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베니토 무솔리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베니토 무솔리니는 1883년 이탈리아에서 태어난 정치인으로, 초기에는 사회주의 활동을 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파시즘을 창시하여 이탈리아를 독재 체제로 이끌었다. 그는 로마 진군을 통해 권력을 잡고, 아체르보 법을 통해 독재 체제를 강화했으며, 언론 통제와 비밀 경찰을 통해 반대 세력을 탄압했다. 무솔리니는 대규모 공공 사업과 전시 경제 체제를 통해 경제 성장을 이루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이후 실각하여 처형되었다. 그는 또한, 스포츠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지지도를 높이고, 제국주의적 팽창 정책을 추진했으며, 독일과의 동맹을 통해 추축국 일원으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니토 무솔리니 - 클라라 페타치
    클라라 페타치는 이탈리아의 파시스트 지도자 베니토 무솔리니의 애인이었으며, 무솔리니와 함께 체포되어 총살당한 후 시신이 거꾸로 매달리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 베니토 무솔리니 - 이탈리아의 파시스트 정권의 몰락
    이탈리아 파시스트 정권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의 시칠리아 상륙 후 무솔리니 불신임 결의, 국왕의 무솔리니 체포 및 바돌리오 총리 임명, 독일 점령과 무솔리니 괴뢰 정권 수립, 그리고 레지스탕스 저항과 연합군 진격 끝에 1945년 무솔리니 처형으로 붕괴되었다.
  • 이탈리아의 제1차 세계 대전 관련자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이탈리아의 국왕으로 즉위하여 파시즘의 부상을 허용하고 두 차례의 세계 대전에 참전했으며, 1946년 퇴위 후 망명했고, 약 10만 점의 화폐를 수집한 수집가이기도 하다.
  • 이탈리아의 제1차 세계 대전 관련자 - 피에트로 바돌리오
    피에트로 바돌리오는 이탈리아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에 참전하고, 무솔리니 실각 후 총리로 임명되어 연합국과 휴전 협정을 체결했으나, 전쟁 범죄 비판을 받다 1956년 사망했다.
  • 이탈리아의 자서전 작가 - 벤베누토 첼리니
    벤베누토 첼리니는 16세기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의 금세공사이자 조각가로, 메디치 가문의 후원을 받아 로마와 프랑스 등지에서 활동하며 '메두사의 머리를 든 페르세우스'와 '소금통' 같은 대표작을 남겼고, 그의 자서전은 후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 이탈리아의 자서전 작가 - 찰스 폰지
    찰스 폰지는 국제반신권 제도의 허점을 이용한 폰지 사기로 악명을 떨친 이탈리아 출신 미국 사업가로, 그의 이름은 유사한 금융 사기 수법을 지칭하는 용어인 '폰지 사기'의 어원이 되었다.
베니토 무솔리니 - [인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1939년 무솔리니
1939년의 무솔리니
이름베니토 무솔리니
원어 이름베니토 아밀카레 안드레아 무솔리니
출생일1883년 7월 29일
출생지이탈리아 왕국 에밀리아로마냐주 폴리체세나현 프레다피오 도비아
사망일1945년 4월 28일
사망지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코모현 줄리노 디 메제그라
사망 원인총살형
안장 장소이탈리아 프레다피오 산 카시아노 묘지
국적이탈리아
서명Benito Mussolini's Signature, derived from Lettramussol.svg
정치 경력
직책이탈리아 왕국 총리
재임 시작1922년 10월 31일
재임 종료1943년 7월 25일
이전 수상루이지 파크타
다음 수상피에트로 바돌리오
직책2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의 두체
재임 시작21943년 9월 23일
재임 종료21945년 4월 25일
이전 수상2신설
다음 수상2폐지
직책3파시즘의 두체
재임 시작31919년 3월 23일
재임 종료31945년 4월 28일
이전 수상3운동 설립
다음 수상3운동 폐지
외무부 장관재임 시작: 1922년 10월 30일
재임 종료: 1929년 9월 12일
이전 장관: 카를로 스칸체르
다음 장관: 디노 그란디
외무부 장관 2재임 시작: 1932년 7월 20일
재임 종료: 1936년 6월 9일
이전 장관: 디노 그란디
다음 장관: 갈레아초 치아노
외무부 장관 3재임 시작: 1943년 2월 5일
재임 종료: 1943년 7월 25일
이전 장관: 갈레아초 치아노
다음 장관: 라파엘레 과릴리아
식민지부 장관재임 시작: 1928년 12월 18일
재임 종료: 1929년 9월 12일
이전 장관: 루이지 페데르초니
다음 장관: 에밀리오 데 보노
식민지부 장관 2재임 시작: 1935년 1월 17일
재임 종료: 1936년 6월 11일
이전 장관: 에밀리오 데 보노
다음 장관: 알레산드로 레소나
식민지부 장관 3재임 시작: 1937년 11월 20일
재임 종료: 1939년 10월 31일
이전 장관: 알레산드로 레소나
다음 장관: 아틸리오 테루치
전쟁부 장관재임 시작: 1925년 4월 4일
재임 종료: 1929년 9월 12일
이전 장관: 안토니노 디 조르지오
다음 장관: 피에트로 가제라
전쟁부 장관 2재임 시작: 1933년 7월 22일
재임 종료: 1943년 7월 25일
이전 장관: 피에트로 가제라
다음 장관: 안토니오 소리체
기업부 장관재임 시작: 1932년 7월 20일
재임 종료: 1936년 6월 11일
이전 장관: 주세페 보타이
다음 장관: 페루치오 란티니
내무부 장관재임 시작: 1922년 10월 31일
재임 종료: 1924년 6월 17일
이전 장관: 파올리노 타데이
다음 장관: 루이지 페데르초니
내무부 장관 2재임 시작: 1926년 11월 6일
재임 종료: 1943년 7월 25일
이전 장관: 루이지 페데르초니
다음 장관: 브루노 포르나치아리
파시스트 총리 겸 국가 지도자1925년 12월 24일
파시스트 당 총수1921년 11월 9일 ~ 1943년 7월 27일
공화 파시스트 당 총수1943년 9월 18일 ~ 1945년 4월 25일
왕국 원수1938년 3월 30일 ~ 1943년 7월 25일
기타 직책파시스트 대의회 의원
이탈리아 대의원 의원
소속 정당
정당이탈리아 사회당 (1901년 ~ 1914년)
정당 2혁명 행동 파시 (1914년 ~ 1919년)
정당 3이탈리아 전투 파시 (1919년 ~ 1921년)
정당 4국가 파시스트당 (1921년 ~ 1943년)
정당 5공화 파시스트당 (1943년 ~ 1945년)
기타 정당국민 블록 (1921년-1924년)
국민 리스트 (1924년-1926년)
개인 정보
배우자이다 달세르 (1914년 ~ 1915년, 이혼)
라켈레 무솔리니 (1915년 결혼)
파트너마르게리타 사르파티 (1911년 ~ 1931년)
클라라 페타치 (1933년 ~ 1945년)
친척무솔리니 가문
종교가톨릭교 (형식상), 무신론자
군 복무 정보
소속이탈리아 왕국
군대이탈리아 왕국 육군
복무 기간1915년 ~ 1917년 (현역)
계급이탈리아 제국 원수
상병
부대제11 베르살리에리 연대
주요 전투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이탈리아-세누시 전쟁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스페인 내전
이탈리아의 알바니아 침공
제2차 세계 대전
기타 정보
학력폴리포리 사범학교 졸업
칭호 및 훈장성 아눈치아타 기사단
성 마우리치오 라자로 훈장
몰타 기사단 훈장
바스 훈장
독일 독수리 훈장
대훈위 국화대수장
관련 정보
정치적 견해두체
파시스트 선언
이탈리아 파시즘
생존 공간
파시스트 이탈리아 경제
이탈리아 파시즘과 인종차별
이탈리아 인종법
인종 선언
파시스트 이탈리아 선전
파시스트 이탈리아의 남성성 모델
선거1924년 이탈리아 총선
1929년 이탈리아 총선
1934년 이탈리아 총선
역사적 사건붉은 2년
로마 진군
무솔리니 정부
파시스트 이탈리아
코르푸 사건
자코모 마테오티 암살 사건
아벤티노 분리
베니토 무솔리니 암살 시도
밀 전투
토지 전투
리라 전투
출산 전투
제2차 이탈리아-세누시 전쟁
아비시니아 위기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이탈리아 제국
스페인 내전
뮌헨 협정
이탈리아의 알바니아 침공
추축국
강철 조약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의 군사사
이탈리아 파시스트 정권 몰락
그란 사소 습격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이탈리아 내전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정부
베니토 무솔리니의 죽음

2. 초기 경력

이탈리아 사회당(PSI)에서 정치인으로 활동하던 무솔리니는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후, 제대 군인들을 모아 이탈리아 전투원 파시를 창당하였다. 이후 국가파시스트당(PNF)을 창당하고 두체(총통)가 되었다. 그는 조반니 아멘드라의 전체주의, 조르주 소렐의 혁명적 산디칼리즘 등 다양한 사상을 융합하여 파시즘(결속주의[195])이라는 새로운 정치 이론을 만들었다.

무솔리니는 로마 진군을 통해 총리에 임명되었으며, 1925년 독재 체제를 선포하고 권력을 강화했다.

1936년 무솔리니는 에티오피아 제국을 병합하고,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국왕에게 "'''제국의 건국자'''"(Fondatore dell'Imperoit, 폰다토레 델림페로)라는 칭호를 받았다.[197] 또한, 대원수(제국 원수 최고위)에 공동 취임하여 통수권을 획득했다.

무솔리니는 제2차 세계 대전 초기에는 중립을 유지했으나, 프랑스가 빠르게 항복하자 참전을 결정했다.[198] 그러나 1943년 연합국군의 상륙으로 위기에 처하자 실각하고 유폐되었다. 이후 나치 독일에 의해 구출되어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RSI)과 공화파시스트당(PFR)의 지도자가 되었지만, 결국 패전과 함께 다시 실각하여 파르티잔에게 체포되어 총살당했다.

사후, 무솔리니의 시신은 밀라노에 매달렸다가 프레다피오에 안장되었다. 현대 이탈리아에서도 그의 영향력은 남아있으며, 공화파시스트당(PFR)의 후신 정당들이 국회에서 의석을 차지하고 있다.

2. 1. 어린 시절

베니토 무솔리니의 생가


베니토 무솔리니의 출생 증명서


무솔리니는 1883년 포를리 인근의 작은 마을인 프레다피오에서 태어났다. 파시스트 집권 기간 동안 프레다피오는 "두체의 고향", 포를리는 "두체의 도시"로 불렸다. 무솔리니의 아버지 알레산드로 무솔리니는 대장장이이자 아나키즘 활동가였다.[361] 그의 어머니 로사는 독실한 로마 가톨릭 신자로 교사였다.[362] 알레산드로는 자신의 신념에 따라 혁명가들의 이름을 아들의 이름으로 삼았다. 첫 번째 이름인 베니토는 멕시코의 혁명가이자 대통령이었던 베니토 후아레스를, 가운데 이름인 안드레아와 아밀카레는 이탈리아 사회주의자였던 안드레아 코스타와 아밀카레 치프리아니를 기린 것이었다.[363] 베니토 무솔리니는 세 명의 형제 가운데 장남이었다.[364]

어린 시절 무솔리니는 아버지의 대장일을 거들며 지냈다. 이 과정에서 무솔리니는 아버지의 정치적 이념에 영향을 받았다. 알레산드로는 기본적으로 사회주의공화제를 지지하였으나 국가주의적인 경향을 보였다. 그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치하에 있는 이탈리아인들의 저항을 지지했으며 국제 노동자 협회에 동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아버지의 영향으로 무솔리니는 당시 대다수의 이탈리아인들이 유아 세례를 받았던 것과는 달리 생애 대부분의 기간 동안 세례를 받지 않았다. 그의 어머니는 무솔리니를 청소년 사목자 돈 보스코 신부의 업적을 이어받은 돈보스코 수도회가 운영하는 기숙학교에 입학시켰다. 무솔리니는 미사 후에 학교 건물에 돌을 던지거나 다른 학생에게 폭력을 휘두르고 교사에게 잉크병을 던지는 등 반항적인 학생이었으며 결국 얼마 지나지 않아 퇴학당하였다.[365] 그러나 새 학교에 입학한 뒤 무솔리니는 우수한 학업 성적을 보였고 1901년 우등생으로 졸업하였다.[362] [363]

무솔리니는 파엔차살레시오회가 운영하는 기숙학교에 보내졌다.[8] 내성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자존심이 강하고 까다롭고 폭력적인 행동 때문에 종종 교사들과 다른 기숙사 학생들과 충돌했다.[3] 한번은 말다툼 중에 칼로 반 친구를 다치게 해 심한 벌을 받았다.[3] 새로운 비종교 학교인 포를림폴리에 입학한 후, 무솔리니는 좋은 성적을 거두었고, 폭력적인 성격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에게 인정받았으며, 1901년 7월 초등학교 교사 자격을 취득했다.[3][9]

2. 2. 병역 기피와 군 복무

1902년 무솔리니는 병역을 기피하기 위해 스위스로 이민하였다.[361] 그는 제네바에서 잠시 석공으로 일했지만, 대부분의 기간 동안 특정한 거처 없이 방랑하였고, 이 때문에 체포되어 하룻밤을 구치소에서 보내기도 하였다. 무솔리니는 스위스에 머무르는 동안 간단한 프랑스어와 독일어를 익혔다.

이 기간 동안 무솔리니는 프리드리히 니체, 생디칼리스트인 조르주 소렐, 사회학자 빌프레도 파레토 등의 사상에 영향을 받았다. 훗날 무솔리니는 마르크스주의자 샤를 페기와 프랑스 생디칼리스트 위베르 라가르디유의 사상에서도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했다. 무솔리니는 특히 자유민주주의자본주의를 전복하기 위해서는 총파업, 폭력과 같은 직접행동의 사용과 마키아벨리즘이 필연적이라는 소렐의 주장에 크게 동조하였다.[361] 한편, 무솔리니는 스위스에 있는 동안 그곳에 망명해 있던 안젤리카 발라바노프, 블라디미르 레닌과 같은 러시아 마르크스주의 혁명가들과도 만났다.[366] 이 무렵 무솔리니는 사회주의자였다.

1903년 6월 19일 스위스 베른에서 체포된 후 무솔리니의 수배 기록


1904년 스위스는 무솔리니를 이탈리아로 추방하였다. 이탈리아 정부는 무솔리니가 군입대를 자원하자 병역 기피에 대한 처벌을 면제해 주었다. 무솔리니는 1905년부터 1906년까지 2년간 군 복무를 마치고 제대하였다.[367]

2. 3. 사회주의자

1908년 2월, 무솔리니는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배를 받던 트렌토에서 노동당 서기로 일하며 지역 사회주의당에 가입했고, 지역 정치 신문 《라보리레 델 라보라토레》(L'Avvenire del Lavoratore|노동자의 미래it)의 편집진이 되었다.[368] 1910년, 밀라노에서 잠시 활동한 후 고향 포를리로 돌아가 주간지 《로타 디 클라세》(Lotta di classe|계급 투쟁it)의 편집진이 되었다. 이 시기에 무솔리니는 급진적인 잡지 《라 보체》(La Voce|목소리it)에 〈사회주의자의 시각으로 본 트렌토〉(Il Trentino veduto da un Socialistait)를 기고했다.[368] 또한 반기독교운동을 내세운 소설 《추기경의 애인》을 상티 코르바야와 함께 집필하여 1910년 《일 트렌토》에 발표했다. 그러나 훗날 무솔리니는 교황청과 화해했다.[361]

1910년 이후, 무솔리니는 이탈리아에서 사회주의 운동가로 널리 알려졌다. 1911년, 이탈리아의 리비아 트리폴리 점령을 "제국주의 전쟁"으로 규정하고 비판하여 5개월 징역형을 선고받았다.[369] 석방 후, 이탈리아 사회당 내에서 전쟁을 지지한 "수정주의자" 이바노에 보노미, 레오니다 비솔라티 등과의 권력 투쟁에서 승리하여 사회당 기관지 《아반티!》(Avanti!|전진!it)의 편집장이 되었다. 무솔리니는 기관지의 독자를 2만 명에서 10만 명으로 늘렸다.[370]

1913년에는 얀 후스의 전기 《진정한 예언자, 얀 후스》를 출간했다. 무솔리니의 사회주의 활동은 정부 기관의 주목을 받았으며, 밀라노 치안감 G. 가스티는 그에 대한 내사 자료를 작성하여 보고했다. 무솔리니는 자신을 지식인으로 여겼으며, 유럽 철학, 특히 프리드리히 엥겔스, 칼 마르크스 등의 마르크스주의에 관심을 가졌다.[18] 스스로 프랑스어와 독일어를 배우고 니체, 쇼펜하우어, 칸트의 글 일부를 번역하기도 했다.

1900년대 초 무솔리니의 초상화

2. 4. 사회주의와 결별하다

무솔리니는 1914년 10월, 제1차 세계 대전에 대한 중립적인 태도를 유지하자는 이탈리아 사회당의 당론에 반대하여, 《아반티!》 편집장 자리에서 물러났다. 같은 해 11월 15일, 그는 《일 포폴로 디탈리아》(이탈리아 민중)를 창간하여, 전쟁을 "중부 제국의 침략 행위"로 규정하는 글을 기고하였다. 이로 인해 무솔리니는 사회당에서 제명되었으나, 광장에서 시위를 선동하고 폭력을 조장하는 글을 신문에 계속 게재하였다.[370]

당시 정부의 내사 자료는 무솔리니가 사회당과 결별한 과정을 다음과 같이 묘사하고 있다.

밀라노 공공 안전 감찰관 G. 가스티가 작성한 경찰 보고서에는 무솔리니의 배경과 제1차 세계 대전에 대한 그의 입장, 그리고 그로 인해 이탈리아 사회당에서 축출된 사실이 기술되어 있다.

감찰관은 요약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이탈리아 사회당에서 축출된 후, 무솔리니는 급진적인 변신을 거듭하여 계급 투쟁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고 계급을 초월하는 혁명적 민족주의를 지지하게 되었다. 그는 1914년 10월에 주장론적 신문인 Il Popolo d'Italiait와 Fascio Rivoluzionario d'Azione Internazionalistait("국제 행동 혁명 파시스트 단")를 결성했다. Il Popolo d'Italiait를 창간하는 데 필요한 자금은 기업가인 를 통해 유입되었으며, Fiat와 Ansaldo와 같은 국내 산업 및 농업계와 프랑스, 영국 정부를 포함한 여러 출처에서 나왔다.

1914년 12월 5일, 무솔리니는 전쟁이 민족 정체성과 충성심을 계급 차이보다 더 중요하게 만들었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정통 사회주의를 비난했다. 그는 전쟁 전에는 거부했던 개념인 국가를 하나의 실체로 인정하는 연설에서 자신의 변신을 완전히 보여주며 이렇게 말했다.

무솔리니는 사회를 이끌 혁명적 선봉 엘리트의 필요성을 계속해서 홍보했다. 그는 더 이상 프롤레타리아 선봉을 주장하지 않았지만, 대신 어떤 사회 계급의 역동적이고 혁명적인 사람들이 이끄는 선봉을 주장했다. 그는 정통 사회주의와 계급 투쟁을 비난했지만, 당시 자신은 민족주의 사회주의자이며 주세페 가리발디, 주세페 마치니, 카를로 피사카네와 같은 이탈리아 역사 속의 민족주의 사회주의자들의 유산을 지지하는 사람이라고 주장했다. 이탈리아 사회당과 정통 사회주의에 대한 지지에 대해 그는 당원으로서 당을 활성화하고 현대적 현실을 인식하도록 변화시키지 못한 자신의 실패는 정통 사회주의가 시대에 뒤떨어진 실패작임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에 비추어 정통 사회주의의 실패에 대한 이러한 인식은 무솔리니만의 것이 아니었다. 필리포 코리도니와 세르지오 파눈치오와 같은 다른 친개입주의 이탈리아 사회주의자들도 개입을 옹호하며 고전적 마르크스주의를 비난했다.

2. 5. 1차 세계 대전

1917년 군복무 시절의 무솔리니


베니토 무솔리니는 실지 회복주의자 체사레 바티스티와 연대하는 정치가로 변모하였다.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자 바티스티와 같이 참전하였다. 정부 내사자료에 따르면 "무솔리니는 전장에서 수류탄 폭발로 인해 중상을 입었다."[370] 무솔리니는 후일 자서전에서 자신이 9개월 동안 전선에서 복무했으며 그동안 장티푸스를 앓았다고 진술하였다. 그는 폭발로 인해 몸에 40여 개의 파편이 박히는 중상을 입고 전역하였다.[372] 1917년 8월 병상에서 전역한 무솔리니는 《일 포폴로 디탈리아》의 편집장으로 복귀하였다. 그는 자신의 신문에 이탈리아 체코슬로바키아 군단에 대한 글을 실었다.

1915년 12월 25일 무솔리니는 라첼레 귀디와 결혼하였다. 그녀는 프롤리 시절부터 무솔리니와 동거하였으며 1910년에 이미 딸 에다를 낳았다. 무솔리니는 트렌토 인근의 소프라몬테 출신의 여성 이다 달세르와도 내연 관계에 있었으며 이들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 있었다. 무솔리니는 1916년 1월 16일이 되어서야 자신의 아들을 법적으로 인정하였다.[363][365][373]

무솔리니, 《아반티!》 편집장


1914년 8월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전 세계 많은 사회당은 고조되는 민족주의적 흐름에 따라 자국이 전쟁에 개입하는 것을 지지하였다. 이탈리아에서는 전쟁 발발로 이탈리아 민족주의가 급증하였고, 다양한 정파가 개입을 지지하였다. 전쟁을 지지하는 가장 저명하고 인기 있는 이탈리아 민족주의자 중 한 명은 가브리엘레 단눈치오였으며, 그는 이탈리아 이레덴티즘을 옹호하고 이탈리아 여론을 개입 지지로 이끌었다. 파올로 보젤리가 이끄는 이탈리아 자유당은 연합국 편에서의 개입을 촉진하고 단테 알리기에리 협회를 이용하여 이탈리아 민족주의를 증진시켰다. 이탈리아 사회당원들은 전쟁 지지 여부에 대해 의견이 분분했다. 무솔리니가 전쟁에 대한 입장을 취하기 전에 알체스테 데 암브리스, 필리포 코리도니, 안젤로 올리비에로 올리베티를 포함한 여러 생디칼리즘 혁명가들이 개입을 지지한다고 발표했다. 반전 시위대가 살해된 후 적색 주간이라 불리는 총파업으로 이어지면서 이탈리아 사회당은 전쟁에 반대하기로 결정했다.

무솔리니는 처음에 당의 결정을 공식적으로 지지했고, 1914년 8월 기사에서 "전쟁 반대. 우리는 중립을 유지한다"라고 썼다. 그는 전쟁을 자신의 야망과 사회주의자들과 이탈리아인들의 야망 모두를 위한 기회로 보았다. 그는 반오스트리아 이탈리아 민족주의적 감정의 영향을 받아 전쟁이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이탈리아인들에게 합스부르크 지배에서 해방될 기회를 제공한다고 믿었다. 그는 결국 사회주의자들이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에서 사회주의를 끊임없이 억압했다고 말한 호엔촐레른과 합스부르크 군주제를 전복해야 할 필요성을 호소하며 전쟁 지지를 선언하기로 결정했다.[28]

1918년 단검을 든 이탈리아 ''아르디티'' 부대원들. 아르디티의 검은색 제복과 페즈는 무솔리니가 파시스트 운동을 창설할 때 채택되었다.


무솔리니는 중앙 연합국이 반동적 세력이며, 벨기에와 세르비아에 대한 제국주의적 야망을 추구하고 역사적으로 덴마크, 프랑스, 그리고 이탈리아인들에 대해서도 그랬다는 점을 지적하며 자신의 입장을 정당화했다. 수십만 명의 이탈리아인이 합스부르크 지배하에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호엔촐레른과 합스부르크 군주제의 몰락과 "반동적" 튀르키예의 억압이 노동 계급에 유익한 조건을 만들어낼 것이며, 전쟁에 필요한 동원이 러시아의 반동적 권위주의를 약화시키고 러시아를 사회 혁명으로 이끌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탈리아에게 있어 전쟁이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이탈리아인들을 이탈리아에 통합하고 이탈리아 일반 백성이 이탈리아 최초의 국민 전쟁에 참여하는 구성원이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리스오르지멘토'' 과정을 완료할 것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그는 전쟁이 제공할 수 있는 광범위한 사회적 변화는 그것이 혁명적 전쟁으로 지지되어야 함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무솔리니의 개입 지지가 확고해짐에 따라 그는 전쟁에 반대하는 사회주의자들과 갈등을 빚게 되었다. 그는 전쟁 반대자들을 공격하고 평화주의를 지지하는 프롤레타리아들은 이탈리아를 혁명적 전쟁을 위한 준비를 하고 있는 상승하는 개입주의적 전위에 합류한 프롤레타리아들과 보조를 맞추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전쟁 발발로 이어진 국가적 문제들을 인식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이탈리아 사회당과 사회주의 자체를 비판하기 시작했다. 그는 개입을 지지했다는 이유로 당에서 제명되었다.

밀라노 공공 안전 감찰관 G. 가스티가 작성한 경찰 보고서와 요약은 다음과 같다.

> 베니토 무솔리니 교수, … 38세, 혁명적 사회주의자, 경찰 기록이 있음; 중등 교육 자격을 갖춘 초등학교 교사; 체세나, 포를리, 라벤나의 전 의회 첫 번째 서기; 1912년 이후 폭력적이고 선동적이며 비타협적인 방향을 제시한 신문 《아반티!》의 편집자. 1914년 10월, 그는 전쟁에서 이탈리아의 일종의 적극적 중립을 옹호했기 때문에 이탈리아 사회당 간부들과 대립하게 되었고, 당의 절대적 중립 성향과 대립하게 되어 그 달 20일에 《아반티!》 간부직에서 물러났다. 그 후 11월 15일 [1914년]에 그는 《일 포폴로 디탈리아》라는 신문을 발행하기 시작했는데, 이 신문에서 그는 《아반티!》와는 대조적으로, 그리고 그 신문과 주요 후원자들에 대한 격렬한 논쟁 속에서 중앙 제국의 군사주의에 대한 전쟁에서 이탈리아의 개입이라는 주장을 지지했다. 이러한 이유로 그는 도덕적, 정치적 부적격으로 고발되었고, 당은 그를 제명하기로 결정했다… 그 후 그는… 이탈리아 개입을 위해 매우 활발한 운동을 벌였고, 광장에서 시위에 참여하고 《일 포폴로 디탈리아》에 매우 폭력적인 기사를 썼다…[23]

>

> 그는 사회주의자들에게는 이상적인 《아반티!》 편집자였다. 그 일에서 그는 매우 존경받고 사랑받았다. 그의 전 동지와 숭배자들 중 일부는 아직도 프롤레타리아의 정신을 더 잘 해석할 수 있는 사람은 없었고, 그의 배교를 슬픔으로 지켜보지 않은 사람은 없었다고 고백한다. 이것은 자기 이익이나 돈 때문에 발생한 것이 아니다. 그는 처음에는 경계하고 무장한 중립을, 나중에는 전쟁을 진심으로 열정적으로 옹호했으며, 그가 어디에서 왔든 어디에서 얻든 상관없이 어떤 수단을 사용하더라도 신문, 그의 프로그램, 그의 행동 방침을 지불함으로써 자신의 개인적, 정치적 정직성을 타협한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이것이 그의 초기 방침이었다. 그가 결코 공개적 또는 사적으로 포기하지 않은 그의 사회주의적 신념이 그가 착수한 투쟁을 계속하는 데 필요한 필수적인 재정 거래 과정에서 어느 정도 희생되었을지 말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이러한 수정이 있었다고 가정하더라도… 그는 항상 여전히 사회주의자인 것처럼 보이기를 원했고, 그렇다고 스스로 속였다.[29]

3. 파시즘의 수립

1922년 10월 27일 밤에서 28일 새벽 사이, 약 3만 명의 파시스트 흑셔츠단이 로마에 모여 자유주의 총리 루이지 파크타의 사퇴와 새로운 파시스트 정부 수립을 요구했다. 10월 28일 아침, 알베르티노 헌장에 따라 최고 군사권을 갖고 있던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정부의 계엄령 선포 요청을 거부했고, 이는 파크타의 사퇴로 이어졌다. 그 후 국왕은 (협상 중 밀라노 본부에 머물렀던) 무솔리니에게 새로운 정부를 구성해달라고 요청하며 권력을 이양했다. 국왕의 결정에 대해 역사가들은 망상과 공포의 조합으로 설명한다. 무솔리니는 군부와 산업 및 농업 엘리트들 사이에서 폭넓은 지지를 받았고, 국왕과 보수적인 기득권층은 내전 가능성을 우려하여 무솔리니를 이용해 법과 질서를 회복할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전체주의적 발전의 위험을 예측하지 못했다.[45]

1922년 로마 진군 당시 무솔리니와 사두정(왼쪽부터: 미켈레 비안키, 에밀리오 데 보노, 이탈로 발보, 체사레 마리아 데 베키)


무솔리니는 왕정 후기 이탈리아 정계에서 이탈리아 사회당(PSI) 정치인으로 활동하다가, 제1차 세계 대전 종군 후 같은 출신의 퇴역 군인들을 모아 이탈리아 전투원 파시와 국가파시스트당(PNF)을 창당하여 그 두체(총통)가 되었다. 조반니 아멘드라의 전체주의, 조르주 소렐의 혁명적 산디칼리즘 등 여러 정치 사상을 융합하여 새로운 정치 이론으로 파시즘(결속주의[195])을 구축했다. 국가파시스트당의 로마 진군으로 총리에 임명되어, 1925년 1월 3일 의회 연설에서 사실상 독재 체제를 선포하고, 같은 해 12월 24일 종래의 총리직보다 권한이 강한 「수상 겸 국무장관」을 신설하고, 동시에 여러 장관직을 영구적으로 겸임함으로써 독재 체제를 확립했다.

4. 로마 진군과 집권

1922년 10월 27일 밤에서 28일 새벽 사이, 약 3만 명의 파시스트 검은셔츠단이 로마에 모여 자유주의 총리 루이지 파크타의 사퇴와 새로운 파시스트 정부 수립을 요구했다. 1922년 10월 28일 아침, 알베르티노 헌장에 따라 최고 군사권을 갖고 있던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정부의 계엄령 선포 요청을 거부했고, 이는 파크타의 사퇴로 이어졌다.[45] 그 후 국왕은 무솔리니에게 새로운 정부를 구성해달라고 요청하며 권력을 이양했다.

국왕의 이러한 결정에 대해 역사가들은 망상과 공포의 조합으로 설명한다.[45] 무솔리니는 군부와 산업 및 농업 엘리트들 사이에서 폭넓은 지지를 받았고, 국왕과 보수적인 기득권층은 내전 가능성을 우려하여 무솔리니를 이용해 법과 질서를 회복할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전체주의적 발전의 위험을 예측하지 못했다.

무솔리니의 초기 집권기는 파시스트, 민족주의자, 자유주의자, 인민당 소속 가톨릭 성직자 2명으로 구성된 우익 연립 정부로 시작되었다. 초기 정부에서 파시스트는 소수였다. 무솔리니의 국내 목표는 자신을 최고 지도자(''일 두체'')로 하는 토탈리타리아 국가 수립이었으며, 이는 무솔리니의 형제 아르날도가 편집하는 파시스트 신문 ''일 포폴로 디탈리아''를 통해 표명되었다. 이를 위해 무솔리니는 의회로부터 1년 동안의 독재 권력(당시 이탈리아 헌법에 따라 합법적)을 얻었다. 그는 이탈리아 전투 파시스트를 군대에 통합하고(1923년 1월 국가 안보 자원 봉사 민병대 창설), 당과 국가의 점진적 동일시를 통해 국가 권력의 완전한 회복을 꾀했다. 또한, 정치 및 사회 경제적으로 부유한 산업 및 농업 계급에 유리한 법안(민영화, 임대차법 자유화 및 노조 해체)을 통과시켰다.[4]

1923년 무솔리니는 코르푸 침공 사건 당시 이탈리아군을 코르푸에 파병했다. 국제 연맹은 무력했고, 그리스는 이탈리아의 요구에 응해야 했다.

4. 1. 로마 진군

1922년 10월 27일부터 29일까지 무솔리니와 국가 파시스트당로마 진군을 감행하였다. 검은 셔츠단을 앞세운 이 쿠데타로 루이기 파크타 총리는 실각하였다. 1922년 10월 28일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무솔리니의 권력 획득을 인정하였다. 무솔리니는 군부, 자본가, 그리고 우익의 지지를 등에 업고 총리가 되었다.

로마로 진군하는 검은 셔츠단

4. 2. 아체르보 법

1923년 6월 아체르보 법이 통과되었다. 이 법은 이탈리아 전역을 단일 선거구로 하고, 총선에서 25% 이상의 지지를 얻은 정당에게 의회 의석의 3분의 2를 배분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1924년 4월 6일, 아체르보 법에 따른 첫 총선이 열렸다. 파시스트당을 중심으로 한 "국가 동맹"은 64%의 지지를 얻었으나, 이는 선거 기간 중 파시스트들의 폭력과 협박이 만연한 가운데 얻어진 결과였다. 특히 이탈리아 남부에서 파시스트들의 폭력은 더욱 심했다.[47]

4. 3. 검은 셔츠단의 폭력

자코모 마테오티는 불법적인 총선으로 무솔리니 정부를 자극하였는데, 이는 무솔리니 집권하에서 발생한 사회주의 정치인 암살의 대표적인 사례였다. 마테오티를 살해한 자는 검은 셔츠단 소속의 아메리고 두미니였으며, 암살 직후 무솔리니에게 보고되었다. 무솔리니는 마테오티의 시신을 그의 집 밖에 세워둔 자동차로 옮겨 사건을 은폐하였다. 두미니는 단지 이틀간 구류되었을 뿐 별다른 처벌을 받지 않았다. 두미니가 사건 후 15년간 파시스트 측으로부터 금전 지원을 받았다는 사실은 무솔리니가 이 암살에 관여했음을 보여준다.[386]

사회주의자, 자유주의자, 중도파 등 약소 야당은 국왕 빅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가 무솔리니를 불신임하리라는 희망을 갖고 국회 등원을 거부하였다. 이러한 야권 연대는 공산당의 안토니오 그람시, 사회당의 피에트로 네니, 자유당의 피에로 고베티와 지오바니 아멘돌라가 주도하여 대중적인 반파쇼 운동을 이끌어냈다. 그러나 국왕은 검은 셔츠단의 폭력에 대한 공포에 사로잡혀 무솔리니를 해임하지 못했다. 무솔리니는 아무런 제지 없이 반대파를 제거할 법안을 통과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 결국 검은 셔츠단의 마테오티 암살은 반대 목소리를 잠재우기에 충분하였다.[386]

1924년 검은 셔츠단은 집회를 열고 무솔리니에게 그의 모든 반대자가 붕괴되었음을 보고하였다. 무솔리니는 자신의 무력을 과시하며 모든 민주주의의 덫을 치워버렸다고 선언하였다.[386] 1925년 1월 3일, 무솔리니는 의사당 앞에서 검은 셔츠단의 모든 폭력은 자신이 책임질 것이며 반대파는 붕괴될 것이라는 흉폭한 연설을 하였다. 그러나 이 자리에서 마테오티 암살에 대해서는 일절 언급하지 않았다.[386]

5. 독재 체제의 구축

제1차 세계 대전에서 60만 명 이상의 전사자를 낸 이탈리아 왕국은 승전국 지위를 얻었지만, 민족 자결 원칙에 따라 달마티아 병합이 좌절되자 "무력화된 승리"라며 정부와 협상국에 대한 비판이 거셌다. 전쟁으로 인한 불황은 사회주의를 부추겼고, 무솔리니는 이러한 상황에 위기감을 느껴 1917년 영국 정부의 자금 지원을 받으며 "조국에 영광을 안겨줄, 정력적이고 단호한 인물"의 등장을 역설했다.[219][220]

주류 사회주의에 환멸을 느낀 무솔리니는 1919년 3월 23일 이탈리아 전투 파시를 설립했다.[220] 초기 파시즘은 국가 산디칼리즘과 미래파의 영향을 받아 계급 협조를 강조하고 사회주의의 "좋은 점"을 수용하는 혼합적 운동이었다. 무솔리니는 조르주 소렐을 "파시즘의 정신적 아버지"라 칭하며 그의 사상에서 큰 영향을 받았다.

대외적으로는 생존권의 일종인 Spazio vitaleit를 주창하며 지중해 연안부 통합을 목표로 했다. 자원 부족 국가인 이탈리아가 강국이 되려면 영토 획득이 필수적이라고 본 그는 고대 로마를 예로 들며 베네치아 줄리아 등 지중해 세계를 제국(이탈리아 식민지 제국)이 재통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22][223]

무솔리니의 파시즘은 혁신적이면서 보수적인 제3의 위치로 불리는 독특한 운동이었다.

5. 1. 암살 미수

무솔리니는 여러 차례 암살 시도에서 살아남았다. 1926년 4월 7일, 바이올렛 기브슨이 무솔리니에게 암살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52] 같은 해 10월 31일에는 15세 소년 안테오 잠보니가 볼로냐에서 무솔리니를 총으로 쏘려 했으나, 현장에서 린치당했다.[53][54] 이 외에도 무정부주의자 지노 루체티의 로마 암살 시도[55]와 이탈리아 무정부주의자 미켈레 시루의 암살 계획[56]이 있었으나, 모두 실패로 돌아갔고 시루는 체포되어 처형되었다.[57]

5. 2. 경찰 국가

무솔리니는 1925년부터 1927년 사이 자신의 권력에 방해가 되는 모든 헌법 조항을 폐지하고 이탈리아를 경찰국가로 만들었다. 1925년 크리스마스 이브에 통과된 법으로 무솔리니는 '행정 수반'이자 '국가 원수'가 되어 의회 동의 없이 국왕을 끌어내릴 수 있게 되었다. 이 법에 따라 지방자치는 폐지되었고 이탈리아 상원도 해산되었다.

1928년에는 무솔리니의 파시스트당을 제외한 모든 정당 활동이 금지되었다. 같은 해 이탈리아 의회가 해산되고 파시즘 대의회가 그 자리를 대신했다. 파시즘 대의회는 국가 주권을 대표하는 헌법 기구로 격상되었지만, 실제로는 무솔리니만이 대의회를 소집하고 안건을 제출할 수 있었다.

무솔리니는 시칠리아 마피아를 뿌리 뽑기 위해 체사레 모리를 팔레르모 지사로 임명하고 전권을 부여했다. 모리는 마을을 포위하고 용의자를 고문했으며, 여성과 아이들을 인질로 잡아 자백을 강요하는 등 강경책을 펼쳐 '강철 지사'라는 별명을 얻었다.[392] 그러나 모리는 1929년 마피아와 결탁했다는 증거가 드러나 해임되었고, 무솔리니는 파시스트가 마피아를 근절시켰다고 선전하며 모리를 상원 의원으로 격상시켰다.

5. 3. 경제 정책

무솔리니는 대규모 공공 토목 사업과 전시 경제 체제를 기반으로 한 국가주도 공업화를 통해 실업률을 완전고용 수준으로 낮추었다. 그는 녹색혁명에 상응하는 "곡물 전투"를 독려하여 5천여 개소의 농장을 건립하고 폰티네 습지를 개간하여 다섯 곳의 "새마을"을 지었다. 사르데냐 아르보레아에 지어진 새마을은 옛 지명을 버리고 무솔리니아란 이름이 붙었다. 이 마을을 시작으로 무솔리니는 이탈리아 전역에 새로운 농촌 마을을 만들어 갔다. 그러나 이 계획으로 인해 다른 경제 작물의 재배량은 줄고 농업이 곡물에 집중되었다. 또한 비효율적인 교통망 확충과 농민에 대한 보조금 과다 지급으로 국가 부채가 증가하였다.[66]

알파 로메오 공장을 방문한 무솔리니


무솔리니는 1928년 "토지 전투"를 선언하고 광범위한 간척 사업을 전개하였다. 폰티네 습지의 개간과 간척 사업은 농업 정책의 가장 중요한 성과 가운데 하나로 평가받았으며, 실업률 개선과 함께 파시즘의 성과로 선전되었다. 하지만 이를 위해 최소 1만 명 이상의 농민이 이주해야 했다. 1940년에 이르러 "곡물 전투"와 "토지 전투" 정책은 폐기되었고, 폰티네 습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다시 늪이 되었다.

경기후퇴가 닥치자 무솔리니는 "조국의 금" 운동을 개시하였다. 이 운동은 목걸이반지 등에 사용된 금과 보석을 국가에 헌납하면 "조국의 금"이라는 글귀가 새겨진 철제 팔찌를 나눠주는 것이었다. 무솔리니의 부인 라첼레 무솔리니도 자신의 결혼 반지를 헌납하였다. 모인 금은 금괴로 만들어 국립 은행에 비축하였다.

1935년 무솔리니는 기업 국유화를 추진하여 이탈리아 내 기업의 4분의 3을 국유화했다. 개인은 자신이 보유한 외국 기업 주식을 국가에 납부해야 했다. 1936년부터는 정부의 가격 통제를 실시하였다.[393] 그는 독일을 제외한 모든 외국과의 무역을 단절함으로써 이탈리아를 자급자족 경제 체계로 만들었다.

무솔리니는 1943년 베로나 대회에서 경제적 파시스트 사회화 이론을 발표하였다.

5. 4. 통치

연설하는 무솔리니


무솔리니는 선전을 통해 이탈리아 국민을 통제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이탈리아에서는 언론, 교육, 영화 등을 통해 "파시즘이 자유주의와 민주주의를 대신하는 20세기의 이념"이라는 주장이 퍼졌다. 1932년에는 지오나니 젠텔레가 집대성한 파시즘 이론을 담은 《이탈리아 백과사전》이 무솔리니의 재가를 받아 출간되었다.

1929년, 무솔리니는 바티칸 시국과 라테란 조약을 체결하여 국경 문제를 해결했다. 1927년에는 세례를 받아 로마 가톨릭교회와 화해하는 모습을 보였다.[394] 무솔리니의 반공주의는 많은 가톨릭 신자들의 지지를 받았지만, 1929년 교황 비오 11세는 파시즘을 비판하는 교서를 발표하기도 했다.

무솔리니는 의원내각제를 기반으로 한 법전을 편찬했다. 파시즘 법률은 모든 학생과 교사가 파쇼 체제에 충성을 맹세하도록 규정했다. 모든 신문 편집장은 파시스트 당원 언론인 중에서 무솔리니가 직접 선정했지만, 이는 비밀에 부쳐졌고 "자유 언론"이 존재하는 것처럼 위장했다. 모든 노동조합은 해체되고 협동주의에 입각한 국가 조직으로 재편되어, 모든 이탈리아인들은 국가가 관리하는 직능조합에 가입해야 했다.

국가 재정은 공공 토목사업과 SS 렉스, 블루 리번드와 같은 해운사, 그리고 이탈로 발보를 위한 수상비행기 마치 M.C.72 개발 등에 사용되었다.

독일계 미국인 역사학자 콘라트 야라우슈(Konrad Jarausch)는 무솔리니가 이탈리아 파시즘을 유럽의 강력한 세력으로 만든 혁신들을 주도했다고 평가한다. 그는 파시즘 운동이 권력을 장악하고 국가를 운영할 수 있음을 증명했고, 특정 집단이 아닌 전체 국가 공동체를 대표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가톨릭 세력을 포함시키려 노력했고, 기업계가 배후에서 운영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고 주요 부문의 공적 역할을 정의했다. 그는 대중매체의 관심과 국가적 논쟁을 자신의 개성에 집중시키는 일인 지도자 숭배를 발전시켰고, 전직 언론인으로서 대중매체를 능숙하게 활용했다. 또한 대규모 당원을 만들고, 흑셔츠단의 폭력과 사법적 제재를 받지 않는 폭력의 위협을 사용하여 반대파를 위협했다.[50]

무솔리니는 선전을 통해 이탈리아 국민의 사상을 지배하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그는 자신을 새로운 파시스트 위버멘쉬로 묘사하며, 과장된 마키시모 미학을 홍보했다.[73] 그는 내무부, 외무부, 식민지부, 기업부, 국방부, 공공 사업부 장관직을 개인적으로 맡았으며, 때로는 총리직과 함께 최대 7개 부처를 동시에 맡기도 했다. 그는 파시스트당 당수이자 흑셔츠단의 수장이었고, 비밀경찰인 OVRA를 설립하여 권력을 유지하고 경쟁자의 출현을 막았다.

학교와 대학교의 모든 교사들은 파시스트 정권을 옹호하는 선서를 해야 했다. 신문 편집자들은 무솔리니가 직접 선택했으며, 파시스트당의 승인 증명서를 소지한 사람만이 언론 활동을 할 수 있었다. 노동조합은 독립성을 박탈당했고, "기업적 시스템"에 통합되었다.

막대한 자금이 공공 사업과 국제적 위상 프로젝트에 투입되었다. 블루 리본 해양 여객선 SS ''렉스'' 건조, 수상 비행기인 Macchi M.C.72로 항공 기록 수립, 이탈로 발보의 대서양 횡단 수상 비행기 순항 등이 그 예이다.

파시즘의 교리 원칙은 조반니 젠틸레와 무솔리니가 1932년 ''이탈리아 백과사전''에 게재한 기사에 명시되어 있다. 무솔리니는 자신을 지식인으로 묘사했으며, 일부 역사가들은 이에 동의한다.[74] 귄터는 그를 "독재자들 중 가장 교육받았고 가장 세련된 사람"이자 1940년 지식인이었던 유일한 국가 지도자라고 평가했다. 독일 역사가 에른스트 놀테는 "그의 현대 철학과 정치 문학에 대한 이해는 당시 유럽의 다른 정치 지도자들보다 적어도 뛰어났다"고 말했다.[75]

왕정 후기 이탈리아에서 이탈리아 사회당(PSI) 정치인으로 활동하다가, 제1차 세계 대전 종군 후 퇴역 군인들을 모아 이탈리아 전투원 파시와 국가파시스트당(PNF)을 창당하여 두체(총통)가 되었다. 전체주의, 산디칼리즘 등 여러 사상을 융합하여 파시즘(결속주의[195])을 구축했다. 로마 진군으로 총리에 임명된 후, 1925년 독재 체제를 선포하고, 「Capo del governo primo ministro segretario di Statoit」(정부 수반인 수상 겸 국무장관)를 신설하여 독재 체제를 확립했다.

1936년 5월 5일, 무솔리니가 에티오피아 제국 병합을 선포하자 군중은 "이탈리아 만세", "무솔리니 만세"를 외쳤다.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국왕(사보이아 왕가)가 황제 지위를 겸하게 되자[196](이탈리아 식민지 제국) "'''제국의 건국자'''"(Fondatore dell'Imperoit, 폰다토레 델림페로)라는 칭호를 받았다.[197] 대원수(제국 원수 최고위)에 국왕 겸 황제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와 공동 취임하여 통수권을 획득했다. 10년 이상 장기 집권을 유지했지만, 제2차 세계 대전에 대한 정세 판단 착오로 인해 중립을 유지하려 했으나, 프랑스가 한 달 만에 항복하자 준비 부족에도 불구하고 참전을 결정했다.[198]

1943년 7월 25일, 연합국군의 본토 상륙으로 파시스트당 내 쿠데타가 발생하여 실각하고 유폐되었지만, 나치 독일아돌프 히틀러의 명령으로 구출되었다. 건강 악화로 은퇴했지만, 히틀러의 요청으로 정계에 복귀하여 독일의 위성국인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RSI) 및 공화파시스트당(PFR)의 지도자를 맡지만, 패전과 함께 다시 실각한다. 1945년 4월 25일, 파르티잔에게 체포되어 약식 재판으로 메체그라 시에서 총살당했다. 시체는 밀라노 시 로레토 광장에 매달린 후 무덤에 매장되었다.

종전 후 신파시즘 및 보수파에 의한 정식 매장 요구가 일어나, 가톨릭 교회에 의해 프레다피오에 개장되었다. 현대 이탈리아에서도 공화파시스트당(PFR)을 전신으로 하는 신파시스트 정당인 이탈리아 사회운동(MSI), 국민동맹(AN), 자유의 인민(PdL), 이탈리아의 동포(FdI) 등이 국정에서 의석을 획득하고 있다.

5. 5. 교육과 청소년 단체

청소년 단체 수련회에 참석한 무솔리니


1차 대전 이후 이탈리아의 국가주의자들은 자유주의뿐만 아니라 조반니 졸리티와 같은 총리 재임 시기에 만들어진 이탈리아 교육 제도에도 반대했다. 미래주의는 파시즘을 옹호하는 문화 운동이었다. 미래주의 지도자 필리포 토마소 마리네티는 1919년 "학교란 육체 단련과 애국주의 고양을 위해 존재하는 곳"이라 주장하며, 1차 대전 중 이탈리아 강습 부대였던 아르디티 훈련 과정처럼 기관총 사격술을 익히고 적을 정확히 조준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말했다.[73] 1919년 최초의 파시즘 청소년 단체인 《청년 파시스트 선봉대》(Avanguardie Giovanili Fascisteit)가 창립되었고, 1922년에는 대학생 대상의 《대학 파시스트 그룹》(Gruppi Universitari Fascistiit)이 설립되었다.

로마 진군으로 무솔리니가 집권하자 파시스트들은 학교를 통해 자신들의 이념을 이탈리아 사회에 전파하고자 했다. 무솔리니는 아르디티의 방식으로 "청년의 육체와 정신을 재조직하는" 레나토 리치의 교육안 시행을 승인했다. 리치는 스카우트 창설자인 로버트 베이든 포웰에게 영감을 받아 독일 바우하우스 예술가와 함께 영국을 방문하여 포웰과 만났다. 1926년 4월 3일, 무솔리니는 통합 파시스트 청소년 단체인 《오페라 나쇼날레 발릴라》(Opera Nazionale Balilla, ONB, 전국소년회it) 창립을 승인했다. 리치는 이후 11년간 ONB 총재를 맡았다. ONB는 8세부터 18세까지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했으며, 유년대인 《발릴라》와 청소년대인 《아방가르디스티》(Avanguardisti, 선봉대it)로 나뉘어 운영되었다.

무솔리니는 "파시스트 교육은 도덕적, 육체적, 사회적, 군사적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 즉, 파시즘 관점에서 완전하고 조화로운 인간을 길러야 한다"라고 파시스트 교육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유년기 정서 함양을 강조하며, "유년기와 사춘기에 콘서트를 보여주고 이론을 가르치며 추상적인 훈육만 하는 것은 부족하다. 그들의 환상, 심장, 마음을 움직일 수 있도록 교육해야 교육 목적에 다다를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파시스트 교육은 이상주의와 합리주의에 반대했다. "행동과 선례를 통한 교육적 가치관 정착"을 중요시하며 ONB를 파시스트 교육 기구로 활용했다. 그러나 이러한 활동은 청소년 단체를 무솔리니 개인 숭배 도구로 전락시켰다.

5. 6. 외교 정책

무솔리니는 자신의 정치 경력을 쌓기 시작하던 시기에 주장하던 제국주의에 반대하는 평화주의에서 팽창적 국가주의로 외교정책을 급선회하였다.[395] 무솔리니는 유럽과 세계를 호령하는 위대한 이탈리아를 추구하였다. 그는 1923년에 이미 케르키라섬을 침공하였다. 얼마 지나지 않아 무솔리니는 알바니아에 괴뢰 정권을 세우는 데 성공하였으며 1912년 지배력을 상실하였던 리비아에 대한 지배를 재개하였다. 지중해를 마레 노스트룸(Mare Nostrum, 우리 바다it)로 만드는 것은 무솔리니의 오랜 숙원이었다. 그는 지중해 제패를 위해 그리스 레로스 섬에 해군 기지를 구축하였다. 이를 기점으로 무솔리니가 추진한 1925년의 로카르노 조약과 1933년의 4강 협정은 그를 유능한 "정치가"로 인정하는 근거가 되었다.

무솔리니는 1935년까지 스트레사 전선 계획에 따라 서방 측과 공조하여 독일을 견제하였다.[396] 그러나 무솔리니는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을 일으켜 에티오피아를 침략하면서 그간의 외교관계를 극적으로 전환하여 독일의 편에 선다.

무솔리니가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당시 군대를 사열하는 모습


대외 정책에서 무솔리니는 실용적이고 기회주의적이었다. 그의 비전은 아프리카와 발칸반도에 새로운 로마 제국을 건설하고, 영국과 프랑스가 부과한 소위 "불완전한 승리"(1918년)를 정당화하는 데 집중되었다. 이는 런던 조약을 배신하고 이탈리아의 지중해 패권에 대한 "자연적 권리"를 부정한 것이었다.[79][80] 그러나 1920년대 독일의 약화, 전후 재건, 배상 문제 등을 고려할 때, 유럽의 상황은 베르사유 조약을 공개적으로 개정하기에 불리했다. 이탈리아의 외교 정책은 주요 강대국들과의 "균형"을 유지하여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고, 한 강대국과의 연합을 이용하여 유럽과 아프리카에서 이탈리아의 야망을 위한 지지를 확보했다.[81] 무솔리니는 당시 4천만 명이었던 이탈리아 인구가 대규모 전쟁에는 부족하다고 믿었고, 피임을 옹호하는 것을 1924년 범죄로 규정하는 등 끊임없는 출산 촉진 정책을 통해 최소 6천만 명으로 늘리려고 했다.[82][83]

초기 무솔리니는 실용적인 정치가로서 영국과 프랑스와의 전쟁 위험 없이 이점을 추구했다. 예외는 1923년 코르푸 사건으로, 무솔리니는 이탈리아 군인 암살 사건과 관련하여 영국과의 전쟁을 준비했지만, 이탈리아 해군 지휘부의 설득으로 외교적 해결책을 받아들였다.[84] 1925년 무솔리니는 이탈리아 군 지도자들에게 이탈리아가 지중해와 인도양을 이탈리아의 통제하에 통일하기 위해 "생존 공간(spazio vitale)"을 확보해야 한다고 비밀리에 말했지만, 1930년대 중반까지는 전쟁을 치를 만한 충분한 병력이 부족하다는 점을 인정했다.[84] 무솔리니는 1925년 독일의 서부 국경을 보장한 로카르노 조약에 참여했다. 1929년 그는 프랑스와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공격을 계획하기 시작했고, 1932년에는 독일과의 반프랑스 동맹을 추구했다.[84] 1933년 프랑스와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계획된 공격은 프랑스 정보부가 이탈리아 군사 암호를 해독했다는 사실을 무솔리니가 알게 되면서 중단되었다.[84] 아돌프 히틀러가 집권하여 오스트리아와 다뉴브 분지에서 이탈리아의 이익을 위협하자, 무솔리니는 1933년 영국, 프랑스, 독일과의 4개국 조약을 제안했다. 이탈리아는 또한 이탈리아-소비에트 조약에 서명했는데,[85] 이는 부분적으로 독일을 경고하기 위한 것이었다.[86] 1934년 7월 쿠데타 당시 오스트리아 나치에 의해 오스트리아 총리 엥겔베르트 돌푸스가 암살되자, 무솔리니는 독일이 오스트리아를 침공할 경우 전쟁을 할 것이라고 히틀러를 위협했고, 1935년 독일을 겨냥한 스트레사 전선을 지지하며 독일의 안슐루스 시도를 반대했다.



이전에 이탈리아-터키 전쟁에 반대했음에도 불구하고, 1935~1936년 아비시니아 위기 이후 무솔리니는 에티오피아와 이탈리아 소말리아 간의 국경 사건 이후 에티오피아를 침공했다. 역사가들은 이 침략의 이유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 일부는 대공황으로부터의 주의 분산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일부는 더 광범위한 팽창주의 프로그램의 일부로 본다.[88] 이탈리아군은 에티오피아를 신속하게 제압하여 1936년 5월 이탈리아 제국의 선포로 이어졌다.[89] 히틀러에 대한 반대 때문에 프랑스의 지지를 확신한 무솔리니는 에티오피아 침략에 대해 부과된 국제 연맹의 제재를 무시했다. 그는 제재를 오래된 제국주의 열강들이 이탈리아의 팽창을 막으려는 위선적인 시도로 여겼다.[90][91] 이탈리아는 에티오피아 게릴라에 대한 겨자 가스 사용과 잔혹한 전술로 비난을 받았다.[89][92] 무솔리니는 전투원과 민간인 모두를 표적으로 한 에티오피아 반군에 대한 체계적인 테러를 명령했다.[93][94] 무솔리니는 한 마을의 모든 성인 남성 인구를 처형하도록 명령했고, 한 지역에서는 "포로, 공범 및 불확실한 자들은 처형해야 한다"는 명령을 내렸으며, 이는 인구의 "점진적인 청산"의 일환이었다.[93] 무솔리니는 흑인들은 국민의식을 가질 만큼 똑똑하지 않기 때문에 에티오피아인들은 국가가 아니라고 믿었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잔혹 정책을 선호했다.[95] 또 다른 이유는 무솔리니가 수백만 명의 이탈리아인을 에티오피아로 이주시킬 계획이었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인구의 상당 부분을 제거하고 싶었기 때문이다.[94]

1940년 히틀러와 무솔리니


이탈리아에 대한 제재는 무솔리니를 독일과의 동맹으로 몰아넣었다. 1936년 그는 독일 대사에게 오스트리아가 독일의 위성국이 되는 것에 이탈리아가 반대하지 않는다고 말하며 이탈리아-독일 관계의 주요 장애물을 제거했다.[96] 제재가 끝난 후 프랑스와 영국은 이탈리아를 동맹으로 유지하기 위해 스트레사 전선을 부활시키려고 했다. 그러나 1936년 무솔리니는 독일과 로마-베를린 축에 동의했고, 1939년에는 이탈리아와 독일을 완전한 군사 동맹으로 묶는 강철 조약에 서명했다.

에티오피아 정복은 1만 2천 명의 이탈리아인의 목숨을 앗아갔고 이탈리아에 심각한 재정적 부담을 안겼다. 무솔리니는 침략 비용을 과소평가했는데, 이는 예상보다 훨씬 더 높았고, 지속적인 점령은 이탈리아 경제를 더욱 압박했다. 에티오피아와 스페인 전쟁은 군사 현대화를 위한 자금을 소비하여 이탈리아의 군사력을 약화시켰다.[97] 1936년부터 1939년까지 무솔리니는 스페인 내전에서 국민당에 상당한 군사 지원을 제공하여 이탈리아를 프랑스와 영국으로부터 더욱 멀어지게 했다. 이 개입과 서구 열강과의 관계 악화는 무솔리니가 독일의 오스트리아 합병과 체코슬로바키아 분할을 받아들이게 했다. 1938년 뮌헨 협정에서 무솔리니는 독일의 수데텐란트 합병을 지지하면서 평화 조정자를 자처했다.

1938년 슬로베니아 파르티잔 그룹인 TIGR이 코바리드에서 무솔리니를 암살하려고 음모를 꾸몄지만 실패했다.

무솔리니 초상화


1930년대 후반 무렵, 무솔리니는 영국과 프랑스가 쇠퇴하는 강국이며, 인구 증가의 힘으로 독일과 이탈리아가 유럽을 지배할 운명이라고 결론지었다. 그는 프랑스의 출산율 감소가 "매우 끔찍하다"고 믿었고, 영국 인구의 4분의 1이 50세 이상이기 때문에 영국 제국은 멸망할 운명이라고 생각했다. 무솔리니는 영국과 프랑스보다 독일과의 동맹을 선호했으며, 약한 세력과 동맹을 맺는 것보다 강한 세력과 동맹을 맺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했다. 그는 국제 관계를 높은 출산율을 가진 "정력적인" 국가들이 낮은 출산율을 가진 "나약한" 국가들을 파괴할 운명인 사회 다윈주의적 투쟁으로 보았다. 무솔리니는 출산율 감소로 인해 "약하고 늙은" 국가로 여긴 프랑스와의 동맹에는 관심이 없었다.[98]

무솔리니는 지중해를 지배하려는 이탈리아의 ''데스티노(destino)''에 대한 믿음 때문에 서방 열강과의 전쟁에 대한 진지한 계획을 소홀히 했다.[99] 그는 이탈리아의 경제적, 군사적 준비 부족과 1938년 4월 부활절 협정을 이용하여 영국과 프랑스를 분열시키려는 욕망 때문에 베를린과의 완전한 일치를 막았다. 반 코민테른 조약 하의 느슨한 정치적 동맹이 아닌 독일과의 군사 동맹은 영국이 부활절 협정을 이행할 가능성을 없앨 것이다. 무솔리니는 부활절 협정을 통해 이탈리아가 프랑스를 단독으로 공격할 수 있도록 하려고 했으며, 영국과 이탈리아 관계가 개선되면 영국이 프랑스-이탈리아 전쟁에서 중립을 유지할 것이라는 희망을 가졌다 (무솔리니는 튀니지와 일부 그곳의 지지자를 노렸다). 영국은 차례로 부활절 협정이 이탈리아를 독일로부터 멀어지게 할 것이라고 희망했다.

무솔리니의 사위이자 외무장관인 갈레아초 치아노 백작은 1938년 11월 8일 일기에 프랑스에 대한 독재자의 목표를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 지부티는 프랑스와 공동으로 통치하고, 튀니지는 유사한 체제를 채택하며, 코르시카는 이탈리아의 통제하에 둘 것이다.[100] 무솔리니는 사보이에 관심이 없었고, 그것을 "역사적으로나 지리적으로 이탈리아적"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1938년 11월 30일, 무솔리니는 프랑스에 튀니지, 사보이, 코르시카를 이탈리아에 넘겨줄 것을 요구하는 의원들의 시위를 조직하여 프랑스를 자극했다.[101] 이로 인해 긴장이 고조되었고, 1938-39년 겨울 동안 프랑스와 이탈리아는 전쟁 직전에 놓였다.[102]

1939년 1월, 영국 수상 네빌 체임벌린이 로마를 방문했다. 무솔리니는 영국이 이탈리아와의 관계 개선을 원하지만 프랑스와의 관계는 끊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깨달음은 무솔리니가 1938년 5월 처음으로 제안된 독일의 군사 동맹 제안에 더욱 관심을 갖게 만들었다. 1939년 2월, 무솔리니는 국가의 힘은 "해상 위치에 비례한다"고 선언하고 이탈리아는 영국이 통제하는 영토에 둘러싸인 "지중해의 죄수"라고 주장했다.[103]

1939년 이탈리아 제국


친독일적인 새 방침은 논란의 여지가 있었다. 1939년 3월 21일, 파시스트 대평의회 회의에서 이탈로 발보는 무솔리니가 "히틀러의 신발을 핥고 있다"고 비난하고 친독일 정책이 이탈리아를 재앙으로 이끌 것이라고 비판했다. 내부 반대에도 불구하고 무솔리니의 외교 정책에 대한 통제로 인해 반대 의견은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1939년 4월, 무솔리니는 알바니아 침공을 명령하여 신속하게 알바니아를 점령하고 조그 1세 국왕을 망명하게 만들었다. 1939년 5월, 무솔리니는 히틀러로부터 3년 동안 전쟁이 없을 것이라는 약속을 받은 후 독일과 완전한 군사 동맹인 강철 조약에 서명했다.

조약에도 불구하고 무솔리니는 신중했다. 히틀러가 폴란드 침공 의도를 표명했을 때, 치아노는 이것이 연합국과의 전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히틀러는 이 경고를 일축하고 이탈리아가 유고슬라비아를 침공해야 한다고 제안했다.[104] 유혹을 받았지만, 무솔리니는 이탈리아가 특히 빅토르 에마누엘 3세 국왕의 중립 요구를 고려할 때 세계적 갈등에 대비가 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104] 따라서 1939년 9월 1일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하면서 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었을 때, 이탈리아는 개입하지 않았다.[104] 그러나 1939년 11월 독일이 크라쿠프의 야기엘론 대학교에서 183명의 교수를 체포했을 때, 무솔리니는 직접 개입하여 폴란드인 101명의 석방을 이끌어냈습니다.[105]

5. 7. 스포츠 정책

무솔리니는 자신의 지지도를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1934년 FIFA 월드컵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1930년 FIFA 월드컵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친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루이스 몬티, 엔리케 과이타, 라이문도 오르시 등의 선수들을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데려왔다. 그리고 이 월드컵을 통해 추축국파시즘을 널리 알렸으며, 상대팀 라커룸에 군대를 보내 위협하고 심판에게 돈을 주는 등 온갖 방법을 동원하여 1934년 FIFA 월드컵에서 이탈리아를 우승시켰다. 이에 이탈리아에 져서 준우승한 체코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들은 "살아서 경기장을 빠져나올 수 있어서 다행이다."라는 말을 남기기도 했다.[309]

이 여파로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은 뛰어난 선수들을 잃는 것을 막기 위해 1라운드에서 실력이 한참 낮은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에게 일부러 져주기도 했다.[309]

무솔리니는 이 월드컵에서 관중들에게 "이탈리아를 위해 죽어라!"라고 외치도록 했으며, 월드컵 우승으로 그의 지지도는 한동안 올라갔다.[309]

젊은 시절부터 운동을 잘했던 무솔리니는 매일 아침 체조를 하고 주스를 마신 후, 승마를 즐기고 샤워를 한 뒤 아침 식사를 했다. 아침 식사로는 외에 과일을 먹었으며(본인도 과일이 건강 비결이라고 말했다), 생선은 가끔, 고기는 거의 먹지 않았다고 한다.[309]

자동차모터스포츠를 좋아했으며, 이탈리아 자동차 제조사의 국제 레이스 참가를 권장했을 뿐만 아니라, '밀레미글리아'와 같은 국내 레이스도 지원했다. 또한 운전도 좋아하여 알파로메오, 피아트, 란치아 등 이탈리아 고급차를 여러 대 소유하고 운전했다. 특히 알파로메오를 좋아하여, 카브리올레와 스피드스터, 스파이더 코르사 등 여러 대를 소유하고 공식 행사나 개인적인 휴식 시간에도 알파로메오를 탔다. 바이크도 모토 비앙키사의 프레차돌로를 타는 모습이 사진으로 남아있다.[309]

5. 8. 에티오피아 침략

에티오피아 여성을 희롱하고 있는 이탈리아 군인


이탈리아 제국은 스스로를 신로마 제국으로 칭하기 시작하였다.[397] 팽창주의를 추구한 이탈리아 파시즘은 결국 에티오피아를 침략하였다. "아비시니아"(Abissinia|에티오피아의 라틴어 이름la)에 대한 이탈리아 군대의 침공은 공습을 앞세우고 신속히 진행되었으며, 얼마 지나지 않아 이탈리아는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의 승리를 선포하였다. 에티오피아 제국의 하일레 셀라시에 1세는 영국으로 망명하였다. 이탈리아 군은 에티오피아의 수도 아디스아바바를 점령하고 에티오피아를 병합하여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로 개칭하였다.[398] 이로써 유럽의 열강들이 앞다투어 아프리카에 식민지를 만들던 이른바 아프리카 분할이 완료되었다. 20세기 세계 각지에서는 식민지에 반대하는 독립 운동이 한창이었고, 이탈리아의 침략 행위는 비난받았다. 또한 전쟁 과정에서 무솔리니의 지시에 의해 이탈리아가 사용한 머스터드가스, 포스겐과 같은 독가스는 대표적인 반인륜적 무기 사용으로 지목되었다.[398]

1934년 12월 5일, 에티오피아 제국과 이탈리아령 에리트레아·소말릴란드의 국경 문제를 둘러싸고 이탈리아와 에티오피아 간에 무력 충돌(왈왈 사건)이 발생했다. 무솔리니는 이를 계기로 에티오피아에 대한 식민지 전쟁을 재개하고, 에리트레아 및 소말릴란드 주둔군에 원정 준비를 명령했다.

1935년 10월 2일, 무솔리니는 베네치아 궁전에서 에티오피아 제국에 대한 선전포고 연설을 했다. 1935년 10월 11일, 국제 연맹은 이탈리아에 대한 경제 제재를 요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전선의 전투는 에밀리오 데 보노 육군 원수, 피에트로 바돌리오 육군 원수, 로돌포 그라치아니 육군 대장 등이 지휘했고, 개전 직후 아드와를 점령했다. 1936년 봄에 행군이 재개되면서 같은 해 안에 에티오피아 전역을 제압했다. 1936년 5월 2일, 패배한 에티오피아 황제 하일레 셀라시에 1세는 지부티로 탈출하였다. 이탈리아 측 사상자는 본국 병사 2500명, 식민지 병사(아스카리) 1600명으로 경미했다.[398] 전투에서는 피에트로 바돌리오 원수의 주장에 따라 독가스도 사용되었지만 군사적 효과는 제한적이었다.

에티오피아의 부왕으로 임명된 로돌포 그라시아니의 공식 축하연에서 에티오피아 저항 세력은 폭탄을 투척하였고, 이일을 계기로 이탈리아 군은 에티오피아 저항 세력을 무자비하게 소탕하였다. 적십자는 이탈리아군이 포로까지 처형하고 있으며 전투원뿐만 아니라 에티오피아 민간인이 거주하고 있는 천막 구역을 무차별 폭격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398] 에티오피아의 저항을 봉쇄하기 위한 이탈리아군의 동아프리카 작전은 1941년 연합국의 군대가 에티오피아에 들어올 때까지 계속되었다.

1936년 5월 5일, 피에트로 바돌리오 원수가 수도 아디스아베바에 입성하면서 전쟁은 종결되었다. 같은 날 밤, 무솔리니는 "''에티오피아 제국에 대한 승리''"와 "''사보이아 왕가가 황제의 칭호를 얻는다''"는 두 가지 빛나는 사건을 보고했다. 합병된 에티오피아 제국의 황위는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가 겸임했고, 구 에티오피아 제국 영토는 주변 이탈리아령 식민지와 합쳐져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로 재편되었다.

5. 9. 스페인 내전

스페인 내전에서 이탈리아는 가톨릭 교회를 반(反)종교주의, 특히 반가톨릭주의로부터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개입했다.[399] 1936년 7월 21일, 무솔리니는 공군 전투 비행단 선발대를 스페인으로 파견했다.[399] 1936년부터 1939년까지 이탈리아군은 프란시스코 프랑코를 지원했다. 그 결과 이탈리아와 프랑스, 영국의 관계는 악화되었고, 무솔리니는 아돌프 히틀러와 동맹을 맺게 되었다.

스페인 내전 당시 이탈리아의 개입을 비난하는 스페인 공화국의 포스터


1936년 12월 6일, 무솔리니는 독일 아프베어 사령관 빌헬름 카나리스와 로마에서 회담을 갖고 독일과 이탈리아의 직접 개입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독일이 항공 지원에 집중하여 콘도르 군단을 투입한 반면, 무솔리니는 육군 파병에도 적극적으로 나섰다. 이탈리아는 "스페인 국"을 설치하고 프랑코 군과의 공동 부대 편성을 계획했으나, 지휘권을 둘러싼 갈등으로 중단되었다. 대신 마리오 로아타 육군 준장을 사령관으로 하는 (Corpo Truppe Volontarie, CTV)이 공군과 함께 투입되었다.

가리발디 국제 여단의 깃발


1937년 3월 8일, 과달라하라 전투에서 이탈리아 의용군단은 공화군에게 패배했다. 이 패배는 의용군단의 준비 부족, 물자 부족, 악천후, 그리고 이탈리아인으로 구성된 공화군 부대 가리발디 국제 여단의 저항, 프랑코가 사전 협정을 어기고 공동 공격에 나서지 않은 점 등이 원인이었다.

이후에도 이탈리아군은 스페인 내전에 계속 참전하여 1939년 프란시스코 프랑코의 승리에 기여했지만, 군비와 국고 낭비는 이탈리아에 큰 부담을 주었다.

6. 추축국

1940년 5월 13일자 ''뉴스위크'' 표지, "일 두체: 지중해의 핵심 인물"이라는 제목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영국은 제1차 세계 대전 때처럼 이탈리아가 독일을 상대로 자국 편에 서기를 바랐다.[104] 그러나 프랑스는 이탈리아에 대한 조치에 더 적극적이었다. 1939년 9월, 프랑스는 이탈리아와 문제를 논의할 것을 제안했지만, 코르시카, 니스, 사보이아를 논의할 의향이 없었기 때문에 무솔리니는 답변하지 않았다.[104] 칼로 파바그로사는 이탈리아의 산업 부문이 취약하여 1942년까지는 주요 군사 작전을 준비할 수 없을 것이라고 추산했다.[106] 1939년 11월 말, 아돌프 히틀러는 "두체가 살아있는 한, 이탈리아가 제국주의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모든 기회를 잡을 것이라고 확신할 수 있습니다."라고 선언했다.[104]

전쟁이 곧 끝날 것이며, 당시 독일의 승리가 유력해 보였기에 무솔리니는 추축국 편에 참전하기로 결정했다. 이탈리아는 1940년 6월 10일 영국과 프랑스에 선전포고했다. 무솔리니는 영국과 프랑스에 대한 전쟁을 파시즘과 "서구의 재벌 독재 민주주의"라는 상반되는 이데올로기 간의 싸움으로 간주하며, 이 전쟁을 "비옥하고 젊은 사람들과 황혼으로 향하는 불모의 사람들 간의 투쟁, 두 세기와 두 이념 간의 투쟁"이라고 묘사했다.[107]

이탈리아는 알프스 방어선을 싸우며 독일군과 프랑스 전투에 참전했다. 11일 후, 프랑스와 독일은 휴전 협정을 체결했다. 이탈리아 통제하의 프랑스에는 니스와 기타 남동부 군현 대부분이 포함되었다.[108] 무솔리니는 영국이 유럽 전역에서 붕괴될 것으로 예상하면서, 아프리카와 중동의 영국 제국에 대한 대규모 공세에 이탈리아군을 집중할 계획이었다. 이탈리아는 이집트를 침공하고, 팔레스타인 위임 통치령을 폭격했으며, 수단, 케냐, 영국 소말릴란드 식민지(동아프리카 전역)에서 영국군을 공격했다.[109] 영국 소말릴란드는 정복되어 1940년 8월 3일 이탈리아 동아프리카의 일부가 되었고, 수단과 케냐에서 이탈리아가 초기 성공을 거두며 진격했다.[110] 영국은 유럽에서 추축국 승리를 수용하는 평화 제안을 거부했고, 전쟁은 계속되었다.

6. 1. 대독 관계

무솔리니와 히틀러


초기 무솔리니와 히틀러는 경쟁 관계에 있었다. 1933년 나치 독일이 오스트리아 파시즘의 지도자이자 무솔리니의 우군이었던 엥겔베르트 돌푸스를 암살하자 둘의 사이는 매우 악화되었다.[400] 무솔리니는 히틀러의 인종차별에 대해 탐탁지 않게 여겼으며, 다양한 인종들이 이탈리아화되는 이탈리아 제국을 건설하고자 하였다. 무솔리니는 나치가 추구하는 우생학이나 인종 선별에 의한 아리아인 제국 건설은 불가능한 것이라 생각했다.[400] 1934년 나치 독일이 독일 여권에 아리아인과 유대인을 명기하기 시작하자 무솔리니는 "독일 인종"을 부정하였다.[401]

독일계 유대인 저널리스트 에밀 루트비그가 무솔리니에게 인종에 대한 견해를 묻자, 무솔리니는 "최소한 95 퍼센트는 (인종은) 실제하는 것이 아니라 그런 느낌을 갖는 것일 뿐"이라고 답했다.[402] 1928년 무솔리니는 인종간 갈등을 강조하며, 백인 인종이 다른 피부색을 가진 인종에 의해 잠식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403]

이탈리아 파시즘은 1920년대에서 1934년까지 인종에 대한 견해를 수시로 바꾸었다. 원칙적으로 이탈리아 유대인을 이탈리아 사회의 구성원으로 파악하였고, 로마 왕정이래 유대인은 이탈리아에 거주하여 왔다고 말했다.[404] 국가 파시스트당에 입당한 유대인 에토레 오바사는 1935년 유대인 파시스트 신문 《La Nostra Bandiera|우리의 깃발it》을 창간하였다.[405]

1938년 히틀러와 각별한 사이가 된 무솔리니는 나치를 뒤쫓아 인종주의 정책을 시행하였다. 이탈리아 파시즘의 인종 헌장은 나치의 뉘른베르크법을 모델로 제정되었으며, 이탈리아 시민과 유대인을 분리하는 것을 골자로 하였다.[386] 교황 비오 12세는 무솔리니에게 인종차별을 반대하는 서한을 보냈다.[406] 1943년 12월 무솔리니는 인종헌장이 자신의 의지와는 반하는 것이었으나 독일의 비위를 맞춰주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시행한 것이라 변명하였다.[407] 한편 무솔리니는 아랍 세계에서 이슬람을 존중하였다. 리비아의 일부 무슬림들은 무솔리니를 "이슬람의 보호자"라 칭송하기도 하였다.[408][409]

1934년 6월, 베네치아(Venezia)에서 히틀러와 회담이 열렸다. 무솔리니는 나치의 반유대주의와 오스트리아 합병 문제에서 히틀러와 대립했다.[400] 회담 후, 무솔리니는 히틀러를 "광대"라고 평가했다.[400] 제2차 에티오피아 전쟁에서 영국, 프랑스와 대립하면서 히틀러와 독일과의 교류를 진행했고, 스페인 내전에서는 사실상 동맹국으로서 공동 전선을 펼쳤다.

무솔리니는 1923년에 "역사의 축은 베를린을 통과한다"고 언급했다.[244] 독일-이탈리아 관계가 깊어지면서 "로마베를린의 축"은 "추축국"이라는 정치 용어로 정착하게 되었다.

1937년 무솔리니가 독일을 방문했을 때, 히틀러는 "나의 스승을 맞이하는 것이다"라며 환영했다. 무솔리니는 Maifeld|마이펠트 광장de에서 열린 나치당 정치 집회에서 기념 연설을 했다.

1938년 3월 13일, 독일이 오스트리아를 합병하자, 무솔리니는 이를 승인했다. 같은 해 5월 히틀러의 이탈리아 방문 시, 나폴리(Napoli)에서 이탈리아 왕립 해군 관함식을 시찰했다. 무솔리니는 1938년 4월 16일 영국-이탈리아 중립 조약 체결을 승낙했다. 1933년에는 이탈리아-소련 우호 중립 불가침 조약을 체결했다.[246]

돌푸스 암살 이후, 무솔리니는 인종 정책, 반유대주의와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 그는 인종주의보다 민족주의에 무게를 두고, 동화 정책을 통한 식민지 및 신규 영토의 이탈리아화를 추진했다.[326] 1934년 연설 "아리아 인종에 관하여"에서 무솔리니는 히틀러를 비판했다.[328]

1938년 이후, 독일과의 관계가 깊어짐에 따라, 독일의 뉘른베르크 법을 참고한 이탈리아 인종법 제정 움직임이 본격화되었다. 1938년 7월 14일, 국가 파시스트당은 『인종 선언』(인종헌장)을 발표했다. 무솔리니는 "인종"이라는 용어 대신 "혈통"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이탈리아 본토에서의 게토 정책은 독일처럼 강압적인 것이 아니었고,[340] 홀로코스트와 같은 학살이나 민족 정화도 실시되지 않았다.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시대에는 나치 및 히틀러의 압력에 굴복하여 유대인 강제 추방이 진행되었다.[345]

6. 2. 강철 조약과 고조되는 전운

무솔리니는 프랑스식민지였던 튀니지를 이탈리아령으로 만들려는 야심을 갖고 있었다.[410] 1939년 4월, 독일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에 세계의 이목이 쏠린 틈을 타 이탈리아는 알바니아침공하여 5일 만에 점령했고, 국왕 아흐메트 조그 1세는 망명했다. 1939년 5월, 독일과 이탈리아는 강철 조약을 체결하여 추축국을 결성했다.[411] 이탈리아 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이 조약에 우려를 표했다.[412]

히틀러폴란드 침략 의사를 밝히자, 이탈리아 외무장관 갈레아초 치아노는 이것이 연합국과의 확전으로 이어질 것이라 경고했다. 히틀러는 독일이 영국, 프랑스를 격퇴할 수 있으며, 이탈리아가 독일의 폴란드 점령을 지지하지 않으면 독일도 이탈리아의 유고슬라비아 왕국 점령을 지지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무솔리니는 이탈리아의 전쟁 준비가 충분치 않다고 여겼지만, 이탈리아 제국 건설을 위해 세계 대전이 불가피하다고 생각했다. 1939년 9월 1일, 독일의 폴란드 침공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었지만, 이탈리아는 즉각 참전하지 않았다.[413]

당시 이탈리아는 농업 국가여서 공업 생산력이 낮았다. 자동차 생산량은 영국의 15% 수준에 불과했고, 전략 물자 부족도 심각했다. 군수 조사 담당 장관은 1942년 10월까지 대규모 전쟁은 불가능하다고 결론 내렸다. 1939년 5월 22일, 독일과 이탈리아는 강철 조약을 체결했지만, 무솔리니는 1943년까지 공동 참전 의무 연기를 히틀러에게서 얻어냈다. 갈레아초 치아노는 히틀러에게 세계 대전을 일으키지 말 것을 요청했지만, 히틀러는 오히려 이탈리아의 유고슬라비아 침공을 제안했다.[252]

6. 3. 전쟁 선포

1940년 상반기, 전황이 독일에게 유리하게 돌아가자 무솔리니는 독일의 승리로 전쟁이 빨리 끝날 것이라 판단했다. 1940년 6월, 이탈리아는 영국과 프랑스에 전쟁을 선포하고 독일의 우군으로서 프랑스 공방전에 참여했다.[414] 이탈리아가 참전한 지 11일 후, 프랑스는 추축국에 항복했다.[414]

이탈리아군은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에서 영국과 프랑스의 식민지를 공격하는 동아프리카 전역을 개시했다.[415] 1940년 8월, 영국령 소말릴란드가 이탈리아령 아프리카에 편입되었고, 케냐수단도 비슷한 상황에 놓였다.[416]

로돌포 그라치아니 장군 휘하의 이탈리아 10 군은 이탈리아령 리비아에서 이집트까지 진격하는 서부 사막 작전을 전개했으나, 시디 바라니에서 보급 문제로 진격을 멈췄다.[417] 1940년 10월, 무솔리니는 영국 본토 항공전에 참전한 독일을 지원하기 위해 이탈리아 공군벨기에에 파견했다.[417] 같은 달, 그리스-이탈리아 전쟁을 일으켰으나, 그리스군의 반격으로 알바니아의 일부를 잃었다.[418] 독일은 발칸반도에 지원군을 파견하여 연합국과 교전했다.[418]

1941년, 아프리카 전선에서 컴파스 작전으로 이탈리아군은 큰 피해를 입고 리비아로 후퇴했다.[419] 동아프리카 전역에서도 연합군의 반격에 직면하여 케렌 전투에서 패배했다.[420] 무솔리니는 "적들이 전투 한 번 이겼다고 해도 쓸데없는 짓이다. 영국은 가망없는 위선을 떨고 있다."라며 큰소리쳤지만,[421] 결국 독일이 아프리카 군단을 파병해야 했다.[422] 유고슬라비아에서 벌어진 마리타 작전을 끝으로 추축국은 그리스 공방전에서 승리했다.[422] 1941년 6월 바르바로사 작전이 시작되자 무솔리니는 소련에 대한 전쟁을 선포하고 군대를 진군시켰다. 일본제국이 진주만 사건을 일으키자 이탈리아는 미국에도 전쟁을 선포하였다.

6. 4. 실각과 체포

1942년 이후 전황은 이탈리아에게 불리하게 돌아갔다. 제2차 엘 알라마인 전투에서 추축국은 크게 패하였으며 동부 전선에서도 대대적인 후퇴가 계속되었다.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이 시작되자 이탈리아는 패배를 눈앞에 두게 되었다.[423] 연합국의 이탈리아 본토 폭격이 시작되었고, 공장이 온전한 곳도 석유, 석탄과 같은 자원을 공급받지 못하였다. 여기에 더해 곡물 수급이 중단되자 곡물 가격이 폭등하였다.

1943년이 되자 무솔리니의 선전술은 더 이상 사람들의 마음을 붙잡아 둘 수 없었다. 많은 사람들이 바티칸 라디오나 라디오 런던을 들으며 전황을 파악하고 있었다. 3월이 되자 이탈리아 북부 공업도시에서 1925년 이래 최대의 파업이 시작되었다.[424] 또한 최대의 공업도시 밀라노토리노는 공습을 피해 노동자 가족들을 소개하면서 생산이 멈췄다. 사람들은 이탈리아를 대하는 독일의 태도로 인해 이를 묵인하는 무솔리니를 반대하기 시작했다. 시칠리아에 연합국이 상륙하자 사람들은 자유주의의 회복을 열렬히 환영하였다.[425]

무솔리니는 아프리카 전선과 튀니지에서 패퇴하자 히틀러에게 스탈린과 평화 조약을 맺고 서부 전선으로부터 공격해오는 연합국과의 전쟁에 집중해줄 것을 간청하였다. 아프리카와 튀니지를 얻은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가 겨눌 다음 목표는 당연히 이탈리아 반도 본토가 될 것이기 때문이었다. 시칠리아에 연합국이 상륙한 지 며칠이 지난 후 무솔리니는 해외 군대의 회군을 지시하였다. 이에 놀란 히틀러는 7월 19일 이탈리아 북부에서 무솔리니와 회동하였다. 무솔리니는 그 자리에서 자신이 더 이상 독일의 말만 따르지는 않을 것이라 분명히 하였다. 무솔리니는 이날 역사상 최초로 로마가 폭격을 당했다는 최악의 소식을 들었다.[427]

이러한 상황에서 이탈리아 파시스트 정부의 일부가 무솔리니에 대한 반대를 표명하기 시작하였다. 그들 중에는 그란디와 함께 무솔리니의 사위였던 갈레아초 치아노도 포함되어 있었다. 7월 24일 파시스트 대의회는 전쟁을 시작한 후 최초로 "두체"를 소환하였다. 그 자리에서 무솔리니가 독일이 남부에서 철군하려한다고 보고하자 그란디는 무솔리니를 신랄하게 비판하였다.[423] 그란디는 무솔리니의 불신임을 요청하였고 대의회는 19 대 7로 이를 가결하였다. 그러나 무솔리니는 파시스트 대의회는 자문 기관일 뿐 자신의 입지에 대한 어떠한 결정도 무효라 주장하며 다음날 평소와 다름없이 업무를 보았다.[424] 그날 오후 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무솔리니를 왕궁으로 불러 해임을 통고하였다. 무솔리니는 해명하려 하였으나 국왕은 이를 일축하고 후임자로 피에트로 바돌리오 원수를 내정하였음을 통지하였다.[424] 무솔리니는 왕궁을 나오자마자 근위대에 의해 체포되었다.[426]

제복을 입은 피에트로 바돌리오 원수
피에트로 바돌리오(Pietro Badoglio) 원수가 무솔리니의 뒤를 이어 총리가 되었다.


무솔리니에 대한 불만이 사회 전반에 팽배하여 있었기 때문에 그의 체포 소식에 반발하는 사람은 없었다.[424] 이탈리아 정부는 무솔리니의 행방을 독일이 알아차리지 못하도록 비밀 유지에 힘쓰면서 그를 아브루초주의 산악지대인 캄포 임페라토레에 격리시켜 구금하였다. 새로 출범한 바돌리오 정부는 이탈리아에 주둔하고 있던 독일군의 반발을 의식해 출범 즉시 "이탈리아는 여전히 독일의 우방"이라는 성명을 발표하면서 사회 혼란을 잠식시키고자 하였다. 그러나 바돌리오는 이러한 성명과는 달리 출범 이틀 만에 국가 파시스트당을 해산시켰고 연합국과의 휴전 협상을 개시하여 1943년 9월 3일 휴전 조약을 체결하였다.[423]

6. 5. 망명정부

1944년 병사와 대화를 나누고 있는 무솔리니


그란 사쏘 산맥의 호텔 캄포 임페라토레에 연금되었던 무솔리니는 1943년 9월 12일 나치 독일 무장 친위대의 오토 스코르체니가 이끄는 공수부대와 친위대로 편성된 구조대에 의해 구출되었다.[426] 무솔리니의 구출과 함께 이탈리아로 진군한 독일군은 왕가와 내각인사를 체포하고 무솔리니의 권력을 회복시키고자 하였으나 실패하였다.[427]

구출 당시 무솔리니는 건강이 매우 악화되어 있었다. 히틀러는 무솔리니를 오스트프로이센으로 데려와 회동하였다. 히틀러는 그 자리에서 무솔리니가 이탈리아로 돌아가 파시스트 국가를 재건하기를 바라면서 독일군이 밀라노, 제노바, 토리노 등을 점령할 수 있을 것이라 밝혔다. 이에 동의한 무솔리니는 1943년 9월 23일 살로에서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의 수립을 선포하고 망명 정부의 수반이 되었다.[423] 그러나 이 망명 정부는 나치 독일의 이탈리아 전선 유지를 위한 명분에 불과한 괴뢰 정권이었으며 실제적인 정부로서 기능하지는 못했다.[427] 무솔리니는 새로운 정부를 세우자 자신을 배반한 파시스트 대의회의 요인 몇 명을 처형하였다. 무솔리니의 사위 갈레아초 치아노도 이때 처형되었다. 이 기간 동안 무솔리니는 1928년 출판하였던 자서전의 개정판 《나의 흥망》을 집필하는 데 많은 시간을 들였다.

1943년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RSI), 독일군 작전 지역 (OZAV/OZAK) - 독일 직할 행정 지역


1943년 9월 12일, 무솔리니는 그란 사소 습격에서 오토-하랄트 모르스가 이끄는 특수 낙하산부대(Fallschirmjäger) 부대와 ''무장친위대'' 코만도에 의해 캄포 임페라토레 호텔 감옥에서 구출되었다. 오토 스코르체니도 현장에 있었다.[125] 이 구출은 무솔리니가 휴전 협정에 따라 연합군에 넘겨지는 것을 막았다. 히틀러는 왕, 왕세자 움베르토, 바돌리오, 그리고 정부의 나머지 인원들을 체포하고 무솔리니를 로마에서 권력에 복귀시킬 계획을 세웠지만, 정부가 남쪽으로 탈출하면서 이 계획은 실패했다.[123]

그란 사소 습격에서 구출된 지 사흘 후, 무솔리니는 라스텐부르크에 있는 히틀러의 동프로이센 본부에서 히틀러와 회담하기 위해 독일로 갔다. 공개적인 지지에도 불구하고, 히틀러는 무솔리니의 초라하고 수척한 모습과 그를 전복한 로마의 인물들을 추격하려는 의지가 없는 것에 분명 충격을 받았다. 나치 탄압의 칼날을 무디게 할 수 있는 일을 해야 한다고 느낀 무솔리니는 새로운 정권인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Repubblica Sociale Italiana|이탈리아 사회 공화국it, RSI)를 수립하는 데 동의했다.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은 수도가 살로에 있었기 때문에 비공식적으로 ''살로 공화국''으로 알려졌으며, 그는 독일군에 의해 구출된 지 11일 후 살로에 정착했다. 그의 새로운 정권은 영토가 크게 축소되었다. 연합군과 바돌리오 정부가 점령한 이탈리아 영토를 잃은 것 외에도, 볼차노, 벨루노, 트렌토 지방은 독일 행정 하에 알프스 산록 작전 지역에 배치되었고, 우디네, 고리치아, 트리에스테, 폴라(현 풀라), 피우메(현 리에카), 류블랴나(이탈리아어로 루비아나) 지방은 독일 아드리아 해안 작전 지역에 편입되었다.[126][127]

1944년 무솔리니가 방어 시설을 시찰하는 모습


약 1년 반 동안 무솔리니는 롬바르디아주 가르냐노의 가르다 호에 살았다. 그는 공개적으로 자신이 완전한 통제권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지만, 사실상 독일 해방자들의 보호 아래 있는 괴뢰 지배자임을 알고 있었다. 모든 목적을 위해 롬바르디아의 ''가울라이터''였다.[123] 실제로 그는 SS의 가택 연금 상태에 있었으며, 그의 의사소통과 이동이 제한되었다. 그는 한 동료에게 강제 수용소로 보내지는 것이 더 낫다고 말했다.[124]

7. 죽음

1945년 4월, 전쟁에서 패배가 확실해지자 무솔리니는 애인 클라라 페타치와 함께 스위스를 거쳐 스페인으로 망명하려 했다. 그러나 4월 27일, 코모호 근처 동고 마을에서 공산주의 계열 파르티잔인 제52 가리발디 여단 정치부 소속 우르바노 라차노에게 체포되었다.[429] 체포 당시 무솔리니는 독일군으로 위장하고 있었다.

무솔리니와 페타치는 메체그라로 연행되어 데 마리아 가족의 집에서 마지막 밤을 보냈다. 다음 날, 파르티잔은 무솔리니를 재판하고 총살했다. 처형 기록에는 "발레리오 대령"이 총살을 지휘했다고 되어 있는데, 그의 실명은 왈테르 아우디시오였다. 아우디시오는 처형 후 이 사실을 《전국 민주 평의회》에 알렸다. 처형 당일, 아우디시오는 무솔리니를 안심시킨 뒤 차에 태워 마을 외곽으로 데려갔다. 그는 무솔리니와 페타치에게 내리라고 명령했고, 먼저 페타치를 쏘았다. 무솔리니는 재킷을 열고 "가슴에 쏴라"라고 말했고, 아우디시오는 그의 가슴을 관통시켰다. 무솔리니는 쓰러졌지만 숨이 끊어지지 않아, 아우디시오는 다가가 가슴에 다시 한 발을 쏘았다. 무솔리니와 함께 있던 병사들도 그날 밤 총살되었다.[430]

메제그라에 있는 무솔리니의 죽음을 기리는 금속 십자가
무솔리니가 총살당한 메제그라의 장소를 표시하는 십자가


1945년 무솔리니 처형 뉴스릴
1945년 무솔리니 사망에 대한 미국 뉴스릴 보도


무솔리니가 스위스 국경 근처 밀라노를 떠나 죽기까지의 과정은 여러 설이 분분하다.[276][277][278] 자료와 증언이 일치하지 않아 역사학자들 사이에서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베니토 무솔리니의 죽음)

주류 견해에 따르면, 무솔리니는 가족을 스페인에 망명시킨 것처럼 자신도 스위스를 거쳐 스페인으로 가려 했다.[275][279] 그러나 무솔리니는 망명을 거부하는 발언을 했고, 일본의 망명 제안도 거절했다.

1945년 4월 25일, 무솔리니는 발텔리나로 이동하기로 하고, 코모 호수 부근을 집결지로 정했다. 그는 기관총을 들고 흑색셔츠단 1개 소대를 이끌고 갔으며, 나치 친위대 대원들도 동행했다. 국방장관 로돌포 그라치아니 원수, RSI 정부 각료, 니콜라 봄바치 등 측근과 차남 비토리오, 클라레타 페타치도 동행했다.

밀라노 당원과 병사 대부분은 밀라노에 남았지만, 무솔리니는 그들을 허락했다. 그는 밀라노 시청 앞에서 마지막 작별 인사를 했고, 부상병은 "두체! 떠나지 마십시오!"라고 외쳤다. 알레산드로 파볼리니는 흑색셔츠단 대원 3000명을 모아 코모 호수로 향했다.

코모에서 무솔리니는 비협조적인 분위기를 느꼈다. 코모현의 현지사는 CLN(국가해방위원회)과 내통하고 있었고, 무솔리니에게 빨리 이동할 것을 요청했다. 무솔리니는 차남 비토리오를 남겨두고 코모 호수를 떠났지만, 파볼리니 군대와 만나지 못했다.

파볼리니는 무솔리니를 찾기 위해 부대를 떠났다. 남겨진 지원자들은 혼란에 빠졌고, 무솔리니가 망명했다는 거짓 정보도 퍼졌다. 결국, 메나조에서 무솔리니 부대와 만났을 때, 파볼리니는 "제 목숨을 바치겠습니다"라고 말했다.

그라치아니는 발텔리나 방어가 어렵다고 지적하며 독일군과 휴전 협상을 주장했지만, 거절당하고 밀라노로 돌아갔다. 무솔리니는 침착하게 자리에 머물렀다. 독일군 대공포 부대와 조우하여 동행하기로 했고, 메나조에서는 수십 명의 RSI 군인도 합류했다.

독일군과 RSI군 행렬은 코모 호 부근에서 제52 갈리바르디 여단 파르티잔 부대에 포착되었다. 여단 정치위원 Urbano Lazzaro|우르바노 라자로it가 신분증명을 요구했고, 독일군 지휘관이 협상했다. 독일 장교는 파르티잔이 RSI군 등을 넘겨주면 독일군은 통과시켜주겠다고 무솔리니에게 말했다. 클라레타 페타치와 형은 스페인 영사로 신분을 속였지만, 무솔리니가 탑승한 사실이 발각되었다.[280][281]

여단 기록에 따르면, 무소 동고 마을 사무실에서 심문이 있었지만, 무솔리니는 질서정연하게 답했고, 주변 당 간부들도 충성을 바꾸지 않았다.

1945년 4월 28일, 제52 갈리바르디 여단은 소규모 조직이었고, 사령관 피에르루이지 스테레 백작은 상부 조직에 지시를 구하려 했다.[275][282]

일반적으로 "'''발레리오 대령'''"은 이탈리아 공산당 당원 Walter Audisio|왈테르 아우디시오it로, 루이지 롱고 부서기장의 명령을 받아 밀라노에서 코모 호수로 갔다고 알려져 있다.[283][284]

그러나 아우디지오가 실행자였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었다. 많은 역사학자들은 아우디지오가 대역이고, 루이지 롱고가 "발레리오 대령"일 것이라고 추정하지만, 진범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여단은 신병 인도에는 응했지만, 즉결처형과 민간인 살해는 전쟁범죄라고 반대했다.[285] 그러나 아우디시오와 CLNAI 병사들은 무솔리니와 페타치를 제외한 전범들을 돈고에서 재판 없이 처형했다.[286] 무솔리니는 페타치와 함께 밀라노 방면으로 이동되었고,[275] 자코모 데 마리아 집에 감금되었다.[287] CLNAI는 무솔리니에 대한 즉결처형을 결정했고, 무솔리니는 메체그라 시 외곽 줄리노 디 메체그라 처형장으로 호송되었다.

1945년 4월 28일 오후 4시 10분, "발레리오 대령"의 프랑스제 기관단총 MAS-38로 페타치와 함께 총살당했다.[275][288][289] 1996년, 처형을 목격한 람프레디의 보고서가 공개되었다. 보고서에서 람프레디는 무솔리니가 "심장을 쏘라"고 담담하게 죽음을 받아들였다고 증언했다.[289][290].

1945년 4월 28일 밤, CLNAI(국가해방위원회)는 무솔리니 생존설을 불식시키고 그의 권위를 훼손하기 위해 죽음을 공표하려 했다. 돈고에서 사살된 간부들 시신과 함께 무솔리니 시신을 트럭에 싣고, 메체그라에서 밀라노로 이송했다. 1945년 4월 29일 아침, 밀라노 중앙역 로레토 광장에 시신들을 내던졌다.[291][292] 로레토 광장은 1944년 8월 RSI 정부가 파르티잔들을 공개 처형했던 장소였다.[275]

CLNAI 지지 군중에 의해 광장에 내던져진 시신들은 총격, 물건, 발길질을 당했다. 무솔리니 시신 사진의 훼손은 이때 발생했다.[293][294] CLNAI는 시신들을 스탠더드 오일사 주유소 건물에 거꾸로 매달았다.[275][295] 거꾸로 매단 것은 중세 시대 처벌 재현이라는 설과 시신 훼손 방지 목적이라는 설이 있다.[296]

파르티잔에게 잡힌 파시스트 당원은 과거 무솔리니를 신과 같은 존재로 찬양했던 것을 논하며, 거꾸로 매달린 무솔리니의 시신을 가리키며 사형 선고를 받았다.[297] 그는 사살되기 직전 시신에 경례했고, 파르티잔들은 그의 시신도 광장에 매달았다.

미국인 거주자는 로레토 광장 파르티잔과 군중을 "악하고 타락했다"고 증언했다.[275] 무솔리니 약식 처형과 민간인 페타치 살해는 전쟁 범죄라는 비판이 있었고,[275] 이바노에 보노미 총리는 신정부가 잔혹 행위에 가담한 것을 부인했다.[298]

4월 29일 오후 2시경, 연합군 부대가 시신을 수습했다. 미군 종군 사진 기자가 무솔리니의 훼손된 시신 사진을 촬영했다. 페타치 시신과 팔짱을 낀 사진도 있었다.[299]

1945년 4월 30일, 밀라노 법의학 연구소에서 무솔리니 시신 부검 결과, 사인은 심장에 도달한 총탄이었다. 시신에서 적출된 탄환 수와 구경은 자료에 따라 다르다.[300] 미군은 매독에 의한 정신 이상설 때문에 일부를 미국 본국으로 가져갔지만, 검사 결과 매독이 아니었고,[301] 유족 항의로 뇌 일부는 반환되어 매장되었다.

8. 사생활

무솔리니는 이탈리아어 외에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를 능숙하게 구사했다. 뮌헨 협정에서는 다른 국가 지도자들이 통역을 이용한 반면, 무솔리니는 "수석 통역관" 역할을 할 정도로 뛰어난 외국어 실력을 보였다.[142]

젊은 시절부터 운동을 즐겼으며, 매일 아침 체조, 주스, 승마, 샤워, 아침 식사 순으로 규칙적인 생활을 했다. 아침 식사로는 빵과 과일을 즐겨 먹었고, 생선은 가끔 먹었지만 육류는 거의 먹지 않았다.

자동차모터스포츠 애호가였으며, 이탈리아 자동차 제조사들의 국제 레이스 참가를 장려하고 밀레미글리아 같은 국내 레이스를 지원했다. 알파로메오를 특히 좋아하여 여러 대를 소유하고 운전했으며, 모토 비앙키사의 프레차돌로 오토바이를 타는 모습도 사진으로 남아 있다.[309]

동물 중에서는 고양이를 좋아했으며, 승마 경험으로 말을 기르는 것도 취미였다.

8. 1. 가족

알레산드로 무솔리니를 아버지로, 로사 무솔리니를 어머니로 하여 태어났다. 남동생은 아놀도 무솔리니이다.[433]

1914년 이다 달세르와 트렌토에서 결혼하여 1915년에 아들 베니토 알비노 무솔리니를 낳았으나, 무솔리니의 정치적 승진을 앞두고 첫 결혼 정보는 은폐되었고, 첫 부인과 아들은 이후 박해를 받았다.[32] 1915년 12월에는 라켈레 무솔리니와 결혼하여 에다 무솔리니, 안나 마리아 무솔리니, 비토리오 무솔리니, 브루노 무솔리니, 로마노 무솔리니를 낳았다.

무솔리니의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알레산드로 무솔리니
어머니로사 무솔리니
남동생아놀도 무솔리니1885년 ~ 1931년
전처이다 달세르군인,[433] 1880년 ~ 1937년
아들 (전처 소생)베니토 알비노 달세르1915년 ~ 1942년
후처라켈레 무솔리니1890년 ~ 1979년
딸 (후처 소생)에다 무솔리니1910년 ~ 1995년
아들 (후처 소생)비토리오 무솔리니1916년 ~ 1997년
아들 (후처 소생)브루노 무솔리니군인, 1918년 ~ 1941년
아들 (후처 소생)로마노 무솔리니화가·피아니스트·예술인, 1927년 ~ 2006년
손녀알레산드라 무솔리니정치인, 1962년 12월 30일 ~
외증손자로마노 플로리아니 무솔리니축구 선수, 2003년 1월 27일 ~
딸 (후처 소생)안나 마리아 무솔리니1929년 ~ 1968년
정부클라라 페타치1912년 2월 28일 ~ 1945년 4월 28일



무솔리니는 마르게리타 사르파티와 그의 마지막 동반자 클라라 페타치를 포함하여 여러 정부를 두었다. 전기 작가 니콜라스 페어렐에 따르면, 무솔리니는 여성 지지자들과 많은 짧은 성적 만남을 가졌다고 한다.[140]

무솔리니의 후손들은 연좌제의 적용을 받지 않았다. 후처인 라켈레 무솔리니는 1979년 89세로 사망했으며, 아들 로마노 무솔리니는 화가와 피아니스트로 활동했다. 로마노의 딸인 알레산드라 무솔리니는 우익 정치인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무솔리니의 외증손자인 로마노는 SS라치오 소속 축구 선수이다.

8. 2. 기타

무솔리니의 후손들은 연좌제의 적용을 받지 않았다. 후처인 도너 리첼은 1979년 89세로 사망하였으며, 아들 로마노 무솔리니화가와 피아니스트로 활동했다. 로마노의 딸인 알레산드라 무솔리니는 모델로 활동하다가 정계에 입문하여 우익 정치인으로 활동하고 있는데, 2차 대전 시절 자신의 외조부가 유대인들과 희랍인들에게 저질렀던 대학살 전범 과거사를 부정하고 다니면서 이탈리아 파시즘 전범사를 옹호하는 행보를 많이 보이고 있어서, 당시 무솔리니에게 당했던 대표적인 피해국들인 그리스, 이스라엘, 에티오피아 입장에서 상당히 불쾌한 시선을 받는다. 알레산드라의 이모는 이탈리아의 영화배우 소피아 로렌이다.[434]

알레산드라의 아들(무솔리니의 외증손자) 로마노는 축구 선수이다. 현재 소속팀은 SS라치오이다.

아르투로 토스카니니의 공연을 보러 온 무솔리니가 토스카니니에게 파시스트 찬가를 작곡할 것을 부탁하자 토스카니니는 그 자리에서 뛰쳐나갔고, 결국 무솔리니가 고집을 굽혔다고 한다.[434]

스포츠를 매우 좋아했으며 특히 축구를 좋아했는데, 자신이 좋아하는 축구를 이용하여 파시즘을 홍보하려고 노력했으며 그 결과 1934년 FIFA 월드컵이 변질되는 계기가 되었다. 훗날 그의 증손자가 정말로 축구 선수가 되었다.

그의 이름 '베니토'는 멕시코가 대통령과 황제가 공존하던 시절에 대통령을 했던 베니토 후아레스의 이름에서 따왔다. 하지만 두 사람은 어떤 면에서는 정반대였는데, 베니토 후아레스는 같은 나라에서 황제를 했던 막시밀리아노 1세를 총살한 반면 베니토 무솔리니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추축국이 패망하자 체포된 후 총살당했다.

무솔리니는 모국어인 이탈리아어 외에 영어, 프랑스어, 그리고 통역 없이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독일어를 구사했다. 이는 뮌헨 협정에서 주목할 만한 사실이었는데, 다른 국가 지도자들은 자신의 모국어만 사용한 반면 무솔리니는 사실상 "수석 통역관" 역할을 했다고 묘사되었다.[142]

젊은 시절부터 운동을 잘했으며, 매일 아침 체조를 하고 주스를 마신 후, 승마를 즐긴 후 샤워를 하고 아침 식사를 하는 것이 일과였다. 아침 식사에는 외에 과일이 준비되어 있었고 (본인도 과일이 건강의 비결이라고 말했다), 생선은 가끔 먹었지만 고기는 거의 먹지 않았다고 한다.

자동차모터스포츠를 좋아했으며, 국위 선양을 위해 이탈리아 자동차 제조사의 국제 레이스 참가를 권장했을 뿐만 아니라, 밀레미글리아와 같은 국내 레이스 지원도 게을리 하지 않았다. 또한 자신도 운전을 좋아하여 이탈리아의 고급차 알파로메오, 피아트, 란치아 등 다양한 차를 소유하고 운전했다. 특히 알파로메오에 대한 애정이 각별하여, 카브리올레와 스피드스터, 스파이더 코르사 등 여러 대를 소유하고 공식 행사는 물론 사적인 휴식 시간에도 알파로메오를 이용했다. 또한 바이크도 모토 비앙키사의 프레차돌로를 타고 있는 모습의 사진이 남아 있다.[309]

동물 중에서는 고양이를 좋아했다. 또한 승마 경험으로 말을 기르는 것도 취미로 삼았다.

참조

[1] 웹사이트 BBC - History - Historic Figures: Benito Mussolini (1883-1945) https://www.bbc.co.u[...] 2024-09-01
[2] 서적 Mediterranean Fascism 1919–1945 Harper Rowe
[3] 백과사전 Mussolini, Benito https://www.treccani[...] Istituto dell'Enciclopedia Italiana
[4] 서적 Living history 2: A Complete Course for Junior Certificate Educational Company of Ireland 2004
[5] 웹사이트 Benito Mussolini - Quotes, Facts & Death https://www.biograph[...] 2021-04-22
[6] 웹사이트 The birth of Benito Mussolini https://www.italyont[...] 2024-09-01
[7] 서적 Mussolini. Il Rivoluzionario Einaudi
[8] 서적 The Vatican and Mussolini's Italy Brill
[9] 뉴스 Benito Mussolini http://www.grolier.c[...] Grolier.com 2008-01-08
[10] HDS
[11] 서적 Mediterranean Fascism
[12] 서적 Benito Mussolini https://books.google[...] Compass Point Books 2020-06-03
[13] 서적 Mussolini. Il Rivoluzionario Einaudi
[14] 뉴스 Neue Zürcher Zeitung – Als Mussolini den Ehrendoktor der Uni Lausanne erhielt https://www.nzz.ch/s[...] 2018-04-03
[15] 서적
[16] 뉴스 Mussolini: il duce http://library.think[...] ThinkQuest.org 2009-10-24
[17] 서적 Mussolinis langer Schatten. Marsch auf Rom im Nadelstreif.
[18] 서적 Mussolini
[19] 서적 The Life of Benito Mussolini
[20] 기타
[21] 서적 Mediterranean Fascism 1919–1945
[22] 서적 Young Mussolini and the Intellectual Origins of Fascis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3] 서적 Mediterranean Fascism 1919–1945
[24] 서적 Young Mussolini and the Intellectual Origins of Fascism
[25] 서적 Mussolini in the Making
[26] 서적 Mussolini
[27] 서적 Fascist Spectacle: The Aesthetics of Power in Mussolini's Ital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8] 서적 Nine Etched from Life Ayer Company Publishers
[29] 서적 Mediterranean Fascism 1919–1945 Harper Rowe
[30] 서적 Isonzo: the Forgotten Sacrifice of the Great War Prager 2001
[31] 서적 Mussolini: A Study in Power Hawthorne Books
[32] 뉴스 Power-mad Mussolini sacrificed wife and son http://www.timesonli[...] 2005-01-13
[33] 서적 Rome: The Biography of a City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Limited 2001
[34] 웹사이트 The Rise of Benito Mussolini http://history.sandi[...] 2008-01-08
[35] 서적 Western Political Thought Atlantic Publishers and Distributors (P) Ltd
[36] 서적 The New Europe https://books.google[...] Books for Libraries Press 2015-08-13
[37] 서적 Contemporary History on Trial: Europe since 1989 and the Role of the Expert Historian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15-08-13
[38] 간행물 I profugi istriani, dalmati e fiumani a Lucca Instituto storico della Resistenca e dell'Età Contemporanea in Provincia di Lucca 2012-02-10
[39] 서적 Resistance, Suffering, Hope: The Slovene Partisan Movement 1941–1945 National Committee of Union of Societies of Combatants of the Slovene National Liberation Struggle 2012-10-30
[40] 서적 On the Fiery March Praeger
[41] 학술지 Fascist Modernization in Italy: Traditional or Revolutionary 2008-01-08
[42] 뉴스 Mussolini's Italy https://web.archive.[...] Appstate.edu 2008-01-08
[43] 서적 Mussolini and Italian Fascism https://books.google[...] Nelson Thornes 2020-06-03
[44] 웹사이트 Ha'aretz Newspaper, Israel, 'The Jewish Mother of Fascism http://www.haaretz.c[...] 2009-03-13
[45] 서적 The Seizure of Power: Fascism in Italy, 1919–1929 Routledge
[46] 웹사이트 Italy and the Antitrust Law: an Efficient Delay? https://web.archive.[...] 2004-02-01
[47] 웹사이트 Speech of 30 May 1924 http://it.wikisource[...]
[48] 서적 The Anatomy of Fascism Alfred A. Knopf
[49] 웹사이트 discorso sul delitto Matteotti http://it.wikisource[...] wikisource.it 2013-06-24
[50] 서적 Out of Ashes: A New History of Europe in the 20th Century
[51] 서적 The Problem of Trieste and the Italo-Yugoslav Border: Difference, Identity, and Sovereignty in Twentieth-Century Europe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15-08-13
[52] 뉴스 The Times 1926-04-08
[53] 학술지 Mussolini, Sacco-Vanzetti, and the Anarchists: The Transatlantic Context 1996-03
[54] 뉴스 Father inspired Zamboni. But Parent of Mussolini's Assailant Long Ago Gave Up Anarchism. Blood Shed in Riots throughout Italy https://www.nytimes.[...] 1926-11-03
[55] 웹사이트 The attempted assassination of Mussolini in Rome http://libcom.org/hi[...] Libcom.org 2006-09-10
[56] 웹사이트 Remembering the Anarchist Resistance to fascism https://web.archive.[...] Anarkismo.net 2005-03-03
[57] 웹사이트 1931: The murder of Michael Schirru https://web.archive.[...] Libcom.org 2006-09-11
[58] 서적 L'uomo della provvidenza: Mussolini, ascesa e caduta di un mito Mondadori
[59] 서적 Mussolini, en studie i makt
[60] 웹사이트 Italy, 24 May 1929: Fascist single list http://www.sudd.ch/e[...]
[61] 학술지 Mussolini's Follies: Fascism in Its Imperial and Racist Phase, 1935–1940 2004-05
[62] 학술지 When the Subaltern Speak: Memory of Genocide in Colonial Libya 1929 to 1933
[63] 학술지 Mussolini's Follies: Fascism in Its Imperial and Racist Phase, 1935–1940 2004-05
[64] 학술지 Mussolini's Follies: Fascism in Its Imperial and Racist Phase, 1935–1940 2004-05
[65] 학술지 Race as a Factor in Mussolini's Policy in Africa and Europe
[66] 서적 Modern Italy Pearson Longman
[67] 서적 The Doctrine of Fascism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68] 학술지 Do Government Price Controls Work? http://www.foreignaf[...]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1938-04-01
[69] 뉴스 Rear Window: Making Italy work: Did Mussolini really get the trains running on time? https://www.independ[...] 1994-04-03
[70] 서적 Black magic: an account of its beneficial use in Italy, of its perversion in Bavaria, and of certain tendencies which might necessitate its study in America https://archive.org/[...] The Bobbs-Merrill Company 1924
[71] 웹사이트 Mussolini and on-time trains https://www.snopes.c[...] 2019-05-25
[72] 뉴스 The Problem with Mussolini and his Trains https://www.citylab.[...] 2016-11-15
[73] 서적 Fascist Spectacle: The Aesthetics of Power in Mussolini's Ital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4] 서적 Mussolini
[75] 서적 Three Faces of Fascism: Action Française, Italian Fascism, National Socialism
[76] 서적 Hitler, Mussolini and the Vatican: Pope Pius XI and the speech that was never made Polity Press
[77] 뉴스 Comic escapes prosecution for insulting pope (Oddly Enough) https://www.reuters.[...] Reuters 2008-09-19
[78] 서적 Italian Immigrant Radical Culture: The Idealism of the Sovversivi in the United States, 1890–1940 https://books.google[...] New York University Press 2021-11-25
[79] 서적 Mussolini Warlord: Failed Dreams of Empire, 1940–1943 Enigma Books
[80] 서적 Mussolini and Italy Heinemann Educational
[81] 서적 Fascist Ideology Routledge
[82] 서적 On the Fiery March Praeger
[83] 서적 On the Fiery March Praeger
[84] 서적 The Origins of the Second World War Reconsidered A.J.P. Taylor and the Historians Routledge
[85] 웹사이트 Italy and Soviet Union sign treaty https://www.nytimes.[...] 2024-10-15
[86] 서적 Russia and Italy Against Hitler: The Bolshevik-Fascist Rapprochement of the 1930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24-10-15
[87] 학술지 The Visit of Rās Tafari in Europe (1924): between Hopes of Independence and Colonial Realities https://www.research[...] 2013-01
[88] 서적 Fascist Ideology Routledge
[89] 웹사이트 Ethiopia 1935–36 icrc.org 2008-01-08
[90] 서적 Study of Crisi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91] 서적 Fascist Italy Manchester University Press
[92] 서적 The Origins of the Second World War Reconsidered: A.J.P. Taylor and the Historians Routledge
[93] 서적 On the Fiery March Praeger
[94] 서적 On the Fiery March Praeger
[95] 서적 On the Fiery March Praeger
[96] 서적 The Origins of the Second World War Reconsidered: A.J.P. Taylor and the Historians Routledge
[97] 서적 The Origins of the Second World War Reconsidered: A.J.P. Taylor and the Historians Routledge
[98] 서적 On the Fiery March Praeger
[99] 서적 The Origins of the Second World War Reconsidered A.J.P. Taylor and the Historians Routledge
[100] 서적 Diary, 1937–1943 Enigma Books
[101] 서적 On the Fiery March Praeger
[102] 서적 On the Fiery March Praeger
[103] 서적 The Origins of the Second World War Reconsidered A.J.P. Taylor and the Historians Routledge
[104] 서적 Mussolini Unleashed, 1939–1941: Politics and Strategy in Fascist Italy's Last War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6-03
[105] 웹사이트 Sonderaktion Krakau http://www.polskiera[...] 2017-02-09
[106] 서적 Iron Hulls, Iron Hearts: Mussolini's Elite Armoured Divisions in North Africa The Crowood Press
[107] 웹사이트 Mussolini: Speech of the 10 June 1940, Declaration of War on France and England http://www.historica[...] 2008-09-19
[108] 뉴스 Italy Declares War http://library.think[...] ThinkQuest.org 2008-01-08
[109] 서적 Britain, South Africa and East African Campaign: International Library of Colonial History I.B. Tauris & Co Ltd
[110] 웹사이트 1940 World War II Timeline http://www.worldwari[...] WorldWarIIHistory.info 2008-01-08
[111] 서적 The Armed Forces of World War II I.B. Tauris & Co Ltd
[112] 서적 The Desert Air Force in World War II: Air Power in the Western Desert, 1940–1942 https://books.google[...] Casemate Publishers 2017-03-31
[113] 웹사이트 World War II: Operation Compass http://militaryhisto[...] About.com 2008-01-08
[114] 웹사이트 Speech Delivered by Premier Benito Mussolini http://www.ibiblio.o[...] IlBiblio.org 2008-01-08
[115] 간행물 Sixty years of ethnic cleansing https://docs.google.[...] 1999-05-00
[116] 웹사이트 Italians on the Eastern Front: From Barbarossa to Stalingrad https://warfarehisto[...] 2016-12-05
[117] 서적 Mussolini Unleashed, 1939–1941: Politics and Strategy in Fascist Italy's Last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8] 뉴스 1941: Germany and Italy declare war on US http://news.bbc.co.u[...] 1941-12-11
[119] 서적 Trial of German Major War Criminals
[120] 서적 Mussolini Unleashed, 1939–1941: Politics and Strategy in Fascist Italy's Last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1] 서적 Fascist Italy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22] 웹사이트 Modern era http://www.bestofsic[...] BestofSicily.com 2008-01-08
[123]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Third Reich Simon & Schuster
[124] 서적 A History of Fascism, 1914-1945 Routledge 1996
[125] 서적 Hitler's Raid to Save Mussolini Da Capo Press
[126] 서적 Inside the Third Reich Weidenfeld & Nicolson
[127] 문서 Führer's order regarding the Operational Zone Adriatic Coast and the Prealpine Operations Zone http://www.karawanke[...] 1943-09-10
[128] 서적 Salò-Berlino: l'alleanza difficile. La Repubblica Sociale Italiana nei documenti segreti del Terzo Reich Mursia
[129] 웹사이트 The twilight of Italian fascism http://www.enterstag[...] EnterStageRight.com 2008-01-08
[130] 간행물 Un'analisi accurata della presunta fuga in Svizzera
[131] 웹사이트 Mussolini's Final Hours, 70 Years Ago http://www.history.c[...] 2015-04-28
[132] 서적 The Last 100 Days Random House
[133] 서적 La pista inglese: Chi uccise Mussolini e la Petacci? https://books.google[...] Edizioni Ares
[134] 서적 Oneri e onori: le verità militari e politiche della guerra di liberazione in Italia https://books.google[...] GRECO & GRECO Editori
[135] 뉴스 Urbano Lazzaro, The partisan who arrested Mussolini https://www.theguard[...] 2006-02-28
[136] 잡지 What Price Brutus? http://www.time.com/[...] 1947-04-07
[137] 잡지 Time 1945-05-07
[138] 비디오 Video: Beaten Nazis Sign Historic Surrender, 1945/05/14 (1945) https://archive.org/[...] Universal Newsreel
[139] 뉴스 1945: Italian partisans kill Mussolini http://news.bbc.co.u[...] 1945-04-28
[140] 서적 Dictator Style Chronicle Books
[141] 서적 Inside Europe https://archive.org/[...] Harper & Brothers
[142] 서적 From Paris to Nuremberg: The birth of conference interpreting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143] 웹사이트 9 Things You May Not Know About Mussolini http://www.history.c[...] 2012-10-25
[144] 서적 Rachele Mussolini
[145] 서적 Benito Mussolini Twenty-First Century Books
[146] 서적 Mussolini and Italy https://books.google[...] Heinemann
[147] 뉴스 'Pope And Mussolini' Tells The 'Secret History' Of Fascism And The Church https://www.npr.org/[...] 2014-01-27
[148] 서적 Rachele Mussolini
[149] 서적 Rachele Mussolini
[150] 웹사이트 Mussolini's Final Hours https://www.history.[...] 2020-04-27
[151] 서적 Mussolini: An intimate biography https://archive.org/[...] New York, Morrow
[152] 웹사이트 "Discriminate, but do not persecute": Musolini's urban plan for the Jews of Rome https://scholarship.[...] Bryn Mawr College 2014-12-09
[153] 서적 Fascism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54] 서적 Jews in Italy Under Fascist and Nazi Rule, 1922–1945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5] 서적 Jews in Italy Under Fascist and Nazi Rule, 1922–1945
[156] 서적 Benito Mussolini
[157] 서적 Jews in Italy Under Fascist and Nazi Rule, 1922–1945
[158] 서적 Jews in Italy Under Fascist and Nazi Rule, 1922–1945
[159] 서적
[160] 웹사이트 Hitler's Table Talk https://archive.org/[...]
[161] 학술지 Mussolini's Cultural Revolution: Fascist or Nationalist? 1972-04
[162] 서적 Benito Mussolini
[163] 서적 Racial Theories in Fascist Italy https://books.google[...] Routledge
[164] 서적 Racial Theories in Fascist Italy https://books.google[...] Routledge
[165] 서적 Talks with Mussolini https://archive.org/[...] Little, Brown and Company
[166] 서적 Hitler's ten-year war on the Jews https://books.google[...] Kessinger Publishing
[167] Youtube Video clip from the speech https://www.youtube.[...]
[168] 서적 Italian Fascism and the Jews http://weber.ucsd.ed[...] University of California
[169] 웹사이트 The Italian Holocaust: The Story of an Assimilated Jewish Community http://www.acjna.org[...] The American Council for Judaism 2003-09
[170] 서적 Fascism's European Empire: Italian Occupation During the Second World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1] 서적 Italians and the Holocaust https://archive.org/[...] Basic Books Inc.
[172] 학술지 The Origins and Development of Racial Anti-Semitism in Fascist Italy
[173] 학술지 Racial Ideology between Fascist Italy and Nazi Germany: Julius Evola and the Aryan Myth, 1933–43 https://epublication[...] 2019-10-07
[174] 학술지 Recent trends in the study of Italian antisemitism under the Fascist regime
[175] 학술지 Italia docet? The Relationship between Italian Fascism and Nazism Revisited
[176] 논문 Why Mussolini turned on the Jews
[177] 서적
[178] 서적
[179] 논문 The great divide? Notions of racism in Fascist Italy and Nazi Germany: new answers to an old problem 2019-02-07
[180] 서적
[181] 서적 Italians and the Holocaust https://archive.org/[...] Basic Books Inc
[182] 서적 Italians and the Holocaust https://archive.org/[...] Basic Books Inc.
[183] 서적 Racial Theories in Fascist Ital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06-03
[184] 서적 Fascist Italy and the Middle East, 1933–40 Palgrave Macmillan 2010
[185] 논문 Mussolini's colonial race laws and state-settler relations in Africa Orientale Italiana (1935–41)
[186] 뉴스 Third Mussolini descendant enters Italian political arena https://www.timesofi[...] 2019-04-09
[187] 서적 A History of Us: War, Peace and all that Jazz Oxford University Press
[188] 웹사이트 Historic Figures: Benito Mussolini (1883–1945) http://www.bbc.co.uk[...] BBC – History – bbc.co.uk 2015-09-07
[189] 웹사이트 Mussolini founds the Fascist party – Mar 23, 1919 http://www.history.c[...] History.com 2015-09-07
[190] 웹사이트 Historic Figures: Benito Mussolini (1883–1945) https://www.bbc.co.u[...] BBC – History – bbc.co.uk 2019-12-20
[191] 논문 On Salazar and Salazarism https://www.jstor.or[...]
[192] 뉴스 Former fascists seek respectability http://www.economist[...] 2014-04-07
[193] 웹사이트 Brothers of Italy: understanding Giorgia Meloni's political party https://theweek.com/[...] 2024-09-01
[194] 뉴스 Italy goes to the polls in the shadow of Mussolini https://www.heraldsc[...] 2020-09-16
[195] 웹사이트 【連日配信・田中康夫&浅田彰の2022国際情勢回顧】ヨーロッパ「現実主義」から「ファシズム」への転換という絶望《憂国呆談 第6回 Part4》(田中康夫×浅田 彰) @gendai_biz https://gendai.media[...] 2024-01-19
[196] 뉴스 ムッソリーニ首相、エチオピア併合宣言 東京朝日新聞 1936-05-07
[197] 이미지 Propaganda poster of Benito Mussolini
[198] 간행물 BBC History magazine Bristol Magazines Ltd
[199] 서적 Mediterranean Fascism 1919-1945
[200] 웹사이트 Benito Mussolini http://www.grolier.c[...] Grolier.com 2008-01-08
[201] 서적 Living History 2; Chapter 2: ''Italy under Fascism''
[202] 웹사이트 Alessandro Mussolini http://www.geneall.n[...] GeneAll.net 2008-01-08
[203] 서적 Young Mussolini and the intellectual origins of fascis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4] 서적 Young Mussolini and the intellectual origins of fascis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5] 기타
[206] 웹사이트 Benito Mussolini http://www.historyle[...] HistoryLearningSite.co.uk 2008-01-08
[207] 서적 ムッソリーニ 紀伊国屋書店
[208] 서적 Mediterranean Fascism
[209] 서적 Mediterranean Fascism
[210] 간행물 L’Illustration 1932-09-17
[211] HDS
[212] 서적 Benito Mussolini https://books.google[...] Compass Point Books
[213] 뉴스 Mussolini: il duce http://library.think[...] ThinkQuest.org 2009-10-24
[214] 간행물 Mediterranean Fascism 1919-1945 Harper Rowe
[215] 간행물 Mediterranean Fascism 1919-1945 Harper Rowe
[216] 기타
[217] 서적 Nine Etched in Life Ayer Company Publishers
[218] 서적 Mussolini: A Study In Power Hawthorne Books
[219] 뉴스 Recruited by MI5: the name's Mussolini. Benito Mussolini http://www.guardian.[...] 2010-01-14
[220] 웹사이트 The Rise of Benito Mussolini http://history.sandi[...] 2008-01-08
[221] 뉴스 We're all fascists now http://www.salon.com[...] Salon.com 2008-01-08
[222] 서적 The New Europe https://books.google[...]
[223] 서적 Contemporary History on Trial: Europe Since 1989 and the Role of the Expert Historian https://books.google[...]
[224] 기타
[225] 기타
[226] 기타
[227] 웹사이트 Associazione nazionalista italiana http://www.pbmstoria[...]
[228] 간행물 イタリアにおける選挙制度改革 http://www.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229] 서적 A history of fascism, 1914-1945 UCL Press
[230] 기타
[231] 기타
[232] 학술지 Mussolini, Sacco-Vanzetti, and the Anarchists: The Transatlantic Context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33] 뉴스 Father inspired Zamboni. But Parent of Mussolini's Assailant Long Ago Gave Up Anarchism. Blood Shed in Riots throughout Italy http://www.proquest.[...] 1926-11-03
[234] 웹사이트 The attempted assassination of Mussolini in Rome http://libcom.org/hi[...] Libcom.org 2006-09-10
[235] 웹사이트 Remembering the Anarchist Resistance to fascism http://www.anarkismo[...] Anarkismo.net 2005-03-03
[236] 웹사이트 1931: The murder of Michael Schirru http://www.libcom.or[...] Libcom.org 2006-09-11
[237] 뉴스 1926-04-08
[238] 서적 L'uomo della provvidenza: Mussolini, ascesa e caduta di un mito Mondadori
[239] 서적 Mussolini, en studie i makt
[240] 서적 Modern Italy Pearson Longman
[241] 서적 Mussolini and Fascism Routledge (UK)
[242] 서적 Fascist Italy and the Middle East, 1933-40 Palgrave
[243] 웹사이트 Hitler's Table Talk https://archive.org/[...]
[244] 서적 Genesi e dimensioni di un vocabolario etimologico Lessico Etimologico Italiano: Etymologie und Wortgeschichte des Italienischen (Ludwig Reichert)
[245] 서적 Italian Foreign Policy 1870-194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46] 서적 Girding for Battle: The Arms Trade in a Global Perspective, 1815-1940 Greenwood Press
[247] 뉴스 昭和12年事変下本年の回顧 (1)外交 (A〜D) 報知新聞 1937-12-19
[248] 간행물 官報.1937年11月10日 https://ndlc.ndl.go.[...]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37-11-10
[249] 서적 L'uomo della provvidenza: Mussolini, ascesa e caduta di un mito Mondadori
[250] 서적
[251] 서적
[252] 웹사이트 Mussolini Unleashed, 1939–1941: Politics and Strategy in Fascist Italy's Last War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3] 웹사이트 Mussolini's War: Fascist Italy's Military Struggles from Africa and Western Europe to the Mediterranean and Soviet Union 1935?45 Casemate Publishers
[254] 웹사이트 Mussolini speech on 10 June 1940 http://globalrhetori[...]
[255] 서적 イタリア参戦、南仏へ侵入開始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1940-06-11
[256] 서적 Storia d'Italia nella guerra fascista 1940-1943 Mondadori
[257] 서적 Storia d'Italia nella guerra fascista 1940-1943 Mondadori
[258] 웹사이트 Italy Declares War http://library.think[...] ThinkQuest.org 2008-01-08
[259] 웹사이트 The Armed Forces of World War II http://www.amazon.co[...] I B Tauris & Co Ltd
[260] 웹사이트 Britain, South Africa and East African Campaign: International Library of Colonial History http://www.amazon.co[...] I B Tauris & Co Ltd
[261] 웹사이트 World War II: Operation Compass http://militaryhisto[...] About.com 2008-01-08
[262] 웹사이트 Speech Delivered by Premier Benito Mussolini http://www.ibiblio.o[...] IlBiblio.org 2008-01-08
[263] 서적
[264] 서적 Italy: A Modern History
[265] 서적 Storia della guerra di Grecia Oscar Mondadori
[266] 웹사이트 The Invasion and Battle for Greece (Operation Marita) https://www.feldgrau[...] Feldgrau.com 2008-01-08
[267] 서적
[268] 웹사이트 Fascist Italy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69] 웹사이트 The Rise and Fall of the Third Reich Simon & Schuster
[270] 웹사이트 Hitler's Raid to Save Mussolini http://www.amazon.co[...] Da Capo Press
[271] 웹사이트 The Age of the Dictators: A Study of the European Dictatorships, 1918-53 https://books.google[...] Pearson Longman
[272] 웹사이트 Mussolini's Last Republic: Propaganda and Politics in the Italian Social Republic https://books.google[...]
[273] 서적
[274] 서적
[275] 서적
[276] 서적
[277] 서적
[278] 서적
[279] 서적
[280] 서적 The Last 100 Days Random House
[281] 논문
[282] 논문
[283] 논문
[284] 논문
[285] 논문
[286] 논문
[287] 논문
[288] 논문
[289] 논문
[290] 논문
[291] 논문
[292] 논문
[293] 논문
[294] 논문
[295] 논문
[296] 논문
[297] 서적 Mussolini: A New Life
[298] 논문
[299] 논문
[300] 논문
[301] 논문
[302] 서적 20世紀全記録 クロニック 講談社 1987-09-21
[303] 논문
[304] 서적 20世紀全記録 クロニック 講談社 1987-09-21
[305] 논문
[306] 논문
[307] 논문
[308] 논문
[309] 웹사이트 第684回:ムッソリーニは生きている? ファシズム時代とイタリア車 https://www.webcg.ne[...] 2021-04-27
[310] 서적 Dictator Style Chronicle Books, San Francisco
[311] 뉴스 Alessandra Mussolini: "Addio alla politica: è un ciclo chiuso. Dopo 'Ballando con le stelle' guardo al futuro" https://www.huffingt[...] 2021-10-09
[312] 뉴스 ムッソリーニの孫娘、ローマ市議会選でトップ当選 https://www.cnn.co.j[...] 2021-10-09
[313] 서적
[314] 서적
[315] 서적
[316] 서적
[317] 서적
[318] 서적
[319] 서적 Benito Mussolini Twenty-First Century Books
[320] 서적 Mussolini: Routledge Historical Biographies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321] 서적 Mussolini and Italy https://books.google[...] Heinemann Press
[322] 서적
[323] 서적
[324] 서적
[325] 서적
[326] 뉴스 Mussolini's Cultural Revolution: Fascist or Nationalist? http://jch.sagepub.c[...] jch.sagepub.com 2008-01-08
[327] 서적 Racial Theories in Fascist Italy Routledge
[328] 서적 Racial Theories in Fascist Italy https://books.google[...] Routledge
[329] 서적 Racial Theories in Fascist Italy https://books.google[...] Routledge
[330] 서적 Hitler's ten-year war on the Jews https://books.google[...] Kessinger Publishing
[331] 서적 Italian Fascism and the Jews http://weber.ucsd.ed[...] University of California
[332] 뉴스 The Italian Holocaust: The Story of an Assimilated Jewish Community http://www.acjna.org[...] ACJNA.org 2008-01-08
[333] 서적 General anthropology Barnes & Noble
[334] 서적 Racial Theories in Fascist Italy Routledge
[335] 서적 Racial Theories in Fascist Italy Routledge
[336] 서적 Picture Imperfect: Photography and Eugenics, 1870-1940 SUSSEX ACADEMIC PRESS
[337] 뉴스 Mussolini and the Roman Catholic Church http://www.historyle[...] HistoryLearningSite.co.uk 2008-01-08
[338] 뉴스 ムソリーニ:「私は人種主義者。ヒトラーのまねではない」愛人の日記に通説覆す素顔 http://mainichi.jp/s[...]
[339] 서적 Mussolini: The Rise and Fall of Il Duce Palgrave MacMillan
[340] 서적 Germany and the Second World War Organization and Mobilization in the German Sphere of Power. VII Oxford University Press, Inc
[341] 웹사이트 From the French Shoah memorial : Angelo Donati’s report on the steps taken by the Italians to save the Jews in Italian-occupied France http://mms.pegasis.f[...]
[342] 웹사이트 La presenza ed il ruolo della IV Armata italiana in Francia meridionale prima e dopo l’8 settembre 1943 http://www.esercito.[...]
[343] 웹사이트 Italy and the Jews - Timeline http://www.jewishvir[...]
[344] 서적 Racial Theories in Fascist Italy https://books.google[...] Routledge
[345] 웹사이트 Italians and Jews in Nice 1942/43 https://books.google[...]
[346] 논문 1940年代イタリアにおける日本文化紹介 ピエトロ・シルヴィオ・リヴェッタと雑誌YAMATO https://www.grad.osa[...] 大阪芸術大学大学院芸術文化研究科 2020-01-01
[347] 간행물 古川(2007a)
[348] 간행물 古川(2007a)
[349] 간행물 古川(2007b)
[350] 간행물 岡倉、北川(1993)
[351] 논문 下位春吉とイタリア=ファシズム--ダンヌンツィオ、ムッソリーニ、日本 福岡国際大学 2011
[352] 논문 白虎隊記念碑と下位春吉 ー日伊文化交流の一側面ー https://otemae.repo.[...] Otemae University
[353] 서적 ヒトラー・ジョーク 河出書房新社 1980
[354] 서적 War of the Windsors: A Century of Unconstitutional Monarchy Mainstream Publishing 2002
[355] 논문 一九二〇年代初期日本におけるイタリア・ファシズム観の考察 https://hdl.handle.n[...] 京都大学大学院人間・環境学研究科現代文明論講座文明構造論分野道簱泰三研究室 2007
[356] 서적 西村真琴 学習研究社 2005
[357] 웹사이트 ファシストムッソリーニは日本で如何に描かれたか : 表現文化における政治的「英雄」像 https://mylibrary.ry[...] 龍谷大学 2024-01-19
[358] 이미지 무솔리니를 찬양하는 포스터 http://commons.wikim[...]
[359] 서적 A History of Us: War, Peace and all that Jazz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360] 서적 Who's Who in World Politics: From 1860 to the Present Day http://books.google.[...] Routledge 1996
[361] 서적 Mediterranean Fascism 1919-1945 1970
[362] 웹사이트 Benito Mussolini http://www.grolier.c[...] 2008-01-08
[363] 서적 Living History 2; Chapter 2: Italy under Fascism
[364] 웹사이트 Alessandro Mussolini http://www.geneall.n[...] 2008-01-08
[365] 웹사이트 Benito Mussolini http://www.historyle[...] 2008-01-08
[366] 웹사이트 Modern Leftism as Recycled Fascism http://jonjayray.tri[...] 2009-10-24
[367] 웹사이트 Mussolini: il duce http://library.think[...] 2009-10-24
[368] 서적 The Life of Benito Mussolini
[369] 서적 Mediterranean Fascism 1919-1945 1970
[370] 서적 Mediterranean Fascism 1919-1945 1970
[371] 서적 Mediterranean Fascism 1919-1945 1970
[372] 서적 Mussolini: A Study In Power Hawthorne Books 1964
[373] 뉴스 Power-mad Mussolini sacrificed wife and son http://www.timesonli[...] 2005-01-13
[374] 뉴스 Recruited by MI5: the name's Mussolini. Benito MussoliniDocuments reveal Italian dictator got start in politics in 1917 with help of £100 weekly wage from MI5 http://www.guardian.[...] 2009-10-13
[375] 웹사이트 The Rise of Benito Mussolini http://history.sandi[...] 2008-01-08
[376] 웹사이트 We're all fascists now http://www.salon.com[...] 2008-01-08
[377] 일반
[378] 웹사이트 Flunking Fascism 101 http://www.wnd.com/n[...] 2008-01-08
[379] 서적 Mussolini: The Last 600 Days of Il Duce Taylor Trade Publications 2004
[380] 서적 Western Political Thought Atlantic Publishers and Distributors (P) Ltd 1998
[381] 서적 Western Political Thought Atlantic Publishers and Distributors (P) Ltd 1998
[382] 웹사이트 Fascist Modernization in Italy: Traditional or Revolutionary http://www.jstor.org[...] 2008-01-08
[383] 웹사이트 Mussolini's Italy http://www.appstate.[...] 2008-01-08
[384] 서적 Mussolini and Italian Fascism http://books.google.[...] Nelson Thornes 1999
[385] 웹사이트 Ha'aretz Newspaper, Israel, 'The Jewish Mother of Fascism http://www.haaretz.c[...] 2009-03-13
[386] 서적 The Anatomy of Fascism Alfred A. Knopf 2004
[387] 뉴스 The Times The Times 1926-04-08
[388] 논문 Mussolini, Sacco-Vanzetti, and the Anarchists: The Transatlantic Context http://www.jstor.org[...]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6-03-01
[389] 뉴스 Father inspired Zamboni.; But Parent of Mussolini's Assailant Long Ago Gave Up Anarchism. Blood Shed in Riots throughout Italy http://www.proquest.[...] The New York Times 1926-11-03
[390] 웹사이트 The attempted assassination of Mussolini in Rome http://libcom.org/hi[...] 2009-03-13
[391] 웹사이트 1931: The murder of Michael Schirru http://www.libcom.or[...] 2009-03-13
[392] 서적 L'uomo della provvidenza: Mussolini, ascesa e caduta di un mito Mondadori 2004
[393] 웹사이트 The Vampire Economy: Italy, Germany, and the US http://www.mises.org[...] 2005-10-13
[394] 뉴스 Comic escapes prosecution for insulting pope(Oddly Enough) http://www.reuters.c[...] Reuters 2008-09-19
[395] 일반
[396] 일반
[397]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Italy: From the Etruscans to today http://www.lifeinita[...] 2008-01-08
[398] 웹사이트 Ethiopia 1935-36 http://www.icrc.org/[...] 2008-01-08
[399] 연설 Speech delivered by Premier Benito Mussolini 1941-02-23
[400] 웹사이트 Mussolini's Cultural Revolution: Fascist or Nationalist? http://jch.sagepub.c[...] 2008-01-08
[401] 서적 Racial Theories in Fascist Italy http://books.google.[...] Routledge 2002
[402] 서적 Racial Theories in Fascist Italy http://books.google.[...] Routledge 2002
[403] 서적 Fascism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404] 서적 Italian Fascism and the Jews http://weber.ucsd.ed[...] University of California 1997
[405] 웹사이트 The Italian Holocaust: The Story of an Assimilated Jewish Community http://www.acjna.org[...] 2008-01-08
[406] 웹사이트 Mussolini and the Roman Catholic Church http://www.historyle[...] 2008-01-08
[407] 서적 Racial Theories in Fascist Italy http://books.google.[...] Routledge 2002
[408] 뉴스 Time Magazine Time Magazine 1937-04-05
[409] 일반
[410] 서적 Italian Foreign Policy 1870-1940 http://books.google.[...] Routledge 1967
[411] 웹사이트 The Italo-German Alliance, May 22, 1939 http://astro.temple.[...] 2008-01-08
[412] 웹사이트 Victor Emanuel III http://www.questia.c[...] 2008-01-08
[413] 서적 Mussolini Unleashed, 1939-1941: Politics and Strategy in Fascist Italy's Last War http://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414] 웹사이트 Italy Declares War http://library.think[...] 2008-01-08
[415] 서적 Britain, South Africa and East African Campaign: International Library of Colonial History https://www.amazon.c[...] I B Tauris & Co Ltd
[416] 웹사이트 1940 World War II Timeline http://www.worldwari[...] 2008-01-08
[417] 서적 The Armed Forces of World War II https://www.amazon.c[...] I B Tauris & Co Ltd
[418] 웹사이트 Chronology of the Second World War http://www.spartacus[...] 2008-01-08
[419] 웹사이트 World War II: Operation Compass http://militaryhisto[...] 2008-01-08
[420] 일반
[421] 웹사이트 Speech Delivered by Premier Benito Mussolini http://www.ibiblio.o[...] 2008-01-08
[422] 웹사이트 The Invasion and Battle for Greece (Operation Marita) http://www.feldgrau.[...] 2008-01-08
[423] 서적 Mussolini: The Last 600 Days of Il Duce http://books.google.[...] Taylor Trade 2004
[424] 서적 Fascist Italy http://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5
[425] 웹사이트 Modern era http://www.bestofsic[...] 2008-01-08
[426] 서적 Hitler's Raid to Save Mussolini https://www.amazon.c[...] Da Capo Press 2005
[427]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Third Reich Simon & Schuster 1960
[428] 웹사이트 The twilight of Italian fascism http://www.enterstag[...] 2008-01-08
[429] 서적 The Last 100 Days Random House 1966
[430] 웹사이트 Benito Mussolini http://www.celebrity[...] 1945-04-28
[431] 뉴스 null Time Magazine 1945-05-07
[432] 서적 Mussolini: A New Life 2004
[433] null null
[434] 웹인용 영남권 대표 인터넷 신문 "매일신문" http://www.imaeil.co[...] 2009-01-1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