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열도는 대륙 연변부, 특히 태평양 북부 및 서부 연변부에 주로 위치하며, 판 구조론적 활동에 의해 형성된다. 도호(島弧)라고도 불리는 활 모양 열도는 해구와 나란히 분포하며, 화산 활동과 지진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열도는 지각판의 경계, 특히 해구 부근에서 형성되며, 핫스팟의 활동으로 생성되기도 한다. 주요 열도에는 알류샨 열도, 쿠릴 열도, 일본 열도, 류큐 열도, 순다 열도 등이 있으며, 이러한 열도는 교통로, 문화 전파의 역할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도 - 티에라델푸에고 제도
티에라델푸에고 제도는 남아메리카 최남단에 위치하며 아르헨티나와 칠레가 나누어 소유한 티에라델푸에고섬을 중심으로 한 제도로, 아극성 해양성 기후, 마젤란 아한대림, 다양한 동식물상을 특징으로 하며 어업, 천연자원 채굴, 양 농업, 생태 관광 등이 주요 경제 활동이다. - 군도 - 토론토 제도
토론토 제도는 온타리오 호수에 위치한 섬들로, 원래는 반도였으나 폭풍으로 분리되었으며, 현재는 공원, 레크리에이션 시설, 주거 지역, 공항 등이 조성되어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진다. - 지루 - 순다 열도
순다 열도는 말레이 제도에 위치하며 대순다 열도와 소순다 열도로 나뉘고, 순다 대륙붕 위에 위치하여 화산 활동과 지진이 잦으며, 브루나이, 동티모르,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5개국에 걸쳐 있는 섬들이다. - 지루 - 알류샨 열도
알류샨 열도는 알래스카 반도에서 서쪽으로 뻗어 있는 섬들로, 환태평양 조산대에 위치하며 화산 활동과 지진이 활발하고 해양성 기후를 보이며, 수산업과 미군 주둔이 경제의 기반을 이루고 알류트족이 원주민으로 거주한다. - 판 구조론 - 섭입
섭입은 판 구조론의 핵심 과정으로, 밀도가 높은 지각판이 다른 지각판 아래로 가라앉는 현상이며, 지진, 화산 활동, 조산 운동과 같은 지각 활동과 해구, 화산호 등의 지형적 특징을 형성하고 지구의 지질학적 진화와 자연재해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지구상 유일한 행성 규모의 현상이다. - 판 구조론 - 판 (지각)
판은 지구 표면을 덮는 조각으로, 대륙판과 해양판으로 구분되며, 유라시아판, 태평양판, 아프리카판 등 14~15개의 주요 판과 40여 개의 소규모 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열도 | |
---|---|
지리 | |
지질학적 정의 | 판 구조론에 따른 호상(弧狀)의 섬 무리 |
형성 원인 | 섭입대에서 해양판이 맨틀 속으로 섭입하면서 생성되는 화산 활동의 결과 |
주요 특징 | 활발한 지진 활동 화산 활동 호 모양의 배열 |
일반적인 형태 | 대륙 연변 또는 해양 중에 활 모양으로 배열된 섬, 화산, 산맥의 연속체 |
관련 지형 | 해구 배호 분지 |
생성 과정 | |
섭입 | 해양 지각이 대륙 지각 또는 다른 해양 지각 아래로 미끄러져 들어감. |
마그마 형성 | 섭입된 판에서 물과 휘발성 물질이 방출되어 상부 맨틀의 부분적인 용융을 일으킴. |
화산 활동 | 생성된 마그마가 지표면으로 상승하여 화산을 형성하고, 이들이 모여 호상 열도를 이룸. |
위치 | |
주요 위치 | 서태평양 알류샨 열도 카리브해 지중해 |
추가 정보 | |
관련 용어 | 열도 군도 사슬 섬 |
중요성 | 지질학적 활동과 지형 변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지표 |
2. 열도의 형성
대부분의 현대적인 열도는 대륙 연변부 근처, 특히 태평양 북부 및 서부 연변부에 위치한다. 그러나 열도 내부 증거에 따르면, 열도가 항상 현재 위치에 존재했던 것은 아니다. 일부 증거는 후기 중생대 또는 초기 신생대 동안 일부 열도가 대륙으로 이동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2]
열도는 해양-해양 수렴대에서도 발견되는데, 이 경우 더 오래된 판이 더 젊은 판 아래로 섭입한다. 고대 베니오프대가 현재의 해양 쪽으로 경사를 이루었다면, 열도가 대륙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했을 수 있다. 이는 열도와 대륙 사이의 해양 바닥 소실을 초래하여 확산 에피소드 동안 열도의 이동을 유발했다.[2]
일부 활성 열도가 끝나는 단층대는 변환 단층을 따라 이동한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4][5] 변환 단층은 지각이 소모되거나 생성되지 않는 판의 경계이다. 따라서 이러한 비활성 열도의 현재 위치는 현재의 판 패턴에 기인한다. 그러나 이들이 더 오래된 열도의 파편임을 나타내는 화산 활동 기록은 현재의 판 패턴과 관련이 없을 수 있으며, 과거 판 경계 위치의 차이에 기인할 수 있다.
섭입 과정에서 맨틀의 용융을 일으키는 열원에 대한 논쟁은 계속 진행 중이다. 현재는 물이 호 아래에서 부분 용융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여겨진다.
2. 1. 도호 (Island Arc)
열도(列島)의 대부분은 판의 경계 (해구 부근)에 형성되며, 이러한 종류의 열도를 '''도호'''(島弧, island arc) 또는 '''호상 열도'''(弧状列島)라고 부른다. 일본 열도도 도호 중 하나이다.[18] 대부분의 도호는 화산 전선이라고 불리는 전선대에 따라 화산을 동반하며, 도호의 배면(해구와 반대쪽)에서는 지각이 침강하여 해분이 형성된다.2. 1. 1. 도호 형성 과정
맨틀 용융을 일으키는 열원의 근원을 이해하는 것은 논쟁의 대상이었다. 연구자들은 열이 슬래브 상부의 마찰을 통해 생성된다고 믿었다. 그러나 이는 연약권의 점성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고, 부분 용융에 필요한 온도에서 연약권의 점성이 너무 낮아 전단 용융이 발생할 수 없기 때문에 가능성이 낮다.[6]
현재는 물이 호 아래에서 부분 용융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여겨진다. 강하하는 슬래브에 존재하는 물의 양은 맨틀의 용융 온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7] 물의 양이 많을수록 맨틀의 용융 온도가 더 낮아진다. 이 물은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광물의 변환 동안 방출되며, 가장 많은 물을 함유하는 광물은 사문석이다.
이러한 변성 광물 반응은 수화된 슬래브가 가라앉을 때 슬래브 상부의 탈수를 유발한다. 열은 또한 주변 연약권에서 슬래브로 전달된다. 열이 슬래브로 전달되면 온도 구배가 형성되어 슬래브 근처의 연약권이 주변 지역보다 더 차갑고 점성이 강해지며, 특히 슬래브 상부 근처에서 그러하다. 이렇게 더 점성이 강한 연약권은 슬래브와 함께 끌려 내려가 덜 점성이 강한 맨틀이 그 뒤로 흘러 들어가게 한다. 이 하강하는 맨틀이 가라앉는 슬래브에서 상승하는 수성 유체와 상호 작용하여 습윤 고상선을 통과할 때 맨틀의 부분 용융을 생성하는 것으로 생각된다.[8] 또한, 일부 용융물은 맨틀 쐐기 내에서 뜨거운 맨틀 물질이 솟아오르면서 발생할 수 있다.[9] 뜨거운 물질이 열 손실 없이 충분히 빠르게 상승하면 압력 감소로 인해 압력 완화 또는 탈압 부분 용융이 발생할 수 있다.
섬 호의 섭입 측에는 깊고 좁은 해구, 즉 지구 표면에서 하강하는 판과 상위 판 사이의 경계가 있다. 이 해구는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섭입하는 판이 판의 선두 가장자리에 가하는 하향 중력에 의해 생성된다. 이 섭입 경계를 따라 여러 지진이 발생하며 지진 진원은 섬 호 아래에서 깊이가 증가하는 곳에 위치한다. 이러한 지진은 베니오프대를 정의한다.[10][11]
섬 호는 대양 내 환경에서, 또는 인접한 대륙에서 이동해 온 대륙 지각 조각이나 대륙 가장자리에서 활발한 섭입 관련 화산에서 형성될 수 있다. 열도에서 발생하는 화산암의 유형은 일반적으로 세 가지 화산 계열에서 형성된다:[15][16]
- ''섬록암질'' 계열 – 현무암질 안산암 및 안산암.
- 칼크-알칼리성 계열 – 안산암.
- 알칼리 계열 – 알칼리 현무암과 희귀한, 매우 높은 칼륨 함량을 갖는(즉, 쇼쇼나이트) 용암의 하위 그룹.
이 화산 계열은 섭입대의 나이와 깊이와 관련이 있다. 섬록암질 마그마 계열은 얕은 깊이에서 생성된 마그마로 형성된 젊은 섭입대 위에 잘 나타난다. 칼크-알칼리성 및 알칼리 계열은 성숙한 섭입대에서 보이며 더 깊은 깊이의 마그마와 관련이 있다. 안산암과 현무암질 안산암은 칼크-알칼리성 마그마를 나타내는 열도에서 가장 풍부한 화산암이다. 일부 열도는 일본 열도 시스템에서 볼 수 있듯이 화산 계열이 분포되어 있으며, 여기서 화산암은 해구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섬록암 – 칼크-알칼리성 – 알칼리성으로 변한다.[15]
아크 마그마 작용에는 다양한 암석 조성을 생성하는 여러 과정이 관여한다. 이러한 과정은 마그마 혼합, 분별, 부분 용융의 깊이 및 정도의 변화, 동화 작용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세 가지 화산 계열은 광범위한 암석 조성을 생성하며, 절대적인 마그마 유형 또는 기원 지역에 해당하지 않는다.[6]
열도의 대부분은 판의 경계역(해구 부근)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종류의 열도를 '''도호'''(島弧, island arc) 또는 '''호상 열도'''(弧状列島)라고 부른다. 일본 열도도 도호 중 하나이다.[18] 대부분의 도호는 화산 전선이라고 불리는 전선대에 따라 화산을 동반한다. 또한 도호의 배면(해구와 반대쪽)에서는 지각이 침강하여 해분이 형성된다.
도호의 형성 과정은 대략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 판이 해구에서 섭입해 들어가면, 일정 깊이에서 함수 광물(운모나 각섬석)이 압력으로 인해 분해된다. 이때 방출된 물이 상부의 쐐기 맨틀에 부가됨으로써 맨틀의 융점이 낮아져 마그마가 생성된다. 마그마는 주변 맨틀에 비해 가볍기 때문에 맨틀 다이아피어로 상승하여 지각-맨틀 경계 부근에서 멈춘다. 이처럼 차례차례 하부에서 마그마가 가까운 하부에 부착되기 때문에 지각이 두꺼워지고, 아이소스타시의 원리에 의해 해구에 평행한 선상의 융기가 형성된다. 이 융기 위 곳곳에서는 마그마가 지표로 분출하여 화산이 된다.
이처럼 형성된 도호의 대부분이 호상(弧狀)을 이루는 것은 배면 쪽에 배호 해분이 발달했기 때문이며, 배호 해분을 가지지 않은 도호는 직선상이다.

2. 1. 2. 도호의 특징
열도(列島)의 대부분은 판의 경계역(해구 부근)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종류의 열도를 '''도호'''(島弧, island arc) 또는 '''호상 열도'''(弧狀列島)라고 부른다. 일본 열도도 도호 중 하나이다.[18] 대부분의 도호는 화산 전선이라고 불리는 전선대에 따라 화산을 동반한다. 또한 도호의 배면(해구와 반대쪽)에서는 지각이 침강하여 해분이 형성된다.도호는 판이 해구에서 섭입해 들어갈때, 일정 깊이에서 함수 광물(운모나 각섬석)이 압력으로 인해 분해되면서 방출된 물이 상부의 쐐기 맨틀에 부가됨으로써 맨틀의 융점이 낮아져 마그마가 생성된다. 마그마는 주변 맨틀에 비해 가볍기 때문에 맨틀 다이아피어로 상승하여 지각-맨틀 경계 부근에서 멈춘다. 이처럼 차례차례 하부에서 마그마가 가까운 하부에 부착되기 때문에 지각이 두꺼워지고, 아이소스타시의 원리에 의해 해구에 평행한 선상의 융기가 형성된다. 이 융기 위 곳곳에서는 마그마가 지표로 분출하여 화산이 된다.
이처럼 형성된 도호의 대부분이 호상(弧狀)을 이루는 것은 배면 쪽에 배호 해분이 발달했기 때문이며, 배호 해분을 가지지 않은 도호는 직선상이다.
2. 2. 핫스팟 해산 열 (Hotspot Seamount Chain)
지구상에는 하부 맨틀 부근에서 뜨거운 물질이 상승하는 핫스팟이 곳곳에 나타난다. 이 핫스팟은 판 운동에 대해 움직이지 않으므로, 판이 움직여 감에 따라, 그 판 위에 핫스팟 기원의 화산이 점점이 이어진다. 하와이-천황 해산 열도가 그 전형적인 예이며, 도중에 꺾이면서 직선으로 이어진다. 하지만, 대부분의 섬은 해수면 아래로 침강했기 때문에 열도가 아닌 해산 열이라고 불린다.
2. 3. 기타 열도 형성
대부분의 현대적인 열도는 대륙 연변부 근처(특히 태평양 북부 및 서부 연변부)에 위치해 있다. 그러나 열도 내부에서 직접적인 증거는 열도가 항상 대륙과 현재 위치에 존재했음을 보여주지 않는다. 일부 대륙 연변부의 증거는 일부 열도가 후기 중생대 또는 초기 신생대 동안 대륙으로 이동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2] 이들은 또한 해양-해양 수렴대에서도 발견되며, 이 경우 더 오래된 판이 더 젊은 판 아래로 섭입한다.일부 시점에서 고대 베니오프대가 오늘날 대부분의 열도에서처럼 대륙이 아닌 현재의 해양 쪽으로 경사를 이루었다면, 열도가 대륙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했을 수 있다. 이는 열도와 대륙 사이의 해양 바닥 소실을 초래했으며, 결과적으로 확산 에피소드 동안 열도의 이동을 초래했다.[2]
일부 활성 열도가 끝나는 단층대는 변환 단층을 따라 이동한 결과로 판 구조론적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다.[4][5] 변환 단층은 지각이 소모되거나 생성되지 않는 판의 경계이다. 따라서 이러한 비활성 열도의 현재 위치는 현재의 판 패턴에 기인한다. 그러나 이들이 더 오래된 열도의 파편임을 나타내는 화산 활동 기록은 반드시 현재의 판 패턴과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며 과거의 판 경계 위치의 차이에 기인할 수 있다.
기타 열도의 형성 요인으로는 침식이나 퇴적 등이 있다. 이 경우 형성된 섬들이 우연히 열을 이루어 열도라고 칭하며, 형성 요인으로 볼 때 군도와 큰 차이는 없게 된다.
3. 열도의 인문·사회적 의미
열도는 말 그대로 섬이 열을 지어 늘어서 있기 때문에 섬을 잇는 교통로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문화 전파의 역할(소위 문화 회랑)을 담당하기도 한다. 야나기타 구니오가 제창한 '해상의 길'은 류큐 열도를 대륙으로부터의 문화 회랑으로 여긴 대표적인 예이다.[1]
4. 주요 열도
열도 | 국가 | 해구 | 분지 또는 주변해 | 우세 판 | 섭입 판 |
---|---|---|---|---|---|
알류샨 열도 | 미국 | 알류샨 해구 | 베링 해 | 북아메리카 판 | 태평양 판 |
쿠릴 열도 | 러시아 | 쿠릴-캄차카 해구 | 오호츠크 해 | 북아메리카 판 | 태평양 판 |
일본 열도 | 일본 | 일본 해구, 난카이 해곡 | 동해 | 북아메리카 판, 유라시아 판 | 태평양 판, 필리핀 해 판 |
류큐 열도 | 일본 | 류큐 해구 | 동중국해 (오키나와 해곡) | 유라시아 판 | 필리핀 해 판 |
필리핀 | 필리핀 | 필리핀 해구 | 남중국해, 술라웨시 해 | 유라시아 판 | 필리핀 해 판 |
순다 열도 | 인도네시아 | 자바 해구 | 자바 해, 플로레스 해 | 유라시아 판 | 오스트레일리아 판 |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 | 인도 | 북부 자바 해구 | 안다만 해 | 유라시아 판 | 인도-오스트레일리아 판 |
이즈 제도 및 오가사와라 제도(보닌 제도) | 일본 | 이즈-오가사와라 해구 | 필리핀 해 판 | 태평양 판 | |
마리아나 제도 | 미국 | 마리아나 해구 | 필리핀 해 판 | 태평양 판 | |
비스마르크 제도 | 파푸아뉴기니 | 뉴브리튼 해구 | 태평양 판 | 오스트레일리아 판 | |
솔로몬 제도 | 솔로몬 제도 | 산 크리스토발 해구 | 태평양 판 | 오스트레일리아 판 | |
뉴헤브리디스 제도 | 바누아투 | 뉴헤브리디스 해구 | 태평양 판 | 오스트레일리아 판 | |
통가 제도 | 통가 | 통가 해구 | 오스트레일리아 판 | 태평양 판 | |
안틸레스 제도 | 푸에르토리코 해구 | 카리브해 | 카리브 판 | 북아메리카 판, 남아메리카 판 | |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 영국 해외 영토 | 사우스샌드위치 해구 | 스코샤 해 | 스코샤 판 | 남아메리카 판 |
에게 해 | 그리스 | 동지중해 해구 | 에게 해 | 에게 해 판 또는 헬레닉 판 | 아프리카 판 |
과거 열도의 잔해가 일부 지역에서 확인되었으며, 그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열도 | 국가 | 결과 |
---|---|---|
차이테니아 | 칠레, 아르헨티나 | 융기되어 파타고니아에 데본기에 부착되었다.[17] |
인슐라 제도 | 캐나다, 미국 | 백악기에 북아메리카에 부착되었다. |
인터몬테인 제도 | 캐나다, 미국 | 쥐라기에 북아메리카에 부착되었다. |
4. 1. 활 모양 열도 (도호)
열도의 대부분은 판의 경계역(해구 부근)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종류의 열도를 '''도호'''(島弧, island arc) 또는 '''호상 열도'''(弧状列島)라고 부른다. 일본 열도도 도호 중 하나이다.[18] 대부분의 도호는 화산 전선이라고 불리는 전선대에 따라 화산을 동반한다. 또한 도호의 배면(해구와 반대쪽)에서는 지각이 침강하여 해분이 형성된다.도호는 판이 해구에서 섭입해 들어가면, 일정 깊이에서 함수 광물(운모나 각섬석)이 압력으로 인해 분해된다. 이때 방출된 물이 상부의 쐐기 맨틀에 부가됨으로써 맨틀의 융점이 낮아져 마그마가 생성된다. 마그마는 주변 맨틀에 비해 가볍기 때문에 맨틀 다이아피어로 상승하여 지각-맨틀 경계 부근에서 멈춘다. 이처럼 차례차례 하부에서 마그마가 가까운 하부에 부착되기 때문에 지각이 두꺼워지고, 아이소스타시의 원리에 의해 해구에 평행한 선상의 융기가 형성된다. 이 융기 위 곳곳에서는 마그마가 지표로 분출하여 화산이 된다.
이처럼 형성된 도호의 대부분이 호상(弧狀)을 이루는 것은 배면 쪽에 배호 해분이 발달했기 때문이며, 배호 해분을 가지지 않은 도호는 직선상이다.
활 모양 열도 | 국가 | 해구 | 연해・해분 | 플레이트 | 침강 플레이트 |
---|---|---|---|---|---|
알류샨 열도 | 미국 | 알류샨 해구 | 베링해 | 북아메리카 | 태평양 |
쿠릴 열도 | 러시아, 일본 | 쿠릴-캄차카 해구 | 오호츠크해 | 북아메리카 | 태평양 |
일본 열도 | 일본 | 일본 해구, 난카이 해곡 | 동해 | 북아메리카, 유라시아 | 태평양, 필리핀해 |
류큐 열도 | 일본 | 류큐 해구 | 동중국해(오키나와 해구) | 유라시아 | 필리핀해 |
필리핀 | 필리핀 | 필리핀 해구 | 남중국해, 술라웨시해 | 유라시아 | 필리핀해 |
순다 열도 | 인도네시아 | 자와 해구 | 자와해, 플로레스해 | 유라시아 | 오스트레일리아 |
안다만・니코바르 제도 | 인도 | 순다 해구 북부 | 안다만해 | 유라시아 |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
이즈・오가사와라 제도 | 일본 | 이즈・오가사와라 해구 | 이즈-오가사와라 해분 | 필리핀해 | 태평양 |
마리아나 제도 | 미국 | 마리아나 해구 | 마리아나 배호 해분 | 필리핀해 | 태평양 |
비스마르크 제도 | 파푸아뉴기니 | 뉴브리튼 해구 | 태평양 | 오스트레일리아 | |
솔로몬 제도 | 솔로몬 제도 | 산타크루즈 해구 | 태평양 | 오스트레일리아 | |
뉴헤브리디스 제도 | 바누아투 | 뉴헤브리디스 해구 | 태평양 | 오스트레일리아 | |
통가 | 통가 | 통가 해구 | 오스트레일리아 | 태평양 | |
안틸레스 제도 | 다수 | 푸에르토리코 해구 | 카리브해 | 카리브 |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 영국 | 사우스샌드위치 해구 | 스코샤해 | 스코샤 | 남아메리카 |
4. 2. 핫스팟에 의한 열도
지구상에는 하부 맨틀 부근에서 뜨거운 물질이 상승하는 핫스팟이 곳곳에 나타난다. 이 핫스팟은 판 운동에 대해 움직이지 않으므로, 판이 움직여 감에 따라, 그 판 위에 핫스팟 기원의 화산이 점점이 이어진다. 하와이-천황 해산 열도가 그 전형적인 예이며, 도중에 꺾이면서 직선으로 이어진다. 하지만, 대부분의 섬은 해수면 아래로 침강했기 때문에 열도가 아닌 해산 열이라고 불린다.태평양 판 위를 북서~남동 방향으로 잇는 섬들의 대부분은 핫스팟에 의한 화산 열도이며, 그 예시는 다음과 같다.
4. 3. 기타 열도
열도 | 국가 | 해구 | 분지 또는 주변해 | 우세 판 | 섭입 판 |
---|---|---|---|---|---|
알류샨 열도 | 미국 | 알류샨 해구 | 베링 해 | 북아메리카 판 | 태평양 판 |
쿠릴 열도 | 러시아 | 쿠릴-캄차카 해구 | 오호츠크 해 | 북아메리카 판 | 태평양 판 |
일본 열도 | 일본 | 일본 해구, 난카이 해곡 | 동해 | 북아메리카 판, 유라시아 판 | 태평양 판, 필리핀 해 판 |
류큐 열도 | 일본 | 류큐 해구 | 동중국해 (오키나와 해곡) | 유라시아 판 | 필리핀 해 판 |
필리핀 | 필리핀 | 필리핀 해구 | 남중국해, 술라웨시 해 | 유라시아 판 | 필리핀 해 판 |
순다 열도 | 인도네시아 | 자바 해구 | 자바 해, 플로레스 해 | 유라시아 판 | 오스트레일리아 판 |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 | 인도 | 북부 자바 해구 | 안다만 해 | 유라시아 판 | 인도-오스트레일리아 판 |
이즈 제도 및 오가사와라 제도(보닌 제도) | 일본 | 이즈-오가사와라 해구 | 필리핀 해 판 | 태평양 판 | |
마리아나 제도 | 미국 | 마리아나 해구 | 필리핀 해 판 | 태평양 판 | |
비스마르크 제도 | 파푸아뉴기니 | 뉴브리튼 해구 | 태평양 판 | 오스트레일리아 판 | |
솔로몬 제도 | 솔로몬 제도 | 산 크리스토발 해구 | 태평양 판 | 오스트레일리아 판 | |
뉴헤브리디스 제도 | 바누아투 | 뉴헤브리디스 해구 | 태평양 판 | 오스트레일리아 판 | |
통가 제도 | 통가 | 통가 해구 | 오스트레일리아 판 | 태평양 판 | |
안틸레스 제도 | 푸에르토리코 해구 | 카리브해 | 카리브 판 | 북아메리카 판, 남아메리카 판 | |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 영국 해외 영토 | 사우스샌드위치 해구 | 스코샤 해 | 스코샤 판 | 남아메리카 판 |
에게해 | 그리스 | 동지중해 해구 | 에게 해 | 에게 해 판 또는 헬레닉 판 | 아프리카 판 |
기타 열도의 형성 요인으로는 침식이나 퇴적 등이 있다. 이 경우 형성된 섬들이 우연히 열을 이루어 열도라고 칭하며, 형성 요인으로 볼 때 군도와 큰 차이는 없다.
- 고토 열도
- 코시키 열도
- 펑후 열도
5. 한반도 주변 열도
한반도 주변의 주요 열도는 다음과 같다.
5. 1. 류큐 열도와의 관계
류큐 열도는 이 문서에서 다른 열도들과 함께 나열되어 있다.5. 2. 쿠릴 열도와의 관계
쿠릴 열도참조
[1]
논문
The origin and growth of continents
1967
[2]
논문
Evolution of Island Arcs
1971
[3]
논문
Curvature of Island Arcs
1968
[4]
논문
A New Class of Faults and their Bearing on Continental Drift
1965
[5]
논문
Seismology and the new global tectonics
1968-09-15
[6]
논문
Philip Kearey, Keith A. Klepeis and Frederick J. Vine: Global tectonics
2009
[7]
논문
The role of water in the petrogenesis of Mariana trough magmas
1994
[8]
논문
Migration of fluid phases and genesis of basalt magmas in subduction zones
1989-04-10
[9]
논문
Evidence for pressure-release melting beneath magmatic arcs from basalt at Galunggung, Indonesia
1998
[10]
논문
The Subduction of the Lithosphere
1975
[11]
논문
Subduction factory 2. Are intermediate-depth earthquakes in subducting slabs linked to metamorphic dehydration reactions?
2003
[12]
서적
Structural Geology and Tectonics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87
[13]
논문
Transitional types of crust under small ocean basins
1967-06-15
[14]
논문
Thermal Structure of Island Arcs
1970
[15]
논문
Andesites: Orogenic andesites and related rocks
1982
[16]
논문
R. S. Thorpe, Editor. Andesites: Orogenic Andesites and Related Rocks. Chichester, New York, Brisbane, Toronto, and Singapore (John Wiley and Sons), 1982. xiii+724 pp., 277 figs. Price £59·50.
1982
[17]
논문
The country rocks of Devonian magmatism in the North Patagonian Massif and Chaitenia
http://www.andeangeo[...]
2018
[18]
서적
日本列島100万年史 大地に刻まれた壮大な物語
講談社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