주민들은 악어와 그 숭배자들을 적대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아폴리노폴리스 마그나는 기독교 주교가 있는 도시였으며, 현재는 가톨릭 교회에서 명목 주교로 등재되어 있다.[6]

2. 1. 고대

에드푸는 고대 이집트 시대에 "웨트제셋-호르"(Wetjeset-hor)라고 불렸으며, 상 이집트 제2주의 주도였다.[2] 그리스어로는 '아폴리노폴리스 마그나'(Apollinopolis Magna)라고 불렸다.

이 도시는 구왕국 시대부터 번성하기 시작하여 제1중간기에는 남부 이집트의 주요 도시 중 하나로 성장하였다. 당시 북부, 특히 삼각주 주변이 경제적으로 쇠퇴한 것으로 보이는 상황에서 에드푸는 번성한 몇 안 되는 남부 정착지 중 하나였다.

텔 에드푸(Tell Edfu)라고 불리는 고대 언덕은 일부 지역에서 최대 20m 높이로 보존되어 있으며, 구왕국 시대부터 그리스-로마 시대까지 3000년이 넘는 역사를 보여준다. 1921년부터 여러 차례 고고학 발굴이 진행되었는데, 2001년부터는 시카고 대학교 동양 연구소가 텔 에드푸 프로젝트를 통해 고대 도시의 행정 중심지, 중왕국 말기의 열주 홀 유적, 제2중간기(제17왕조)의 대형 곡창 마당 등을 발견하였다. 특히 직경 5.5~6.5m의 대형 둥근 사일로 7개는 고대 이집트 도시 중심에서 발견된 가장 큰 곡물 저장 시설이다.

에드푸에서는 제5왕조 이전 시대의 유적은 발견되지 않았다. 고대 묘지는 구왕국의 마스타바와 후대의 무덤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제6왕조 시대에는 지역 행정관이었던 이시가 "에드푸 주도의 위대한 족장"으로 언급되었으며, 그는 나중에 신격화되어 중왕국 시대에 숭배받기도 했다.

2. 2.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대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제국 시대에 에드푸는 '''아폴리노폴리스 마그나''' 또는 '''아폴리노폴리스 마그나'''로 알려졌다. 프톨레마이오스는 아폴리노폴리스를 헤르몬티테 노메에 속하게 했지만, 일반적으로 아폴로폴리테 노메의 수도로 여겨졌다.[4] 로마 황제 시대에는 제2 트라야나 군단의 본부였다.

에드푸는 매의 모습을 한 호루스 신에게 바쳐진 에드푸 신전(별명: 호루스 신전)으로 유명하다. 이 신전은 기원전 237년부터 기원전 57년 사이에 건설되었으며, 현재 이집트 내에서도 가장 보존 상태가 좋은 곳 중 하나이다. 이집트에 남아 있는 모든 신전 유적 중에서 에드푸의 호루스 신전이 가장 완벽하게 보존되어 있다.

호루스 신상


에드푸 신전


고대 도시는 이집트의 신성한 구조물 중 덴데라 신전에 이어 두 번째로 여겨지는 두 개의 신전으로 명성을 얻었다. 더 큰 신전은 잘 보존되어 있으며 발굴이 진행 중이다. 때때로 부적절하게 티포니움이라고 불리는 더 작은 신전은 전자의 부속 건물로 보이며, 그 조각들은 젊은 신 호루스의 탄생과 교육을 묘사하며, 그의 부모 눔 또는 크네프와 하토르가 더 큰 건물에서 숭배되었다.

아폴리노폴리스의 더 큰 신전으로 들어가는 입구는 높이 약 15.24m의 문이며, 약 32.61m까지 솟아오르는 잘린 피라미드 형태의 두 개의 수렴하는 날개로 측면을 이루고 있다. 신전은 폭 약 44.20m, 입구에서 반대편 끝까지 길이가 약 129.24m이다.

아폴로노폴리스 마그나는 기독교 주교가 되었으며, 로마 속주 테바이드 세쿤다의 수도인 프톨레마이오스 헤르미우의 참사회였다. 파피루스 문서에는 아마도 5명의 주교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5] 더 이상 거주 주교구가 아닌 아폴로노폴리스 마그나는 오늘날 가톨릭 교회에 의해 명목 주교로 등재되어 있다.[6]

2. 3. 로마 제국 시대

로마 제국 시대에 에드푸는 '아폴로노폴리스 마그나' 또는 '아폴리노폴리스 마그나'로 알려졌다.[4] 스트라보, 플리니우스, 플루타르코스 등의 기록에 이 명칭이 등장한다. 프톨레마이오스는 아폴리노폴리스를 헤르몬티테 노메에 속하게 했지만, 일반적으로는 아폴로폴리테 노메의 수도로 여겨졌다.

로마 황제 시대에는 제2 트라야나 군단의 본부가 위치하여 군사적 요충지 역할을 수행했다.[4] 한편, 이 도시의 주민들은 악어와 그 숭배자들을 적대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아폴리노폴리스 마그나는 기독교 주교가 있는 도시였으며, 로마 속주 테바이드 세쿤다의 수도인 프톨레마이오스 헤르미우의 참사회였다. 파피루스 문서에는 5명의 주교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5] 현재는 가톨릭 교회에서 명목 주교로 등재되어 있다.[6]

3. 지리

에드푸는 나일 강 서안에 위치한다.[8]

3. 1. 기후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에드푸의 기후는 열대 사막 (BWh)으로 분류된다.[8] 에드푸는 덥고 건조한 기후를 보이며, 연중 강수량이 거의 없다. 여름철에는 매우 높은 기온을 기록한다.

에드푸의 기후[7]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C)23.625.629.434.438.740.640.540.538.335.830.325.2
평균 기온 (°C)15.51720.625.429.931.732.132.130.227.52217.2
평균 최저 기온 (°C)7.58.511.916.521.122.923.723.822.119.213.79.3
강수량 (mm)000000000000


4. 주요 유적

에드푸에는 고대부터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로마 제국 시대에 이르는 다양한 유적이 남아 있다.

에드푸에서 남쪽으로 약 5km 떨어진 곳에는 나일강 계곡을 따라 건설된 7개의 작은 지방 계단식 피라미드 중 하나의 유적이 있는데, 이 구조물은 거친 붉은 사암으로 지어졌으며 현재 높이는 5.5m이다. 이 피라미드는 제3왕조 후니 왕 시대에 건설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 목적은 알려져 있지 않다. 2010년부터 시카고 대학교 오리엔탈 연구소에서 이 피라미드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4. 1. 에드푸 신전 (호루스 신전)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대에 건설된 에드푸 신전(별명: 호루스 신전)은 이집트에서 가장 완벽하게 보존된 신전 중 하나이다.[4] 기원전 237년부터 기원전 57년 사이에 건설되었으며, 호루스 신에게 바쳐졌다.

이 거대한 신전은 사암 블록으로 지어졌으며, 이집트 신왕국 시대의 더 작은 신전 부지에 건설되었다. 신전의 입구는 높이 약 15.24m의 문(πυλών)이며, 약 32.61m까지 솟아오르는 두 개의 잘린 피라미드 형태의 날개(πτερά)가 측면에 있다. 날개에는 10개의 층이 있고, 둥근 구멍이 뚫려 있어 빛을 받아들인다. 이 문은 열주로 둘러싸인 큰 광장으로 이어지며, 광장 반대편에는 높이 약 16.15m의 현관이 있다. 현관에는 각 줄에 6개의 기둥이 있는 세 줄의 기둥이 있으며, 다양하고 우아한 잎사귀 모양의 주두가 있다.

신전은 폭 약 44.20m, 길이 약 129.24m이며, 벽의 모든 부분은 상형 문자로 덮여 있다. 주요 안뜰은 넓은 계단을 통해 현관으로 점차 올라간다. 건물의 전체 면적은 두께가 약 6.10m인 벽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요새로 사용될 수 있었다.

신전의 조각들은 정교하고 아름답게 제작되었으며,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대의 것이다. 신전의 가장 초기의 부분은 기원전 181년에 프톨레마이오스 6세 필로메토르에 의해 건설되었다.

4. 2. 텔 에드푸

텔 에드푸는 고대 에드푸 정착지의 유적으로,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대 사원 서쪽 약 50m 지점에 있다. 이 정착지는 '웨트제셋-호르'(Wetjeset-hor)로 알려졌으며, 그리스어로는 '아폴리노폴리스 마그나'(Apollinopolis Magna)라고 불렸다.[2] 노티티아 디그니타툼에 따르면, 제2 '트라야나 포르티스' 군단의 일부가 이곳에 주둔했다.

텔 에드푸는 선왕조 시대부터 비잔틴 시대까지의 유물을 포함하고 있어 이집트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정착지의 주요 부분은 침식, 절단, 세바흐 채굴 등으로 훼손되었지만, 여전히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유적은 구왕국 말기부터 비잔틴 시대까지 지방 도시로서 에드푸의 발전을 보여준다. 에드푸는 제2 상이집트 주도의 수도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제1중간기에는 도시가 번성하여 서쪽으로 확장되었는데, 이는 북부 지역이 경제적으로 쇠퇴한 상황에서 번성한 남부 이집트의 몇 안 되는 정착지 중 하나임을 보여준다.

에드푸의 모습. 브루클린 박물관 기록 보관소


텔 에드푸는 최대 20m 높이로 보존되어 있으며, 구왕국 시대부터 그리스-로마 시대까지 3000년이 넘는 역사를 담고 있다. 1921년부터 여러 차례 고고학 발굴이 진행되었는데, 앙리 헨(Henri Henne)은 말기 또는 프톨레마이오스 시대의 작은 성소 유적을 확인했고,[3] 프랑스-폴란드 원정대는 비잔틴, 로마, 프톨레마이오스 시대 유적과 구왕국 및 중왕국 시대 묘지를 기록했다.

최근에는 나딘 뫼러(Nadine Moeller)가 이끄는 텔 에드푸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고대 도시의 행정 중심지, 중왕국 말기의 열주 홀, 제2중간기의 대형 곡창 마당 등이 발견되었다. 특히, 직경 5.5~6.5m의 대형 둥근 사일로 7개는 고대 이집트 도시 중심에서 발견된 가장 큰 규모이다.

에드푸 신전의 탑문에서 바라본 에드푸 마을


에드푸에서는 제5왕조 이전 시대의 유적은 발견되지 않았다. 고대 묘지는 구왕국의 마스타바와 후대 무덤으로 구성되었다. 묘지는 신왕국 이전에는 서쪽의 하게르 에드푸, 말기에는 남쪽의 나그 엘-하사야로 옮겨졌다. 이 지역은 베헤데트라고 불렸으며, 호루스 신은 호루스 베헤데트로 숭배받았다.

제6왕조의 지역 행정관이었던 이시는 "에드푸 주도의 위대한 족장"으로 불렸으며, 왕실 기록 보관소 책임자, 판사 등을 역임했다. 그는 나중에 살아있는 신으로 숭배받기도 했다. 제6왕조 말기에는 지역 족장과 행정 귀족들이 중앙 권력에서 벗어나 더 큰 권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에드푸 신전 앞마당

4. 3. 에드푸 남쪽 피라미드

에드푸에서 남쪽으로 약 5km 떨어진 나가 엘-고네이마 근처, 서쪽 강둑에는 나일강 계곡을 따라 건설된 7개의 작은 지방 계단식 피라미드 중 하나의 유적이 있다. 이 구조물은 거친 붉은 사암으로 지어졌으며 현재 높이는 5.5m이다. 이 피라미드는 제3왕조 후니 왕 시대에 건설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목적은 알려져 있지 않다. 2010년부터 시카고 대학교의 오리엔탈 연구소에서 추가 조사를 실시하고 상세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Idfū (Markaz, Egypt) - Population Statistics, Charts, Map and Location https://citypopulati[...] 2023-03-17
[2] 서적 Dictionnaire des Noms Géographiques Contenus dans les Textes Hiéroglyphiques Vol. 2 https://archive.org/[...] 1925
[3] 웹사이트 History of PCMA research in Egypt https://pcma.uw.edu.[...] 2020-07-07
[4] 문서 REDIRECT
[5] 논문 "A Checklist of Bishops in Byzantine Egypt (A.D. 325 - c. 750)" https://openaccess.l[...]
[6] 서적 Annuario Pontificio 2013 Libreria Editrice Vaticana
[7] 웹사이트 Climate: Idfu - Climate graph, Temperature graph, Climate table http://en.climate-da[...] Climate-Data.org 2013-08-13
[8] 웹인용 Climate: Idfu - Climate graph, Temperature graph, Climate table http://en.climate-da[...] Climate-Data.org 2013-08-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