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성 (일본어의 음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성은 일본어에서 한자음이 특정 자음으로 끝날 때, 뒤따르는 모음 또는 반모음과 결합하여 음운이 변화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역사적 가나 표기법에서 -n, -m, -t로 끝나는 경우에 따른 변화를 예시와 함께 설명하며, 현대 일본어에서는 연성 현상이 거의 사라졌지만 일부 단어나 고전 연극, 방언에서 흔적이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연성 (일본어의 음운) | |
---|---|
음운 현상 | |
정의 | |
정의 | 일본어에서 둘 이상의 단어가 결합하여 하나의 단어를 이룰 때, 후행 단어의 첫 음절이 모음으로 시작하면 선행 단어의 말음이 영향을 받아 발음이 변화하는 현상이다. |
로마자 표기 | Renjō (렌조) |
예시 | "雪(ゆき)" (눈) + "国(くに)" (나라) → "雪国(ゆきぐに)" (설국) "金(かね)" (돈) + "色(いろ)" (색) → "金色(こんじき)" (금색) "大(おお)" (큰) + "人(ひと)" (사람) → "大人(おとな)" (어른) |
연성 규칙 | |
규칙 | 선행 단어의 말음이 'ん' (ん받침)일 경우, 후행 단어의 첫 모음에 따라 'な, に, ぬ, ね, の' 중 하나로 바뀐다. 선행 단어의 말음이 'つ' (ツ 발음)일 경우, 후행 단어의 첫 모음에 따라 'た, ち, つ, て, と' 중 하나로 바뀐다. 선행 단어의 말음이 'く' (ク 발음)일 경우, 후행 단어의 첫 모음에 따라 'か, き, く, け, こ' 중 하나로 바뀐다. 선행 단어의 말음이 'う' (ウ 발음)일 경우, 후행 단어의 첫 모음에 따라 'わ, い, う, え, お' 중 하나로 바뀐다. 선행 단어의 말음이 'き' (キ 발음)일 경우, 후행 단어의 첫 모음에 따라 'か, き, く, け, こ' 중 하나로 바뀐다. 선행 단어의 말음이 'み' (ミ 발음)일 경우, 후행 단어의 첫 모음에 따라 'ま, み, む, め, も' 중 하나로 바뀐다. |
참고 사항 | |
예외 | 모든 단어의 결합에서 연성이 일어나는 것은 아니며, 단어의 의미나 역사적 배경에 따라 연성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
표준어 | 연성은 표준어 발음 규칙의 일부로 인정되지만, 일부 방언에서는 다른 형태의 연성이 나타날 수 있다. |
2. 역사적 배경
헤이안 시대부터 무로마치 시대까지 일본어에서는 한자음(음독)이 -t, -n, -m 중 하나의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한자 뒤에 모음(ア|아일본어행) 또는 반모음(ヤ|야일본어행, ワ|와일본어행)으로 시작하는 한자가 이어지면, 그 한자가 각각 タ|다일본어행, ナ|나일본어행, マ|마일본어행으로 변화하는 경우가 있었다. ヤ|야일본어행에서 ナ|나일본어행·マ|마일본어행으로 변화할 때는 요음이 되었다.
무로마치 시대에는 한어뿐만 아니라 한어 뒤에 조사 は|하일본어, を|오일본어가 이어질 때도 연성이 나타났다. 이 현상은 오늘날 노, 교겐 등의 일본 고전 연극이나 극히 일부 지역의 일본어 방언에만 남아 있다.
- 念仏を|넨부쓰오일본어 → ねんぶっ'''と'''|넨붓토일본어 (but+wo)
- 今日は|곤니치와일본어 → こんにっ'''た'''|곤닛타일본어 (nit+wa)
- 冥見を|묘켄오일본어 → みょうけん'''の'''|묘켄노일본어 (ken+wo)
2. 1. 연성 현상의 소멸
에도 시대 이후에는 -t는 독립 음절인 ツ|쓰일본어 또는 チ|지일본어로 변했고, -m 및 -n은 일반적으로 ン|ㄴ일본어으로 발음되게 되면서, 한어의 연성은 거의 보이지 않게 되었지만 일부 한어에는 지금도 흔적이 남아 있다.3. 연성의 종류
헤이안 시대부터 무로마치 시대에 걸쳐 일본어에서는 한자음(음독)이 -t, -n, -m 중 하나의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한자 뒤에 모음(ア|아일본어행) 또는 반모음(ヤ|야일본어행, ワ|와일본어행)으로 시작되는 한자가 이어지면 그 한자가 각각 タ|타일본어행, ナ|나일본어행, マ|마일본어행으로 변화하는 경우가 있었다. ヤ|야일본어행으로부터 ナ|나일본어행·マ|마일본어행으로 변화할 때는 요음이 되었다.
에도 시대 이후에는 -t는 독립 음절인 ツ|쓰일본어 또는 チ|지일본어로 변했고, -m 및 -n은 일반적으로 ン|응일본어으로 발음되게 됐고, 한어의 연성은 거의 보이지 않게 됐지만 일부 한어에는 지금도 흔적이 남아 있다.
또한 무로마치 시대에는 한어 내에서뿐만 아니라 한어 뒤에 조사 は|하일본어, を|오일본어가 이어질 때에도 연성이 나타났다. 이 현상은 오늘날에는 노, 교겐 등의 일본 고전 연극이나 극히 일부 지역의 일본어의 방언에만 남아 있다.
- 念仏を|염불을일본어 → ねんぶっと|넨붓토일본어 (but+wo)
- 今日は|오늘은/안녕하세요일본어 → こんにった|곤닛타일본어 (nit+wa)
- 冥見を|명견을일본어 → みょうけんの|묘켄노일본어 (ken+wo)
3. 1. -n으로 끝나는 경우
다음은 -n으로 끝나는 경우의 예시이다. 역사적 가나 표기법으로 표기하며, -n을 ん|응일본어, -m을 む|무일본어로 구별하여 적는다.원어 | 한국어 독음 | 연성 적용 |
---|---|---|
銀杏|은행(나무)일본어 | ぎん+あん|긴+안일본어 | ぎんなん|긴난일본어 |
観音|관음일본어 | くゎん+おむ|쿠완+오무일본어 | くゎんのむ|쿠완노무일본어 |
云々|운운일본어 | うん+うん|운+운일본어 | うんぬん|운눈일본어 |
反応|반응일본어 | はん+おう|한+오일본어 | はんのう|한노우일본어 |
天皇|천황일본어 | てん+おう|텐+오일본어 | てんのう|텐노우일본어 |
輪廻|윤회일본어 | りん+ゑ|린+웨일본어 | りんね|린네일본어 |
因縁|인연일본어 | いん+ゑん|인+웬일본어 | いんねん|인넨일본어 |
안온(安穏) | 안 + 온(おん) | 안논 |
은행(銀杏) | 긴 + 안 | 긴난 |
관음(観音) | 칸(かん) + 옴(おむ) | 칸놈 (칸논) |
운운(云々) | 운 + 운 | 운눈 |
반응(反応) | 한 + 오 | 한노우 |
천황(天皇) | 텐 + 와우(おう) | 텐나우 (텐노우) |
윤회(輪廻) | 린 + 에(ゑ) | 린네 |
인연(因縁) | 인 + 엔(えん) | 인넨 |
친왕(親王) | 신 + 와우(おう) | 신나우 (신노우) |
3. 2. -m으로 끝나는 경우
아래의 예시는 역사적 가나 표기법으로 표기하며, -n을 ん|응일본어으로, -m을 む|무일본어로 구별하여 적는다.- 三位|삼위|삼품일본어: さむ+ゐ|사무+위일본어 → さむみ|사무미일본어
- 陰陽|음양|음양일본어: おむ+やう|오무+요일본어 → おむみゃう|오무묘일본어
- 「三位」사무(さん|산일본어) + ゐ(い|이일본어) → 사무'''미'''(さんみ|산미일본어)
- 「陰陽」오무(おん|온일본어) + 야우(よう|요일본어) → 오무'''묘'''(おんみょう|온묘일본어)
3. 3. -t로 끝나는 경우
아래의 예시는 역사적 가나 표기법으로 표기하며, -n을 ん|ん일본어, -m을 む|む일본어로 구별하여 적는다.- 雪隠|셋친|뒷간일본어: せつ|세쓰일본어 + いん|인일본어 → せっちん|셋친일본어
- 屈惑|굿타쿠|진절머리일본어: くつ|구쓰일본어 + わく|와쿠일본어 → くったく|굿타쿠일본어 (→ 屈託|굿타쿠일본어)
- 「변소」: 세쓰 + 인 → 셋'''친'''
- 「출래」: 슈쓰 + 라이 → 슛'''타'''이
- 「굴혹」: 구쓰 + 와쿠 → 굿'''타'''쿠 (→ 굴탁)
4. 현대 일본어에서의 연성
에도 시대 이후에는 -t는 독립 음절인 ツ일본어 또는 チ일본어로 변했고, -m 및 -n은 일반적으로 ン일본어으로 발음되게 되어, 한어의 연성은 거의 보이지 않게 되었지만 일부 한어에는 지금도 흔적이 남아 있다.
무로마치 시대에는 한어 뒤에 조사가 이어질 때 연성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 현상은 현대 일본어에서는 노, 교겐 등의 일본 고전 연극이나 극히 일부 지역의 일본어의 방언에만 남아있다.
4. 1. 조사와의 연성
무로마치 시대에는 한자어 뒤에 조사 ‘は(하)’, ‘を(오)’가 이어질 때도 연성이 나타났다. 이 현상은 오늘날에는 노, 교겐 등의 일본 고전 연극이나 극히 일부 지역의 일본어의 방언에만 남아 있다.- 念仏を|넨부쓰오|염불을일본어 → ねんぶっ'''と'''|넨붓토일본어 (but+wo)
- 今日は|곤니치와|오늘은/안녕하세요일본어 → こんにっ'''た'''|곤닛타일본어 (nit+wa)
- 冥見を|묘켄오|명견을일본어 → みょうけん'''の'''|묘켄노일본어 (ken+w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