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마코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마코스는 고대 아테나이의 장군으로, 격렬한 기질과 위험을 무릅쓰는 전투 스타일로 유명했다. 그는 가난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용맹함과 뛰어난 전투 기술로 인정받았지만, 사회적 지위의 부족으로 다른 장군들에 비해 열등하게 여겨지기도 했다. 플루타르코스의 영웅전에서 처음 언급되었으며, 흑해에서 공물을 징수하고 시켈리아 원정에도 참여했다. 시켈리아 원정에서 시라쿠사이 공격을 앞두고 공격적인 전략을 제안했으나, 알키비아데스의 제안이 채택되었다. 기원전 414년 시칠리아에서 전투 중 전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테나이의 장군 - 알키비아데스
    알키비아데스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활약한 고대 아테네의 정치가이자 장군으로, 뛰어난 능력과 파란만장한 생애로 인해 논쟁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 아테나이의 장군 - 투키디데스
    투키디데스는 기원전 5세기 아테네의 역사가이자 장군으로,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집필을 위해 망명 생활을 했으며, 그의 책은 객관적인 서술과 정치적 통찰력으로 후대 역사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펠로폰네소스 전쟁 관련자 - 알키비아데스
    알키비아데스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활약한 고대 아테네의 정치가이자 장군으로, 뛰어난 능력과 파란만장한 생애로 인해 논쟁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 펠로폰네소스 전쟁 관련자 - 투키디데스
    투키디데스는 기원전 5세기 아테네의 역사가이자 장군으로,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집필을 위해 망명 생활을 했으며, 그의 책은 객관적인 서술과 정치적 통찰력으로 후대 역사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라마코스
지도
기본 정보
이름라마코스
로마자 표기Lamachos
다른 이름Lamachus
출생기원전 5세기
사망기원전 414년, 시칠리아
활동 분야군인, 장군
소속아테네
참전펠로폰네소스 전쟁
시칠리아 원정
군사 경력
계급장군
복무 기간기원전 5세기
소속 군대아테네 군대
지휘시칠리아 원정
상세 정보
설명라마코스는 펠로폰네소스 전쟁 중 니키아스, 알키비아데스와 함께 시칠리아 원정의 지휘관 중 한 명이었다. 그는 원정 초기에 전사했다.

2. 생애

라마코스는 격렬한 기질과 전투에서 위험을 무릅쓰는 성향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는 가난한 장군이었지만 용기와 전투 기술은 높이 평가받았다. 그러나 재산과 사회적 지위가 부족하여 다른 장군들에 비해 열등하게 여겨지기도 했다.[16]

플루타르코스는 ‘플루타르코스 영웅전’의 〈페리클레스 전〉에서 라마코스를 처음 언급했다. 그는 참주 티메실레오스와 시노프 시민을 지원하기 위해 함대를 지휘했으며, 기원전 424년에는 공물 징수를 위해 흑해로 파견되기도 했다. 기원전 415년에는 니키아스, 알키비아데스와 함께 시켈리아 원정군 장군으로 선출되었으나, 기원전 414년 시켈리아 원정 도중 시라쿠사이(시라쿠사) 군과의 전투에서 전사했다.[18]

2. 1. 초기 활동

그는 나이를 먹어도 여전히 격렬한 기질을 가졌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투에서 위험을 무릅쓰는 것을 좋아했다. 또한 그는 매우 가난한 장군으로 전투에 참가하고 있던 시기, 옷과 부츠의 대금을 아테나이 사람들에게 돈을 청구하고자 했다. 그는 용기와 전투 기술로 평가되고 있었지만, 전투에 필요한 재산이나 사회적 지위가 없었기 때문에 다른 장군들에 비해 열등한 것으로 간주되었다.[16]

플루타르코스는 ‘플루타르코스 영웅전’의 〈페리클레스 전〉에서 라마코스를 처음으로 언급하고 있다. 라마코스는 참주 티메실레오스와 시노프의 시민을 지원하기 위해 13척으로 구성된 함대의 지휘권을 받았다. 이 전투는 기원전 438년부터 기원전 432년 사이, 즉 사모스 전쟁과 펠로폰네소스 전쟁 사이에 일어난 것으로 여겨진다.[17] 펠로폰네소스 전쟁사의 저자 투키디데스는 기원전 424년에 라마코스가 공물을 모으기 위하여 에우크세이노스(현재 흑해)로 파견되었다고 밝혔다. 라마코스는 폰투스 지방으로 항해하다가 칼레크스 강(Calex)에 정박을 했다. 그러나 이때 갑자기 닥쳐온 홍수로 함대 중 10척을 잃었지만, 라마코스는 부하들을 무사히 칼케돈으로 보낼 수 있었다고 한다.[17]

기원전 415년, 라마코스는 니키아스, 알키비아데스와 함께 시켈리아 원정군 장군으로 선출되었다. 라마코스는 시라쿠사이(시라쿠사) 공격에 즈음하여 시라쿠사이 군의 방어전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가운데 최대한 빨리 아테나이 군을 돌입시켜야한다는 공격적인 전략을 제안했다. 그러나 시라쿠사이와의 교전을 하기도 전에 시켈리아 각지의 동맹 도시의 군대를 모아야한다는 알키비아데스의 제안이 채택되었다. 미국의 역사학자 도널드 케이건은 라마코스 전략이 채택되었더라면 아테나이 군은 신속한 승리를 거둘 수 있었을 것이라고 시사하고 있다.[18]

2. 2. 시켈리아 원정

기원전 415년, 라마코스는 니키아스, 알키비아데스와 함께 시켈리아 원정군 장군으로 선출되었다.[18] 라마코스는 시라쿠사이(시라쿠사) 공격에 즈음하여 시라쿠사이 군이 방어 준비를 갖추기 전에 최대한 빨리 아테나이 군을 투입해야 한다는 공격적인 전략을 제안했다. 그러나 시라쿠사이와 교전하기 전에 시켈리아 각지의 동맹 도시 군대를 모아야 한다는 알키비아데스의 제안이 채택되었다. 미국의 역사학자 도널드 케이건은 라마코스의 전략이 채택되었더라면 아테나이 군이 신속하게 승리했을 것이라고 시사하고 있다.[18] 그러나 아테나이 군은 시라쿠사이 군과의 전력 차이에도 불구하고 참패했다. 기원전 414년, 시칠리아에서 라마코스 부대는 계략에 걸려 불리한 지형으로 몰렸고, 압도적인 적군과의 전투에서 라마코스도 전사했다.

참조

[1] 서적 Lamachus
[2] 서적 The Acharnians
[3] 서적 The Frogs 1039
[4] 논문 Notes on Certain Athenian Generals of the Year 424-3 B.C.
[5] 서적 A Commentary On Plutarch's Pericles
[6] 서적 History of the Peloponnesian War iv
[7] 서적 The Peloponnesian War
[8] 서적 Lamachus
[9] 서적 The Acharnians
[10] 서적 蛙 1039
[11] 논문 Notes on Certain Athenian Generals of the Year 424-3 B.C.
[12] 서적 A Commentary On Plutarch's Pericles
[13] 서적 History of the Peloponnesian War iv
[14] 서적 The Peloponnesian War
[15] 서적 Lamachus
[16] 논문 Notes on Certain Athenian Generals of the Year 424-3 BC
[17] 서적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iv
[18] 서적 The Peloponnesian Wa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