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대요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열대요란은 열대 저기압의 발달 가능성이 있는 기상 현상에 부여되는 임시적인 지정 방식이다. 각 관할 구역과 예보 센터는 고유한 접미사를 사용하여 열대요란에 번호를 부여하며, 90부터 99까지의 번호를 순환하여 사용한다.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NHC)는 북대서양과 동북태평양에서, 중앙태평양 허리케인 센터(CPHC)는 북중태평양에서,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는 서북태평양, 북인도양, 남반구 일부 지역에서 열대요란을 지정한다. 이 외에도 미국 해군 연구소(NRL)와 위성분석지부(SAB)가 각각 남대서양과 지중해에서 열대요란을 지정한다. 열대요란이 열대 저기압으로 발달하면 TC 번호가 부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열대 저기압 기상학 - 사이클론
사이클론은 저기압성 순환을 보이는 대기 현상으로, 규모와 형성과정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뉘며, 북반구는 반시계 방향, 남반구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특징을 갖고, 열대 사이클론은 해수면 온도, 대기 불안정, 습도 등의 조건에서 형성되고 강도에 따라 여러 단계로 구분되며, 지구 외 다른 행성에서도 관측된다. - 열대 저기압 기상학 -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는 1898년에 설립되어 열대성 저기압 감시, 예보, 분석을 담당하고 허리케인 관련 연구를 수행하는 미국 환경예보센터의 일부이다.
열대요란 | |
---|---|
개요 | |
정의 | 열대 해상에서 발생하는, 뚜렷한 저기압성 순환을 보이는 기상 교란의 한 종류 |
특징 | 폐쇄된 등압선 또는 등고선이 없거나, 약하게 나타남 최대 풍속이 33노트(약 61km/h) 미만 뇌우 활동과 관련된 조직화된 대류역을 동반 |
발달 단계 | |
1단계 | 불안정한 대기 조건과 수렴으로 인해 뇌우가 발생하고, 점차 조직화되기 시작함 |
2단계 | 뇌우가 집중되면서 저기압성 순환이 약하게 형성되기 시작함 |
3단계 | 중심 기압이 낮아지고, 순환이 뚜렷해지면서 열대 저기압으로 발달할 가능성이 높아짐 |
진로 및 영향 | |
진로 | 무역풍의 영향으로 서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으며, 수온, 상층 바람, 대기 안정도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음 |
영향 | 강한 비바람, 높은 파도, 해일 등을 동반하여 해안 지역에 피해를 줄 수 있으며, 선박 운항 및 어업 활동에 지장을 초래함 |
관련 용어 | |
열대 저기압 | 열대 요란에서 발달하여 최대 풍속이 34노트(약 63km/h) 이상인 기상 현상 |
태풍 |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하는 열대 저기압 중 최대 풍속이 64노트(약 118km/h) 이상인 기상 현상 |
허리케인 | 대서양, 카리브해, 멕시코만, 북동태평양에서 발생하는 열대 저기압 중 최대 풍속이 64노트(약 118km/h) 이상인 기상 현상 |
추가 정보 | |
참고 자료 |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 (NOAA-NWS)의 제임스 프랭클린의 기상학자를 위한 투자 |
2. 지정 방식
Invest-99L까지
(140°W 동쪽)
Invest-99E까지
(IDL 동쪽부터 140°W 서쪽)
Invest-99C까지
(IDL 서쪽)
Invest-99W까지
(벵골만)
(비공식)
Invest-99B까지
(아라비아해)
Invest-99A까지
(135°E 서쪽)
Invest-99S까지
(135°E 동쪽)
Invest-99P까지
Invest-99Q까지
Invest-99M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