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우제니오 몬탈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우제니오 몬탈레는 이탈리아의 시인, 산문가, 문학 평론가, 번역가이자, 1975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이다. 그는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후 반파시스트 지식인 선언에 서명하며 자유주의적 성향을 보였다. 몬탈레는 1925년 첫 시집 『오징어뼈』를 시작으로, 『기회들』, 『폭풍과 다른 것들』, 『사투라』 등 10편이 넘는 시집을 출간했다. 그는 또한 이탈리아의 주요 신문에 문학, 음악, 미술에 관한 기고를 했으며, 1948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밀라노에서 활동하며 이탈리아 상원의 종신 상원의원으로 임명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노벨상 수상자 - 카를로 루비아
카를로 루비아는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에서 사이먼 판 데르 메르와 함께 W와 Z 보손을 발견한 공로로 1984년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한 이탈리아의 입자물리학자이다. - 이탈리아의 노벨상 수상자 - 다니엘 보베
다니엘 보베는 스위스 출신의 생리학자이자 약리학자이며, 항히스타민제 및 근육 이완제 개발에 기여했다. - 19세기 유럽 사람 - 주세페 운가레티
이탈리아 시인 주세페 운가레티는 제1차 세계 대전 경험을 바탕으로 한 시와 『묻힌 항구』, 『환희』 등의 작품에서 헤르메티시즘적 시풍을 보였으며, 파시즘 지지에도 불구하고 인간 존재에 대한 성찰과 희망을 담아 후대 이탈리아 시에 영향을 미쳤다. - 19세기 유럽 사람 - 조반니 메세
조반니 메세는 제1차 및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고 동부 전선과 튀니지 전역에서 군 지휘관을 역임했으며, 종전 후 이탈리아 협동 교전군 참모총장과 상원 의원을 지낸 이탈리아의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 이탈리아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 베니토 무솔리니
베니토 무솔리니는 이탈리아의 파시스트 독재자로, 파시스트 운동을 창시하여 총리에 오른 뒤 전체주의적 독재 체제를 수립하고 팽창주의적 외교 정책을 추진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실각 후 처형되었다. - 이탈리아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 팔미로 톨리아티
팔미로 톨리아티는 이탈리아 공산당의 장기간 서기장으로, 안토니오 그람시와 함께 이탈리아 공산당 창당에 기여하고 무솔리니 정권 하 망명 생활과 스페인 내전 참전, 제2차 세계 대전 후 이탈리아 공산당 재건, 그리고 "이탈리아식 사회주의" 노선 추구 등의 활동을 펼친 이탈리아의 공산주의 정치인이다.
에우제니오 몬탈레 | |
---|---|
기본 정보 | |
![]() | |
로마자 표기 | Eugenio Montale |
출생일 | 1896년 10월 12일 |
출생지 | 이탈리아 왕국 제노바 |
사망일 | 1981년 9월 12일 |
사망지 | 밀라노, 이탈리아 |
직업 | |
직업 | 시인, 작가, 편집자, 번역가, 정치인 |
정치 경력 | |
직위 | 이탈리아 공화국 상원 의원 |
임기 | 종신 |
대통령 | 주세페 사라고트 |
임기 시작 | 1967년 6월 13일 |
임기 종료 | 1981년 9월 12일 |
정당 | 행동당 (1945–1947) 무소속 (1963–1972; 1976–1977) 이탈리아 자유당 (1972–1976) 이탈리아 공화당 (1977–1981) |
수상 | |
수상 | 1975년 노벨 문학상 |
수상 이유 | 위대한 예술적 감성을 동반하여, 환상 없는 인생관의 징후 아래 인간 가치를 해석하는 독특한 시적 창작에 대하여 |
2. 생애
에우제니오 몬탈레는 제노바에서 태어나 단테 알리기에리 등 여러 작가와 외국어, 특히 영어 공부에 매료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파르마에서 자원 입대하여 전선에 참전했다.[2]
1925년 반파시스트 지식인 선언(Manifesto of the Anti-Fascist Intellectuals)에 서명하며 반파시즘 운동에 참여했다.[3][4] 1927년 피렌체로 이주하여 편집자로 일하면서 솔라리아 잡지에 기고하고, 카를로 에밀리오 가다 등 여러 작가들과 교류하며 문학 활동을 했다.[7] 파시스트 정권의 문학 스타일에 반대하는 시를 쓰기도 했다.[6]
1948년 밀라노로 이주한 후 ''코리에레 델라 세라(Corriere della Sera)'' 음악 담당 편집자로 일하며 이스라엘에 특파원으로 파견되는 등 해외에서도 활동했다.[8] 1975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고, 1981년 밀라노에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1896-1925)
제노바에서 태어난 몬탈레는 여섯 형제 중 막내였다. 그의 가족은 화학 제품 무역상이었으며, 그의 아버지는 이탈로 스베보의 회사에 물품을 공급했다.[2]몬탈레는 주로 독학으로 공부했다. 성장하면서 단테 알리기에리를 포함한 여러 작가들과 외국어(특히 영어) 연구, 그리고 가족과 함께 휴가를 보냈던 레반테("동부") 리구리아의 풍경에 매료되었다.[2] 1915년 회계사로 일하면서도 문학에 대한 열정을 버리지 못하고 시립 도서관에 다니고 누나의 대학 철학 강의를 들었다. 오페라 성악을 배우기도 했는데, 이는 훗날 그의 작품에 영향을 주었다.
그는 단테 알리기에리 등 다양한 작가들에게 영향을 받았지만, 권위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로운 사고를 했다. 또한 외국어를 배우고, 휴일에는 가족과 리구리아 주에서 시간을 보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파르마에서 자원 입대하여 전선에 나섰고, 이후 발랄사 등지에서 보병으로 복무하다 1920년에 귀국했다.
2. 2. 문학 활동과 반파시즘 (1925-1948)
몬탈레는 10편이 넘는 단시 모음집과 여러 권의 번역서, 문학 비평서 등을 저술했다. 코리에레 델라 세라(Corriere della Sera)에 문학, 음악, 미술 관련 기사를 기고했고, 단테의 "신곡" 서문을 쓰기도 했다. 1925년에는 반파시스트 지식인 선언(Manifesto of the Anti-Fascist Intellectuals)에 서명했는데, 그의 정치적 성향은 피에로 고베티(Piero Gobetti)와 베네데토 크로체(Benedetto Croce)의 자유주의에 가까웠다.[3][4] 그는 고베티의 문학 잡지 ''일 바레티(Il Baretti)''에 기고했다.[5]1925년에 출판된 그의 첫 시집 ''오시 디 세피아(Ossi di seppia)''(오징어뼈)는 자연 속에서 고독을 느끼는 반파시스트로서의 몬탈레를 보여준다.
1927년, 몬탈레는 벤포라드 출판사 편집자로 일하기 위해 피렌체로 이주했다. 당시 피렌체는 디노 캄파나(Dino Campana)와 주세페 운가레티(Giuseppe Ungaretti) 등의 작품이 발표되면서 이탈리아 시의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었다. 움베르토 사바(Umberto Saba)와 빈첸초 카르다렐리(Vincenzo Cardarelli)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1929년, 몬탈레는 비우세 도서관 관장직을 맡았으나 1938년 파시스트 정부에 의해 해임되었다. 이 시기에 몬탈레는 파시스트 정권의 문학 스타일에 반대하는 시를 썼다.[6] 그는 잡지 ''솔라리아''에 기고했으며, 비토리아 광장(현 공화국 광장)에 있는 문학 카페 레 지우베 로세(붉은 재킷)에서 카를로 에밀리오 가다(Carlo Emilio Gadda), 아르투로 로리아(Arturo Loria), 엘리오 비토리니(Elio Vittorini) 등과 교류했다.[7] 그는 당시 거의 모든 중요한 문학 잡지에 글을 썼다.
피렌체에서 몬탈레는 그의 가장 뛰어난 시집인 ''레 오카시오니''(Le occasioni, 기회들, 1939)를 출판했다. 1933년부터 1938년까지 그는 단테 연구가이자 유대계 미국인인 이르마 브란데이스(Irma Brandeis)와 연애 관계를 맺었다. 몬탈레는 그녀를 베아트리체처럼 묘사했고, 『레 오카시오니』에는 브란데이스를 클리지아(센할(senhal))라고 부르는 암시가 많이 담겨 있다. 프랑코 포르티니(Franco Fortini)는 몬탈레의 『오시 디 세피아』와 『레 오카시오니』를 20세기 이탈리아 시의 정점으로 평가했다.
T.S. 엘리엇(T.S. Eliot)은 몬탈레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몬탈레는 엘리엇의 객관적 상관물(objective correlative) 개념을 시에 사용했다. 1948년 엘리엇의 60세 생일에 몬탈레는 "엘리엇과 우리들"이라는 축하 에세이를 기고했다.[8]
2. 3. 밀라노 시기와 왕성한 활동 (1948-1981)
1948년 몬탈레는 밀라노로 이주하여 생을 마감할 때까지 그곳에서 살았다. 그는 자유주의 정당인 행동당(Partito d'Azione)의 일원이었다.[9] ''코리에레 델라 세라(Corriere della Sera)''의 음악 담당 편집자로 일했으며, 바오로 6세 교황의 방문을 취재하기 위해 이스라엘에 특파원으로 파견되는 등 해외에서도 취재 활동을 했다.[8] 그의 저널리즘 작품들은 ''푸오리 디 카사(Fuori di casa)''("집 밖에서", 1969)에 수록되어 있다.''폭풍우와 다른 것들(La bufera e altro)''(1956)은 몬탈레의 가장 찬사를 받는 시집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이 시집에서 그의 등장인물 클리지아는 1950년대 몬탈레와 관계를 가졌던 젊은 시인 마리아 루이자 스파지아니(Maria Luisa Spaziani)를 바탕으로 한 라 볼페("여우")와 함께 등장한다.
그의 후기 작품으로는 ''크세니아''(1966), ''사투라(Satura)''(1971), ''1971년과 1972년의 일기(Diario del '71 e del '72)''(1973)가 있다. 몬탈레의 후기 시는 비꼬고 풍자적이며, 그의 초기 작품에 대한 비판적인 반응과 그를 둘러싼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상에 대한 숙고를 담고 있다. ''사투라''에는 그의 아내 드루실라 탄치(Drusilla Tanzi)를 위한 애절한 만가가 담겨 있다. 그는 또한 사망 직전 클리지아에 대한 일련의 감동적인 시들을 썼다.
당시 그의 명성은 전 세계로 확대되었다. 밀라노 대학교(1961), 케임브리지 대학교(1967), 로마 사피엔차 대학교(1974)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고, 이탈리아 상원의 종신 상원의원으로 임명되었다. 1973년에는 스트루가 시의 밤 황금 월계관을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수상했다.[10] 1975년에는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몬탈레는 1981년 밀라노에서 사망했다.
1996년, 젊은 시인 안날리사 치마(Annalisa Cima)의 도움을 받아 몬탈레가 사망 전에 '편집'했다고 주장하는 ''사후 일기(Posthumous Diary)''(''Diario postumo'')라는 작품이 출판되었으나, 비평가 단테 이젤라(Dante Isella)는 이 작품이 진품이 아니라고 생각한다.[11]
3. 작품 세계
몬탈레는 시, 번역, 문학 비평, 판타지 산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10편이 넘는 단시 모음집을 남겼다. 코리에레 델라 세라(Corriere della Sera)에 문학, 음악, 미술 관련 기사를 기고했고, 단테의 신곡 서문을 쓰기도 했다.[3][4] 1925년 반파시스트 지식인 선언(Manifesto of the Anti-Fascist Intellectuals)에 서명했다.[3][4]
1925년 출판된 첫 시집 ''오시 디 세피아(Ossi di seppia)''("오징어뼈")는 자연 속 고독과 위안을 찾는 반파시스트적 면모를 보여준다. 1927년 피렌체로 이주한 후, 디노 캄파나, 주세페 운가레티, 움베르토 사바, 빈첸초 카르다렐리 등 당대 주요 시인들과 교류했다. 1929년 비우세(Vieusseux) 도서관 관장직을 맡았으나, 1938년 파시스트 정부에 의해 해임되었다. 이 시기 몬탈레의 시는 파시스트 정권의 문학적 스타일에 대한 반작용이었다.[6] 『솔라리아』에 기고하고, 문학 카페 레 지우베 로세에서 카를로 에밀리오 가다, 아르투로 로리아, 엘리오 비토리니 등과 교류했다.[7]
1939년 출판된 시집 『레 오카시오니』(Le occasioni)는 이르마 브란데이스와의 사랑을 바탕으로, 그녀를 클리지아(Clizia)라는 베아트리체와 같은 중재자적 인물로 묘사한다. 프랑코 포르티니는 『오시 디 세피아』와 『레 오카시오니』를 20세기 이탈리아 시의 정점으로 평가했다.
T.S. 엘리엇의 영향을 받아 객관적 상관물 개념을 사용했으며, 1948년 엘리엇 60세 생일에 "엘리엇과 우리들"이라는 축하 에세이를 기고했다.[8] 1948년 이후 밀라노에서 ''코리에레 델라 세라''에 기고하고 바오로 6세의 팔레스타인 방문을 취재하는 등 언론인으로도 활동, 저널리즘 작품은 ''푸오리 디 카사(Fuori di casa)''(1969)에 수록되었다.
''폭풍우와 다른 것들(La bufera e altro)''(1956) 이후, ''크세니아''(1966), ''사투라(Satura)''(1971), ''1971년과 1972년의 일기(Diario del '71 e del '72)''(1973) 등 후기 작품은 초기 작품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변화하는 세상에 대한 풍자를 담고 있다. ''사투라''에는 아내 드루실라 탄치를 위한 애가가 포함되어 있다.
1973년 스트루가 시의 밤 황금 월계관을 수상했다.[10] 1975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1996년 ''사후 일기(Posthumous Diary)''(''Diario postumo'')가 출판되었으나, 단테 이젤라는 진위 여부에 의문을 제기했다.[11]
3. 1. 주제와 특징
몬탈레는 시, 번역, 문학 비평, 판타지 산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10편이 넘는 단시 모음집을 남겼다. 코리에레 델라 세라(Corriere della Sera)에 문학, 음악, 미술 관련 기사를 기고했고, 단테의 신곡 서문을 쓰기도 했다.[3][4] 1925년 반파시스트 지식인 선언(Manifesto of the Anti-Fascist Intellectuals)에 서명하며 피에로 고베티(Piero Gobetti), 베네데토 크로체(Benedetto Croce)의 자유주의 사상에 영향을 받았다.[3][4]초기 시집 ''오시 디 세피아(Ossi di seppia)''(1925)는 자연 속 고독과 위안을 찾는 반파시스트적 면모를 보여준다. 1927년 피렌체로 이주 후, 디노 캄파나, 주세페 운가레티, 움베르토 사바, 빈첸초 카르다렐리 등 당대 주요 시인들과 교류했다. 『솔라리아』에 기고하고, 문학 카페 레 지우베 로세에서 카를로 에밀리오 가다, 아르투로 로리아, 엘리오 비토리니 등과 교류하며 문학적 역량을 키웠다.[6][7]
1939년 출판된 시집 『레 오카시오니』(Le occasioni)는 이르마 브란데이스와의 사랑을 바탕으로, 그녀를 클리지아(Clizia)라는 베아트리체와 같은 중재자적 인물로 묘사한다. 프랑코 포르티니는 『오시 디 세피아』와 『레 오카시오니』를 20세기 이탈리아 시의 정점으로 평가했다.
몬탈레는 T.S. 엘리엇의 영향을 받아 객관적 상관물 개념을 사용했으며, 1948년 엘리엇 60세 생일에 "엘리엇과 우리들"이라는 축하 에세이를 기고했다.[8] 1948년 이후 밀라노에서 ''코리에레 델라 세라''에 기고하고 바오로 6세의 팔레스타인 방문을 취재하는 등 언론인으로도 활동, 저널리즘 작품은 ''푸오리 디 카사(Fuori di casa)''(1969)에 수록되었다.
''폭풍우와 다른 것들(La bufera e altro)''(1956) 이후, ''크세니아''(1966), ''사투라(Satura)''(1971), ''1971년과 1972년의 일기(Diario del '71 e del '72)''(1973) 등 후기 작품은 초기 작품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변화하는 세상에 대한 풍자를 담고 있다. ''사투라''에는 아내 드루실라 탄치를 위한 애가가 포함되어 있다.
밀라노 대학교(1961), 케임브리지 대학교(1967), 로마 사피엔차 대학교(1974) 명예 박사 학위, 이탈리아 상원의원 임명, 1973년 스트루가 시의 밤 황금 월계관 수상, 1975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1996년 ''사후 일기(Posthumous Diary)''(''Diario postumo'')가 출판되었으나, 단테 이젤라는 진위 여부에 의문을 제기했다.[11] 조지프 브로츠키는 몬탈레 서정시에 헌정하는 에세이 "단테의 그림자 속에서"를 발표했다.
3. 2. 주요 작품
에우제니오 몬탈레는 시, 산문, 번역, 비평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은 작품 활동을 했습니다. 다음은 그의 주요 작품 목록입니다.연도 | 제목 | 종류 | 비고 |
---|---|---|---|
1925 | 오시 디 세피아(Ossi di seppia) ("오징어뼈") | 시집 | 초판. 1928년 6편의 시와 알프레도 가르지울로(Alfredo Gargiulo)의 서문 추가된 2판 발행. 1931년 3판 발행. |
1932 | La casa dei doganieri e altre poesie (세관원의 집과 다른 시들) | 시 (소책자) | 몬탈레에게 안티코 파토레 상(Premio del Antico Fattore) 수상. 5편의 시 수록. |
1939 | 레 오카시오니(Le occasioni) ("기회들") | 시집 | 토리노: 에이나우디(Turin) 출판. |
1943 | 피니스테레(Finisterre) | 시 (소책자) | 잔프랑코 콘티니(Gianfranco Contini)가 스위스로 밀반입. 1945년 2판 발행. |
1948 | Quaderno di traduzioni (번역 노트) | 번역 | 밀라노: Edizioni della Meridiana 출판. |
1948 | La fiera letteraria | 시 비평 | |
1956 | 폭풍우와 다른 것들(La bufera e altro) | 시집 | 초판 1,000부 발행. 1957년 증보 2판 발행. |
1956 | Farfalla di Dinard (디나르의 나비) | 단편 소설 | 개인 출판. |
1962 | 사투라(Satura) | 시 | 개인 출판. |
1962 | Accordi e pastelli (협정과 파스텔) | 시 | 밀라노: 샤이빌러(Milan) 출판. |
1966 | Il colpevole (죄인) | 시 | |
1966 | Auto da fé: Cronache in due tempi (화형식: 두 시대의 연대기) | 문화 비평 | 밀라노: 일 사지아토레(Milan) 출판. |
1966 | 제니아 | 시 | 모스카 추모 시. 50부 개인 출판. |
1969 | Fuori di casa (집 밖에서) | 여행 에세이 모음 | |
1971 | Satura (1962–1970) | 시 | |
1971 | La poesia non esiste (시는 존재하지 않는다) | 산문 | 밀라노: 샤이빌러(Milan) 출판. |
1973 | '1971년과 1972년의 일기(Diario del 71 e del 2) | 시 | 1971년 100부 개인 출판. |
1973 | Trentadue variazioni (32개의 변주곡) | 시 | 250부 한정판. |
1977 | Quaderno di quattro anni (4년간의 노트) | 시 | 밀라노: 몬다도리(Milan) 출판. |
1977 | Tutte le poesie (모든 시) | 시 | 밀라노: 몬다도리(Milan) 출판. |
1980 | 'Lopera in versi'' (운문 작품) | 시 | 베타리니-콘티니 판. 1981년 Altri verse e poesie disperse (다른 시와 흩어진 시들)로 출판. |
1996 | 사후 일기(Posthumous Diary) | 시 | 안날리사 치마(Annalisa Cima) 편집. |
몬탈레는 T. S. 엘리엇의 영향을 받아 객관적 상관물(objective correlative) 개념을 시에 활용했으며, 그의 시는 파시즘에 대한 비판과 변화하는 세상에 대한 성찰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그의 아내 드루실라 탄치(Drusilla Tanzi)를 위한 애절한 만가와 이르마 브란데이스(Irma Brandeis)를 클리지아(Clizia)라는 이름으로 암시한 작품들이 유명합니다.
4. 수상 내역
5. 참고 문헌
- 스가 아쓰코 『이탈리아의 시인들』(세이토샤(青土社), 1998년, 신판 2013년). 저자의 초기 작품.
- 별판 『스가 아츠코 전집 제5권 이탈리아의 시인들 외』(카와데쇼보 신샤(河出書房新社), 2000년, 카와데 문고(河出文庫), 2008년)
참조
[1]
웹사이트
Nobel Prize
https://www.nobelpri[...]
2015-10-15
[2]
웹사이트
Villa Montale in Monterosso
https://www.google.c[...]
[3]
서적
Italy: A Reference Guide from the Renaissance to the Present
Infobase Publishing
2009
[4]
서적
Eugenio Montale: The Poetry of the Later Years
Routledge
2017
[5]
학술지
The Anti-Fascism of a "Liberal Revolutionary": Piero Gobetti (1901–1926)
[6]
잡지
Ur-Fascism
http://www.nybooks.c[...]
2018-01-18
[7]
서적
Collected Poems 1920–1954
Farrar, Straus and Giroux
1998
[8]
문서
Montale 1948
[9]
서적
Eugenio Montale's Poetry: A Dream in Reason's Prese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10]
웹사이트
Eugenio Montale | Струшки вечери на поезијата
http://www.strugapoe[...]
2014-01-30
[11]
웹사이트
Article of G. Raboni on Corriere della Sera
http://archiviostori[...]
[12]
뉴스
Raffaele Baldini: La felicità di vivere in un mondo strambo
http://www.archiviol[...]
2024-02-16
[13]
서적
柑橘類と文明 マフィアを生んだシチリアレモンから、ノーベル賞をとった壊血病薬まで
築地書館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