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세페 운가레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세페 운가레티는 이탈리아의 시인, 작가, 언론인으로, 1888년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서 태어나 파리에서 문학 수업을 받으며 기욤 아폴리네르 등과 교류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시 창작을 시작했으며, 에르메티스모 양식을 확립했다. 무솔리니 정권 하에서 언론인으로 활동했으며, 브라질 상파울루 대학교 교수를 역임하고 로마 대학교 교수로 복직했다. 1970년 노이슈타트 국제 문학상을 수상하고 밀라노에서 사망했다. 그의 작품은 전쟁의 고통과 인간의 본질을 탐구하며, "알레그리아"와 같은 시는 이탈리아 문학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집트에 거주한 이탈리아인 - 마르코 타르델리
마르코 타르델리는 유벤투스에서 활약하며 수많은 우승을 경험하고,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의 1982년 FIFA 월드컵 우승에 기여했으며, 은퇴 후 감독으로서도 활동한 이탈리아 출신의 전설적인 축구 선수이자 감독이다. - 이탈리아의 수필가 - 움베르토 에코
움베르토 에코는 이탈리아의 소설가이자 철학자, 기호학자, 중세학자로, 기호학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장미의 이름》 등의 소설과 저서를 통해 문학 이론과 대중문화에 대한 독창적인 시각을 제시하고 동서양 지식 교류에 기여했다. - 이탈리아의 수필가 - 가브리엘레 단눈치오
가브리엘레 단눈치오는 이탈리아의 시인이자 소설가, 극작가, 정치가로서 파시즘의 선구자로 여겨지며, 문학적 명성을 얻은 후 제1차 세계 대전 참전과 피우메 점령 등의 정치 활동을 펼쳐 이탈리아 파시즘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 브라질에 거주한 이탈리아인 - 크리스티안 다니엘 레데스마
크리스티안 다니엘 레데스마는 아르헨티나 출신의 축구 선수로, 미드필더로 활약했으며,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으로도 활동했고, 은퇴 후에는 지도자로 활동했다. - 브라질에 거주한 이탈리아인 - 모니카 벨루치
모니카 벨루치는 이탈리아 출신의 배우이자 모델이며, 모델 활동을 시작으로 배우로 데뷔하여 다양한 영화에 출연하며 국제적인 배우로 활동했다.
주세페 운가레티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주세페 웅가레티 |
출생일 | 1888년 2월 8일 |
출생지 | 알렉산드리아, 이집트 |
사망일 | 1970년 6월 2일 |
사망지 | 밀라노, 이탈리아 |
국적 | 이탈리아 |
직업 | 시인 저널리스트 수필가 학자 공무원 |
활동 기간 | |
활동 기간 | 1912년–1970년 |
문학 | |
장르 | 서정시 자유시 |
주제 | 문학 비평 |
사조 | 상징주의 미래주의 다다이즘 은둔주의 |
음성 | |
대표 작품 | |
주요 작품 | 기쁨(L'allegria) |
수상 | |
수상 | 노이슈타트 국제 문학상 |
기타 | |
웹사이트 | 주세페 웅가레티 프로필 |
언론 활동 | |
언론 활동 | 일 포폴로 디탈리아 가제타 델 포폴로 |
2. 생애
주세페 운가레티는 1888년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서 이탈리아 루카 출신 부모 슬하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수에즈 운하 공사에 종사하고 있었다. 1912년, 24세에 부모의 고향인 토스카나 지방을 거쳐 파리로 건너가 파리 대학교에서 수학하며, 기욤 아폴리네르, 폴 발레리, 앙드레 브르통, 트리스탕 짜라 등의 시인들과, 아메데오 모딜리아니, 모리스 위트릴로, 조르조 데 키리코 등의 화가들과 교류하였다. 소르본 대학교에서는 앙리 베르그송의 지도를 받았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을 당시 움가렛티는 밀라노에서 참전론을 지지하며 1915년부터 카르소 지방에서 오스트리아군과 싸웠다. 이때 시 창작을 시작했다. 전후에는 잡지 『보체(La Voce)』의 동인이 되어, 일종의 상징시라고 할 수 있는 에르메티스모 양식을 확립했다.
베니토 무솔리니 정권 하에서 언론인으로도 활동했다.
1936년 브라질로 건너가 상파울루 대학교 이탈리아어 학과 교수에 취임했으나, 아들을 맹장염으로 잃었다. 1942년 귀국하여 로마 대학교 현대문학과 교수에 취임했다. 이탈리아 항복 후 1944년에 교직에서 쫓겨났으나, 동료들의 복직을 요구하는 투표에 의해 1947년에 복직하여 1958년까지 재직했다. 같은 해에 아내를 잃었다.
1970년, 노이슈타트 국제 문학상 수상을 위해 미국으로 건너갔으나 폐렴에 걸려 귀국 후 밀라노에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888년 ~ 1912년)
주세페 운가레티는 1888년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서 이탈리아 토스카나 지방 루카 출신 부모에게서 태어났다.[2] 그의 아버지는 수에즈 운하 건설 현장에서 일하다 1890년 사고로 사망했다. 사하라 사막 변두리에서 제빵소를 운영하던 그의 어머니는 로마 가톨릭 신앙에 기반하여 그를 교육시켰다.운가레티의 정규 교육은 알렉산드리아의 스위스 학교에서 프랑스어로 시작되었다. 그는 그곳에서 가브리엘레 단눈치오, 샤를 보들레르, 쥘 라포르그, 스테판 말라르메, 아르튀르 랭보 등의 파르나소스파와 상징주의 시를 접했다. 또한 자코모 레오파르디, 조수에 카르두치와 같은 고전주의 작가와 독창적인 작가인 조반니 파스콜리의 작품도 접했다. 이 시기에 그는 엔리코 페아가 편집한 잡지 ''리스조르제테''에 글을 발표하며 기자이자 문학 비평가로 데뷔했다. 당시 그는 영향력 있는 잡지 ''라 보체''의 편집자 주세페 프레쫄리니와 서신을 교환했다. 페아의 ''바라카 로사''("붉은 집")를 자주 드나들던 웅가레티는 무정부주의-사회주의 계열에 동조했다.[3] 그는 기독교를 버리고 무신론자가 되었으나, 1928년에 가톨릭 신앙으로 돌아왔다.[4]
1912년, 24세의 운가레티는 프랑스 파리로 이주했다. 파리로 가는 길에 로마, 피렌체, 밀라노에 들러 프레쫄리니를 직접 만났다. 그는 프랑스 대학과 파리 대학교에서 강의를 수강했고, 그중에는 철학자 앙리 베르그송도 있었다. 그는 기욤 아폴리네르와 친구가 되었으며,[5] 아폴리네르의 작품은 그의 작품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그는 또한 카를로 카라, 움베르토 보초니, 알도 팔라체스키, 조반니 파피니, 아르덴고 소피치를 비롯한 이탈리아 이민자들과[6] 아메데오 모딜리아니[7] 와도 교류했다.
2. 2. 파리 유학과 교류 (1912년 ~ 1914년)
주세페 운가레티는 1888년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서 이탈리아 루카 출신 부모 슬하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수에즈 운하 공사에 종사하고 있었다. 1912년, 24세에 부모의 고향인 토스카나 지방을 거쳐 파리로 건너가 파리 대학교에서 수학하며, 기욤 아폴리네르, 폴 발레리, 앙드레 브르통, 트리스탕 짜라 등의 시인들과, 아메데오 모딜리아니, 모리스 위트릴로, 조르조 데 키리코 등의 화가들과 교류하였다. 소르본 대학교에서는 앙리 베르그송의 지도를 받았다.2. 3. 제1차 세계 대전 참전과 초기 시 (1914년 ~ 1918년)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운가레티는 미래파 친구들과 마찬가지로 이레덴티즘 입장을 지지하며 협상국 편에 서서 자국의 개입을 촉구했다.[8] 1년 후 보병으로 입대하여 이탈리아 북부 전선에서 참호에서 복무하며 전투에 참여했다.[9] 밀라노에서 참전론을 지지하며 1915년부터 카르소 지방에서 오스트리아군과 싸웠으며, 이때 시 창작을 시작했다. 초기의 열정과는 달리, 그는 전쟁의 현실에 끔찍함을 느꼈다. 전쟁은 또한 운가레티가 시인으로서의 재능을 발견하게 했고, 1917년에는 주로 크라스 전선에서 쓴 자유시 작품집 『일 포르토 세폴토』(Il porto sepolto, '묻힌 항구')를 출판했다.[10] 그의 유명한 작품 『랄레그리아』(L'Allegria, '환희')는 전쟁 생활의 고난을 묘사하고 있으면서도 그 목적에 대해 비관적이지 않았다.[11]2. 4. 전후 활동과 에르메티스모 (1919년 ~ 1936년)
운가레티는 결혼 1년 후 이탈리아로 돌아와 로마에 정착하여 외무부 직원으로 일했다. 베니토 무솔리니가 로마 진군을 통해 권력을 장악한 후, 운가레티는 국가 파시스트당에 가입하고 1925년 파시스트 지지 성명인 「이탈리아 작가 선언」에 서명했다.[16] 1926년~1929년에 출판된 그의 수필에서 그는 두체에게 이탈리아 문화 발전을 지휘하고 이탈리아 학회를 파시스트적 방식으로 재조직할 것을 촉구했다.[16] 그는 "학회의 첫 번째 과제는 문학인, 작가, 교사, 언론인 사이에 특정한 연결을 재확립하는 것"이며, "이 민중은 시에 굶주려 있다"고 주장했다.[16] 또한 파시스트 통치가 검열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16] 무솔리니는 운가레티의 호소에 호의적인 답변을 하지 않았지만,[16] 1923년판 「매장된 항구(Il porto sepolto)」에 서문을 붙여 그의 메시지를 정치적으로 만들었다.[17]1925년 종교적 위기를 겪은 운가레티는 3년 후 로마 가톨릭교회로 돌아왔다. 1931년에는 「가제타 델 포폴로」의 외신 특파원이 되어 이집트, 코르시카, 네덜란드 등지로 여행을 떠났다.
이 시기에 운가레티는 "헤르메티스모"를 소개했다.[18] 상징주의와 미래주의에서 영감을 받은 이 새로운 경향은 구조, 구문, 구두점을 제거한 「매장된 항구」와 아르투로 오노프리의 초기 기여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18] 이 양식은 에드거 앨런 포에서 샤를 보들레르, 아르튀르 랭보, 스테판 말라르메, 폴 발레리에 이르는 상징주의자들의 영향을 받았다.[18] 운가레티와 함께 우제니오 몬탈레, 살바토레 카시모도가 주요 대표자였다.[18]
비평가들의 찬사에도 불구하고 재정적 어려움을 겪던 운가레티는 1936년 브라질 상파울루로 이주하여 상파울루 대학교에서 이탈리아어 교수가 되었다.
2. 5. 브라질 생활과 귀국 (1936년 ~ 1970년)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된 지 3년 후인 1942년, 운가레티는 추축국 동맹국인 이탈리아로 돌아와 관계자들로부터 영예로운 대우를 받았다. 같은 해 로마 대학교에서 현대 문학 교수가 되었다. 그는 계속해서 시를 쓰고 일련의 수필을 발표했다. 그 무렵에는 ''헤르메티시즘''이 끝나고 운가레티는 몬탈레와 콰시모도처럼 시에서 더욱 형식적인 스타일을 채택했다.[18] 로마에서 운가레티는 그의 작품에 큰 영향을 받은 시인 엘리오 필리포 아크로카를 지도했다.[19]
전쟁이 끝나고 베니토 무솔리니가 실각한 후, 운가레티는 파시스트와의 관계 때문에 교수직에서 해임되었지만, 동료들이 그의 복귀를 찬성표를 던져 복직되었다. 1958년 아내의 죽음으로 괴로워하던 주세페 운가레티는 이탈리아와 해외를 여행하며 위로를 구했다. 그는 일본, 소련, 이스라엘, 미국을 방문했다.
1964년 그는 뉴욕시의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일련의 강연을 했고, 1970년에는 오클라호마 대학교의 초청으로 북스 어브로드 상을 수상했다. 마지막 여행 중 운가레티는 폐렴에 걸렸고, 뉴욕시에서 치료를 받았지만 밀라노에서 의료 감독 하에 사망했다. 그는 캄포 베라노(로마)에 묻혔다.
2. 6. 만년과 죽음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된 지 3년 후인 1942년, 운가레티는 추축국 동맹국인 이탈리아로 돌아와 관계자들로부터 영예로운 대우를 받았다. 같은 해 그는 로마 대학교에서 현대 문학 교수가 되었다. 그는 계속해서 시를 쓰고 일련의 수필을 발표했다. 그 무렵에는 ''헤르메티시즘''이 끝나고 운가레티는 몬탈레와 콰시모도처럼 시에서 더욱 형식적인 스타일을 채택했다.[18] 로마에서 운가레티는 그의 작품에 큰 영향을 받은 시인 엘리오 필리포 아크로카를 지도했다.[19]
전쟁이 끝나고 무솔리니가 실각한 후, 운가레티는 파시스트와의 관계 때문에 교수직에서 해임되었지만, 동료들이 그의 복귀를 찬성표를 던져 복직되었다. 1958년 아내의 죽음으로 괴로워하던 주세페 운가레티는 이탈리아와 해외를 여행하며 위로를 구했다. 그는 일본, 소련, 이스라엘, 미국을 방문했다.
1964년 그는 뉴욕시의 콜럼비아 대학교에서 일련의 강연을 했고, 1970년에는 오클라호마 대학교의 초청으로 북스 어브로드 상을 수상했다. 마지막 여행 중 운가레티는 폐렴에 걸렸고, 뉴욕시에서 치료를 받았지만 밀라노에서 의료 감독 하에 사망했다. 그는 캄포 베라노(로마)에 묻혔다.
3. 작품 세계
''알레그리아''(이전 제목: ''알레그리아 디 나우프라지'')는 이탈리아 문학사의 중요한 순간을 보여준다. 운가레티는 전쟁터에서 병사로서 겪은 죽음과 고통의 경험을 바탕으로 저주받은 시인들(특히 기욤 아폴리네르의 ''칼리그람'')의 시적 스타일을 수정했다.[20] 모든 사람들 사이의 형제애에 대한 희망과 우주와의 새롭게 조화를 이루고자 하는 열망[21]이 강하게 표현되어 있으며, ''아침''의 유명한 구절에서 그 인상적인 면모를 보여준다.
나는 비추네
무한한 것으로/M’illumino
d’immensoit
제1차 세계 대전과 관련된 유명한 시로는 ''솔다티''(병사들)이 있는데, 이 시는 불확실성과 공포에 대한 병사들의 감정을 상징적이고 감정적으로 묘사한다.
마치 ~처럼 있다
가을에
나무들 위에
잎새들처럼/Si sta come
d'autunno
sugli alberi
le foglieit[22]
그의 후속 작품에서 그는 인류를 보편적인 공포로부터 구원할 유일한 방법으로서 시적 단어의 중요성(헤르메티시즘과 상징주의에 의해 특징지어짐)을 연구했고, 이탈리아 고전 시의 뿌리를 되찾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했다.[23] 그의 마지막 작품은 ''임피에트리토 에 일 벨루토''라는 시로, 어린 시절 어머니의 집에 머물렀던 노부인 둔야의 "밝은 눈의 우주"에 대한 기억을 다루고 있다. 마지막 구절은 다음과 같다.
둔야의 벨벳 같은 시선
번개처럼 현재의 자비로 돌아온다/Il velluto dello sguardo di Dunja
Fulmineo torna presente pietàit[24]
3. 1. 주요 특징
''알레그리아''(이전 제목: ''알레그리아 디 나우프라지'')는 이탈리아 문학사의 중요한 순간을 보여준다. 운가레티는 전쟁터에서 병사로서 겪은 죽음과 고통의 경험을 바탕으로 저주받은 시인들(특히 기욤 아폴리네르의 ''칼리그람'')의 시적 스타일을 수정했다.[20] 모든 사람들 사이의 형제애에 대한 희망과 우주와의 새롭게 조화를 이루고자 하는 열망[21]이 강하게 표현되어 있으며, ''아침''의 유명한 구절에서 그 인상적인 면모를 보여준다.:나는 비추네
:무한한 것으로
제1차 세계 대전과 관련된 유명한 시로는 ''솔다티''(병사들)이 있는데, 이 시는 불확실성과 공포에 대한 병사들의 감정을 상징적이고 감정적으로 묘사한다.
:마치 ~처럼 있다
:가을에
:나무들 위에
:잎새들처럼[22]
그의 후속 작품에서 그는 인류를 보편적인 공포로부터 구원할 유일한 방법으로서 시적 단어의 중요성(헤르메티시즘과 상징주의에 의해 특징지어짐)을 연구했고, 이탈리아 고전 시의 뿌리를 되찾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했다.[23] 그의 마지막 작품은 ''임피에트리토 에 일 벨루토''라는 시로, 어린 시절 어머니의 집에 머물렀던 노부인 둔야의 "밝은 눈의 우주"에 대한 기억을 다루고 있다. 마지막 구절은 다음과 같다.
:둔야의 벨벳 같은 시선
:번개처럼 현재의 자비로 돌아온다[24]
3. 2. 주제
''알레그리아''(이전 제목: ''알레그리아 디 나우프라지'')는 이탈리아 문학사의 중요한 순간을 나타낸다. 운가레티는 전쟁터에서 병사로서 겪은 죽음과 고통의 경험을 바탕으로, 저주받은 시인들의 시적 스타일, 특히 기욤 아폴리네르의 ''칼리그람''의 구두점이 없는 단절된 연과, 한 단어와 한 연의 동등성을 수정했다.[20] 모든 사람들 사이의 형제애에 대한 희망과 우주와의 새롭게 조화를 이루고자 하는 열망[21]이 강하게 표현되어 있으며, ''아침''의 유명한 구절에서 그 인상적인 면모를 보여준다.제1차 세계 대전과 관련된 유명한 시로는 ''솔다티''(병사들)이 있는데, 이 시는 불확실성과 공포에 대한 병사들의 감정을 상징적이고 감정적으로 묘사한다.
그의 후속 작품에서 그는 인류를 보편적인 공포로부터 구원할 유일한 방법으로서 시적 단어의 중요성(''헤르메티시즘''과 상징주의에 의해 특징지어짐)을 연구했고, 이탈리아 고전 시의 뿌리를 되찾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했다.[23] 그의 마지막 작품은 ''임피에트리토 에 일 벨루토''라는 시로, 어린 시절 어머니의 집에 머물렀던 노부인 둔야의 "밝은 눈의 우주"에 대한 기억을 다루고 있다.
3. 3. 에르메티스모 (Hermeticism)
운가레티는 "헤르메티시즘"을 뜻하는 이탈리아어 단어인 「에르메티스모」를 소개했다.[18] 상징주의와 미래주의에서 영감을 받은 이 새로운 경향은 구조, 구문 및 구두점을 제거한 「매장된 항구」와 아르투로 오노프리의 초기 기여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18] 이러한 스타일은 에드거 앨런 포에서 보들레르, 랭보, 말라르메 및 폴 발레리에 이르는 상징주의자들의 영향을 받았다.[18] 운가레티와 함께 주요 대표자는 우제니오 몬탈레와 살바토레 카시모도였다.[18]4. 주요 작품
- ''매몰된 항구'' (''Il porto sepolto'', 1916년 및 1923년)
- ''전쟁'' (''La guerra'', 1919년 및 1947년)
- ''난파선의 환희'' (''Allegria di naufragi'', 1919년)
- ''환희'' (''L'allegria'', 1931년)
- ''시간의 감정'' (''Sentimento del tempo'', 1933년)
- ''번역'' (''Traduzioni'', 1936년)
- ''흩어진 시들'' (''Poesie disperse'', 1945년)
- ''고통'' (''Il dolore'', 1947년)
- ''약속의 땅'' (''La terra promessa'', 1950년)
- ''외침과 풍경'' (''Un grido e paesaggi'', 1952년)
- ''노인의 수첩'' (''Il taccuino del vecchio'', 1960년)
- ''한 남자의 삶'' (''Vita di un uomo'', 1969년)
- ''Demiers Jours. 1919'' (1947) (마지막 날들 1919년/Demiers Jours. 1919프랑스어)
- ''Gridasti: Soffoco...'' (1950)
- ''Poesie disperse (1915-1927)'' (1959) (흩어진 시편/Poesie disperse (1915-1927)it)
- ''Dialogo'' (1968)
- 매몰된 항구/II Porto Sepoltoit (1917)
- 『가난한 자 도시에서』(1949)
- 『사막 그리고 그 후』(1961)
- 레오네 피치오니 저, 『시인의 삶. 주세페 운가레티』(Rizzoli, 1974)
- 『수필과 논평』(1974)
- 『현대시의 발명, 브라질 문학 강의 (1937-1942)』(1984)
- 발터 마우로 저, 『주세페 운가레티의 삶』(Anemone Purpurea editrice, 로마, 2006)
5. 한국과의 관계
주세페 운가레티에 관한 저서로는 카와시마 히데아키의 『운가레티 ― 시인의 생애』(하나신사, 1994년), 카와시마 히데아키 편역의 『운가레티 시집』(20세기의 시인 9, 오자와 서점, 1993년), 카와시마 히데아키 역의 『운가레티 전시집』(치쿠마 서방, 1988년 / 이와나미 문고, 2018년(개역판)) 등이 있다. 『운가레티 전시집』에는 『운가레티 시집』에 수록된 번역본이 포함되어 있다.
6. 평가
운가레티는 에르메티스모(Hermeticism, 「밀폐주의」)와 결별했지만, 그의 초기 실험은 알폰소 가토(Alfonso Gatto), 마리오 루치(Mario Luzi), 레오나르도 시니스갈리(Leonardo Sinisgalli) 등의 시인들에 의해 한동안 계속되었다.[18] 그의 작품집은 그가 사망할 당시 「인생(Vita di un uomo)」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운가레티의 두 편의 시("병사들 - 전쟁 - 또 다른 전쟁"과 "허영")는 미국의 작곡가 해리 파치(Harry Partch)에 의해 노래로 만들어졌다(Eleven Intrusions, 1949–50). 그리고 그의 11편의 시는 프랑스-루마니아 작곡가 호라치우 러덜레스쿠(Horațiu Rădulescu)에 의해 크로노스의 종말(End of Kronos, 1999)이라는 작품에 담겼다. 그의 시의 일부는 작곡가 마이클 맨틀러(Michael Mantler)에 의해 무죄의 나라를 찾아서(Cerco un Paese Innocente)라는 1994년 녹음된 작품에 사용되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작곡가 이반 에뢰드(Iván Eröd)는 그의 네 작품("Tutto ho perduto" Op. 12 (1965), "Canti di Ungaretti" Op. 55 (1988), "Vox lucis" Op. 56 (1988–89) 그리고 그의 마지막 작품인 "Canti di un Ottantenne" Op. 95 (2019))에 그의 시를 사용했는데, 마지막 작품은 2019년 6월 사망하기 불과 며칠 전에 완성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Giuseppe Ungaretti: La biografia
http://www.novecento[...]
[2]
서적
[3]
서적
Vita d'un uomo – Saggi e interventi
Arnoldo Mondadori Editore
[4]
웹사이트
Giuseppe Ungaretti: La biografia
http://www.novecento[...]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The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Italy
Oxford University Press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뉴스
Ungaretti: 'Serve un Duce alla guida della cultura'
http://archiviostori[...]
Corriere della Sera
1996-12-12
[17]
서적
[18]
서적
Hermeticism
Merriam-Webster
[19]
웹사이트
Elio Filippo Accrocca
http://www.oxfordref[...]
Oxford University Press
[20]
서적
Storia letteraria del Novecento in Italia
SEI
[21]
서적
[22]
웹사이트
Bois de Courton
http://www.geonames.[...]
geonames.org
[23]
서적
[24]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