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겐은 8세기 중국 산악에서 유래하여 일본 전통 연극인 노와 함께 발전한 일본의 전통적인 희극이다. 가마쿠라 시대에 노와 분리되어 독자적인 형태로 발전했으며, 무로마치 시대에는 오쿠라 류, 이즈미 류, 사기 류 등의 유파가 생겨났다. 에도 시대에는 도쿠가와 막부의 지원을 받아 발전했으며, 가부키에도 영향을 미쳤다. 메이지 유신 이후 쇠퇴했지만, 현대에는 노 공연의 일부 또는 독립적으로 공연되며, 본교겐, 간교겐, 별교겐 등의 종류가 있다. 교겐은 대사와 과장된 동작, 풍자, 슬랩스틱을 특징으로 하며, 현대에도 새로운 작품이 제작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연극 - 인간국보
인간국보는 일본에서 역사적, 예술적 가치가 높은 무형 문화유산을 고도로 숙련한 개인이나 단체에게 주어지는 칭호로, 정부 지원을 받으며 2021년 2월 기준 111명이 생존해 있다. - 일본의 연극 - 조루리
조루리는 사미센 반주에 맞춰 이야기를 들려주는 일본 전통 이야기 형식으로, 미나모토노 요시츠네와 정루리히메의 사랑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으며, 에도 시대에 여러 유파로 발전하여 고조루리와 신조루리로 나뉘었고, 현재까지 그 맥을 이어오며 일본 음악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교겐 | |
---|---|
기본 정보 | |
종류 | 희극 극 |
문화권 | 일본 |
유네스코 무형문화재 | |
지정 | 2008년 (제3차 회의) |
종류 | 노가쿠 극 |
지역 | 아시아 태평양 |
어원 | |
어원 | '미친 말' 또는 '거친 연설' |
관련 정보 | |
관련 공연 | 노 |
연관 | 사루가쿠에서 발전한 전통 예능 |
2. 역사
교겐의 기원은 8세기 나라 시대에 중국에서 전래된 산악(散楽)이라는 희극적인 모방에서 찾을 수 있다. 헤이안 시대(794-1185)에 산악은 덴가쿠 등 일본 전통 공연 예술과 융합하여 사루가쿠로 발전했다. 가마쿠라 시대(1185-1333)에는 사루가쿠가 심각한 노래와 춤의 드라마인 노와 희극적인 말과 연극인 교겐으로 분리되었다.[3]
무로마치 시대 초(1333-1573)에 가나미와 제아미가 노를 완성하면서, 교겐은 노 극단에 소속되어 발전했다. 무로마치 시대 말기에는 독자적인 극 형태로 발전했고, 오쿠라류가 설립되었다. 에도 시대(1606-1868)에는 사기류와 이즈미류가 설립되었고, 도쿠가와 막부의 후원을 받으며 크게 발전했다.[3]
교겐은 가부키 발전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17세기 중반, 초기 가부키의 외설적인 형태가 금지된 후, 정부는 새로운 ''야로-가부키''(남성 가부키)가 이전 가부키 형태의 음란함을 자제하고 대신 교겐을 본받는다는 조건하에 설립을 허용했다.[1]
메이지 유신 이후 정부의 지원이 중단되면서 쇠퇴했으나, 1879년 율리시스 S. 그랜트 미국 대통령의 방문을 계기로 부활했다. 그랜트 대통령 부부는 노와 교겐 극을 관람한 최초의 미국인이 되었고, 공연을 즐겼다고 한다. 이들의 관심은 이러한 형식에 대한 관심의 부활을 촉발한 것으로 여겨진다.[4]
현대 일본에서 교겐은 노의 일부로 공연되거나 독립적으로 공연되며, 새로운 작품도 창작되고 있다. 노 공연의 일부로 공연될 때, 교겐은 두 개의 노 극 사이에서 공연되는 (희극) 교겐 극(本狂言|honkyōgen|본 교겐일본어), 노 극 ''내''의 (비희극) 장면(두 장면 사이, '''), 또는 別狂言|betsukyōgen|특별 교겐일본어)의 세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아이교겐에서 가장 흔하게는 주요 노 배우(''시테'')가 무대에서 물러나고 교겐 배우|狂言方|교겐카타일본어가 그를 대신하며 극을 설명하지만, 다른 형태도 가능하다.
주요 가문으로는 도쿄의 노무라(野村) 가문(전통적으로 에도 지역)과 교토의 시게야마(茂山) 가문(전통적으로 가미가타 지역)의 오쿠라류가 있다.[10]
다케치 테츠지가 쓰고 연출한 濯ぎ川|Susugigawa|씻는 강일본어은 1953년에 만들어졌으며, 1세기 만에 전통 레퍼토리에 들어간 최초의 새로운 교겐이 되었다.[5] 드물게는 이중 언어 교겐이나 서양 연극과의 융합도 이루어졌다.
2. 1. 유파
현재 노악협회에 소속된 유파는 오쿠라류(大蔵流)와 이즈미류(和泉流)이다.[19] 사기류(鷺流)는 야마구치현, 니가타현 사도섬, 사가현에 남아 있지만, 노악협회 가입 자격은 인정되지 않았다.[19]무로마치 시대 후기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는 난토 네기 류(南都禰宜流)라는 신인(신사에 속하여 예능 기타 비천한 일에 종사한 자)을 중심으로 한 유파가 있었으나, 에도 시대에 들어서 급속히 쇠퇴하여 기존 유파에 흡수되어 소멸되었다.[19] 그 외에도 무명의 여러 소파가 존재했던 것으로 보이며, 일부 대본은 에도 시대에 출판되어 세상에 남았다.[19]
2. 1. 1. 오쿠라류(大蔵流)
야마토 사루가쿠 계열의 교겐을 전하는 가장 오래된 유파이다. 무로마치 시대 후기에 곤파루자에서 교겐을 맡았던 오쿠라 야에몬 가문이 창류했다.[19]현재 오쿠라 류에는 도쿄를 본거지로 하는 종가 오쿠라 야에몬 가, 야마모토 토지로 가, 교토를 본거지로 하는 시게야마 센고로 가, 시게야마 츄자부로 가, 오사카·고베를 본거지로 하는 젠치쿠 야고로 가 등 5 가문이 있다.[19]
대본은 종가의 대본 외에 교토의 시게야마 센고로 가문의 것과 에도의 오쿠라 종가의 예능 계통을 잇는 야마모토 토지로 가문의 것으로 크게 나뉜다. 교토와 간토에서는 예풍도 대조적인데, 교토·센고로 가문의 서민적인 친근한 예풍과 간토 야마모토 가문의 무가식악의 전통을 지금에 남기는 고풍스럽고 강직한 예풍이 있다.[19]
오쿠라 류에서 인간문화재로 인정된 사람은 다음과 같다.[19]
- 초세 젠치쿠 야고로
- 3세 시게야마 센사쿠
- 4세 시게야마 센사쿠
- 4세 야마모토 토지로
- 2세 시게야마 시메
4세 시게야마 센사쿠는 2000년에 문화공로자, 2007년에는 교겐계에서 최초로 문화훈장을 수여받았다. 시게야마 센고로 가는 3세 시게야마 센사쿠(본명·신이치), 4세 센사쿠(본명·시메), 2세 시메(본명·신고)로 부자 3대에 걸쳐 인간문화재로 인정받았다.[19]
3. 특징
교겐은 등장인물 간의 대립과 갈등을 통해 이야기가 전개되는 대사극(臺詞劇)이다. 근대 연극과는 달리 세련된 인공적 요소와 소탈한 기지를 통해 웃음을 자아내는 것이 특징이다.[3] 교겐요(狂言謠)라는 가요와 춤 등 가무(歌舞) 요소도 포함되어 있다.
사실적인 연기가 필요하며, 원칙적으로 가면을 사용하지 않지만, 노인, 추녀 등을 표현할 때는 가면을 사용한다.[3] 동작과 대사는 과장되어 있으며, 슬랩스틱이나 풍자 요소가 많다. 이야기 전개에는 조-하-큐(序破急) 원리가 적용된다.
여성 배역도 남성이 연기하며, 비난카즈라(美男鬘)라는 의상을 착용한다. 의상은 가미시모(上下)가 일반적이며, 소품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언어는 근세 일본어를 사용하며, 고풍스러운 표현이 많다. 동작은 스리아시(摺り足)를 사용하며, 시선, 팔과 다리의 각도 등이 중요하다. 음악은 피리, 북, 징의 반주에 맞춰 공연되지만, 대화와 행동이 중심이다.[3]
4. 무대
노 무대를 사용한다. 등장인물은 원칙적으로 하수(下手)의 "거울의 방"에서 나타나며, 이후에는 종극까지 거울의 방으로 들어가지 않는다. 해당 장면에 등장하지 않는 것을 표현할 때는 "후견석", "교겐석(狂言座)", "피리석 앞" 중 한 곳에서 조용히 앉아 대기한다. 반대로 해당 장면에 등장하는 연기자는 "상석", "옆자리 앞", "모서리"를 잇는 삼각형 안에서만 연기를 한다.
5. 등장인물
교겐에서 주역은 '''시테(仕手)'''라고 하며, 상대역은 '''아도(挨答)'''라고 한다. 오쿠라류에서는 여러 아도(立衆)를 통솔하는 첫 번째 아도(立頭)를 '''오모(主)'''라고 부른다. 등장인물의 이름은 일반 명사인 경우가 많으며, 타로카자(太郎冠者), 지로카자(次郎冠者), 슈진(主人) 등이 있다.
6. 종류
교겐은 공연 방식에 따라 본교겐(本狂言), 간교겐(間狂言), 별교겐(別狂言)으로 나뉜다.
- 본교겐(本狂言): 일반적으로 교겐이라고 하면 떠올리는 형태이다. 하나의 독립된 작품으로 공연된다.
- 간교겐(間狂言): '아이(アイ)'라고도 불린다. 노 공연 중간에 등장하여 극의 내용을 설명하거나, 노 배우와 상호작용하는 역할을 한다. 희극적인 요소는 없지만, 교겐 배우가 교겐 특유의 의상과 말투를 사용하여 연기한다.
- 별교겐(別狂言): 식삼번에서 교겐 배우가 맡는 역할과 연기를 의미한다. 오키나에서 산반소(오쿠라류에서는 '삼반삼'이라고 쓴다)와 특별 연출인 풍류가 이에 해당한다.
6. 1. 본교겐(本狂言)
본교겐(本狂言)은 일반적으로 교겐이라고 하는 경우를 가리키며, 한 곡으로 독립하여 연기된다. 시테의 주역에 따라 와키 교겐(脇狂言), 다이묘 교겐(大名狂言), 코묘 교겐(小名狂言), 신랑·여자 교겐(聟女狂言), 귀신·산복 교겐(鬼山伏狂言), 출가·자토 교겐(出家座頭狂言), 집 교겐(集狂言) 등으로 분류된다.[19][23] 시대나 유파에 따라 분류는 변동된다.- 와키 교겐: 축하를 주제로 한 곡으로, 정월 등에 상연된다. 스에히로가리, 세 개의 기둥, 복의 신, 다이코쿠 렌카, 지쿠시 오쿠, 세 사람의 남편, 마츠요우, 사도 여우, 나베핫파, 카쿠레가사(※이즈미류에서는 보물의 삿갓), 보물의 망치 등이 있다.
- 다이묘 교겐: 주종 관계를 다룬 이야기 중, 다이묘가 시테를 맡는 것이다. 아와타구치, 이루마가와, 하나토리 스모, 카 스모, 유기자루[24], 스미누리, 귀와, 하기 다이묘, 두 사람의 다이묘, 분조, 후지마츠, 무아쿠, 네네교쿠, 구리야키, 이마마이리 등이 있다.
- 코묘 교겐: 다이묘 등을 섬기는 "타로 가쟈"가 시테를 맡는 것이다. 시도호가쿠, 카네노네, 카라 우데, 나와나이, 물떼새, 타치바토리, 소보오오치, 키로쿠다, 보시바쿠, 부스, 분니, 요비고에 등이 있다.
- 신랑·여자 교겐: 신랑이 시테를 맡는 것 및 여성이 등장하는 것이다. 하치만마에, 니와무코(계서), 후나와타무코, 두 사람의 하카마, 후키토리, 낚싯바늘, 미즈카케무코, 우콘사콘(※이즈미류에서는 우치사타), 카마바라, 미카부리, 모라이무코, 오바가사케, 치기리기, 비구니 사다, 하나코 등이 있다.
- 귀신·산복 교겐: 염마대왕이나 귀신의 종류가 시테를 맡는 것(사람이 귀신으로 변하는 이야기도 여기에 포함된다) 및, 산복이 시테를 맡는 것이다. 마이 광대극 (시마이 광대극, 노가카리 광대극)도 여기에 포함된다. 아사히나, 세츠분, 쿠비히키, 시미즈, 천둥, 네기 야마부시, 카니 야마부시, 카키 야마부시, 올빼미(※이즈미류에서는 부쿠로 야마부시), 키노코(※이즈미류에서는 버섯), 달팽이, 마쿠라모노구루이, 히게야구라, 통원, 야오 등이 있다.
- 출가·자토 교겐: 출가(승려), 신발의(출가한 지 얼마 안 된 젊은 승려), 자토가 시테를 맡는 것이다. 종론, 후세무쿄, 악태랑, 교세키(※이즈미류에서는 교세포), 오차노미즈, 육지장, 돈바코, 츠키미 자토, 카와카미, 사쓰마노카미, 사루자토, 하쿠요, 료렌 등이 있다.
- 집 교겐: 위의 분류에 수용되지 않는 것이다. 우리아토닌, 렌가아토닌, 킨토자에몬, 다관, 자석, 고야쿠네리, 스쇼, 나루코즈카이, 아쿠타가와, 하치쿠렌가, 요코자, 아이카키, 이쿠이(※이즈미류에서는 이구이로, 코묘 광대극으로 분류), 츠리키츠네, 토쿠사 등이 있다.
6. 2. 간교겐(間狂言)
간교겐(間狂言)은 단순히 "아이"라고도 불리며, 노의 한 장면(앞 시테와 뒤 시테의 전후를 잇는 장면 등)에 출연하는 교겐 역 및 연기를 가리킨다. 間狂言|아이교겐일본어이라고도 한다. 가부키 등 다른 연예 작품의 사이(아이)에서 연기하는 경우에도 이 말을 사용하기도 한다.[3]현대 일본에서 교겐은 별도로 공연되기도 하고, 노의 일부로 공연되기도 한다. 노 공연의 일부로 공연될 때, 교겐은 세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가 간교겐이다.
아이교겐에서 가장 흔하게는 주요 노 배우(''시테'')가 무대에서 물러나고 狂言方|교겐카타일본어가 그를 대신하며, (관객을 위해) 극을 설명하지만, 다른 형태도 가능하다. 아이교겐이 시작 부분에 일어나거나, 교겐 배우가 노 배우와 상호 작용하는 경우도 있다. 노의 일부로서, 아이교겐은 ''희극이 아니''다. 방식(움직임, 말투)과 의상은 진지하고 극적이다. 그러나 배우는 교겐 의상을 입고 교겐 스타일의 언어와 전달 방식을 사용한다(노 언어 및 전달 방식이 아닌). 즉, 더 간단하고 덜 고풍스러운 언어를 사용하며, 말하는 목소리에 가깝게 전달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청중이 이해할 수 있으며, 극을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의상과 전달 방식은 교겐 ''스타일''(교겐 ''형태'')이지만, 의상은 더 우아하고 전달 방식은 별도의 희극적인 교겐보다 덜 유쾌할 것이다. 아이교겐 전후에 교겐 배우는 다리(''하시가카리'') 끝에 있는 狂言座|교겐자일본어에 (세이자 자세로) 무릎을 꿇고 기다린다.[3]
6. 3. 별교겐(別狂言)
식삼번에서의 교겐 역 및 연기를 가리킨다.[3] 구체적으로는 "오"에서의 삼반소(오쿠라류에서는 '''삼반삼'''이라고 쓴다)와 그 특별 연출인 풍류를 말한다.7. 현대의 교겐
오늘날 교겐은 주요 도시, 특히 도쿄와 오사카를 중심으로 전국에서 정기적으로 공연되며, 문화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도 다루어진다.[3] 노극 공연 외에도 일반적으로 3~5개의 극으로 구성된 독립적인 공연도 열린다.
새로운 교겐도 정기적으로 창작되고 있지만, 레퍼토리에 들어가는 새로운 극은 드물다. 특히 중요한 작품은 1953년 다케치 테츠지가 가부키 이후의 연극 활동 기간에 쓰고 연출한 濯ぎ川|Susugigawa|씻는 강일본어이다. 중세 프랑스 풍자극을 바탕으로 한 이 극은 1세기 만에 전통 레퍼토리에 들어간 최초의 새로운 교겐이 되었다.[5] 드물게는 이중 언어 교겐이나 서양 연극과의 융합도 이루어졌다. 초기 예로는 교겐, 노, 신극 배우들로 구성된 그룹 '메이노카이'가 1973년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를 상연했는데, 교겐 연기가 가장 호평을 받았다.[6] 주목할 만한 예로는 교토에 기반을 둔 노호 극단이 있는데, 미국인 조나 솔츠가 연출하고 시게야마 아키라가 주연을 맡았다. 이 극단은 '씻는 강'을 'The Henpecked Husband'라는 일본어/영어 이중 언어로 번역하여 공연했으며, 사무엘 베케트의 작품, 특히 교겐 배우가 일본식 연극 스타일로 공연한 마임극 '말 없는 연극 I'(1981년 초연)을 선보였다.[7][8][9]
교겐의 독특한 어조는 다른 매체에서도 가끔 사용되며, 교겐 배우들이 성우로 활동하기도 한다. 예로는 프란츠 카프카의 "시골 의사"를 원작으로 한 야마무라 코지의 애니메이션 영화 ''시골 의사''|カフカ 田舎医者|Kafuka: Inaka Isha일본어가 있는데, 시게야마 가문이 목소리 연기를 맡았다.
많은 일본인들은 학교 수업이나 텔레비전 공연을 통해 교겐을 접한다. 교과서에 자주 등장하는 극은 附子|Busu|맛있는 독일본어인데, 하인 타로카자와 지로카자가 주인으로부터 설탕을 받지만, 독이니 먹지 말라는 지시를 받는다. 전문 교겐 배우들은 공연을 통해 생계를 유지하고 활발한 투어 일정을 유지한다.[10] 현재 도쿄의 노무라 野村 가문(전통적으로 에도 지역)과 교토의 시게야마 茂山 가문(전통적으로 가미가타 지역)의 오쿠라류가 두 개의 주요 가문이다.[10]
전후 시대에 외국인들이 아마추어 연기자로서 교겐에 참여하는 경우가 늘고있다. 1956년 학자이자 번역가인 도널드 키인은 千鳥|Chidori|물떼새일본어 연극을 공연하기도 했다.[13] 오늘날에는 외국인도 아마추어 극단과 함께 연습할 수 있다.[10] 1985년부터는 교토 예술 센터에서 교겐 초심자를 위한 집중적인 여름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다.[7][14][15]
8. 비유로서의 교겐
「교겐(狂言)」은 광언기어(狂言綺語)라는 불교 용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도리에 맞지 않는 말이나 과장된 표현을 뜻한다. 이 말은 우스꽝스러운 행동, 농담, 거짓말, 남을 속이려는 의도로 꾸며진 행위 등을 가리킬 때도 쓰였으며, 남북조 시대에는 사루가쿠의 우스꽝스러운 흉내 재주를 가리키는 말로 자리 잡았다.[18]
"농담, 거짓말, 남을 속이려는 의도로 꾸며진 행위"라는 뜻의 "교겐"은 오늘날에도 비유적인 표현으로 사용된다. (예: 교겐 유괴, 교겐 강도)
참조
[1]
웹사이트
Nôgaku theatre - intangible heritage - Culture Sector - UNESCO
https://ich.unesco.o[...]
2018-04-29
[2]
URL
https://journals.lib[...]
[3]
뉴스
Kotobank, ''Kyōgen''
https://web.archive.[...]
The Asahi Shimbun
[4]
웹사이트
'"First Noh & Kyogen Program Witnessed by Americans" in Boston December 7, 2004.'
https://web.archive.[...]
PRWeb
2004-11-25
[5]
문서
Salz, p.131–136.
[6]
서적
The International Reception of Samuel Beckett
https://books.google[...]
[7]
웹사이트
Noho Theatre: Kyogen with a twist
http://www.japantime[...]
2001-12-12
[8]
Youtube
Noho Theatre Group ACT WITHOUT WORDS 1
https://www.youtube.[...]
[9]
뉴스
Theater: Beckett, in Japanese Style
http://theater.nytim[...]
The New York Times
1986-03-12
[10]
웹사이트
Kyougen: Farce and Folly on the Stage
https://web.archive.[...]
2012-07-26
[11]
뉴스
Stage: Nomura Kyogen Theater of Japan
https://www.nytimes.[...]
1984-07-21
[12]
웹사이트
Revitalized kyogen to a crossroads
http://www.japantime[...]
2001-11-14
[13]
뉴스
25. Triumph as Tarokaja
https://archive.toda[...]
Yomiuri Shimbun
2006-07-08
[14]
웹사이트
T.T.T. category
https://archive.toda[...]
2012-12-19
[15]
웹사이트
Traditional Theatre Training in Kyoto
http://shinpaideshou[...]
2011-04-05
[16]
서적
"The Kyōgen book: an anthology of Japanese classical comedies"
1989
[17]
웹사이트
Shibiri "Cramps"
http://www.tarokaja.[...]
[18]
웹인용
狂言
[19]
서적
完訳日本の古典 48 狂言集
小学館
1985
[20]
서적
河竹黙阿弥 : 元のもくあみとならん
ミネルヴァ書房
[21]
문서
完訳日本の古典 48 狂言集
[22]
웹인용
狂言面
[23]
문서
完訳日本の古典 48 狂言集
[24]
문서
通常、狂言師は子供のころに、「靱猿」のサル役でデビューする。
[25]
문서
笑いの芸術・狂言
1998
[26]
웹사이트
濯ぎ川(すすぎがわ)
https://www2.ntj.jac[...]
文化デジタルライブラリー
2023-04-02
[27]
서적
狂言ハンドブック 第3版
2008
[28]
문서
森田流笛方として活動する一方で何本もの新作狂言を書いた。2016年没
[29]
서적
野村萬斎 What is 狂言?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