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석기 시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석기 시대는 인류가 농경과 목축을 시작하고, 간석기 사용, 토기 제작 등 기술적, 사회적 변화를 겪은 시기이다. 중동과 아프리카에서 기원전 1만 5천 년에서 1만 년 전에 시작되었으며, 지역에 따라 기원전 4천 년까지 지속되었다. 이 시기에는 정착 생활이 시작되었고, 사회 계층화가 나타나기도 했다. 신석기 시대는 지역별로 다양한 문화적 특징을 보이며, 한국의 경우 빗살무늬토기 시대로 대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홀로세 - 중석기 시대
중석기 시대는 빙하기 후 기후 변화에 따른 문화적, 기술적 변화 시기로, 수렵, 어로, 채집 경제와 잔석기 사용을 특징으로 하며, 지역별로 다양한 문화가 존재하고 유럽에서는 홍적세 말기부터 농업 시작 전까지를 지칭한다. - 홀로세 - 최종 빙기
최종 빙기는 마지막 빙하기로, 북아메리카와 북부 유라시아를 포함한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광범위한 빙하 확장과 함께 기온이 낮아지고 건조한 기후, 해수면 하강 등이 나타났으며, 빙하기 이후 기후는 급격하게 변동하는 특징을 보인다. - 1860년대 신조어 - 동성애
동성애는 동성 간의 성적 매력, 행위, 애정을 의미하는 용어로, LGBT와 같은 포괄적인 용어가 사용되며 사회적 인식 변화와 함께 동성애자 권리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나,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 1860년대 신조어 - 여자친구
여자친구는 헌신적인 관계의 여성 파트너를 지칭하는 용어이며, 성적 관계 유무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고, 1800년대 후반에는 낭만적이거나 성적인 관계를 맺는 여성을 의미하기도 한다. - 신석기 시대 - 토기
토기는 점토를 구워 만든 그릇으로, 일본에서는 구움 정도에 따라 도자기, 자기와 구분되며 인류 최초의 화학적 변화 응용 사례로 식생활과 문화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왔고, 다원설이 유력한 발상지와 일본 열도 1만 6500년 전 토기 발견이 특징이며, 일본어 관점에서 정의, 역사, 제작 과정, 용도, 세계 각지 토기 문화를 설명한다. - 신석기 시대 - 한국의 신석기 시대
한국 신석기 시대는 기원전 8000년경부터 기원전 1500년경까지 한반도에서 빗살무늬토기와 간석기를 사용하며 농경과 어로 활동을 하고 움집을 중심으로 정착 생활을 한 시대로, 당시 자연환경 변화가 생활 방식과 사회 구조에 영향을 미쳤으며 애니미즘, 토테미즘, 샤머니즘 등의 신앙과 다양한 예술 활동의 흔적이 발견된다.
신석기 시대 | |
---|---|
지도 | |
개요 | |
시대 | 석기 시대의 마지막 시기 |
시기 | 기원전 10,000년경 ~ 기원전 2,000년경 |
선행 시대 | 중석기 시대, 후기 구석기 시대 근동 |
후행 시대 | 금석병용 시대 |
명칭 | |
그리스어 | , |
한국어 | 신석기 시대 |
영어 | Neolithic |
의미 | 새로운 돌 |
특징 | |
주요 특징 | 농업의 시작과 정착 생활의 증가 |
기술 발달 | 간석기 제작 기술 발달, 토기 제작 시작 |
사회 변화 | 촌락 형성, 사회 계층화 시작 |
주요 유적지 | |
주요 유적지 | 차탈회위크, 예리코, 아이누 말라하, 아슐리 회위크 |
기타 | |
관련 용어 | 신석기 혁명 |
2. 토기별 시대구분
중동과 같은 서남아시아에서 신석기 시대는 기원전 10000년 전에 시작되었고, 아프리카에서는 기원전 15000년 전에 시작된 것으로 밝혀졌다. 레반트에서는 초기 발전이 있어났고, 그곳에서 동쪽과 서쪽으로 확산되었다.(도기 이전의 신석기 A 그리고 도기 이전의 신석기 B)[105] 신석기 문화는 또한 기원전 8000년 경에 남동 아나톨리아와 북메소포타미아에서도 증명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허베이성 이 현 근처의 《베이푸디 선사유적지》(北福地)에는 약 7000년 전에서 8000년 전 경의 타이항산맥의 동쪽에 있는 신석기 문화 유적지이며, “츠산 문화”와 “싱롱와 문화”와 동시대의 문화유적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북중국에 있는 문화 사이와의 고고학적인 차이를 메꿔주는 유적이다. 발굴 지역은 전체 1200m2이며, 두 시기로 구성된 유적이 있다.
- '''신석기 1기'''(PPNA, Pre-Pottery Neolithic A, 토기없는 신석기 A)
팔레스타인 예리코의 레반트 지역에서 신석기 1기(PPNA)는 기원전 9500년에서 9000년경에 시작되었다.[105]
ASPRO 연대기에 따르면, 신석기 시대는 기원전 10,200년경 레반트에서 시작되었으며, 야생 곡물의 개척적인 사용이 초기 농업으로 발전하면서 나투프 문화에서 비롯되었다. 기원전 10,000년경 영거 드라이아스와 관련된 기후 변화가 사람들이 농업을 발전시키도록 강요했다고 생각된다.
터키 동남쪽 괴베클리 테페(Göbekli Tepe)의 초기 사원은 기원전 1만년을 거슬러 올라가며, 신석기 시대 1 초기의 것으로 추정된다. 이 유적지는 주변에 영구적인 주거지가 없다는 점에서 유목민 수렵 채집 부족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 보이며, 인류가 만든 가장 오래된 예배 장소일 가능성이 있다.[16] 이곳은 수렵과 채집을 하는 유목민 부족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근처의 영구 주거지의 부족으로 입증되었다. 이 사원 유적은 인류가 만든 가장 오래된 사원이다. 적어도 7개의 반석과 110만 평방미터에 이르는 면적에, 동물, 곤충, 새가 조각된 대리석 기둥을 포함하고 있다. 지붕을 떠받치는 기둥을 만들기 위해 수백명의 사람들이 석기를 사용하였다.
신석기 시대 1의 주요한 발전은 실질 농경이었다. 나투프 원신석기 문화에서는 야생 곡물이 수확되었고, 초기의 종자 선택과 파종이 일어났다. 곡물은 갈아서 가루로 만들었다. 소맥, 밀이 재배되었고, 동물들을 가축으로 길렀다.
21세기 제리코의 한 주거 유적에서 기원전 9400년을 거슬러 올라가는 무화과가 발견되었다.[105] 그 무화과는 돌연변이에 의한 변종으로 벌레에 의해 수정을 할 수 없으며, 그 나무는 단지 접붙이기에 의해서 번식될 수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증거는 무화과가 최초로 경작된 작물이며, 농경 기술의 발명품으로 기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것은 최초의 곡물 생산이 시작되기 전 수백년 동안 지속되었다.[17]

나투프와 같이 방을 갖춘 집단 주거지에 의한 정착생활이 보다 더 영구적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집들은 최초의 진흙 벽돌에 의한 주거였다. 일부일처제되고, 여자들은 가정 내에 아이들을 키웠다. 그 주거지에는 에워싼 석벽이 있었고, 예리코와 같이 돌톱이 있었다. 이 석벽은 주변 부족에 대한 방어와 홍수, 또는 동물들을 가두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또한 곡식과 고기를 저장한 것으로 추측되는 저장고도 있었다.[18]
- '''신석기 2기'''(PPNB, Pre-Pottery Neolithic B, 토기없는 신석기 B)
팔레스타인 지역의 예리코에서 기원전 8500년경에 시작되었다.[19] 방 하나 또는 여러 개가 있는 사각형의 진흙 벽돌로 만든 주거지에서 가족이 함께 살았다. 무덤 유적은 얼굴 형상을 만들기 위해 진흙으로 반죽하고, 망자의 두개골을 보존했던 조상 숭배를 암시한다.[19] 이러한 장례 문화는 시신을 정착지 밖에 두었다가 뼈만 남으면 정착지 내부 바닥 아래나 집 사이에 매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ASPRO 연대 측정법에 따르면, 레반트(요르단강 서안 예리코)에서는 신석기 2기(PPNB)가 기원전 8800년경에 시작되었다. 암만(요르단) 외곽의 '아인 가잘'은 3,000명의 주민이 거주했던 근동 최대의 선사 시대 정착지 중 하나였으며, 기원전 7250년경부터 기원전 5000년경까지 계속 거주했다.[19]
초기 인류의 주거는 구석기 시대에서 신석기 시대로 변화하면서 극적인 변화를 겪었다. 구석기 시대에는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영구적인 건축물에 살지 않았지만, 신석기 시대에 들어서면서 회반죽으로 덮인 진흙 벽돌집이 나타나기 시작했다.[85] 농업의 발전으로 영구적인 주택 건설이 일반화되었으며, 차탈횔유크에서는 9,000년 전에 지붕에 출입구를 만들고 집 안팎에 사다리를 설치했다.[85] 고상가옥은 알프스와 포 강 유역(테라마레) 지역에서 흔하게 발견되었으며, 슬로베니아의 류블랴나 습지, 오스트리아의 몬드제 호와 아터제 호 등에서 유적이 발견되었다.
- '''신석기 3기'''(PN, Pottery Neolithic, 토기 신석기 시대)
기원전 6500년 경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서 신석기 3기가 시작되었다.[21] 이 시기에는 토기를 가진 특징적인 할라프 문화(터키, 시리아, 북메소포타미아)와 우바이드 문화(남메소포타미아)가 등장했다. 동기 시대는 기원전 4500년 전에 시작되었고, 청동기 시대는 기원전 3500년 경에 등장하여 신석기 문화를 대체하였다.[21]
2. 1. 신석기 1기-토기없는 신석기 시대 A (PPNA)
팔레스타인 예리코의 레반트 지역에서 '''신석기 1기'''(PPNA, Pre-Pottery Neolithic A, 토기없는 신석기 A)는 기원전 9500년에서 9000년경에 시작되었다.[105] 실제 연도는 과학자마다 탄소연대측정 결과가 다르게 나오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다.ASPRO 연대기에 따르면, 신석기 시대는 기원전 10,200년경 레반트에서 시작되었으며, 야생 곡물의 개척적인 사용이 초기 농업으로 발전하면서 나투프 문화에서 비롯되었다. 기원전 10,000년경 영거 드라이아스와 관련된 기후 변화가 사람들이 농업을 발전시키도록 강요했다고 생각된다.
터키 동남쪽 괴베클리 테페(Göbekli Tepe)의 초기 사원은 기원전 1만년을 거슬러 올라가며, 신석기 시대 1 초기의 것으로 추정된다. 이 유적지는 주변에 영구적인 주거지가 없다는 점에서 유목민 수렵 채집 부족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 보이며, 인류가 만든 가장 오래된 예배 장소일 가능성이 있다.[16] 이곳은 수렵과 채집을 하는 유목민 부족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근처의 영구 주거지의 부족으로 입증되었다. 이 사원 유적은 인류가 만든 가장 오래된 사원이다. 적어도 7개의 반석과 110만 평방미터에 이르는 면적에, 동물, 곤충, 새가 조각된 대리석 기둥을 포함하고 있다. 지붕을 떠받치는 기둥을 만들기 위해 수백명의 사람들이 석기를 사용하였다.
신석기 시대 1의 주요한 발전은 실질 농경이었다. 나투프 원신석기 문화에서는 야생 곡물이 수확되었고, 초기의 종자 선택과 파종이 일어났다. 곡물은 갈아서 가루로 만들었다. 소맥, 밀이 재배되었고, 동물들을 가축으로 길렀다.
21세기 제리코의 한 주거 유적에서 기원전 9400년을 거슬러 올라가는 무화과가 발견되었다.[105] 그 무화과는 돌연변이에 의한 변종으로 벌레에 의해 수정을 할 수 없으며, 그 나무는 단지 접붙이기에 의해서 번식될 수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증거는 무화과가 최초로 경작된 작물이며, 농경 기술의 발명품으로 기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것은 최초의 곡물 생산이 시작되기 전 수백년 동안 지속되었다.[17]
나투프와 같이 방을 갖춘 집단 주거지에 의한 정착생활이 보다 더 영구적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집들은 최초의 진흙 벽돌에 의한 주거였다. 일부일처제되고, 여자들은 가정 내에 아이들을 키웠다. 그 주거지에는 에워싼 석벽이 있었고, 예리코와 같이 돌톱이 있었다. 이 석벽은 주변 부족에 대한 방어와 홍수, 또는 동물들을 가두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또한 곡식과 고기를 저장한 것으로 추측되는 저장고도 있었다.[18]
2. 2. 신석기 2기-토기없는 신석기 시대 B (PPNB)
팔레스타인 지역의 예리코에서 기원전 8500년경에 시작되었다.[19] 방 하나 또는 여러 개가 있는 사각형의 진흙 벽돌로 만든 주거지에서 가족이 함께 살았다. 무덤 유적은 얼굴 형상을 만들기 위해 진흙으로 반죽하고, 망자의 두개골을 보존했던 조상 숭배를 암시한다.[19] 이러한 장례 문화는 시신을 정착지 밖에 두었다가 뼈만 남으면 정착지 내부 바닥 아래나 집 사이에 매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ASPRO 연대 측정법에 따르면, 레반트(요르단강 서안 예리코)에서는 신석기 2기(PPNB)가 기원전 8800년경에 시작되었다. 암만(요르단) 외곽의 '아인 가잘'은 3,000명의 주민이 거주했던 근동 최대의 선사 시대 정착지 중 하나였으며, 기원전 7250년경부터 기원전 5000년경까지 계속 거주했다.[19]
초기 인류의 주거는 구석기 시대에서 신석기 시대로 변화하면서 극적인 변화를 겪었다. 구석기 시대에는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영구적인 건축물에 살지 않았지만, 신석기 시대에 들어서면서 회반죽으로 덮인 진흙 벽돌집이 나타나기 시작했다.[85] 농업의 발전으로 영구적인 주택 건설이 일반화되었으며, 차탈횔유크에서는 9,000년 전에 지붕에 출입구를 만들고 집 안팎에 사다리를 설치했다.[85] 고상가옥은 알프스와 포 강 유역(테라마레) 지역에서 흔하게 발견되었으며, 슬로베니아의 류블랴나 습지, 오스트리아의 몬드제 호와 아터제 호 등에서 유적이 발견되었다.
2. 3. 신석기 3기-토기 신석기 시대 (PN)
기원전 6500년 경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서 신석기 3기가 시작되었다.[21] 이 시기에는 토기를 가진 특징적인 할라프 문화(터키, 시리아, 북메소포타미아)와 우바이드 문화(남메소포타미아)가 등장했다. 동기 시대는 기원전 4500년 전에 시작되었고, 청동기 시대는 기원전 3500년 경에 등장하여 신석기 문화를 대체하였다.[21]3. 지역별 시대구분
중동에서는 신석기 시대로 분류되는 문화가 기원전 10천년경에 나타나기 시작했다.[22] 초기 발전은 레반트(예: 토기 이전 신석기 A 및 토기 이전 신석기 B)에서 일어났으며, 거기에서 동쪽과 서쪽으로 퍼져나갔다. 신석기 문화는 기원전 약 8000년경 동남부 아나톨리아와 북부 메소포타미아에서도 확인된다.
ASPRO 연대기에 따르면, 신석기 시대는 기원전 10,200년경 레반트에서 시작되었으며, 야생 곡물의 개척적인 사용이 초기 농업으로 발전하면서 나투프 문화에서 비롯되었다. 나투프 시대 또는 "원 신석기 시대"는 기원전 12,500년부터 9,500년까지 지속되었으며, 기원전 10,200년~8800년의 옹기 이전 신석기 A 시대(PPNA)와 겹치는 것으로 여겨진다. 나투프인들이 야생 곡물에 의존하게 되었고, 그들 사이에서 정주 생활이 시작되었기 때문에, 영거 드라이아스(기원전 10,000년경)와 관련된 기후 변화가 사람들이 농업을 발전시키도록 강요했다고 생각된다.
비옥한 초승달 지대의 기원 작물은 밀, 렌틸콩, 완두콩, 병아리콩, 쓴 벳치, 그리고 아마였다. 다른 주요 작물로는 벼, 기장, 옥수수, 감자 등이 길들여졌다.
초기 신석기 시대 농업은 야생과 재배된 식물 모두를 포함하는 좁은 범위의 식물, 즉 일립 밀, 기장, 스펠트, 그리고 개의 사육에 국한되었다. 기원전 8000년경에는 길들여진 양과 염소, 소, 그리고 돼지를 포함하게 되었다.
아나톨리아 신석기 농부들은 그들의 조상의 상당 부분을 아나톨리아 수렵 채집인(AHG)으로부터 물려받았는데, 이는 이 지역에 인구 이동 확산에 의해 농업이 전파된 것이 아니라 이 수렵 채집인들에 의해 현지에서 농업이 채택되었음을 시사한다.[12]
; 비옥한 초승달 지대
기원전 9500년경에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서 “토기없는 신석기 시대 A”(PPNA)에 속하는 완전히 발달된 신석기 문화가 등장하였다.[22] 기원전 9000년경에는 레반트에서 예리코가 등장하였는데, 이는 세계 최초의 도시 중 하나였다. 예리코는 석벽과 대리석벽으로 둘러싸여 있었고, 2000명에서 3000명의 인구를 수용했으며, 거대한 석탑이 존재했다.[23] 기원전 6000년경에는 할라프 문화가 레바논,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시리아, 아나톨리아, 북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등장하여 건조한 대지에서 농경 생활을 영위하였다.
; 남메소포타미아
충적세 평야인 수메르와 엘람에서는 강우량이 적어 관개 시설이 필수적이었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기원전 5500년경 우바이드 문화가 등장하였다.[27]
; 아프리카
아프리카에서 경작을 하거나 소와 같은 가축을 기른 것은 약 15000년 전이다. 아프리카 사람들은 밀과 보리, 콩을 기를 방법을 발견하였으며, 다른 야채나 곡물은 기원 전 1000년경에 발견하였다. 아프리카에서는 수수와 사탕수수는 적어도 5000년 전에 경작되었다. 먹을 것을 생산해 내는 경제는 적도의 북쪽에 사는 아프리카 사람들에 의해서 기원전 6000년에서 기원전 1000년 사이에 확립되었다.
; 북동아프리카
동아프리카에서 신석기 문화의 가장 초기 증거는 현재 이집트 남서부에 있는 비르 키세이바와 납타 플라야의 고고학 유적지에서 발견되었다.[28] 양과 염소의 가축화는 기원전 6000년경에 근동에서 이집트로 전파되었을 가능성이 있다.[29][30][31]
; 북서아프리카
마그레브의 신석기화는 기원전 5500-5300년경 이베리아 반도, 레반트, 그리고 아마도 시칠리아의 이주민들에 의해 시작되었다.[36] 초기 신석기 시대에는 유럽인들에 의해 농업이 도입되었고, 이후 현지인들에 의해 채택되었다.[36] 중기 신석기 시대에는 레반트 지역에서 유입된 인구가 마그레브에 나타났는데, 이는 이 지역에 목축이 도입된 시기와 일치한다.[36] 토기, 재배 곡물, 그리고 가축 사육에 대한 가장 오래된 증거는 모로코, 특히 카프엘가르에서 발견된다.[36]
;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목축 신석기 시대'''는 아프리카의 선사 시대에서 식량 생산이 시작된 시기를 나타내는 시대로, 후기 구석기 시대 이후에 해당한다. "목축 신석기 시대"라는 용어는 고고학자들이 주로 사하라 사막[39]과 동아프리카[40]의 초기 목축민 시대를 설명하는 데 사용한다.
'''사바나 목축 신석기 시대'''(SPN)는 동아프리카의 지구대와 그 주변 지역에 목축 신석기 시대로 알려진 시기에 나타난 고대 사회들의 집합체이다. 고고학, 역사 언어학 및 고고 유전학을 통해 이들은 일반적으로 이 지역 최초의 아프로아시아어족 사용 정착민으로 확인되었다. 가축 뼈와 무덤의 고고학적 연대 측정을 통해 이 문화 복합체가 이 지역에서 가장 초기의 목축과 석조 건축의 중심지임을 확인하였다.[42]
; 유럽
남동유럽에서 농경 사회가 기원전 7000년 경에 최초로 등장하였다.[43][44] 그리고 중앙 유럽에는 기원전 5500년에 등장하였다. 알바니아 남동부 바슈테미(Vashtëmi)에서 발견된 유럽 최초의 농업 유적지는 기원전 65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43][44] 이 지역의 가장 초기의 문화 유적지 중에는 테살리아에 있었던 세스클로 문화(Sesklo culture )가 있었고, 이후 발칸반도로 나아가 크리스(Starčevo-Körös), 리니어밴드케라믹(Linearbandkeramic), 빈카 문화(Vinča)로 확장된다.[47] 문화의 융화와 사람들의 이주를 통해, 신석기 전통은 서쪽과 북쪽으로 확대되어 기원전 4500년 경 북서유럽에 도달한다.
빈카 문화(Vinča)는 가장 초기 단계의 문자 체계인 빈카 부호를 만들어 냈다.[48] 그러나 고고학자들은 통상적으로 수메르인의 쐐기문자가 최초의 진짜 문자형태라고 받아들이고 있다.[48]
; 남아시아/동아시아
남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신석기 유적은 기원전 7000년경의 《메르가르》이다.[52][53][54] 이 유적은 파키스탄 발루키스탄의 카치 평원에 있으며, 밀과 보리 농경과 소, 양, 염소를 이용한 축산의 증거를 가진 남아시아의 가장 초기 유적 중 하나이다. 메르가르 유적지에서는 밀과 보리의 재배가 빠르게 염소, 양, 소의 가축화로 이어진 것이 확인되었다.[55]
동아시아에서는 기원전 9500~9000년경의 난장터우 문화, 기원전 7500~6100년경의 펑터우산 문화, 기원전 7000~5000년경의 페이리강 문화가 가장 이른 유적지로 꼽힌다. 중국 허베이성 의현 근처의 선사시대 베이푸디 유적은 기원전 6000~5000년경의 치산 문화와 싱롱와 문화와 동시대의 문화 유적을 포함하고 있으며, 태항산 동쪽의 두 북중국 문화 사이의 고고학적 공백을 메운다.[59] 기원전 3000년에서 1900년 사이에는 룽산 문화가 중국 북부의 중하류 황하 유역에 존재했다.
강원도 고성 무남리에서 발견된 농업 유적은 동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농경지일 가능성이 있으며,[61] 농업 경작의 역사가 적어도 한반도에서 그 시대에 시작되었음을 보여준다.[62] 이 농장은 기원전 3600년에서 3000년 사이로 추정된다. "2002년 연구원들은 이 지역에서 선사시대 토기, 옥 귀고리 등을 발견했다."[62]
유럽에서 확립된 유물 고증적인 고고학 방법론은 최근에야 활발해지고 있지만, 남부의 다습한 기후와 북부의 전란으로 인해 유적이 많이 소실되었다. 그러나 중요한 발견도 잇따르고 있으며, 가장 오래된 수도 재배가 확인된 장강 중류 지역의 팽두산 문화(彭頭山文化)의 기원은 기원전 8000년경까지 거슬러 올라가고, 벼 이삭이 발견된 옥잠암(玉蟾岩) 유적은 기원전 1만 40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 현재의 시대 판정으로는 이러한 장강 문명(長江文明)은 황하 문명(黄河文明)이나 요하 문명(遼河文明)보다 수천 년 앞선다.
DNA 연구에 따르면, 기원전 10세기경 은(殷)(殷)에서 주(周)(周)로의 정변 혼란을 피해 바다로 피난한 사람들이 일본에 표착했고, 그들은 도래인(渡来人)으로서 동시에 벼농사를 중심으로 한 야요이 문화를 전파했다고 하며, 후대의 일본과 중요한 관련이 있었다는 견해가 있다.
; 아메리카
아메리카 대륙에서 경작이나 정착생활과 같은 유사한 행위들이 기원전 4500년 경에 등장하였다.[63] 중앙아메리카에서는 기원전 4500년경 남아메리카에서 발생했지만, 기원전 11,000~10,0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갈 가능성도 있다.[63]
;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는 뉴기니와 달리 신석기 시대가 없었던 것으로 일반적으로 여겨져 왔으며, 유럽인이 도착할 때까지 수렵 채집 생활이 계속되었다.[66]
3. 1. 서남아시아
중동에서는 신석기 시대로 분류되는 문화가 기원전 10천년경에 나타나기 시작했다.[22] 초기 발전은 레반트(예: 토기 이전 신석기 A 및 토기 이전 신석기 B)에서 일어났으며, 거기에서 동쪽과 서쪽으로 퍼져나갔다. 신석기 문화는 기원전 약 8000년경 동남부 아나톨리아와 북부 메소포타미아에서도 확인된다.ASPRO 연대기에 따르면, 신석기 시대는 기원전 10,200년경 레반트에서 시작되었으며, 야생 곡물의 개척적인 사용이 초기 농업으로 발전하면서 나투프 문화에서 비롯되었다. 나투프 시대 또는 "원 신석기 시대"는 기원전 12,500년부터 9,500년까지 지속되었으며, 기원전 10,200년~8800년의 옹기 이전 신석기 A 시대(PPNA)와 겹치는 것으로 여겨진다. 나투프인들이 야생 곡물에 의존하게 되었고, 그들 사이에서 정주 생활이 시작되었기 때문에, 영거 드라이아스(기원전 10,000년경)와 관련된 기후 변화가 사람들이 농업을 발전시키도록 강요했다고 생각된다.
비옥한 초승달 지대의 기원 작물은 밀, 렌틸콩, 완두콩, 병아리콩, 쓴 벳치, 그리고 아마였다. 다른 주요 작물로는 벼, 기장, 옥수수, 감자 등이 길들여졌다. 작물은 일반적으로 단일 지역에서 길들여졌으며, 조상 야생 종은 여전히 발견된다.[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B978012805247100006X]
초기 신석기 시대 농업은 야생과 재배된 식물 모두를 포함하는 좁은 범위의 식물, 즉 일립 밀, 기장, 스펠트, 그리고 개의 사육에 국한되었다. 기원전 8000년경에는 길들여진 양과 염소, 소, 그리고 돼지를 포함하게 되었다.
아나톨리아 신석기 농부들은 그들의 조상의 상당 부분을 아나톨리아 수렵 채집인(AHG)으로부터 물려받았는데, 이는 이 지역에 인구 이동 확산에 의해 농업이 전파된 것이 아니라 이 수렵 채집인들에 의해 현지에서 농업이 채택되었음을 시사한다.[12]
3. 1. 1. 비옥한 초승달 지대
기원전 9500년경에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서 “토기없는 신석기 시대 A”(PPNA)에 속하는 완전히 발달된 신석기 문화가 등장하였다.[22] 기원전 9000년경에는 레반트에서 예리코가 등장하였는데, 이는 세계 최초의 도시 중 하나였다. 예리코는 석벽과 대리석벽으로 둘러싸여 있었고, 2000명에서 3000명의 인구를 수용했으며, 거대한 석탑이 존재했다.[23] 기원전 6000년경에는 할라프 문화가 레바논,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시리아, 아나톨리아, 북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등장하여 건조한 대지에서 농경 생활을 영위하였다.3. 1. 2. 남메소포타미아
충적세 평야인 수메르와 엘람에서는 강우량이 적어 관개 시설이 필수적이었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기원전 5500년경 우바이드 문화가 등장하였다.[27]3. 2. 아프리카
아프리카에서 경작을 하거나 소와 같은 가축을 기른 것은 약 15000년 전이다. 아프리카 사람들은 밀과 보리, 콩을 기를 방법을 발견하였으며, 다른 야채나 곡물은 기원 전 1000년경에 발견하였다. 아프리카에서는 수수와 사탕수수는 적어도 5000년 전에 경작되었다. 먹을 것을 생산해 내는 경제는 적도의 북쪽에 사는 아프리카 사람들에 의해서 기원전 6000년에서 기원전 1000년 사이에 확립되었다.3. 2. 1. 북동아프리카
동아프리카에서 신석기 문화의 가장 초기 증거는 현재 이집트 남서부에 있는 비르 키세이바와 납타 플라야의 고고학 유적지에서 발견되었다.[28] 양과 염소의 가축화는 기원전 6000년경에 근동에서 이집트로 전파되었을 가능성이 있다.[29][30][31] 그레이엄 바커는 "나일 계곡에서 가축화된 식물과 동물에 대한 최초의 확실한 증거는 이집트 북부에서는 기원전 5천년대 초, 남쪽에서는 그보다 천 년 후에 나타나는데, 두 경우 모두 여전히 어업, 사냥, 야생 식물 채집에 크게 의존하는 전략의 일부였다"라고 말하며, 이러한 생계 변화가 근동에서 이주해 온 농부들 때문이 아니라, 곡물이 토착종이거나 교류를 통해 얻은 것이든, 토착적인 발전이었다고 주장한다.[32] 다른 학자들은 이집트의 농업과 가축화된 동물(그리고 진흙 벽돌 건축과 다른 신석기 문화적 특징)에 대한 주요 자극이 중동에서 왔다고 주장한다.[33][34][35]
3. 2. 2. 북서아프리카
마그레브의 신석기화는 기원전 5500-5300년경 이베리아 반도, 레반트, 그리고 아마도 시칠리아의 이주민들에 의해 시작되었다.[36] 초기 신석기 시대에는 유럽인들에 의해 농업이 도입되었고, 이후 현지인들에 의해 채택되었다.[36] 중기 신석기 시대에는 레반트 지역에서 유입된 인구가 마그레브에 나타났는데, 이는 이 지역에 목축이 도입된 시기와 일치한다.[36] 토기, 재배 곡물, 그리고 가축 사육에 대한 가장 오래된 증거는 모로코, 특히 카프엘가르에서 발견된다.[36]3. 2. 3.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목축 신석기 시대'''는 아프리카의 선사 시대에서 식량 생산이 시작된 시기를 나타내는 시대로, 후기 구석기 시대 이후에 해당한다. 다른 지역의 신석기 시대와 달리 농업 사회의 발전을 보였던 것이 아니라, 아프리카에서 최초의 식량 생산 형태는 이동하는 목축[37][38] 또는 가축의 방목과 관리를 중심으로 한 생활 방식이었다. "목축 신석기 시대"라는 용어는 고고학자들이 주로 사하라 사막[39]과 동아프리카[40]의 초기 목축민 시대를 설명하는 데 사용한다.'''사바나 목축 신석기 시대'''(SPN, 이전에는 '''돌 그릇 문화'''로 알려짐)는 동아프리카의 지구대와 그 주변 지역에 목축 신석기 시대로 알려진 시기에 나타난 고대 사회들의 집합체이다. 그들은 남 쿠시어파를 사용하는 목축민들이었으며, 돌 그릇, 절구, 맷돌 및 토기가 특징인 도구를 사용하여 무덤을 쌓아 죽은 자를 매장하는 경향이 있었다.[41] 고고학, 역사 언어학 및 고고 유전학을 통해 이들은 일반적으로 이 지역 최초의 아프로아시아어족 사용 정착민으로 확인되었다. 가축 뼈와 무덤의 고고학적 연대 측정을 통해 이 문화 복합체가 이 지역에서 가장 초기의 목축과 석조 건축의 중심지임을 확인하였다.[42]
3. 3. 유럽
남동유럽에서 농경 사회가 기원전 7000년 경에 최초로 등장하였다.[43][44] 그리고 중앙 유럽에는 기원전 5500년에 등장하였다. 알바니아 남동부 바슈테미(Vashtëmi)에서 발견된 유럽 최초의 농업 유적지는 기원전 65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43][44] 이 지역의 가장 초기의 문화 유적지 중에는 테살리아에 있었던 세스클로 문화(Sesklo culture )가 있었고, 이후 발칸반도로 나아가 크리스(Starčevo-Körös), 리니어밴드케라믹(Linearbandkeramic), 빈카 문화(Vinča)로 확장된다.[47] 문화의 융화와 사람들의 이주를 통해, 신석기 전통은 서쪽과 북쪽으로 확대되어 기원전 4500년 경 북서유럽에 도달한다.빈카 문화(Vinča)는 가장 초기 단계의 문자 체계인 빈카 부호를 만들어 냈다.[48] 그러나 고고학자들은 통상적으로 수메르인의 쐐기문자가 최초의 진짜 문자형태라고 받아들이고 있으며, 빈카 부호는 문자라기 보다는 픽토그램이나 표의문자에 가깝다고 생각한다.[48]
지중해의 고조 섬(Gozo, 몰타 군도 위의 섬)의 거석 시대의 사원 유물단지와 몰타의 나즈드라(Mnajdra) 사원은 거대한 신석기 구조물로 주목할 만 하다.[49] 이것들 중 가장 오래된 것은 기원전 3600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몰타 파올라(Paola)에 있는 할사플리에니 지하묘지(Hypogeum of Ħal-Saflieni)는 기원전 2500년경 발굴된 지하 구조물로, 원래는 성소였지만 나중에 묘지가 되었으며, 세계 유일의 선사 시대 지하 사원이며, 몰타 섬의 선사 시대에 독특한 석조 조각 예술성을 보여준다.[49]
기원전 2500년 이후 이 섬들은 새로운 청동기 시대 이민자들이 도착할 때까지 수십 년 동안 인구가 감소했는데, 이 문화는 화장을 하고 돌멘(dolmens)이라는 작은 거석 구조물을 몰타에 도입했다.[49] 대부분의 경우 여기에 작은 방들이 있으며, 덮개는 직립한 돌 위에 놓인 큰 판으로 만들어져 있다. 이들은 이전 거석 사원을 건설한 사람들과 다른 인구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몰타 돌멘이 시칠리아에서 발견된 일부 작은 건축물과 유사하기 때문에 시칠리아에서 온 것으로 추정된다.[50]
3. 4. 남아시아/동아시아
남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신석기 유적은 기원전 7000년경의 《메르가르》이다.[52][53][54] 이 유적은 파키스탄 발루키스탄의 카치 평원에 있으며, 밀과 보리 농경과 소, 양, 염소를 이용한 축산의 증거를 가진 남아시아의 가장 초기 유적 중 하나이다. 메르가르 유적지에서는 밀과 보리의 재배가 빠르게 염소, 양, 소의 가축화로 이어진 것이 확인되었다.[55] 2006년 4월, 과학 저널 ''네이처''에 메르가르에서 가장 오래된 (그리고 최초의 ''초기 신석기 시대'') 치아 천공(드릴과 규암 끝을 사용) 증거가 발견되었다는 발표가 있었다.[56]동아시아에서는 기원전 9500~9000년경의 난장터우 문화, 기원전 7500~6100년경의 펑터우산 문화, 기원전 7000~5000년경의 페이리강 문화가 가장 이른 유적지로 꼽힌다. 중국 허베이성 의현 근처의 선사시대 베이푸디 유적은 기원전 6000~5000년경의 치산 문화와 싱롱와 문화와 동시대의 문화 유적을 포함하고 있으며, 태항산 동쪽의 두 북중국 문화 사이의 고고학적 공백을 메운다.[59] 기원전 3000년에서 1900년 사이에는 룽산 문화가 중국 북부의 중하류 황하 유역에 존재했다. 기원전 3천년 말엽에는 이 지역 대부분의 인구가 급격히 감소하고 많은 대규모 중심지가 버려졌는데, 이는 홀로세 기후 최적기의 종말과 관련된 환경 변화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60]
강원도 고성 무남리에서 발견된 농업 유적은 동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농경지일 가능성이 있으며,[61] 농업 경작의 역사가 적어도 한반도에서 그 시대에 시작되었음을 보여준다.[62] 이 농장은 기원전 3600년에서 3000년 사이로 추정된다. "2002년 연구원들은 이 지역에서 선사시대 토기, 옥 귀고리 등을 발견했다."[62]
유럽에서 확립된 유물 고증적인 고고학 방법론은 최근에야 활발해지고 있지만, 남부의 다습한 기후와 북부의 전란으로 인해 유적이 많이 소실되었다. 그러나 중요한 발견도 잇따르고 있으며, 가장 오래된 수도 재배가 확인된 장강 중류 지역의 팽두산 문화(彭頭山文化)의 기원은 기원전 8000년경까지 거슬러 올라가고, 벼 이삭이 발견된 옥잠암(玉蟾岩) 유적은 기원전 1만 40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 현재의 시대 판정으로는 이러한 장강 문명(長江文明)은 황하 문명(黄河文明)이나 요하 문명(遼河文明)보다 수천 년 앞선다.
DNA 연구에 따르면, 기원전 10세기경 은(殷)(殷)에서 주(周)(周)로의 정변 혼란을 피해 바다로 피난한 사람들이 일본에 표착했고, 그들은 도래인(渡来人)으로서 동시에 벼농사를 중심으로 한 야요이 문화를 전파했다고 하며, 후대의 일본과 중요한 관련이 있었다는 견해가 있다.
3. 5. 아메리카
아메리카 대륙에서 경작이나 정착생활과 같은 유사한 행위들이 기원전 4500년 경에 등장하였다.[63] 중앙아메리카에서는 기원전 4500년경 남아메리카에서 발생했지만, 기원전 11,000~10,0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갈 가능성도 있다.[63] 북아메리카에서는 다른 용어가 사용되는데, 중기-후기 신석기 시대 대신 형성기, 초기 신석기 시대 대신 고고학 시대, 그리고 그 이전 시대에는 팔레오인디언이 사용된다.[63]형성기는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신석기 혁명 시대와 같다.[64] 미국 남서부에서는 기원후 500년부터 1200년까지 발생했는데, 이때 인구가 급증하고 옥수수, 콩, 스쿼시, 그리고 사육된 칠면조를 기반으로 하는 농업에 의해 지원되는 대규모 마을의 발전이 있었다.[64] 이 기간 동안 활과 화살과 도자기가 도입되기도 했다.[64] 후기에는 상당한 규모의 도시가 발전했고, 기원전 700년경에는 일부 야금술이 발달했다.[65]
3. 6.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는 뉴기니와 달리 신석기 시대가 없었던 것으로 일반적으로 여겨져 왔으며, 유럽인이 도착할 때까지 수렵 채집 생활이 계속되었다.[66] 이러한 견해는 농업의 정의라는 측면에서 이의를 제기할 수 있지만, "신석기 시대"는 오스트레일리아 선사 시대를 논의할 때 거의 사용되지 않고 유용하지 않은 개념으로 남아 있다.[66]4. 사회 구조
신석기 시대 대부분의 사람들은 부족과 씨족으로 구성된 150명에서 2000명 정도 되는 작은 공동체를 이루며 살았다.[67] 거의 대부분의 신석기 사회에서는 계층화가 진행된 과학적인 근거는 거의 찾아볼 수 없으며, 사회 계층화는 청동기 시대와 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68] 후기 신석기의 어떤 사회에서는 고대 하와이와 같이 폴리네시아 사회와 유사한 복합적으로 계층화된 지도계층을 형성하기도 하였다.[71] 그러나 신석기 사회는 보통 수렵과 채집 생활을 하였기 때문에, 구석기 시대보다는 더 계층적인 사회였다.[72][73] 기원전 8000년경의 동물의 가축화는 급격한 사회적인 불평등을 초래하였다.[74] 가축을 소유한다는 것은 경쟁력을 의미하였고, 부의 불평등을 전승하는 결과를 낳았다. 대규모의 가축을 소유하게 된 신석기의 목자들은 점차 보다 많은 가축을 소유하게 되었고, 이것이 경제적인 불평등을 더욱 더 심화시켰다.[75]
가족과 가구는 여전히 경제적으로 크게 독립적이었고, 가구가 삶의 중심이었을 것이다.[76][77] 중앙유럽의 발굴 조사에 따르면 초기 신석기 시대 선형토기 문화는 기원전 4800년에서 4600년 사이에 대규모 원형 해자 배열을 건설했다고 한다. 이러한 구조물(그리고 방어시설, 매장토총, 헨지와 같은 후기 대응물)을 건설하는 데는 상당한 시간과 노동이 필요했는데, 이는 일부 영향력 있는 개인이 인적 노동을 조직하고 지휘할 수 있었음을 시사한다. 라인강을 따라 선형토기문화 유적지에는 요새화된 정착지에 대한 많은 증거가 있는데, 적어도 일부 마을은 울타리와 외부 해자로 한동안 요새화되었다.[78][79] 탈하임 사망 구덩이에서 발견된 것과 같이 울타리와 무기로 인한 골절상이 있는 정착지가 발견되었으며, 이는 "...집단 간의 체계적인 폭력"과 전쟁이 신석기 시대에 앞선 구석기 시대보다 훨씬 더 흔했음을 보여준다.[73]
5. 한국의 신석기 시대
한반도에서 신석기 시대는 빗살무늬토기 시대에 해당한다. 2012년 강원도 고성군 문암리에서 신석기 시대 농경 유적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동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농경지일 가능성이 있다.
일본의 조몬 시대는 조몬 해진이 진행된 약 1만 3000년 전부터라고 정의할 수 있다.[100] 조몬 시대에는 마제석기와 조몬 토기의 사용 외에도, 활과 화살이 사용되기 시작했고, 정착 생활의 시작에 따른 수혈 주거의 보급, 환상 취락 등의 정착 취락과 패총의 형성, 식물 재배(반재배)의 시작 등이 있었다.[100] 남서 제도(주로 오키나와현)에서는 패총 문화 시대에 해당하며, 조몬 시대는 패총 시대 전기, 다음 야요이 시대는 패총 시대 후기가 된다. 또한, 도호쿠 지방 북부에서 홋카이도에서는 다른 지역에 야요이 문화가 등장한 후에도 조몬 시대의 생활 양식이 계승되었기 때문에, 조몬 시대 다음 시대를 속조몬 시대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100]
6. 기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정의상 홀로세에 속하며, 문화적으로는 정교하게 제작된 찍개석기와 간석기가 확인되는 경우가 있으며, 반드시 농경의 시작과 연관짓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서아시아, 유럽, 중국에서는 농업이나 목축이 시작된 시기와 일치하며, 가장 오래된 것은 기원전 8000년이며, 이후 기원전 6000년에서 50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101][102][103]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기원전 4000년부터 중앙아메리카나 안데스 산맥 등에서 농업의 시작이 확인된다. 이후 청동기 시대 또는 철기 시대를 거쳐, 지역에 따라 이를 거치지 않고 바로 철기 시대에 들어가고, 야금술의 발달로 금속으로 만든 도구가 널리 보급되면서 종료되었다. 다만, 생산 단계와 도구가 일치하지 않는 지역도 존재한다. 일본에서는 6세기경까지 철기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했고, 아메리카 대륙이나 오세아니아 지역에서는 15세기 이후 유럽의 진출로 인해 철기가 전래되었지만, 제조 기술을 습득하지 못했다. 영국의 고고학자 러벅(John Lubbock)이 유럽의 석기 시대를 구분하기 위해 제안한 신석기 시대는 구석기 시대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제안된 명칭이다. 이후 이 명칭은 유럽 이외의 지역에도 적용되어 사용되었으며, 토기의 등장, 농업·목축의 시작이 새로운 지표로 추가되었다.
참조
[1]
OED
Neolithic
[2]
서적
Egypt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during the Old Kingdom
[3]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Ancient World
[4]
웹사이트
Neolithic Periods Overview
https://egyptianmuse[...]
2022-04-20
[5]
서적
Studies of Shang Archaeology
Yale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Stone Age
https://www.britanni[...]
[7]
서적
The History and Geography of Human Gen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4
[8]
서적
Culture of Stone: Sacred and Profane Uses of Stone Among the Dani
Texas A&M University Press
1999
[9]
학술지
Farmers and Their Languages: The First Expansions
[10]
서적
Ancient Jomon of Jap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학술지
Early Pottery at 20,000 Years Ago in Xianrendong Cave, China
https://www.science.[...]
Sciencemag.org
2015-01-15
[12]
학술지
Late Pleistocene human genome suggests a local origin for the first farmers of central Anatolia
2019-03-19
[13]
서적
Feast, Famine or Fighting?: Multiple Pathways to Social Complexit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7
[14]
서적
Premier temple. Göbekli tepe (Le): Göbelki Tepe
https://books.google[...]
CNRS Editions
2015
[15]
서적
Gobekli Tepe: Genesis of the Gods: The Temple of the Watchers and the Discovery of Eden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14
[16]
학술지
The World's First Temple
https://archive.arch[...]
Archaeological Institute of America
2008-11
[17]
학술지
Early Domesticated Fig in the Jordan Valley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2006-06-02
[18]
웹사이트
Neolithic Age
https://virtualcoped[...]
2015-08-07
[19]
학술지
Ain-Ghazal (Jordan) Pre-pottery Neolithic B Period pit of lime plaster human figures
https://www.brown.ed[...]
Brown University
2018-03-09
[20]
서적
Pastoral Nomadism in Arabia: Ethnoarchaeology and the Archaeological Record
[21]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Archaeology of the Levant
[22]
웹사이트
Yet another sensational discovery by polish archaeologists in Syria
http://www.eduskrypt[...]
2006-06-21
[23]
웹사이트
Jericho
https://www.britanni[...]
[24]
학술지
The Neolithic of Lebanon in the context of the Near East: State of knowledge
http://www.usj.edu.l[...]
Universite Saint-Joseph, Beyrouth
2011-12-03
[25]
학술지
Du PPNA au PPNB: mise en lumière d'une phase de transition à Jerf el Ahmar (Syrie)
http://www.persee.fr[...]
[26]
웹사이트
PPND – the Platform for Neolithic Radiocarbon Dates – Summary
http://www.exoriente[...]
2011-12-03
[27]
웹사이트
The Ubaid Period (5500–4000 B.C.) Essay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Heilbrunn Timeline of Art History
https://www.metmuseu[...]
2024-11-21
[28]
서적
Encyclopedia of the Archaeology of Ancient Egypt
Routledge
2014-03-09
[29]
학술지
Sites with Holocene dung deposits in the Eastern Desert of Egypt: Visited by herders?
https://web.archive.[...]
2010-07
[30]
웹사이트
Early Domesticated Animals
https://web.archive.[...]
2011-03
[31]
서적
The Origins and Development of African Livestock
Routledge
[32]
서적
The Agricultural Revolution in Prehistory: Why Did Foragers Become Farmer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12-03
[33]
서적
Areal Diffussion and Genetic Inheritance: Problems in Comparative Linguistics
Oxford University Press, USA
[34]
서적
Droughts, food and culture: ecological change and food security in Africa's later prehistor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1-12-03
[35]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history: A–G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1-12-03
[36]
논문
Northwest African Neolithic initiated by migrants from Iberia and Levant
2023-06-07
[37]
논문
Cattle Before Crops: The Beginnings of Food Production in Africa
2002-06-01
[38]
논문
An Alternative Way Towards Food Production: The Perspective from the Libyan Sahara
2004-06-01
[39]
논문
Trapping or tethering stones (TS): A multifunctional device in the Pastoral Neolithic of the Sahara
2018-01-25
[40]
논문
The Pastoral Neolithic of East Africa
1991-03-01
[41]
서적
From Hunters to Farmers: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Food Production in Africa – "The Introduction of Pastoral Adaptations to the Highlands of East Afric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4-12-04
[42]
논문
The Archaeological Evidence for the Appearance of Pastoralism and Farming in Southern Africa
2018-06-14
[43]
뉴스
UC research reveals one of the earliest farming sites in Europe
http://phys.org/news[...]
2012-04-18
[44]
웹사이트
One of Earliest Farming Sites in Europe Discovered
https://www.scienced[...]
2012-04-18
[45]
뉴스
The first Europeans weren't who you might think
https://www.national[...]
2019-08
[46]
뉴스
When the First Farmers Arrived in Europe, Inequality Evolved
https://www.scientif[...]
2020-07-01
[47]
웹사이트
Female figurine, c. 6000 BC, Nea Nikomidia, Macedonia, Veroia, (Archaeological Museum), Greece
http://www.macedonia[...]
2011-12-03
[48]
서적
Pre-writing in Southeastern Europe: The Sign System of the Vinča Culture ca. 4000 BC
Western Publishers
[49]
웹사이트
Malta Before Common Era, in ''The Megalithic Temples of Malta''
http://web.infinito.[...]
2007-01-28
[50]
서적
Ancient Stones: The Prehistoric Dolmens of Sicily
Brazen Head Publishing
[51]
논문
Reconstructing regional population fluctuations in the European Neolithic using radiocarbon dates: a new case-study using an improved method
2014-09
[52]
서적
The Archaeology of South Asia: From the Indus to Asoka, c. 6500 BC – 200 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3]
서적
An Environmental History of India: From Earliest Times to the Twenty-First Centu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4]
서적
A Population History of India: From the First Modern People to the Present Da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55]
서적
The Ancient Indus: Urbanism, Economy,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6]
논문
Early Neolithic tradition of dentistry
[57]
서적
Trees and Woodlands of South India: Archaeological Perspectives
[58]
논문
Early millet use in northern China
[59]
웹사이트
New Archaeological Discoveries and Researches in 2004 – The Fourth Archaeology Forum of CASS
http://www.kaogu.cn/[...]
Institute of Archaeology,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2007-09-18
[60]
서적
The Archaeology of China: From the Late Paleolithic to the Early Bronze 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1]
웹사이트
Neolithic farm field found in South Korea
http://archaeologyne[...]
The Archaeology News Network
[62]
뉴스
East Asia's oldest remains of agricultural field found in Korea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63]
서적
Method and Theory in American Archaeolog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4]
논문
The Neolithic Demographic Transition in the North American Southwest
[65]
간행물
Ice-core evidence of earliest extensive copper metallurgy in the Andes 2700 years ago
[66]
간행물
Revisiting the 'Neolithic Problem' in Australia
http://museum.wa.gov[...]
[67]
서적
Evolutionary Origins of Morality: Cross-disciplinary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Imprint Academic
[68]
서적
Piaget, evolution, and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69]
웹사이트
The Oldest Civilization in the Americas Revealed
http://charlesmann.o[...]
Science
[70]
뉴스
First Andes Civilization Explored
http://news.bbc.co.u[...]
2004-12-22
[71]
서적
The ancient Hawaiian state: origins of a political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72]
웹사이트
Stone Age
http://encarta.msn.c[...]
Microsoft Corporation
2007
[73]
서적
The nature of Paleolithic ar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1-12-03
[74]
웹사이트
Farming Pioneered in Ancient New Guinea
https://www.newscien[...]
2015-10-09
[75]
간행물
The atlas of world archeology
The brown Reference Group plc
2000
[76]
웹사이트
Prehistoric Cultures
https://web.archive.[...]
Museum of Ancient and Modern Art
2013-09-05
[77]
웹사이트
Çatalhöyük: Urban Life in Neolithic Anatolia
https://web.archive.[...]
About.com
2013-09-05
[78]
웹사이트
Idyllic Theory of Goddess Creates Storm
http://www.holysmoke[...]
2011-12-03
[79]
간행물
[80]
간행물
[81]
서적
Life in Neolithic farming communities: social organization, identity, and differentia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1-12-03
[82]
간행물
Economy, Ritual and Power in 'Ubaid Mesopotamia
[83]
간행물
Property Rights and the Evolution of Chiefdoms
[84]
학술지
Patrilineal segmentary systems provide a peaceful explanation for the post-Neolithic Y-chromosome bottleneck
2024-04-24
[85]
웹사이트
The World's First City
http://www2.bc.edu/~[...]
[86]
서적
Toward an Understanding of Europe: A Political Economic Précis of Continental Integration
https://books.google[...]
Universal-Publishers
2011-03-28
[87]
학술지
Smooth and Cool, or Warm and Soft: Investigating the Properties of Cloth in Prehistory
https://www.academia[...]
Academia.edu
2013-09-05
[88]
웹사이트
Aspects of Life During the Neolithic Period
https://web.archive.[...]
Teachers' Curriculum Institute
2013-09-05
[89]
학술지
Pierced clay disks and Late Neolithic textile production
https://www.academia[...]
Academia.org
2013-09-05
[90]
학술지
Unraveling the Enigma of the Bi: The Spindle Whorl as the Model of the Ritual Disk
University of Hawai'i Press
[91]
학술지
The clay loom weight, in: Early Neolithic ritual activity, Bronze Age occupation and medieval activity at Pitlethie Road, Leuchars, Fife
[92]
서적
Tell Qaramel 1999–2007. Protoneolithic and early Pre-Pottery Neolithic settlement in Northern Syria.
https://journals.uai[...]
Polish Centre of Mediterranean Archaeology, University of Warsaw
[93]
서적
Garfinkel, Yosef., "Néolithique" and "Énéolithique" Byblos in Southern Levantine Context in Neolithic revolution: new perspectives on southwest Asia in light of recent discoveries on Cyprus
https://books.google[...]
Oxbow Books
2012-01-18
[94]
웹사이트
Contribution of FTIR to the Characterization of the Raw Material for "Flint" Chipped Stone and for Beads from Mentesh Tepe and Kamiltepe (Azerbaijan). Preliminary Results
https://www.academia[...]
[95]
서적
Pebbles
https://books.google[...]
Bookstand Publishing
2011-01-12
[96]
웹사이트
Developed Neolithic period, 5500 BC
http://www.eliznik.o[...]
2011-12-03
[97]
웹사이트
Manunggul Burial Jar
http://masterpieces.[...]
2013-09-05
[98]
웹사이트
Tabon Cave Complex
https://web.archive.[...]
National Museum of the Philippines
2013-09-05
[99]
웹사이트
Neolithic Culture of Tamil Nadu: an Overview
http://www.tamiluniv[...]
[100]
웹사이트
「デジタル大辞泉『新石器時代』、「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新石器時代』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10-15
[101]
일반
[102]
일반
[103]
간행물
農業の開始と階級社会の形成
岩波書店
[104]
백과사전
신석기 문화〔槪說〕
[105]
뉴스
Ancient Figs May Be First Cultivated Crops
2009-0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