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타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스타바는 고대 이집트에서 사용된 무덤의 한 유형으로, 아랍어로 '벤치'를 의미한다. 선왕조 시대부터 신왕국 시대까지 사용되었으며, 특히 고위 관리나 왕족의 무덤으로 활용되었다. 마스타바는 흙벽돌로 지어진 직사각형 구조로, 내부에는 매장실, 세르답, 제물 공간 등이 있었다. 초기에는 단순한 형태였으나, 시대가 흐르면서 구조가 발전하여 피라미드 건설에도 영향을 미쳤다. 조세르 왕의 계단 피라미드가 마스타바에서 발전된 형태의 대표적인 예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이집트의 건축 - 맘미시
맘미시는 고대 이집트 신전 단지 내에 신성한 탄생을 기념하기 위해 지어진 건축물로, 탄생 관련 신들의 부조와 벽화로 장식되었으며 타와레트, 라에타위, 일곱 하토르 등이 숭배된 "탄생의 장소"를 의미한다. - 고대 이집트의 건축 - 남근 건축
남근 건축은 남성의 성기를 닮은 건축물을 의미하며, 다산, 풍요, 힘, 권력 등을 상징하며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문화권에서 나타난다. - 고대 이집트 - 람세스 3세
람세스 3세는 기원전 1186년부터 1155년까지 이집트를 통치한 제20왕조의 파라오로, 해양 민족과 리비아인의 침입을 막아 이집트의 안정을 유지했지만 통치 말기 경제적 어려움과 암살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으며, 메디넷 하부 신전 등의 건축 사업을 통해 업적을 기념했다. - 고대 이집트 - 하이집트
하이집트는 고대 이집트의 북쪽 지역으로 나일강 삼각주에 위치하며 지중해와 인접하여 상이집트보다 온화한 기후를 가졌고, 선왕조 시대 여러 왕들이 존재했으나 상이집트의 나르메르 왕에 의해 통일되어 20개의 노메로 나뉘어 통치되었다. - 아랍어 낱말 - 무자헤딘
무자헤딘은 아랍어로 지하드를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초기에는 이슬람교 포교자를 지칭했으나 근대에는 침략에 저항하는 저항 운동을, 20세기에는 아프가니스탄 게릴라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었고, 현대에는 지하디스트와 유사한 의미로 무장 단체들이 사용하는 용어이다. - 아랍어 낱말 - 셔벗
셔벗은 페르시아어에서 유래한 디저트로, 과즙에 우유, 달걀 흰자 등을 섞어 만들며, 유지방 함유량이 낮고 입자가 굵은 형태를 띤다.
마스타바 | |
---|---|
일반 정보 | |
![]() | |
유형 | 고대 이집트 무덤 |
위치 | 이집트와 수단 |
시대 | 초기 왕조 시대에서 고대 왕국 시대 |
구조 및 특징 | |
형태 | 평평한 지붕을 가진 직사각형 구조 |
재료 | 진흙 벽돌 돌 |
내부 | 지하 매장실 지상 예배실 |
장식 | 그림 조각 |
목적 | 무덤 사후 세계를 위한 준비 공간 |
역사 | |
기원 | 초기 왕조 시대 |
발전 | 더 크고 정교한 구조로 발전 피라미드의 전신 |
용도 | 왕족 고위 관리 |
문화적 중요성 | |
상징 | 사후 세계로의 입구 |
예술 | 고대 이집트 예술의 중요한 예시 |
건축 | 고대 이집트 건축의 초기 형태 |
추가 정보 | |
관련 용어 | 피라미드 사카라 멤피스 |
참고 문헌 | 위키백과 및 관련 서적 참고 |
2. 역사
마스타바는 아랍어로 벤치를 의미하며, 그 외형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23] 주로 흙벽돌로 만들어졌으며, 직사각형 평면에 길이 60미터, 폭 30미터에 달하는 큰 규모도 있었다.[24] 외벽에는 요철이 있어 메소포타미아 건축 양식과의 관련성이 제기되기도 한다.[25] 내부에는 깊은 수직갱이 있고, 그 바닥에 묘실이 만들어졌다.[24] 묘실 벽면은 주로 일상생활을 그린 부조로 채워졌다.[26]
일부 마스타바에는 죽은 자의 여행을 위한 배를 보관하는 울타리가 부속되어 있었다.[24] 왕의 마스타바 주변에서는 가신으로 추정되는 사람들의 무덤이 발견되기도 한다.[24]
2. 1. 초기 발전
고대 사후 세계는 고대 이집트인들의 종교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 그들의 건축물은 이를 반영하며, 특히 무덤 건설에 막대한 시간과 노동력이 투입된 것이 두드러진다.[3] 고대 이집트인들은 현세의 필요가 사후 세계에서도 지속될 것이라고 믿었기에, 사후 세계의 필요를 충족시키고 영원히 지속될 수 있을 정도로 튼튼한 무덤을 건설해야 했다. 이러한 필요는 살아있는 사람들에 의해서도 돌보아져야 했다.[4]선왕조 시대(기원전 3100년 이전)부터 이후 왕조 시대까지 고대 이집트인들은 죽은 자의 시신을 보존하고 보호하기 위한 점점 더 복잡하고 효과적인 방법을 개발했다. 처음에는 모래 속에 파서 만든 구덩이 무덤에 시신을 매트 위에 눕혀 매장했으며, 보통 사후 세계에서 그들을 돕는 것으로 여겨지는 물품도 함께 넣었다. 이집트인들이 개발한 최초의 무덤 구조는 마스타바였으며, 이는 나일강 유역의 흙으로 만든 흙벽돌로 구성되었다. 마스타바는 동물과 도굴꾼으로부터 더 나은 보호를 제공했다. 타르칸에서 마스타바의 기원을 찾아볼 수 있는데, 이곳에서는 무덤이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었다. 한쪽에는 시신이 남북 방향으로 안치되었고, 다른 한쪽은 살아있는 사람들이 제물을 바칠 수 있도록 열려 있었다.[5] 시신이 건조한 사막 모래와 접촉하지 않았기 때문에 자연적인 미라화가 일어날 수 없었고, 따라서 이집트인들은 인공적인 미라화 시스템을 고안했다.[6] 적어도 고왕국 시대 또는 제1중간기까지는 고위 관리와 왕족만이 이러한 마스타바에 묻혔다.[7]
2. 2. 구조 변화
마스타바는 초기 왕조 시대(기원전 3100–2686년경)에 걸쳐 진화했다. 이집트 제1왕조 시대에는 여러 방의 집 평면도를 모방하여 마스타바를 건설했는데, 중앙에는 석관이 있었고 다른 방들은 풍부한 장례 제물을 받기 위해 그 주위에 있었다. 전체 구조는 얕은 구덩이에 지어졌으며, 그 위에는 넓은 지역을 덮는 벽돌 상부 구조가 있었다. 전형적인 2왕조와 이집트 제3왕조(기원전 2686–2313년) 마스타바는 '계단 마스타바'였으며, 그 무덤 방은 이전보다 더 깊이 가라앉았고 경사진 통로와 계단으로 꼭대기와 연결되었다.[17] 마스타바의 많은 특징들이 피라미드의 특징으로 발전했는데, 이는 무덤의 과도기적인 구조물로서의 중요성을 나타낸다. 특히, 마스타바의 경사진 측면이 피라미드를 형성하기 위해 확장되면서 무덤의 외관이 이를 포함한다. 이의 첫 번째이자 가장 눈에 띄는 예는 조세르의 계단 피라미드였으며, 이는 마스타바의 많은 전통적인 특징과 더 기념비적인 석조 구조를 결합했다.[5]이집트 제4왕조(기원전 2613–2494년)에는 암굴 무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것들은 도굴범을 더욱 방해하기 위해 상 이집트의 암벽에 지어진 무덤이었다.[19] 이후 마스타바는 제물 예배당과 수직 통로가 추가되어 발전했다. 이집트 제5왕조 마스타바는 여러 방, 기둥이 있는 홀, '세르다브'로 구성된 정교한 예배당을 가지고 있었다. 실제 무덤 방은 마스타바의 남쪽 끝 아래에 지어졌으며, 경사진 통로를 통해 기둥이 있는 홀이나 법정 중앙에 나타나는 계단과 연결되었다.
마스타바는 중왕국 시대에도 여전히 잘 나타나며, 부활을 겪었다. 그것들은 종종 외부에만 장식이 있는 견고한 구조였다.[20]
이집트 신왕국 시대(기원전 1550년경 이집트 제18왕조부터 시작)에 이르러 "마스타바는 드물게 되었고, 매장실 위의 독립적인 피라미드 예배당에 의해 대체되었다."[21]
마스타바의 건설 양식은 후의 피라미드 건설에도 영향을 주었다. 사상 최초의 피라미드로 여겨지는 조세르 왕의 계단 피라미드는 원래 한 변 63미터, 높이 10미터의 정방형 마스타바로 설계되었으나, 건설 중의 잇따른 계획 변경으로 최종적으로 계단 형태의 피라미드가 되었다.[27]
3. 구조
마스타바는 고대 이집트 무덤 형식으로, 구조는 크게 외부, 내부, 장식으로 나뉜다. 역사가들은 마스타바가 메소포타미아의 건축 양식에서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측한다.[9] 마스타바의 건축 양식은 이후 피라미드 건설에도 영향을 주었는데, 최초의 피라미드로 알려진 조세르 왕의 계단 피라미드는 원래 정방형 마스타바로 설계되었다가 건설 도중 계획이 변경되어 계단 형태가 되었다.[27]
3. 1. 외부 구조
"마스타바"라는 용어는 아랍어로 "진흙 벤치"를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는데,[8] 멀리서 보면 평평한 마스타바는 벤치와 비슷하게 보이기 때문이다. 마스타바의 지상 구조는 직사각형 모양이며 안쪽으로 기울어진 면과 평평한 지붕을 가지고 있다. 초기에는 나일강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햇볕에 말린 진흙 벽돌이 외부 건축 자재로 사용되었다. 진흙벽돌은 석재와 같이 더 내구성이 강한 재료가 사용된 후에도 계속 사용되었다.[10] 사카라와 같은 기념비적인 마스타바는 종종 석회암으로 건설되었다.[11]마스타바는 종종 폭의 4배 정도 길이였으며, 높이는 최소 약 9.14m에 달했다. 이집트인들이 사후 세계로의 접근에 필수적이라고 믿었던 방향인 북-남 방향으로 배치되었다. 마스타바의 지붕은 나무 판자나 석회암 판으로 만들어졌으며, 채광창이 묘지를 밝게 비추었다.[11] 지상 구조에는 거짓 문이 갖춰진 작은 제단 공간이 있었다. 사제와 가족들은 죽은 자의 영혼, 즉 ''바''를 위해 음식과 기타 제물을 가져왔다.
마스타바는 벽과 천장에 그림을 그리고 석회암으로 야자수와 같은 유기적 요소를 조각하여 화려하게 장식되었다. 색상의 영적인 중요성 때문에 마스타바는 흰색 석회암으로 짓는 것이 선호되었다. 이것이 불가능한 경우, 무덤의 노란색 석회암이나 진흙벽돌을 백색으로 칠하고 회반죽을 발랐다.[11] 왕족의 마스타바는 특히 외관이 화려했으며, 궁전을 닮도록 만들어졌다.[5] 마스타바는 아랍어로 벤치를 의미하며, 외형의 유사성 때문에 이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23]
마스타바는 주로 흙벽돌을 사용하여 건설되었으며, 큰 것은 길이 60미터, 폭 30미터 정도의 규모를 가지는 경우도 있었다.[24] 외벽에는 요철이 있어 메소포타미아 지방의 건설 양식과 관련이 있을지도 모른다.[25] 일부 마스타바에는 부속하여 배용 울타리가 건설되어 있는데,[24] 이것은 죽은 자가 여행을 할 때 사용하는 배로 생각된다.[24] 왕의 마스타바 주변에는 아마 그 가신으로 보이는 사람들의 부속적인 무덤이 있는 것도 발견되고 있다.[24]
3. 2. 내부 구조
마스타바의 지상 구조는 직사각형 모양이며 안쪽으로 기울어진 면과 평평한 지붕을 가지고 있다. 외부 건축 자재는 처음에는 나일강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햇볕에 말린 진흙으로 만든 벽돌이었다. 석재와 같이 더 내구성이 강한 재료가 사용된 후에도 대부분은 진흙벽돌로 지어졌다.[10] 마스타바는 종종 폭의 4배 정도 길이였으며, 높이는 최소 약 9.14m에 달했다. 이집트인들이 사후 세계로의 접근에 필수적이라고 믿었던 방향인 북-남 방향으로 배치되었다. 지상 구조에는 거짓 문이 갖춰진 작은 제단 공간이 있었다. 사제와 가족들은 죽은 자의 영혼, 즉 ''바''를 위해 음식과 기타 제물을 가져왔으며, 바는 사후 세계에서 계속 존재하기 위해 유지되어야 했다.
마스타바는 벽과 천장에 그림을 그리고 석회암으로 야자수와 같은 유기적 요소를 조각하여 화려하게 장식되었다. 색상의 영적인 중요성 때문에 마스타바는 흰색 석회암으로 짓는 것이 선호되었다. 이것이 불가능한 경우, 무덤의 노란색 석회암이나 진흙벽돌을 백색으로 칠하고 회반죽을 발랐다.[11]
마스타바는 기본적으로 사후 세계에서 ''ba''에게 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그에 따라 배치되었다. 일부는 개인보다는 가족을 수용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여러 개의 매장 갱도가 "방" 역할을 했다.[5] 매장실은 암반 깊숙이 파고 나무로 마감했다.[12] "지하실"을 의미하는 페르시아어 단어에서 유래된, ''세르답''(سرداب)이라고 불리는 두 번째 숨겨진 방[13]은 맥주, 곡물, 옷, 귀중품 등, 사후 세계에서 망자의 안락함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여겨지는 모든 것을 보관하는 데 사용되었다.[14] 마스타바에는 보호를 위해 석조 구조물 안에 숨겨진 망자의 조각상이 있었다. 세르답 벽의 높은 곳에는 ''ba''가 몸(조각상으로 표현)을 떠나 다시 돌아올 수 있도록 작은 구멍이 있었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ba''가 몸으로 돌아와야 죽지 않는다고 믿었다. 이 구멍은 "조각상을 보기 위한 것이 아니라, 타는 향의 향기와 의식에서 외워지는 주문이 조각상에 도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15]
더 정교한 마스타바는 더 많은 조각상을 보관하고 죽은 자가 의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열린 안뜰을 특징으로 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안뜰은 웅장한 기둥이 있는 홀로 성장하여 동일한 목적을 수행했다. 이 홀은 일반적으로 마스타바에서 가장 큰 방이었으며, 가축을 제물로 바치는 데 사용될 수 있었다. 더 큰 마스타바에는 주관하는 파일라가 마스타바 소유자의 장례 의례를 유지하는 데 사용하는 창고 네트워크도 포함되어 있었다. 일반적으로, 의식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장비를 보관하기 위해 살아있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이 창고는 5개였다. 세르답과 달리 죽은 자가 사용할 목적은 아니었다.
내부에는 깊은 수직갱이 만들어져, 그 바닥에 묘실이 만들어졌다.[24] 묘실의 벽면은 주로 일상생활 등을 그린 부조로 채워졌다.[26] 일부 마스타바에는 부속하여 배용 울타리가 건설되어 있는데,[24] 이것은 죽은 자가 여행을 할 때 사용하는 배로 생각된다.[24]
3. 3. 장식
마스타바는 벽과 천장에 그림을 그리고 석회암으로 야자수와 같은 유기적 요소를 조각하여 화려하게 장식되었다. 색상의 영적인 중요성 때문에 흰색 석회암으로 짓는 것이 선호되었으나, 이것이 불가능한 경우 무덤의 노란색 석회암이나 진흙벽돌을 백색으로 칠하고 회반죽을 발랐다.[11] 왕족의 마스타바는 특히 외관이 화려했으며, 궁전을 닮도록 만들어졌다.[5] 마스타바 내부 묘실의 벽면은 주로 일상생활 등을 그린 부조로 채워졌다.[26]4. 건축적 진화
고대 사후 세계는 고대 이집트인들의 종교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 그들의 건축물은 이를 반영하며, 특히 무덤 건설에 막대한 시간과 노동력이 투입된 것이 두드러진다.[3] 고대 이집트인들은 현세의 필요가 사후 세계에서도 지속될 것이라고 믿었기에, 사후 세계의 필요를 충족시키고 영원히 지속될 수 있을 정도로 튼튼한 무덤을 건설해야 했다. 이러한 필요는 또한 살아있는 사람들에 의해서도 돌보아져야 했다.[4]
선왕조 시대 (기원전 3100년 이전)부터 이후 왕조 시대까지 고대 이집트인들은 죽은 자의 시신을 보존하고 보호하기 위한 점점 더 복잡하고 효과적인 방법을 개발했다. 처음에는 모래 속에 파서 만든 구덩이 무덤에 시신을 매트 위에 눕혀 매장했으며, 보통 사후 세계에서 그들을 돕는 것으로 여겨지는 물품도 함께 넣었다. 이집트인들이 개발한 최초의 무덤 구조는 마스타바였으며, 이는 나일강 유역의 흙으로 만든 흙벽돌로 구성되었다. 마스타바는 동물과 도굴꾼으로부터 더 나은 보호를 제공했다. 마스타바의 기원은 타르칸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이곳에서는 무덤이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었다. 한쪽에는 시신이 남북 방향으로 안치되었고, 다른 한쪽은 살아있는 사람들이 제물을 바칠 수 있도록 열려 있었다.[5] 시신이 건조한 사막 모래와 접촉하지 않았기 때문에 자연적인 미라화가 일어날 수 없었고, 따라서 이집트인들은 인공적인 미라화 시스템을 고안했다.[6] 적어도 고왕국 시대 또는 제1중간기까지는 고위 관리와 왕족만이 이러한 마스타바에 묻혔다.[7]
마스타바는 초기 왕조 시대(기원전 3100–2686년경)에 걸쳐 진화했다. 이집트 제1왕조 시대에는 여러 방의 집 평면도를 모방하여 마스타바가 건설되었는데, 중앙에는 석관이 있었고 다른 방들은 풍부한 장례 제물을 받기 위해 그 주위에 있었다. 전체 구조는 얕은 구덩이에 지어졌으며, 그 위에는 넓은 지역을 덮는 벽돌 상부 구조가 있었다. 전형적인 2왕조와 이집트 제3왕조 (기원전 2686–2313년) 마스타바는 '계단 마스타바'였으며, 그 무덤 방은 이전보다 더 깊이 가라앉았고 경사진 통로와 계단으로 꼭대기와 연결되었다.[17] 마스타바의 많은 특징들이 피라미드의 특징으로 발전했는데, 이는 무덤의 과도기적인 구조물로서의 중요성을 나타낸다. 특히, 마스타바의 경사진 측면이 피라미드를 형성하기 위해 확장되면서 무덤의 외관이 이를 포함한다. 이의 첫 번째이자 가장 눈에 띄는 예는 조세르의 계단 피라미드였으며, 이는 마스타바의 많은 전통적인 특징과 더 기념비적인 석조 구조를 결합했다.[5]
피라미드가 제3왕조와 제4왕조에서 파라오에게 더 보편화된 후에도 귀족들은 마스타바 무덤에 계속 묻혔다. 이는 최소 150개의 마스타바 무덤이 피라미드와 나란히 건설된 기자 대평원에서 특히 분명하다.[18]
이집트 제4왕조 (기원전 2613년에서 2494년 사이)에는 암굴 무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것들은 도굴범을 더욱 방해하기 위해 상 이집트의 암벽에 지어진 무덤이었다.[19] 이후 마스타바는 제물 예배당과 수직 통로가 추가되어 발전했다. 이집트 제5왕조 마스타바는 여러 방, 기둥이 있는 홀, '세르다브'로 구성된 정교한 예배당을 가지고 있었다. 실제 무덤 방은 마스타바의 남쪽 끝 아래에 지어졌으며, 경사진 통로를 통해 기둥이 있는 홀이나 법정 중앙에 나타나는 계단과 연결되었다.
마스타바는 중왕국 시대에 부활을 겪으며, 종종 외부에만 장식이 있는 견고한 구조로 나타났다.[20] 이집트 신왕국 시대(기원전 1550년경 이집트 제18왕조부터 시작)에 이르러 "마스타바는 드물게 되었고, 매장실 위의 독립적인 피라미드 예배당에 의해 대체되었다."[21]
5. 주요 마스타바
주요 마스타바에는 왕족 마스타바와 비왕족 마스타바가 있다. 왕족 마스타바로는 매장된 마스타바(세켐케트), 마스타바트 엘-피라운(셉세스카프), 네페르에프레의 마스타바(네페르에프레) 등이 있다.[23] 왕의 마스타바 주변에서 가신으로 추정되는 사람들의 부속 무덤이 발견되기도 한다.[24] 비왕족 마스타바로는 헤시-레의 마스타바, 카니니수트의 마스타바, 세솀네페르의 마스타바 등이 있다.
5. 1. 왕족 마스타바
매장된 마스타바 (세켐케트), 마스타바트 엘-피라운 (셉세스카프), 네페르에프레의 마스타바 (네페르에프레) 등이 왕족 마스타바의 예시이다.[23] 왕의 마스타바 주변에서는 가신으로 추정되는 사람들의 부속 무덤이 발견되기도 한다.[24]5. 2. 비왕족 마스타바
- 헤시-레의 마스타바
- 카니니수트의 마스타바
- 세솀네페르의 마스타바
- 마스타바 S3503
- 마스타바 S3504
참조
[1]
웹사이트
Mastaba: definition
http://www.collinsdi[...]
Collins Dictionary
2014-10-23
[2]
웹사이트
Mastaba Tomb of Perneb
http://www.metmuseum[...]
2016-10-22
[3]
서적
Architecture through the Ages
Putnam
[4]
서적
Religion and Ritual in Ancient Egyp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5]
서적
Ancient Egyptian Tombs : The Culture of Life and Death
John Wiley & Sons, Inc.
2011
[6]
서적
Ancient Egypt and the Near East
MIT Press
[7]
웹사이트
mastabas
http://www.bbc.co.uk[...]
BBC
2013-05-29
[8]
서적
Egypt of the Pharahos
Oxford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History of architecture
http://www.historywo[...]
History of the world
2011-05-29
[10]
간행물
A Model of the Mastaba-Tomb of Userkaf-Ankh
[11]
서적
The Architecture of Mastaba Tombs in the unas Cemetery
Sidestone Press
2020
[12]
웹사이트
Mastabas
https://www.bbc.co.u[...]
bbc
2013-05-29
[13]
서적
Encyclopedia of the Archaeology of Ancient Egypt
Routledge
[14]
웹사이트
Burial practices, and Mummies
http://www.egyptianm[...]
Rosicrucian Museum
2013-05-29
[15]
서적
When the Pyramids were Built: Egyptian Art of the Old Kingdom
Metropolitan Museum of Art
[16]
간행물
Penmeru Revisited—Giza Mastaba G 2197 (Giza Archives Gleanings V)
https://www.jstor.or[...]
2009
[17]
서적
A History of Architecture
Butterworth-Heinemann
[18]
간행물
The Future of the Past
1997
[19]
간행물
Two Mastaba Chambers
[20]
서적
'Middle Kingdom Tomb Architecture at Lisht'
Metropolitan Museum of Art
[21]
서적
Architecture in Ancient Egypt and the Near East
MIT Press
[22]
문서
'The Peasant House: Contemporary Meanings, Syntactic Qualities and Rehabilitation Challenges.'
Graz University of Technology
2021-02-24
[23]
문서
"#古代エジプト百科"
[24]
문서
"#フィネガン 1983"
[25]
문서
"#大城 2009"
[26]
문서
"#フィネガン 1983"
[27]
문서
"#屋形 1998"
[28]
웹인용
Mastaba: definition
http://www.collinsdi[...]
Collins Dictionary
2014-10-23
[29]
웹인용
Mastaba Tomb of Perneb
http://www.metmuseum[...]
2016-10-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