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출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출가는 무대, 방송, 영화,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작품의 제작을 지휘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을 지칭한다. 연출이라는 개념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본격적으로 형성되었으며, 고대 그리스 시대에는 극작가, 중세 시대에는 프롬프터가 연출가의 역할을 했다. 연출가는 무대감독, 방송 연출가, 영화감독, 음악 디렉터 등으로 분류되며, 각 분야에 따라 기술적인 업무, 프로그램 기획 및 제작, 연기 및 제작진 지도, 음악 상품 제작 등을 담당한다. 관련 학과로는 국어국문학과, 연극영화학과, 영화영상학과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출가 - 연극연출가
연극 연출가는 연극 제작 전반을 감독하며,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존재해 왔고, 20세기 초 현대적 개념이 확립되어 예술적 비전을 제시하고 작품의 무대화를 실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연출가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분야 | 창작 작업 |
직업 종류 | 감독 |
주요 역할 | 창작 과정 전반 지휘 및 책임 |
역할 및 책임 | |
창작 과정 | 제작 계획 수립 예산 관리 팀 구성 및 협업 지휘 창작 방향 제시 및 최종 결정 |
세부 역할 | 연출 제작 각본 편집 |
연출의 종류 | |
영화 연출 | 영화 감독 |
방송 연출 | 방송 프로그램 감독 |
연극 연출 | 연극 감독 |
게임 연출 | 게임 감독 |
뮤직 비디오 연출 | 뮤직 비디오 감독 |
연출가(연출가)의 역할 | |
프로그램 제작 | 프로그램 제작 전반을 책임짐 스튜디오와 현장 촬영 관리 출연자, 제작진, 기술진과 협력 |
연출 구성 | 프로그램 내용 구성 및 편집 시나리오, 콘티 구상 화면 연출, 편집 지시 |
팀 관리 | 제작진 및 기술진 지휘 의견 조율 및 협업 |
제작 목표 | 프로그램 제작 목표 및 방향 설정 제작 과정 전체 총괄 프로그램 품질 관리 |
관련 직업 | |
관련 직업 | 영화 감독 텔레비전 프로그램 감독 연극 감독 뮤지컬 감독 광고 감독 애니메이션 감독 게임 감독 뮤직비디오 감독 |
2. 역사
연출이라는 말은 현대에 이르러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말이 되었지만, 연출의 형태가 본격적으로 잡힌 것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라고 할 수 있다. 모더니즘을 벗어나려는 움직임과 함께 근대극이 출발하면서 연출의 중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했다.[1]
2. 1. 고대
고대 희랍극의 경우 희곡을 집필하였던 시인이 연출가로서의 역할을 함께 수행했다고 할 수 있다. 디오니소스 제전에 선정된 극작가들은 자신의 작품을 완성하기 위하여 직접 연기를 하거나, 코러스를 훈련시키고, 음악을 만들며 안무를 담당하기도 했다.[1] 이는 각 분야마다 전문가가 존재하긴 하지만 전반적으로 연출이 관여하는 연출가의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1]2. 2. 중세
중세 시대의 프롬프터(Prompter)가 연출가의 역할을 주로 맡아왔던 것으로 보인다. 중세는 암흑시대(Dark Age)라고 불리던 시대인 만큼 신성과 엄격, 그리고 경직된 사회구조를 지닌 시대였다. 코메디아 델라르테가 되기 전까지, 저술되거나 제작되는 작품들은 신의 신성과 그 앞에 나약해질 수 밖에 없는 인간에 대해 다루었으며, 주로 신과 인간의 대립, 그리고 신성을 그리고 있던 고대 그리스의 비극들을 주로 활용하였다. 전문적인 형태의 극단이라기보다는, 수레를 이용한 이동 무대를 이용하여 마을을 누비며 공연을 제작하였고, 막대한 양의 대사를 쉽게 암기하기 힘들어, 뒤편에서 프롬프터가 대사를 불러주며 연출 및 무대감독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보인다.[1]이후 암흑 시대가 부르주아의 출현으로 균열이 가기 시작하면서, 새로운 형태의 연극이 자리잡기 시작하는데, 바로 코메디아 델라르테(Commedia Dell'arte)라고 불리는 르네상스기 직업적인, 전문 즉흥 연극단이다. 이들은 극작가의 대본이 아니라 배우의 즉흥 연기술을 중심으로 한 연극으로 이루어져 있다. 슬랩스틱 코미디나 현대 코미디의 원형이 되는 것을 바로 이 코메디아 델라르테에서 찾을 수 있다.[1]
2. 3. 르네상스 시대
르네상스 시기에는 직업적이고 전문적인 즉흥 연극단인 코메디아 델라르테(Commedia Dell'arte)가 등장했다. 이들은 극작가의 대본이 아닌 배우의 즉흥 연기술을 중심으로 연극을 구성했다. 슬랩스틱 코미디나 현대 코미디의 원형은 바로 이 코메디아 델라르테에서 찾을 수 있다.3. 연출가의 분류
연출가는 제작물의 작품으로서의 질에 책임을 지는 사람이다. 기획, 기안, 제작에 관여하여 업무 전반을 총괄하기도 한다. 이 경우 디렉터가 플래너나 프로듀서 직책을 겸임하는 경우가 많다. 디렉터의 본래 담당 범위는 기획·제작까지는 아니며, 제작물의 경제적 책임을 지는 프로듀서와 대를 이루는 포지션이다. 텔레비전에서는 감독이라는 호칭보다 '''디렉터'''를 광범위하게 사용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주로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이나 비디오 제작에서 방송국이나 제작사에 직원으로 소속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극본가나 프로듀서 등과 회의를 거친 후, 스튜디오나 부조정실·현장에서 출연자와 카메라맨, 음향 등의 기술 스태프를 지휘하면서 작품의 구성을 직접 하는 '''연출 책임자'''를 말한다. 영화의 경우에는 전통적으로 “감독”이라고 부르지만, 직무 내용은 겹친다.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이나 이벤트의 진행 지휘를 하는 직종이기도 하다.
연극 연출가, 컴퓨터 그래픽스나 컴퓨터 게임 제작 담당자를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일본 애니메이션 업계에서는 대부분 '감독'이라는 호칭을 사용하지만, 토에이 애니메이션, 샤프트, 낙에서는 감독에 해당하는 직종을 '''시리즈 디렉터'''라고 부른다.[3] 토에이 애니메이션의 시리즈 디렉터는 "담당 회차의 연출자가 그 회차의 감독이다"라는 전통 때문에, 다른 회사의 감독에 비해 권한이 작다.[3] 작품에 따라 감독과 디렉터가 혼재하는 경우도 있다.
감독 위에 "총감독"이 배치되는 경우도 있지만, 애니메이션 프로그램의 경우 다른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달리 프로듀서를 겸임하는 의미는 가지지 않는다.
애니메이션 제작에서 "연출"은 감독과 별도로 배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크레딧에 "연출"이 표기되는 경우가 대부분), 감독에 따라 겸임하거나, 부분적으로 몇 화만 연출을 맡는 경우도 있다.
3. 1. 무대 연출가 (무대감독)
무대감독은 무대 연출에 필요한 촬영, 무대장치, 편집 등의 기술적인 업무를 계획하고 지도·조정한다.작품의 예술성을 살리기 위해 무대 장치, 조명, 의상 및 음향 종사자 등의 역할과 활동을 결정하며, 출연 배우들이 적절한 시기에 등장하도록 연락하고 조정한다. 돌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무대 위 안전사고를 점검하고 미연에 방지한다. 공연이 완료되면 무대 종사자들을 지휘하여 모든 물품을 정리 보관한다.
3. 2. 방송 연출가
방송 연출가는 라디오 또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제작한다.[1] 시나리오 작가를 선정하여 프로그램 계획을 설명하고 완성된 대본을 평가한다.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방송 작가, 제작진, 연기자들을 선출한다. 완성된 대본을 평가하고 배역을 정하며, 의상, 무대 배경, 음악, 카메라 작업, 시간 배정 등을 결정하기 위해 제작진과 협의하고 제작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의 활동을 조정한다. 촬영 일정을 결정하고 장소 섭외, 무대 배경 설치, 소품 및 장비 준비 등을 지시하여 촬영, 녹화를 총지휘한다. 주어진 예산 내에서 프로그램을 제작하기 위해 예산과 지출을 검토, 조정한다.[1]제작물의 작품으로서의 질에 책임을 지는 사람을 말한다. 기획, 기안, 제작에 관여하여 업무 전반을 총괄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디렉터 직책의 사람이 플래너 직책, 프로듀서 직책을 겸임하는 경우가 많다”라고 말할 수 있다. 디렉터의 본래 담당 범위는 기획·제작에 미치는 것은 아니다. 제작물의 경제적 책임을 지는 프로듀서와 대를 이루는 포지션이다. 텔레비전에서는 감독이라는 호칭보다 '''디렉터'''를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주로 텔레비전 관련 방송 프로그램이나 비디오 제작에서 방송국이나 제작사에 직원으로 소속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극본가나 프로듀서 등과 회의를 거친 후, 스튜디오나 부조정실·현장에서 출연자와 카메라맨, 음향 등의 기술 스태프를 지휘하면서 작품의 구성을 직접 하는 '''연출 책임자'''의 직종을 말한다. 영화의 경우에는 전통적으로 “감독”이라고 부르지만, 직무 내용은 겹친다. 라디오 관련 방송 프로그램이나 이벤트의 진행 지휘를 하는 직종이기도 하다.
방송 업계에서는 연출자를 부르는 데 다양한 호칭을 사용하지만, 대부분은 업계 용어로 시작되었으며 방송국이나 미디어에 따라 호칭이 달라지는 경향이 강하여 호칭에 대한 엄격하고 공통된 정의는 없다. 일반적으로는 프로그램 전체를 지휘하는 책임 연출[1], 취재만 담당하는 취재 연출, 스튜디오(플로어)에서 부조정실에 있는 연출자의 지시를 인컴이나 큐시트(주로 큐카드)를 이용하여 출연자나 스태프에게 전달하는 플로어 연출(FD) 등으로 분류된다. 일본방송협회에서는 PD(program director영어의 약자)라고 부른다. 후지텔레비에서는 PD를 책임 연출이라는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현장에서는 단순히 D(디)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최근 예능 프로그램에서는 프로듀서가 책임 연출(연출)을 겸하는 경우도 많이 볼 수 있다. 또한 프로듀서급 스태프가 연출자보다 상위에서 연출 부분만 지휘 관리하는 경우 "종합 연출"(제너럴 디렉터, 프로듀스라고도 불린다), 프로듀서보다 더 상위에서 프로그램의 연출·제작을 전면적으로 지휘 감독하는 경우 "총감독"[2]이라는 호칭이 사용되기도 한다. 방송 업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연출자는 프로듀서보다 하위 직책이며, 프로듀서가 연출자를 지휘하는 체제가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텔레비전 드라마의 연출자는 영화 감독을 따라 "감독"(연출)이라고 불리는 것보다 연출자라고 불리는 경우가 최근 많다. 또한 연출자가 해외에서 사용하는 영어 명함에는 일반적으로 program director영어(프로그램 디렉터)라고 적는다. 이는 방송국의 이사(director영어)와 혼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3. 3. 영화 연출가
영화감독은 영화 제작을 위한 연출을 하고, 연기자와 제작진, 편집과 녹음을 지도한다. 작품의 주제와 성격을 분석하고 제작 방침을 결정한다. 대본(시나리오)을 분석하여 배역을 선정하고 제작진을 결정한다. 촬영 현장의 답사와 세트 디자인을 결정하고 촬영 계획을 세우며, 촬영의 개시와 종료를 결정한다. 촬영 일정대로 진행하기 위해 제작진과 출연자를 조정, 지휘하고 촬영 현장 및 준비 과정을 확인한다. 리허설을 감독하고 연기를 지도하며, 촬영 후 작품의 성격에 맞게 편집과 특수 효과 등의 녹음을 지도한다.[3] 제작물의 작품으로서의 질에 책임을 지는 사람을 말한다.대한민국에서는 영화의 경우 전통적으로 “감독”이라고 부르지만, 직무 내용은 텔레비전 디렉터와 겹친다.
3. 4. 음악 연출가
대한민국에서 레코드나 CD 등 음악 상품 제작 시의 "제작 감독자"를 보통 "'''음악 디렉터'''"라고 부른다. 음악 디렉터는 음악 상품의 음악적인 면보다는 음원은 일반적으로 음악 프로듀서와 레코딩 디렉터, 편곡가가 담당하기 때문에 주로 더 사무적인(또는 기술적인, 상품적인) 면을 감독하게 된다. 따라서 음악 디렉터는 음악가일 필요는 없고, 일반적으로 레코드 회사(CD 회사) 또는 원반 관리 회사나 그 하부에 속한 음악 제작 오피스의 제작 담당 직원이 맡는다.다른 상황에서 "디렉터"라고 불리는 사람의 역할을 추측하면, CD 등의 제작에서는 디렉터가 중심적인 입장이 될 것 같지만, 실제 상황에서는 음악 프로듀서나 A&R이 오히려 주도권을 쥐고 있는 경우가 많다.
4. 관련 학과
참조
[1]
문서
チーフDの表記について
[2]
문서
総合演出兼チーフプロデューサー
[3]
웹사이트
Q&Aコーナー 第3回 原恵一監督の新作など、質問5連発!
http://www.style.fm/[...]
株式会社スタイル
2005-11-29
[4]
문서
연극영화학과 표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