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 (용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역은 3개의 다리 사이에 물을 넣고 그 위에 시루를 올려 곡물을 쪄 먹는 조리 도구이다. 격(鬲)과 시루를 합쳐 현(甗)이라고도 불리며, 동아시아 곡물 조리법 확립에 기여했다. 신석기 시대 황하 유역에서 토기 격이 등장했고, 용산 문화에서 시루와 함께 발전했다. 하, 상, 주 왕조 시대를 거치며 청동기 격이 나타났고, 상나라 이후에는 제사용으로 예술성을 더한 청동기 격이 제작되었다. 한나라 시대에 들어서며 쇠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신석기 시대 - 룽산 문화
룽산 문화는 기원전 3000년에서 기원전 2000년경 황하 유역에서 번성한 신석기 시대 후기 문화로, 흑색 도기, 도시 출현, 사회 계층화 심화 등의 특징을 보이며 중국 문명 기원과 발달 연구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신석기 시대 - 양사오 문화
황하 유역에서 기원전 5000년경부터 기원전 3000년경까지 번성한 양사오 문화는 채색 도기, 움집, 수수 경작을 특징으로 하며 룽산 문화 형성에 영향을 주었고 농업 방식과 사회 구조에 대한 논쟁이 있다. - 조리용기 - 솥
솥은 물이나 국을 끓이고 밥을 짓는 데 사용되는 그릇으로, 청동기 시대부터 사용되었으며, 재질, 형태,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뉘고, 한국, 중국, 일본 등 각 문화권에서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조리용기 - 시루
시루는 청동기 시대부터 곡물을 찌는 데 사용된 조리 도구로, 옹기나 곱돌로 만들어지며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떡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고 콩나물 재배, 술 제조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었다.
역 (용기) | |
---|---|
정보 | |
![]() | |
유형 | 조리 도구 |
용도 | 음식 조리 |
문화권 | 중국 문화 |
명칭 | |
중국어 | 간체자: 鬲 정체자: 鬲 |
병음 | lì |
웨이드-자일스 | li4 |
역사적 맥락 | |
시대 | 신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 |
문화 | 룽산 문화 샤자뎬 하층 문화 |
발견 장소 | 내몽골 자치구 |
특징 | |
재료 | 도자기 청동 |
형태 | 다리가 솥 몸체 아래쪽에 붙어 있는 형태 |
용도 | 곡물 등을 끓이거나 찌는 데 사용 |
2. 역사
신석기 시대 황하 유역에서 토기로 된 격(鬲)이 발생했고, 이어진 용산 문화에서 시루가 나타나면서 함께 발전했다. 격과 시루를 하나로 합쳐 '''현'''(甗)이라고도 불렀다. 3개의 다리 사이 공간에 물을 넣어 끓이고 그 위에 시루를 올려 조나 벼 등을 쪄서 먹었다. 현은 동아시아에서 곡물을 쪄 먹는 조리 문화를 만드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 하, 상, 주 시대에 걸쳐 현은 일반적인 조리 도구가 되었고, 청동기로 만든 격도 나타났다. 상나라 이후에는 제사에 사용하기 위해 수면문(獸面文) 등을 새긴 예술성이 높은 청동기 격 작품도 나타났고, 점차 그 기교는 생활용 격으로도 확대되어 용도에 맞는 개량도 이루어졌다. 하지만 한나라 시대에 들어서면서 점차 쇠퇴하게 되었다.
2. 1. 기원과 발전
신석기 시대의 황하 유역에서 토기로 된 격(鬲)이 발생했고, 이어진 용산 문화에서 시루의 등장과 함께 발전했다. 격과 시루를 하나로 간주한 경우 '''현'''(甗)이라고도 부른다. 3개의 다리 사이 공간에 물을 넣고 그 위에 시루를 올려 불을 지펴 물을 끓여 조나 벼 등을 쪄냈다. 현은 동아시아 지역에서 곡물을 쪄 먹는 조리 습관을 확립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하, 상, 주 3대에 걸쳐 현은 일반적인 조리 도구로 정착되었으며, 청동기로 된 격도 나타났다. 특히 상나라 이후에는 제사에 사용하기 위해 수면문(獸面文) 등을 새긴 예술성이 높은 청동기 격 작품도 나타났다. 또한, 점차 그 기교는 생활용 격으로도 확대되어 용도에 맞는 개량도 이루어지게 되었다.
하지만 한나라 시대에 들어서면서 점차 쇠퇴하게 되었다.
2. 2. 상나라 이후
상나라 이후에는 청동기 격 중 제사에 사용하기 위해 수면문(獸面文) 등을 새긴 예술성이 높은 작품도 나타났다. 또한, 점차 그 기교는 생활용 격으로도 확대되어 용도에 맞는 개량도 이루어졌다.[1]하지만 한나라 시대에 들어서면서 점차 쇠퇴하게 되었다.[1]
2. 3. 쇠퇴
한나라 시대에 들어서면서 격과 현은 점차 쇠퇴하였다.[1]3. 구조 및 기능
격(鬲)은 3개의 다리가 달린 솥 모양으로, 다리 사이 공간에 물을 넣어 사용한다. 시루는 격 위에 올려 곡물을 담는 용기이며, 격과 시루를 하나로 합쳐 '''현'''(甗)이라고도 부른다.[1] 3개의 다리 사이 공간에 물을 넣고 그 위에 시루를 올려 불을 지펴 물을 끓여 조나 벼 등을 쪄서 먹었다. 이처럼 격과 현은 동아시아 지역에서 곡물을 쪄 먹는 조리 습관을 확립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신석기 시대 황하 유역에서 토기로 된 격이 발생했고, 이어진 용산 문화에서 시루가 등장하면서 함께 발전했다. 하・상・주 3대에 걸쳐 현은 일반적인 조리 도구로 정착되었으며, 청동기로 된 격도 나타났다. 특히 상나라 이후에는 제사에 사용하기 위해 수면문(獸面文) 등을 새긴 예술성이 높은 청동기 격이 나타났다. 점차 그 기교는 생활용 격으로도 확대되어 용도에 맞는 개량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한나라 시대에 들어서면서 점차 쇠퇴하게 되었다.
3. 1. 구조
격은 3개의 다리가 달린 솥 모양으로, 다리 사이 공간에 물을 넣는다. 시루는 격 위에 올려 곡물을 담는 용기이다. 격과 시루를 하나로 간주하여 '현'(甗)이라고도 부른다.[1]3. 2. 기능
3개의 다리 사이 공간에 물을 넣고 그 위에 시루를 올려 불을 지펴 물을 끓여 조나 벼 등을 쪄냈다. 격은 동아시아 지역에서 곡물을 쪄 먹는 조리 습관을 확립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4. 한국에서의 격과 현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수정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이전 출력 결과물을 제공해주시기 바랍니다.)
참조
[1]
웹사이트
嵌贝彩绘陶鬲-夏家店下层文化
http://cfbwg.org/htm[...]
2021-10-14
[2]
웹사이트
讲述长城文化带故事_内蒙古
https://www.sohu.com[...]
2021-10-14
[3]
웹인용
讲述长城文化带故事_内蒙古
https://www.sohu.com[...]
2021-1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