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연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연출은 사진, 연극, 영화, 방송, 애니메이션, 기계 장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사진에서는 대상의 특징을 부각하거나 작가의 의도를 표현하기 위해 포즈를 잡게 하거나 상황을 조성하는 것을 의미하며, 다큐멘터리 사진에서도 왜곡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연출이 허용된다. 연극에서는 연출가가 배우의 연기, 무대 미술 등을 통괄하여 작품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조화를 이루는 역할을 하며, 영화에서는 영화 감독이, 방송에서는 연출가가 프로그램의 분위기를 조성하고 성패를 좌우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애니메이션에서는 각 화별로 그림 콘티를 바탕으로 연기나 완성 이미지를 지시하는 연출 처리를 하며, 기계 장치에서는 기계의 움직임을 통해 보는 사람을 즐겁게 하는 것을 연출이라고 부른다. 또한, 연출권은 저작물의 상연이나 연주 시 저작자가 갖는 권리 또는 연극, 방송극 등에서 연출가가 갖는 권리이자 책임을 의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대 - 무대 공포증
    무대 공포증은 대중 앞에서 극심한 두려움과 불안을 느끼는 현상으로, 심리적, 신체적 증상을 동반하며 학업, 직업, 사회생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심리 치료, 약물 치료, 자가 치료법 등을 통해 극복 가능하며 사회적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 무대 - 프로시니엄
    프로시니엄은 관객과 무대를 구분하는 아치 또는 틀로, 르네상스 시대에 현대적 형태를 갖추어 관객에게 좋은 시야와 다양한 무대 효과를 제공하지만, 무대와 객석을 분리시킨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연출
연출
정의공연 공간의 조작
관련 분야연극
영화
텔레비전

2. 사진술에서의 연출

사진을 만드는 과정에서 연출이 필요한지, 또 허용되는지에 대한 논의가 있다. '연출'은 연극 용어지만, 사진에서는 더 넓은 의미로 해석된다. 즉, 작가의 의도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진실에 가깝게 대상을 알리기 위한 수단(interpretation)으로 사용된다.interpretation영어 인물에게 포즈를 취하게 하거나, 대화 중 순간을 포착하는 것도 연출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유사프 카시의 처칠 사진처럼, 의도적인 연출을 통해 대상의 특징을 부각할 수 있다.[3] 예를 들어 카시는 처칠의 사진을 찍을 때 여송연을 빼앗아 그의 인상적인 모습을 담아냈다.

다큐멘터리 사진에서도 테마를 전형적으로 드러내거나 작가의 의도를 표현하기 위한 연출은 허용될 수 있다. 다만, 인명과 관련된 경우나 전쟁 보도와 같이 민감한 사안에서는 신중하게 접근해야 하며, 작가의 양심과 주장에 기반한 연출이어야 한다.[3]

3. 연극에서의 연출

연극에서 연출은 연출가가 담당한다. 연출가는 종합 예술인 연극의 모든 표현(배우연기, 무대 미술 등)을 총괄하여 방향성을 제시하고 조화를 이루는 역할을 한다.[1] 같은 희곡이라도 연출가의 개성에 따라 연극의 색깔이 크게 달라진다.[1]

3. 1. 연출의 종류

데우스 엑스 마키나는 절대적인 힘을 가진 존재(신)가 나타나 혼란스러운 상황을 해결하고 이야기를 수렴시키는 기법이다.

4. 영화에서의 연출

영화에서 연출을 담당하는 사람을 영화 감독이라고 부른다.

5. 방송에서의 연출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연출은 연출가가 담당하며, 프로그램의 분위기를 만들고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역할이다.[1]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에서는 프로그램 전체 연출을 담당하는 치프 디렉터를 "연출", 부조정실 등에서 연출 진행을 맡는 디렉터를 "디렉터"로 구분하는 경우가 많다.[1] 규모가 큰 프로그램에서는 "종합 연출"이라는 담당이 존재하기도 한다.[1]

뉴스 프로그램이나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등 사실을 다루는 프로그램에서는 과도한 연출이 조작으로 인식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1] 과거 텔레비전 드라마 제작 방식에 따라 감독과 연출을 구분하기도 했으나, 현재는 큰 구분이 없다.[1]

6. 애니메이션에서의 연출

과거에는 "연출"이 영화에서의 감독 및 그 행위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현재는 감독과 연출이 별도로 서는 경우도 많으며, 그 경우에는 전자가 시리즈 전체의 총감독이고 후자가 각 화별 분담 연출이거나, 후자가 보좌역이거나 하는 식으로 역할 분담이 이루어진다.[1]

각 화마다 "연출"이라고 단독으로 표시되는 사람은 그림 콘티를 바탕으로 각 섹션에 연기나 완성 이미지 등을 지시하는 일을 한다. 이 일을 '''연출 처리'''라고 부른다. 그림 콘티는 본래 그 화수를 담당하는 연출가가 집필하는 것이었지만, 분업화가 진행된 현재는 콘티와 연출이 분리되는 경우도 많다.[1]

연출은 올라온 레이아웃, 원화를 체크하여 의도대로라면 작화 감독에게 넘기고, 의도대로 되지 않으면 수정하거나 리테이크를 낸다. 그 외에는 감독 보좌, 아후레코(더빙)・더빙・편집 회의 참석, 미술이나 색채 설계, 촬영과의 회의, 완성된 컷의 리테이크 처리, 예고 영상 제작 등을 한다. 제작 진행이나 애니메이터로서 경력을 쌓은 사람이 주로 맡지만, 미술(카미야마 켄지)・마무리(오카지마 쿠니토시)・촬영(니시코리 히로시・미즈시마 세이지 외)과 같은 다른 분야 출신인 경우도 적지 않다. 특히 최근에는 디지털화로 인해 비중이 커진 촬영이나 CG 출신 연출가가 늘어나는 추세이다.[1]

연출은 담당자의 개성이 발휘되는 직무 중 하나로, 작화와 마찬가지로 작품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1]

7. 기계 장치에서의 연출

기계의 본질적인 움직임 외에, 보는 사람이나 사용하는 사람을 즐겁게 하는 움직임을 하는 것을 연출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룰렛이나 슬롯머신, 게임에서 미리 결과가 정해져 있고, 그 위치에 제어하여 멈추는 것은 연출이다.

8. 연출권

연출권은 저작물을 상연하거나 연주할 때 그 저작자가 갖는 권리이다. 또는 연극이나 방송극 등에서, 각본을 바탕으로 배우의 연기, 무대 장치, 의상, 분장, 조명, 음악 등의 여러 요소를 종합하여 효과적으로 무대 공연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일을 전문적으로 하는 연출가가 갖는 권리이자 책임이기도 하다.

연극에서 연출을 담당하는 자는 연출가라고 불린다. 종합 예술인 연극에서 모든 표현(배우연기, 무대 미술 등)을 통괄하여 방향성을 제시하고 조화를 이루는 역할을 한다. 같은 희곡이라도 연출가의 개성에 따라 연극의 색깔이 크게 달라진다.

참조

[1] 웹사이트 Picture Composition for Film and Television https://archive.org/[...] Focal Press 1996-01-31
[2] 웹사이트 ゆかりのある人物(小山内薫):中央区観光協会 http://www.chuo-kank[...] 2013-07-13
[3] 웹사이트 연출 https://ko.wikisourc[...]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