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다 열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다 열도는 대륙붕 또는 육지를 의미하며, 서쪽의 순다 대륙붕과 동쪽의 사훌/아라푸라 대륙붕을 포함한다. 이 용어는 산스크리트어 'Cuddha'에서 유래되었으며, 고대부터 인도네시아 지역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순다 열도는 브루나이, 동티모르,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말레이시아에 걸쳐 있으며, 대순다 열도(보르네오, 자바, 술라웨시, 수마트라)와 소순다 열도(발리, 롬복, 숨바와, 숨바, 코모도, 플로레스, 사부, 로테, 티모르, 알로르 제도, 아타우로, 바라트 다야 제도, 타님바르 제도)로 구성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루 - 알류샨 열도
알류샨 열도는 알래스카 반도에서 서쪽으로 뻗어 있는 섬들로, 환태평양 조산대에 위치하며 화산 활동과 지진이 활발하고 해양성 기후를 보이며, 수산업과 미군 주둔이 경제의 기반을 이루고 알류트족이 원주민으로 거주한다. - 지루 - 산맥
산맥은 판구조론에 의한 충돌이나 지표 휘말림 현상으로 형성되는 현저한 산지로, 조산운동과 지형성 강수, 침식 작용을 거치며 형태가 변화하고, 지구뿐 아니라 다른 천체에서도 발견된다. - 인도네시아의 지질 - 인도-오스트레일리아판
인도-오스트레일리아판은 곤드와나 대륙 분열로 형성되어 인도판과 오스트레일리아판으로 나뉘며, 인도판이 유라시아판과 충돌하여 히말라야 산맥과 티베트 고원을 형성했고, 주변 판들과 복잡한 경계를 이루어 지진과 쓰나미가 자주 발생한다. - 인도네시아의 지질 - 순다판
순다판은 한국 사회의 여러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 주제로, 역사적 기원을 거쳐 발전했으며 정치, 경제, 사회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영향을 미치며 비판과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 동남아시아의 군도 - 말루쿠 제도
말루쿠 제도는 인도네시아 동부에 위치한 1,027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지역으로, 힌두교와 불교의 영향을 받다가 이슬람교가 전파되었고, 이후 포르투갈과 네덜란드의 지배를 거쳐 인도네시아 독립 후 종교 분쟁을 겪었으며 현재는 말루쿠 주와 북말루쿠 주로 나뉘어 농업과 어업을 중심으로 한다. - 동남아시아의 군도 - 말레이 제도
말레이 제도는 2만 5천 개 이상의 섬으로 이루어진 거대한 군도로, 순다 열도, 말루쿠 제도, 필리핀 제도를 포함하며 다양한 국가가 위치하고, 활발한 화산 활동과 열대 기후, 독특한 생물 다양성, 그리고 다양한 문화적 특징을 가진 3억 8천만 명 이상의 인구가 거주하는 지역이다.
순다 열도 | |
---|---|
지도 | |
개요 | |
위치 | 인도네시아 군도 |
구성 | 대순다 열도 소순다 열도 |
지리 | |
주요 섬 | 자바 섬 수마트라 섬 보르네오 섬 술라웨시 섬 발리 섬 롬복 섬 숨바와 섬 플로레스 섬 티모르 섬 |
역사 | |
최초 언급 | 1817년 토머스 스탬퍼드 래플스의 저서에서 언급 |
언어 | |
주요 언어 | 순다어, 인도네시아어 |
2. 어원
"순다"는 대륙붕 또는 육지를 가리킨다. 서쪽의 순다 대륙붕과 동쪽의 사훌/아라푸라 대륙붕이 그것이다. "순다"와 관련된 다른 용어로는 순다 열도 호 또는 순다 제도 호, 나투나 해의 순다 습곡 또는 지각 습곡, 순다 해구, 순다랜드 등이 있다.[3]
순다 열도는 브루나이, 동티모르,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다섯 국가에 걸쳐 있다. 이 섬들의 대부분은 인도네시아 관할이다. 보르네오는 브루나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에 걸쳐 있고, 티모르는 동티모르와 인도네시아로 나뉘어 있다. 세바틱은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로 나뉘어 있다.
순다 열도는 대순다열도와 소순다열도의 두 섬 무리로 나뉜다.
"순다"라는 용어는 고대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순다"라는 이름은 "흰색"을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 단어 "Cuddha"에서 유래했다. 플라이스토세 시대에 서자와의 반둥 북쪽에 순다산이라는 큰 화산이 있었다. 이 화산의 분출로 인해 주변 지역이 흰 화산재로 뒤덮였고, 이것이 "순다"라는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
인도네시아 지역을 가리키는 "순다"라는 용어의 사용은 서기 150년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의 주장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주장은 1500년 인도네시아에 도착하여 서자와의 순다 왕국을 탐험한 포르투갈인들에게 참고 자료가 되었다. 그들은 이 지역을 더 큰 서쪽 섬들을 대순다(Sunda Besar)로, 더 작은 동쪽 섬들을 소순다(Sunda Kecil)로 분류했다.
그 이후로 "순다"라는 용어는 지구과학(지질학-지리학)에서 인도네시아 지역을 가리키는 용어로 널리 사용되어 이 분야에서 "인도네시아"라는 용어의 사용을 능가하게 되었다. 대순다와 소순다는 지질학적-지리학적 문헌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3. 행정 구역
4. 섬 목록
4. 1. 대순다 열도
대순다열도는 다음의 섬들로 구성되어 있다.
4. 2. 소순다 열도
(서쪽에서 동쪽으로)
참조
[1]
논문
Account of the Sunda Islands and Japan
https://books.google[...]
1817
[2]
백과사전
Sunda Islan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11
[3]
웹사이트
Berawal dari Gunung Purba, Begini Asal Usul Nama Sunda
https://tekno.tempo.[...]
[4]
웹사이트
スンダ列島
https://kotobank.jp/[...]
[5]
웹사이트
スンダれっとう【スンダ列島】
https://kids.gakken.[...]
[6]
웹사이트
インドネシアの地域分類
https://www.jbic.go.[...]
[7]
웹사이트
インドネシアの地方自治
http://www.clair.or.[...]
[8]
웹사이트
東ティモール
https://www.mofa.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