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우리메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우리메돈은 펠로폰네소스 전쟁 시기 아테네의 장군으로, 투키디데스의 아들이다. 기원전 427년 케르키라 내전 개입, 기원전 426년 타나그라 전투 승리에 기여했다. 기원전 425년에는 시켈리아 원정에 참여하여 필로스를 점령하고 스파르타군을 항복시키는 데 기여했으나, 시켈리아와의 휴전 조약 체결 후 벌금형을 받았다. 기원전 414년 시켈리아 원정에서 데모스테네스와 함께 지휘관으로 파병되었으나, 해상 전투 중 전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413년 사망 - 니키아스
니키아스는 고대 아테네의 정치가이자 장군으로, 부유한 집안 출신으로 자선 활동을 했으며 펠로폰네소스 전쟁 중 스파르타와 평화를 협상했으나 시칠리아 원정에서 패배하여 처형되었다. - 기원전 413년 사망 - 페르디카스 2세
페르디카스 2세는 알렉산드로스 1세의 아들로서 형을 몰아내고 마케도니아 왕국의 왕이 되었으며, 펠로폰네소스 전쟁 시기에 동맹을 바꾸는 외교 정책을 펼쳤다. - 아테나이의 장군 - 알키비아데스
알키비아데스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활약한 고대 아테네의 정치가이자 장군으로, 뛰어난 능력과 파란만장한 생애로 인해 논쟁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 아테나이의 장군 - 투키디데스
투키디데스는 기원전 5세기 아테네의 역사가이자 장군으로,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집필을 위해 망명 생활을 했으며, 그의 책은 객관적인 서술과 정치적 통찰력으로 후대 역사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펠로폰네소스 전쟁 관련자 - 알키비아데스
알키비아데스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활약한 고대 아테네의 정치가이자 장군으로, 뛰어난 능력과 파란만장한 생애로 인해 논쟁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 펠로폰네소스 전쟁 관련자 - 투키디데스
투키디데스는 기원전 5세기 아테네의 역사가이자 장군으로,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집필을 위해 망명 생활을 했으며, 그의 책은 객관적인 서술과 정치적 통찰력으로 후대 역사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에우리메돈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기원전 5세기 |
사망 | 기원전 413년 |
직업 | 장군 |
출신 | 아테네 |
군사 경력 | |
복무 | 아테네 |
계급 | 장군 |
참전 | 펠로폰네소스 전쟁 시칠리아 원정 (기원전 415-413년) |
주요 전투 | 시라쿠사 공성전 |
추가 정보 | |
관련 인물 | 니키아스 |
2. 생애
에우리메돈은 투키레스의 아들이다. 기원전 415년 아테나이의 대규모 시켈리아 원정에서 알키비아데스는 도중에 도망가고, 라마코스는 전사했으며, 유일하게 남은 장군 니키아스는 병을 앓고 있어 보좌할 장군이 필요했다.
기원전 414년, 니키아스의 요청으로 에우리메돈이 데모스테네스와 함께 공동 지휘관으로 선정되었다. 에우리메돈은 10척의 배와 함께 동지 무렵 시켈리아에 파병되었다.[22] 그는 그리스에서 군사를 모으던 데모스테네스와 합류했고, 나우파크토스의 코논에게 10척을 지원했다.
이후 에우리메돈은 케르키라에서, 데모스테네스는 아카르나니아 주변에서 병력을 모았다.[23] 이들은 이탈리아로 이동하여 투리오이의 지원군을 받고 니키아스의 원정군과 합류했다.[24]
그러나 아테나이 군은 패색이 짙었고, 데모스테네스의 에피폴라이 야습도 실패했다.[25] 데모스테네스와 에우리메돈은 철수를 제안했으나, 니키아스는 반대했다. 결국 아테나이 군은 육로에서 시라쿠사이 군의 반격을 받았고, 해상에서 싸우던 에우리메돈은 전사했다.[26][27]
2. 1. 초기 활동 (기원전 428년 ~ 425년)
기원전 427년 아테나이는 케르키라의 과두파와 민주파 간의 당파 싸움에 개입하면서 에우리메돈이 이끄는 함대 60척을 파견했고, 당파 간 전투는 민주파의 승리로 끝났다.[16] 이듬해 기원전 426년 에우리메돈은 타나그라 전투에 참가하여 타나그라, 테바이 연합군을 상대로 승리했다.[17]기원전 425년, 아테나이는 시켈리아섬의 내분에 간섭하여 시켈리아에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군대를 보냈고, 파견 증원군으로 소포클레스와 에우리메돈을 함대 40척과 함께 시켈리아로 보냈다. 그 도상에서 유능한 장군이었지만 당시 장군의 지위가 아니었던 민간인 데모스테네스와 합류한 후 그들은 메세니아의 필로스를 탈취하고 방벽을 쌓았다. 이에 따라 펠로폰네소스 동맹 측은 아티카에 전개하고 있던 육군과 케르키라로 향하게 했던 해군을 필로스로 보냈다.[18] 이 사건은 기원전 425년 필로스에서 스파크테리아 전투로 발전하였고, 스파르타 병력을 스파크테리아에서 항복시키는 데 성공했다.
필로스에서 벌어진 스파크테리아 전투 전후로 데모스테네스와 떨어진 에우리메돈과 소포클레스의 아테나이 함대는 예정대로 케르키라로 향했다. 정쟁에 패한 후 도시를 떠나 약탈을 일삼던 과두파 망명 케르키라인 코모르 요새를 공격해 함락시켰다.[19] 그런 다음 아테나이 함대는 시켈리아로 향했지만, 시켈리아 등과 휴전 조약을 체결하였기 때문에 불필요하다고 판단하여 귀국했다.[20] 그러나 아테나이로 돌아온 장군들은 시켈리아를 정복할 수 있었는데 매수되어 철수했다고 의심을 받았다. 때문에 피토도로스(먼저 시켈리아에 있었다)와 소포클레스는 추방형을, 에우리메돈은 벌금형을 받았다.[21]
2. 2. 시칠리아 원정 (기원전 425년 ~ 413년)
기원전 425년, 아테나이는 시켈리아섬 내분에 간섭하여 시켈리아에 발판을 마련하고자 소포클레스와 에우리메돈에게 함대 40척을 주어 파견했다.[18] 도중에 이들은 데모스테네스와 합류하여 메세니아의 필로스를 탈취하고 방벽을 쌓았다. 이에 펠로폰네소스 동맹은 아티카에 전개하던 육군과 케르키라로 향하던 해군을 필로스로 보냈다.[18] 이 사건은 기원전 425년 필로스에서 스파크테리아 전투로 이어졌고, 스파르타 병력을 항복시키는 데 성공했다.스파크테리아 전투 이후, 에우리메돈과 소포클레스의 함대는 케르키라로 이동하여, 도시를 떠나 약탈을 일삼던 과두파 망명자들의 코모르 요새를 함락시켰다.[19] 이후 아테나이 함대는 시켈리아로 향했으나, 시켈리아 등과 휴전 조약이 체결되어 귀국했다.[20] 그러나 아테나이로 돌아온 장군들은 매수 혐의로 의심받았고, 피토도로스와 소포클레스는 추방, 에우리메돈은 벌금형을 받았다.[21]
기원전 415년, 아테나이의 대규모 시켈리아 원정이 시작되었으나, 알키비아데스는 도주, 라마코스는 전사, 니키아스는 와병 중이었다. 니키아스는 아테나이에 보좌 장군을 요청했다.
기원전 414년, 에우리메돈은 데모스테네스와 함께 공동 지휘관으로 선정되어 10척의 배와 함께 시켈리아에 파병되었다.[22] 에우리메돈은 그리스에서 군사를 모으던 데모스테네스와 합류했고, 나우파크토스의 코논 요청으로 10척을 지원했다.
이후 에우리메돈은 케르키라에서, 데모스테네스는 아카르나니아 주변에서 병력을 모았다.[23] 이들은 이탈리아로 이동하여 투리오이의 지원군을 받고 니키아스의 원정군과 합류했다.[24]
그러나 아테나이 군은 패색이 짙었고, 데모스테네스의 에피폴라이 야습도 실패했다.[25] 데모스테네스와 에우리메돈은 철수를 제안했으나, 니키아스는 반대했다. 결국 아테나이 군은 육로에서 시라쿠사이 군의 반격을 받았고, 해상에서 싸우던 에우리메돈은 전사했다.[26][27]
참조
[1]
EB1911
[2]
기타
トゥキュディデス, III. 80, 81, 85
[3]
기타
トゥキュディデス, III. 91
[4]
기타
トゥキュディデス, IV. 2-8
[5]
기타
トゥキュディデス, IV. 46
[6]
기타
ディオドロス, XIII. 9
[7]
기타
トゥキュディデス, IV. 65
[8]
기타
トゥキュディデス, VII. 16
[9]
기타
ディオドロス, XIII. 8
[10]
기타
トゥキュディデス, VII. 31
[11]
기타
トゥキュディデス, VII. 33, 35, 42
[12]
기타
ディオドロス, XIII. 11
[13]
기타
トゥキュディデス, VII. 49
[14]
기타
トゥキュディデス, VII. 52
[15]
기타
ディオドロス, XIII. 13
[16]
기타
투키디데스, III 80, 81, 85
[17]
ibid
ibid, III 91
[18]
ibid
ibid, IV. 2-8
[19]
ibid
ibid, IV. 46
[20]
기타
디오도로스, XIII 9
[21]
기타
투키디데스, IV. 65
[22]
ibid
ibid, VII. 16
[23]
기타
투키디데스, VII. 31
[24]
ibid
ibid, VII. 33, 35, 42
[25]
기타
디오도로스, XIII 11
[26]
ibid
ibid, VII. 52
[27]
기타
디오도로스, XIII 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