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여성으로 태어난 여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성으로 태어난 여성'은 주로 제2물결 페미니즘 시기에 사용된 용어로, 트랜스젠더 여성을 배제하는 방식으로 여성 전용 공간을 옹호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용어는 생물학적 성별에 기반하여 여성의 경험을 정의하며, 트랜스젠더 여성의 경험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았다. 여성 전용 공간에서 트랜스 여성을 배제하는 정책은 트랜스포비아를 영속화하고 여성의 다양한 삶의 경험을 인식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아왔으며, 미시간 여성 음악 페스티벌과 래드펨 콜렉티브 등의 단체에서 이러한 정책을 시행했다. 현대 페미니즘에서는 이 개념이 트랜스젠더를 배제하고 여성의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으며, 트랜스미소지니적이며 여성에 대한 본질적인 성차별을 조장한다는 비판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젠더비판적 여성주의 - 네이트 판
    네이트 판은 2006년 네이트닷컴 게시판으로 시작하여 여러 변화를 거쳐 현재의 온라인 커뮤니티 형태를 갖추었으며, 사용자들은 다양한 주제 토론과 경험 공유를 통해 소통하고 특히 톡톡 섹션은 활발한 참여로 큰 규모를 자랑한다.
  • 젠더비판적 여성주의 - 메갈리아
    메갈리아는 2015년 디시인사이드 메르스 갤러리에서 시작된 인터넷 페미니즘 운동 및 웹사이트로, 남성 혐오에 대항하는 '미러링' 전술을 사용하며 사회 운동을 전개했으나, 과격한 언행과 남성 혐오 논란, 웹사이트 폐쇄 등으로 한국 페미니즘에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동시에 남겼다.
  • 트랜스여성 - 얼굴 여성화 수술
    얼굴 여성화 수술은 트랜스젠더 여성과 젠더 비이진자들이 성 정체성 불쾌감을 해소하고 여성으로서 사회에 통합되도록 돕기 위해 헤어라인 교정, 이마 재형성, 코 성형, 턱 윤곽 성형 등 다양한 절차를 포함하는 맞춤형 수술이다.
  • 트랜스여성 - 트랜스젠더 호르몬 치료 (MTF)
    트랜스젠더 호르몬 치료(MTF)는 트랜스젠더 여성의 여성화를 유도하고 남성화 징후를 억제하기 위해 에스트로겐을 주성분으로 사용하며 항안드로겐이 병용되기도 하는 호르몬 요법으로, 다양한 투여 방식으로 신체적, 심리적 변화를 유발하므로 정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 제2세대 여성주의 - 여성, 거세당하다
    저메인 그리어의 《여성, 거세당하다》는 여성이 사회적으로 억압받아 활력을 잃은 상태를 '거세'로 비유하며 여성 해방을 주장하는 1970년 저서로, 남성의 여성 혐오와 여성의 자기 혐오를 지적하고 여성 스스로의 혁명을 통해 기존 성 관념에서 벗어날 것을 강조했으나, 출간 당시 페미니즘 운동의 핵심 텍스트로 주목받는 동시에 비판을 받기도 했다.
  • 제2세대 여성주의 - 슐라미스 파이어스톤
    캐나다 출신 급진적 페미니스트 이론가이자 작가인 슐라미스 파이어스톤은 여성 억압의 근원을 생물학적 재생산에서 찾고 기술 발전을 통한 여성 해방을 주장하며 제2 물결 페미니즘과 사이버페미니즘, 제노페미니즘에 큰 영향을 미쳤고, 여성 해방 운동을 주도했다.
여성으로 태어난 여성

2. 제2물결 페미니즘과 '여성으로 태어난 여성'

"여성으로 태어난 여성"이라는 용어는 제2물결 페미니즘 운동 기간 동안 사용되며 인기를 얻었다. 1978년, 토론토 레즈비언 조직은 레즈비언으로 정체화하는 트랜스젠더 여성의 입회 요청에 대한 대응으로 여성으로 태어난 여성만을 위한 정책을 채택했다. 이 정책은 평생에 걸친 여성의 경험은 여성으로 살아온 사람만이 경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1] 그 의도는 정체성이 아닌 경험으로 정의되는, 트랜스젠더 여성을 배제하는 방식으로 정의된 여성만을 위한 공간을 만드는 것이었다.[2]

주디스 버틀러(제3물결 페미니즘의 "가장 중요한 이론가"로 여겨짐)[3]는 여성으로 태어난 여성 정책에 반대하지만, 현대 제2물결 페미니스트들에 의해 종종 이 정책을 옹호하는 논거로 사용되기도 한다. 버틀러의 1990년 저서 ''젠더 트러블(Gender Trouble: Feminism and the Subversion of Identity)''에는 수행성 대 수행에 대한 논의가 포함되어 있었는데, 제2물결 페미니스트들은 트랜스 여성을 젠더 규범의 반복을 통해 수행성을 보인다는 이유로 배제하기 위해 이를 사용했다. 이는 "수행되는 정도에 따라서만 현실적"이며, 경험과의 분리 지점으로 사용되었다.[4]

2. 1. 주요 옹호자 및 비판

제2 물결 페미니즘 운동 시기 자니스 레이먼드, 로빈 모건, 제르멘 그리어, 앤드리아 드워킨, 메리 데일리 등은 '여성으로 태어난 여성' 정책을 옹호했다.[5] 이들은 트랜스젠더 여성을 가부장제에서 특권을 누린 남성으로 간주하며, 여성의 경험은 여성으로 살아온 사람만이 경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1][2] 레이먼드의 저서 ''트랜스섹슈얼 제국(The Transsexual Empire)''(1979)은 이러한 관점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저작으로 꼽힌다.[5]

쉴라 제프리스는 트랜스 여성이 채택하는 여성적 특징은 가부장제에서 처벌을 피하기 위해 여성이 채택해야 하는 것일 뿐이며, 트랜스 여성이 가부장제에 의해 강요된 고정관념적 속성을 채택하는 것은 여성 억압의 정치적 지표라고 비판했다.[2]

주디스 버틀러는 '여성으로 태어난 여성' 정책에 반대하는 입장이다.[3] 줄리아 세라노는 '여성으로 태어난 여성' 정책을 트랜스미소지니라고 비판하며, 트랜스 남성은 허용하고 트랜스 여성은 허용하지 않는 것은 이중 잣대라고 지적했다. 또한, 수술 전 트랜스 여성을 막는 것은 남근중심주의적이며, 여성이 사회화 과정을 뛰어넘을 수 있다면 출생 시 남성으로 지정된 사람도 마찬가지이므로, 트랜스 여성이 남성으로 사회화되었기 때문에 독특한 "남성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는 생각은 남성이 여성에게 없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주장이며, 이는 반페미니즘적이라고 주장했다.[5]

작가 나디아 카이랄라는 '여성으로 태어난 여성' 개념이 모순된다고 지적한다. 스스로 "여성(womyn)"이라고 불리기를 선택하면서, 생물학적 결정론을 주장하며 자신이 "여성(womyn)"으로 태어났다고 말할 수 있는지 의문을 제기했다.[6]

3. 여성 전용 공간과 배제 논란

여성 전용 공간은 여성에게 안전한 공간을 제공한다는 목적을 가진다.[7] 역사적으로 그리고 세계적으로 많은 문화권에서 여성 격리 형태를 가지고 있었고, 여전히 많은 문화권이 이를 유지하고 있다.[8][9] 그러나 '여성으로 태어난 여성(womyn-born womyn)' 정책을 가진 단체 및 행사에서는 트랜스여성을 이러한 공간에서 배제하고, 시스젠더 여성에게만 접근을 제한한다.[10][11] 이러한 배타적 관행은 여성성에 대한 논쟁적인 이해를 반영하며, 트랜스포비아를 영속화하고 여성의 다양한 삶의 경험을 인식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12]

3. 1. 미시간 여성 음악 페스티벌

미시간 여성 음악 페스티벌(MichFest)은 '여성으로 태어나 여성으로 살아가는 여성'을 위한 모임으로 묘사되었으며, 이러한 행사에 트랜스젠더 여성을 배제하는 것에 대한 반발로 더 큰 주목을 받았다.[13]

1977년, MichFest의 주요 소유주인 리사 보겔은 페미니스트 음악 단체인 올리비아 레코드에 보낸 서신에 서명하여, 샌디 스톤과 같이 페스티벌 제작 직원 중 여성으로 태어나지 않은 사람들의 참여에 반대했다.[14]

리사 보겔은 서신에서 샌디 스톤이 수술 후 트랜스젠더임에도 불구하고 이 사람을 여성 커뮤니티에 여성으로 제시한 것이 무책임하다고 생각하며, 트랜스젠더와 함께 일하기로 한 결정은 그 자체로 하나의 문제이지만, 여성들에게 이 정보를 숨긴 것은 현명하지 못한 선택이었다고 주장했다. 또한, 샌디 스톤은 백인 남성으로 성장하여 그에 따른 특권과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여성으로서 겪어야 하는 차별, 자기 혐오, 두려움을 겪어본 적이 없으므로 여성의 경험을 겪지 않은 사람과는 자매애와 연대감을 나눌 수 없다고 하였다.[14]

40년 후, 미시간 여성 음악 페스티벌은 2015년에 마지막 행사를 개최했다.[15] 이 마지막 모임은 국립 레즈비언 권리 센터, 국립 LGBTQ 태스크 포스, 그리고 웹사이트 ''The TransAdvocate'' 비영리 웹사이트가 MichFest와 여성으로 태어난 여성에 대한 보이콧 지원을 철회한 후에 열렸다.[16]

3. 2. 래드펨 콜렉티브

래드펨 콜렉티브는 영국에 기반을 둔 급진 페미니스트 단체로, "여성으로 태어나 여성으로 살아가는 여성"으로 회원 자격을 제한하며, 여성으로 태어난 여성 정책을 옹호한다.[17] 2015년 컨퍼런스 성명은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다. "래드펨 레지스트(RadFems Resist)는 여성 전용 페미니스트 행사입니다. 저희 컨퍼런스는 여성들이 여성으로서의 경험을 공유하고, 여성 해방을 위해 정치적으로 자치 조직을 구성하며, 안전한 환경에서 여성성을 기념하는 공간입니다. 저희는 소녀로 자라고 사회화된 모든 여성을 환영합니다... 저희는 가부장제 안에서 *여성 신체* 때문에 소녀와 여성으로 자라고 사회화된 젠더 폐지론자입니다."[18]

4. 현대적 관점과 비판

줄리아 세라노는 2007년에 '여성으로 태어난 여성'(WBW) 개념이 트랜스미소지니적이라고 비판했다. 세라노는 트랜스 남성은 WBW 공간에 허용되지만 트랜스 여성은 허용되지 않는 이중 잣대를 지적하며, 이는 사실상 트랜스 남성을 여성으로 취급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세라노는 WBW 개념이 여성에 대한 본질적인 성차별을 조장하며, 이는 페미니즘의 근본 사상에 반한다고 비판했다. 수술 전 트랜스 여성을 막는 것은 남근중심주의적이며 트랜스 여성을 대상화하는 것이고, 부치는 남성적인 면모에도 불구하고 페미니스트 공동체에서 잘 용인된다고 반박했다. 또한 여성이 사회화 과정을 뛰어넘을 수 있다면 출생 시 남성으로 지정된 사람도 마찬가지이며, 트랜스 여성이 남성으로 사회화되었기 때문에 독특한 "남성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는 생각은 남성이 여성에게 없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주장과 같으므로 반페미니즘적이라고 덧붙였다.[5]

작가 나디아 카이랄라는 WBW 개념이 모순된다고 지적한다. 즉, 스스로 "여성(womyn)"이라고 불리기를 선택하면서 생물학적 결정론을 주장하며 자신이 "여성(womyn)"으로 태어났다고 말하는 것은 모순이라고 비판했다.[6]

5. 한국 사회와 '여성으로 태어난 여성' 논쟁

한국 사회에서도 페미니즘 논의가 활발해지면서 '여성으로 태어난 여성' 개념과 관련된 논쟁이 발생하고 있다. 일부 급진 페미니스트들은 트랜스젠더 여성을 여성으로 인정하지 않으며, 여성 전용 공간에서 이들을 배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반면, 트랜스젠더 인권 단체와 포괄적 페미니즘을 지향하는 이들은 이러한 주장이 트랜스젠더 혐오를 조장하고 여성의 연대를 약화시킨다고 비판한다.

참조

[1] 서적 The Transsexual Empire Beacon Press
[2] 서적 Anticlimax: a feminist perspective on the sexual revolution Women's Press
[3] 웹사이트 The Rolling Revolution in Sex and Gender: A History https://www.thepubli[...] Witherspoon Institute 2017-07-31
[4]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Feminist The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12-14
[5] 서적 Whipping Girl: A Transsexual Woman on Sexism and the Scapegoating of Femininity Seal Press 2016
[6] 간행물 Born a Womyn?: Lisa Vogel's Paradigm for Transgender Exclusion https://journals.lib[...] 2015-05-01
[7] 간행물 'Safe Spaces': Experiences of Feminist Women-Only Space http://journals.sage[...] 2015
[8] 간행물 The Stubborn Persistence of Sex Segregation http://dx.doi.org/10[...] 2010
[9] 간행물 Gendered Spaces and Women's Status https://www.jstor.or[...] 1993
[10] 간행물 Born a Womyn?: Lisa Vogel's Paradigm for Transgender Exclusion https://journals.lib[...] Columbia University 2015
[11] 간행물 'Demonstrable experience of being a Mammy or Crazy Black Bitch' (essential). A critical race feminist approach to understanding Black women Headteachers' experiences in English schools http://dx.doi.org/10[...] 2022
[12] 간행물 Teaching Intersectional and Transnational Feminisms through Fiction and Film http://dx.doi.org/10[...] 2016
[13] 뉴스 The Trouble When Jane Becomes Jack https://www.nytimes.[...] 2006-08-20
[14] 뉴스 Published Letter http://eminism.org/m[...] Women's Center (Los Angeles) 1977
[15] 웹사이트 Dear Sisters, Amazon, Festival family https://www.facebook[...] 2015-04-21
[16] 간행물 This Year's Michigan Womyn's Music Festival Will Be the Last https://www.advocate[...] 2015-04-21
[17] 뉴스 Radical feminists are acting like a cult https://www.theguard[...] 2012-05-25
[18] 웹사이트 RadFems Resist 2015 http://www.radfemcol[...]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