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열역학 사이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열역학 사이클은 열과 일의 변환을 연구하는 열역학의 중요한 개념으로, 동력 사이클과 열 펌프 사이클로 구분된다. 동력 사이클은 열 입력을 기계적 일로 변환하고, 열 펌프 사이클은 기계적 일을 사용하여 저온에서 고온으로 열을 전달한다. 열역학 사이클은 압력-부피(PV) 도표나 온도-엔트로피 도표로 표현되며,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은 각각 동력 및 열 펌프 사이클을 나타낸다. 실제 시스템을 모델링하는 데 사용되며, 가스 터빈, 제트 엔진, 가솔린 엔진, 디젤 엔진 등을 분석하는 데 활용된다. 열역학 사이클에는 오토 사이클, 디젤 사이클, 브레이턴 사이클, 랭킨 사이클, 스털링 사이클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냉동 사이클로는 증기 압축 사이클, 흡수식 냉동 사이클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열역학 - 볼츠만 상수
    볼츠만 상수 k는 온도와 에너지를 연결하는 상수이며, 기체 상수와 아보가드로 상수의 비로 정의되고, SI 단위계에서 1.380649×10⁻²³ J/K의 값을 가지며, 거시 물리학과 미시 물리학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열역학 - 열기관
    열기관은 고온 열원에서 열을 받아 일을 하고 나머지를 저온 열원으로 방출하는 장치이며, 증기 동력, 가스 동력, 내연기관 등으로 분류되어 화력 발전소,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열역학 사이클
개요
정의일련의 열역학적 과정을 거쳐 초기 상태로 되돌아오는 순환 과정
특징계의 상태 함수 변화량은 0이다.
계는 일을 하거나 열을 흡수 또는 방출할 수 있다.
열역학적 과정
종류등온 과정
등압 과정
등적 과정
단열 과정
폴리트로픽 과정
사이클 종류
동력 사이클랭킨 사이클
카르노 기관
디젤 기관
가솔린 기관 (오토 사이클)
스터링 엔진
에릭슨 사이클
브레이턴 사이클
냉동 사이클 및 열펌프 사이클역카르노 기관
증기압축 냉동
흡수 냉동
기타
활용열기관 설계 및 성능 분석
관련 개념엔트로피

2. 열과 일

열역학 사이클은 크게 동력 사이클열 펌프 사이클 두 가지로 나뉜다. 동력 사이클은 열을 기계적 일로 바꾸는 반면, 열 펌프 사이클은 기계적 일을 사용하여 낮은 온도의 열을 높은 온도로 전달한다. 압력-부피(PV) 도표나 온도-엔트로피 도표에서 시계 방향은 동력 사이클, 반시계 방향은 열 펌프 사이클을 나타낸다.[1]

순 작업량은 (a) 팽창으로 인해 물질에 가해진 작업의 리만 합에서 (b) 재압축에 소요된 작업을 뺀 값이므로 내부 면적과 같다.


열역학 사이클에서 상태 속성의 순 변화는 0이므로, ''P-V'' 선도에서는 닫힌 루프 형태로 나타난다. ''P-V'' 선도에서 가로축(Y 축)은 압력(''P''), 세로축(X 축)은 부피(''V'')를 나타내며, 루프 안의 면적은 사이클이 수행한 순 작업(W_{net})을 의미한다.[1]

: \text{(1)} \qquad W_{net} = \oint P \ dV

이 작업은 시스템에 들어오고 나가는 순 열(Q)과 같다.[1]

: \text{(2)} \qquad W_{net} = Q_{net} = Q_{in} - Q_{out}

식 (2)는 열역학 제1법칙과 일치한다. 주기적 과정에서 내부 에너지는 변하지만, 과정이 끝난 후 시스템의 내부 에너지는 처음과 같다.

주기적 과정이 루프를 시계 방향으로 돌면 W_{net}는 양수가 되고, 이는 열기관처럼 열의 일부를 작업으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반시계 방향으로 돌면 W_{net}는 음수가 되며, 열 펌프처럼 작동하여 낮은 온도의 열을 흡수하고 높은 온도로 방출하기 위해 작업이 필요하다.[1]

2. 1. 열역학 과정


  • 단열: 사이클의 해당 부분 동안 열(Q)로서의 에너지 전달이 없다(\delta Q = 0). 에너지 전달은 시스템이 수행한 일로 간주된다.
  • 등온: 사이클의 해당 부분 동안 과정은 일정한 온도에서 진행된다(T=\mathrm{constant}, d T = 0). 에너지 전달은 시스템에서 제거된 열 또는 시스템이 수행한 일로 간주된다.
  • 등압: 사이클의 해당 부분에서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P=\mathrm{constant}, d P = 0). 에너지 전달은 시스템에서 제거된 열 또는 시스템이 수행한 일로 간주된다.
  • 등적: 과정은 일정한 부피로 진행된다(V=\mathrm{constant}, d V = 0). 에너지 전달은 시스템이 수행한 일이 0이므로 시스템에서 제거된 열로 간주된다.
  • 등엔트로피: 과정은 일정한 엔트로피(S=\mathrm{constant}, d S = 0)로 진행된다. 이는 단열 과정(열 또는 질량 교환 없음)이며 가역적이다.
  • 등엔탈피: 엔탈피 또는 비엔탈피의 변화 없이 진행되는 과정이다.
  • 폴리트로픽: 관계 P V^n = \mathrm{constant}을 따르는 과정이다.
  • 가역: 순 엔트로피 생성이 0인 과정이다. dS - \frac{\delta Q}{T} = 0

2. 2. P-V 선도와 일



열역학 사이클 동안 상태 속성의 순 변화는 0이므로, 이는 ''P-V'' 선도에서 닫힌 루프를 형성한다. ''P-V'' 선도의 가로축(Y 축)은 압력(''P'')을 나타내고 세로축(X 축)은 부피(''V'')를 나타낸다. 루프에 의해 둘러싸인 면적은 사이클에 의해 수행된 순 작업(W_{net})이다.

: \text{(1)} \qquad W_{net} = \oint P \ dV

이 작업은 시스템으로 들어가고 나가는 순 열(Q)과 같다.

: \text{(2)} \qquad W_{net} = Q_{net} = Q_{in} - Q_{out}

방정식 (2)는 열역학 제1법칙과 일치한다. 주기적 과정 동안 내부 에너지가 변하더라도, 주기적 과정이 끝나면 시스템의 내부 에너지는 과정이 시작될 때의 에너지와 동일하다.

주기적 과정이 루프를 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면, W_{net}는 양수가 되고, 주기적 기계는 교환된 열의 일부를 작업으로 변환하며, 이는 열기관을 나타낸다.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면 W_{net}는 음수가 되고, 주기적 기계는 낮은 온도에서 열을 흡수하고 더 높은 온도에서 이를 방출하기 위해 작업이 필요하며, 이는 열 펌프를 나타낸다.

3. 실제 시스템 모델링

열역학 사이클은 실제 장치 및 시스템을 모델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문제를 더 관리하기 쉬운 형태로 줄이기 위해 일련의 가정을 한다.[2] 예를 들어, 아래 그림과 같이 가스 터빈 또는 제트 엔진과 같은 장치는 브레이턴 사이클로 모델링할 수 있다.

실제 장치는 일련의 단계로 구성되며, 각 단계는 자체적으로 이상적인 열역학적 과정으로 모델링된다. 작동 유체에 작용하는 각 단계는 복잡한 실제 장치이지만, 실제 동작을 근사화하는 이상적인 과정으로 모델링될 수 있다. 연소를 제외한 다른 수단으로 에너지가 추가되면, 배기 가스는 배기구에서 환경으로 폐열을 흡수하는 열교환기로 통과하고 작동 가스는 입구 단계에서 재사용된다는 추가 가정이 있다.

이상적인 사이클과 실제 성능 간의 차이는 상당할 수 있다.[2] 예를 들어, 아래 이미지는 이상적인 스털링 사이클에 의해 예측된 일의 출력과 스털링 엔진의 실제 성능 간의 차이를 보여준다.

이상적인 스털링 사이클


실제 성능


실제와 이상을 겹쳐서 일의 출력 차이 표시


사이클의 순 작업 출력은 사이클 내부로 표현되므로, 이상적인 사이클의 예측 작업 출력과 실제 엔진에 의해 표시된 실제 작업 출력 간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또한 실제 개별 과정이 이상적인 대응물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등용적 팽창(과정 1-2)은 실제 부피 변화와 함께 발생한다.

4. 열역학 사이클의 종류

및 부피단열등적스털링 사이클등온등적등온등적스털링 엔진맨슨등온등적등온등적 후 단열맨슨 및 맨슨-가이즈 엔진스토다드 사이클단열등압단열등압내연 기관이 있는 동력 사이클앳킨슨 사이클등엔트로피등적등엔트로피등적V1 < V4라는 점에서 오토 사이클과 다름브레이턴 사이클단열등압단열등압램제트, 터보제트, 터보프롭, 터보샤프트. 원래 왕복 엔진에 사용. 외부 연소 버전은 1833년 첫 번째 에릭슨 사이클디젤 사이클단열등압단열등적디젤 엔진험프리 사이클등엔트로피등적등엔트로피등압스크램제트, 펄스- 및 연속 폭발 엔진르누아르 사이클등적단열등압펄스 제트. 1→2는 열 방출과 압축을 모두 수행. 원래 왕복 엔진에 사용.오토 사이클등엔트로피등적등엔트로피등적가솔린/휘발유 엔진



카르노 사이클은 가장 효율적인 가역 사이클이며, 단열 과정과 등온 과정으로 구성된다. 카르노 사이클의 열효율은 두 열원의 절대 온도에만 의존한다.

:\eta=1-\frac{T_L}{T_H}

여기서 {T_L}은 최저 온도, {T_H}는 최고 온도이다. 열역학 제2법칙에 따라 모든 사이클 장치의 효율은 카르노 효율을 넘을 수 없다.

스털링 사이클과 에릭슨 사이클은 재생을 사용하여 등온 열 전달을 얻는 가역 사이클이다.

4. 1. 이상 사이클

이상적인 사이클 열기관의 그림 (화살표는 시계 방향).


이상적인 사이클은 분석하기 쉬우며 다음과 같은 요소로 구성된다.

# 루프의 위(A)와 아래(C): 일련의 평행한 '''등압''' 과정

# 루프의 오른쪽(B)과 왼쪽(D): 일련의 평행한 '''등적''' 과정

작동 물질이 이상 기체인 경우, 닫힌 계에서 UT의 함수일 뿐이며, 그 내부 압력은 0이 된다. 따라서, 초기 상태 a에서 최종 상태 b로 연결되는 다양한 과정을 거치는 이상 기체의 내부 에너지 변화는 항상 다음 공식에 의해 주어진다.

: \Delta U= \int_{a}^{b} C_{v} dT

C_{v}가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Delta U= C_{v} \Delta T 는 이상 기체가 겪는 모든 과정에 적용된다.

이러한 일련의 가정하에, 과정 A와 C의 경우 W = p \Delta v Q = C_{p} \Delta T 이고, 과정 B와 D의 경우 W = 0 Q = \Delta U = C_{v} \Delta T 이다.

사이클당 총 일의 양은 W_{cycle} = p_A (v_2 - v_1) + p_C(v_4-v_3) = p_A (v_2 - v_1) + p_C (v_1 - v_2) = (p_A - p_C) (v_2 - v_1) 이며, 이는 단순히 직사각형의 면적이다. 사이클당 총 열 흐름이 필요한 경우, 이를 쉽게 구할 수 있다. \Delta U_{cycle} = Q_{cycle} - W_{cycle} = 0이므로, Q_{cycle} = W_{cycle}이다.

따라서, 사이클당 총 열 흐름은 각 단계별 열용량 및 온도 변화를 알 필요 없이 계산된다 (물론, 이 정보는 사이클의 열역학적 효율을 평가하는 데 필요하다).

4. 2. 외연 기관 사이클

및 부피단열등적스털링 사이클등온등적등온등적스털링 엔진맨슨등온등적등온등적 후 단열맨슨 및 맨슨-가이즈 엔진스토다드 사이클단열등압단열등압



스털링 사이클은 단열 과정이 등온선으로 대체된 오토 사이클과 유사하며, 등압 과정이 등적 과정으로 대체된 에릭슨 사이클과 동일하다. 스털링 사이클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구성된다.

# 루프의 상단과 하단: 준 병렬 '''등온''' 과정 쌍

# 루프의 왼쪽과 오른쪽: 병렬 '''등적''' 과정 쌍

열은 상단 등온선을 통해 루프로 유입되고, 이 열의 일부는 하단 등온선과 오른쪽 등적선을 통해 다시 유출되지만, 대부분의 열 흐름은 등온선 쌍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는 사이클에 의해 수행되는 모든 일이 ''Q=W''로 설명되는 등온 과정 쌍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에 타당하다. 즉, 순수한 열은 모두 상단 등온선을 통해 유입된다. 실제로 왼쪽 등적선을 통해 유입되는 모든 열은 오른쪽 등적선을 통해 유출된다. 상단 등온선은 모두 동일한 따뜻한 온도 T_H 에 있고, 하단 등온선은 모두 동일한 더 차가운 온도 T_C 에 있으며, 등적선의 에너지 변화는 온도 변화에 비례하기 때문에 왼쪽 등적선을 통해 유입되는 모든 열은 오른쪽 등적선을 통해 유출되는 열에 의해 정확히 상쇄된다.

같이 보기: 외연 기관

4. 3. 내연 기관 사이클

내연 기관의 실제 동작은 작업 물질 자체의 연소, 조성 변화, 배기의 잔류, 성분의 해리 및 결합, 밸브 개폐 등으로 인해 상당히 복잡하다. 이 때문에 다음과 같이 이상화된 사이클(공기 표준 사이클)을 가정한다.[4]

# 동작 물질은 순수한 공기로 한다.

# 공기는 비열이 일정한 (협의의) 이상 기체로 한다.

# 닫힌 사이클을 수행하고, 연소와 배기·흡기에 대신하여 외부 열원과의 사이에서 열을 주고받는다(외연 기관).

# 변화는 모두 가역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한다.

다음은 이러한 가정을 기초로 한 공기 표준 사이클이다.

4. 4. 냉동 사이클

열역학적 히트 펌프 사이클은 가정용 히트 펌프와 냉장고수학적 모델이다. 냉장고가 매우 작은 공간을 냉각하는 데 목적이 있는 반면, 가정용 히트 펌프는 집을 따뜻하게 하거나 냉각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을 제외하면 둘 사이에는 차이가 없다. 둘 다 차가운 공간에서 따뜻한 공간으로 열을 이동시켜 작동한다. 가장 일반적인 냉동 사이클은 증기 압축 사이클로, 상 변화를 겪는 냉매를 사용하는 시스템을 모델링한다. 흡수식 냉동 사이클은 냉매를 증발시키는 대신 액체 용액에 흡수시키는 대안이다. 가스 냉동 사이클에는 역 브레이튼 사이클과 햄프슨-린데 사이클이 있다. 다중 압축 및 팽창 사이클을 통해 가스 냉동 시스템은 가스를 액화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Thermodynamics: an engineering approach https://archive.org/[...] McGraw-Hill
[2] 서적 Thermodynamics: an engineering approach McGraw-Hill
[3] 문서 시린더 내에 피스톤으로 닫힌 기체와 같이 열이나 일을 외부와 교환하는 물질.
[4] 서적 機械熱力学 朝倉書店
[5] 서적 일반물리학 북스힐 2021-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