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냉장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냉장고는 액체의 기화 시 열을 흡수하는 원리를 이용해 내부 온도를 낮추는 장치이다. 압축식, 흡수식, 펠티에 효과를 이용한 방식 등이 있으며, 가정용으로는 압축식이 주로 사용된다. 냉매의 순환 과정을 통해 냉각이 이루어지며, 압축식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 밸브, 증발기로 구성된다. 1910년대 초 가정용 냉장고가 개발된 이후, 기술 발전을 거쳐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다양한 기능을 갖춘 제품들이 출시되었다. 냉장고는 식품 보존 및 생활 편의에 기여했지만, 폐냉장고 처리와 관련한 환경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열펌프 - 흡수 냉동기
    흡수 냉동기는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냉각 효과를 내는 장치로, 냉매와 흡수제를 사용하며 전력 소비가 적고 폐열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에 환경 규제 강화와 에너지 효율에 대한 관심 증가로 다시 주목받고 있다.
  • 열펌프 - 지열 히트 펌프
    지열 히트 펌프는 지열 에너지를 활용하여 건물 냉난방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냉매 순환을 통해 땅속 열을 흡수 또는 방출하며 에너지 효율이 높고 환경 친화적인 장점 덕분에 대한민국에서도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따라 기술 개발 및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 냉각 기술 - 흡수 냉동기
    흡수 냉동기는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냉각 효과를 내는 장치로, 냉매와 흡수제를 사용하며 전력 소비가 적고 폐열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에 환경 규제 강화와 에너지 효율에 대한 관심 증가로 다시 주목받고 있다.
  • 냉각 기술 - 인터쿨러
    인터쿨러는 터보차저 엔진에서 압축된 흡입 공기를 냉각시켜 엔진 출력을 향상시키고 이상 연소를 방지하는 장치로, 냉각 방식에 따라 공랭식과 수랭식으로 나뉜다.
  • 가전제품 - 전자레인지
    전자레인지는 극초단파 에너지를 이용해 음식물을 가열하는 기기로, 마그네트론과 유전 가열 방식을 사용하며, 금속 용기 사용 등에 주의해야 한다.
  • 가전제품 - 백열등
    백열등은 필라멘트에 전류를 흘려 열로 빛을 내는 조명 기구로, 19세기 후반 여러 발명가에 의해 개발되어 발전을 거듭했으나, 낮은 에너지 효율성으로 인해 LED 전구로 대체되며 현재는 특수한 용도로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냉장고
냉장고
현대적인 냉장고 외관
현대적인 냉장고 외관
종류가전제품
개요
발명1913년
설명냉장고(冷藏고, refrigerator)는 음식물을 저온으로 보관하는 기기이다. 냉장 온도는 보통 3 ~ 5 °C이다. 물의 어는점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는 유사한 장치는 냉동고라고 한다.
온도 유지냉장고는 식품을 4 °C (40 °F) 이하로 유지하여 유해한 세균의 번식을 억제한다.
냉동고 온도냉동고는 −18 °C (0 °F)로 유지하여 식품을 더 오랫동안 보존한다.
최초의 냉각 시스템식품 냉각을 위한 최초의 시스템은 얼음을 이용한 것이었다.
인공 냉각 시작인공 냉각은 1750년대 중반에 시작되어 1800년대 초에 개발되었다.
최초의 증기 압축 냉동 시스템1834년에 에어컨에서 볼 수 있는 것과 동일한 기술을 사용하는 최초의 작동 증기 압축 냉동 시스템이 구축되었다.
최초의 상업용 제빙기최초의 상업용 제빙기는 1854년에 발명되었다.
가정용 냉장고 발명1913년에 가정용 냉장고가 발명되었다.

2. 원리

액체기화할 때 주위로부터 을 흡수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냉각한다. 이때 냉각시키는 데 사용되는 물질을 ‘냉매’(冷媒)라고 부른다.[77] 과거에는 암모니아나 프레온 등이 냉매로 사용되었다.

증기 압축 사이클 – A: 고온 구획(주방), B: 저온 구획(냉장고 내부), I: 단열재, 1: 응축기, 2: 팽창 밸브, 3: 증발기 장치, 4: 압축기


냉매를 밀폐된 시스템 안에서 순환시켜 지속적으로 냉각 효과를 얻는데, 주요 순환 방식으로는 압축식과 흡수식이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전기 냉장고는 압축 방식을,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냉장고는 흡수 방식을 주로 사용한다.[77]

이러한 기화 원리를 이용한 방식 외에도,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여 전기로 직접 열을 이동시키는 펠티에 효과를 이용한 냉각 방식도 있으며, 주로 소형 냉장고에 적용된다.[77]

2. 1. 압축식 냉장고

액체기화할 때 주변의 을 흡수하는 원리를 이용한 냉각 방식이다. 냉각에 사용되는 물질을 냉매라고 부르며, 가정용 전기 냉장고는 대부분 이 압축식을 사용한다.[77] 압축식 냉장고는 압축기(컴프레서), 응축기(콘덴서), 팽창밸브, 증발기의 4가지 주요 부품으로 구성되어 밀폐된 파이프 안에서 냉매를 순환시킨다.

압축식 냉장고의 작동 원리: 1. 응축기 2. 팽창밸브 3. 증발기 4. 압축기


압축식 냉장고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 '''압축기''': 증발기를 통과하며 열을 흡수해 저압의 기체가 된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로 만든다.

# '''응축기''':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가 냉장고 외부의 코일(방열기)을 지나면서 열을 방출하고 액체 상태로 변한다. 이 과정에서 냉장고 뒷면이나 옆면에서 열이 발생한다.

# '''팽창밸브''': 응축기를 통과한 고압의 액체 냉매가 좁은 관(모세관)을 통과하면서 압력이 급격히 낮아진다. 압력이 낮아지면 냉매의 끓는점도 함께 낮아져 쉽게 증발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 '''증발기''': 압력이 낮아진 액체 냉매는 냉장고 내부의 냉각 코일(증발기)로 흘러들어 가 주변의 열을 흡수하며 기화한다. 이 과정에서 냉장고 내부의 온도가 낮아진다. 기체가 된 냉매는 다시 압축기로 들어가 순환 과정을 반복한다.

냉매로는 과거 프레온 가스가 널리 사용되었으나, 오존층 파괴 문제로 규제되면서 현재는 이소부탄(R-600a)과 같은 친환경 냉매로 대체되고 있다. 이소부탄은 프레온 이전에 사용된 적이 있는 냉매이기도 하다. 산업용으로는 냉각 효율이 뛰어난 암모니아(NH3)가 다시 주목받고 있지만, 독성과 부식성 문제로 인해 가정용 냉장고에는 사용되지 않고 주로 대형 냉동 창고 등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최근에는 팽창밸브 대신 에젝터를 사용하여 효율을 높인 에젝터 사이클 냉장고도 개발되고 있다.

2. 2. 흡수식 냉장고

흡수식 냉장고는 압축기 대신 열원을 이용하여 냉매를 순환시키는 방식의 냉장고이다. 액화석유가스(LPG)의 연소열, 태양열 에너지, 또는 전기 히터 등이 열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77] 이는 액체가 기화할 때 주변의 열을 흡수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냉각에 사용되는 물질을 냉매라고 한다.[77] 압축기를 사용하는 압축식 냉장고와 달리, 흡수식 냉장고는 작동 중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열원이 유일한 동력원이므로 팬이나 펌프 외에는 기계적으로 움직이는 부품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정숙성 덕분에 병원, 호텔 객실 등 소음에 민감한 장소나 캠핑카와 같은 레저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또한 전력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곳에서도 가스 등을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

흡수식 냉장고는 냉매의 순환을 위해 냉매와는 다른 액체인 흡수액을 사용한다. 대표적인 조합으로는 냉매로 암모니아(NH3), 흡수액으로 (H2O)을 사용하거나, 냉매로 물, 흡수액으로 브롬화리튬(LiBr)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기화압축식 냉장고에 사용되는 냉매가 무수 암모니아인 것과 달리, 흡수식에서는 Aqua Ammonia|암모니아 수용액영어 형태를 사용한다.

흡수식 냉장고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은 주요 구성 요소를 통해 이루어진다.

흡수식 냉장고의 주요 구성 요소와 기능
구성 요소주요 기능
발생기열원을 이용해 흡수액(예: 물)에 녹아있는 냉매(예: 암모니아)를 가열하여 기화시킴. 암모니아는 물보다 끓는점이 낮아 먼저 기화된다.
분리기발생기에서 나온 고온의 냉매 증기와 흡수액(물)을 분리함. 분리된 흡수액은 흡수기로 되돌아간다.
응축기분리된 고온의 냉매 증기가 외부 공기나 냉각수를 통해 열을 방출하고 냉각되어 액체 상태로 변함(액화).
증발기액화된 냉매가 좁은 관을 통과하며 압력이 낮아지고(감압), 낮은 온도에서 기화하면서 냉장고 내부의 열을 흡수하여 냉각 효과를 발생시킴.
흡수기증발기에서 나온 저압의 기체 냉매를 발생기에서 분리되어 되돌아온 흡수액이 다시 흡수하여 냉매 용액을 만듦. 이 용액은 다시 발생기로 보내져 사이클이 반복된다.



최초의 가스 흡수식 냉동 시스템은 1859년 프랑스의 에드워드 투생이 개발하고 1860년에 특허를 받았다. 이 시스템은 물에 녹인 암모니아 가스를 사용했다. 이후 1922년, 스웨덴 왕립 공과대학교에 재학 중이던 발트자르 폰 플라텐과 칼 뮌터스가 가정용으로 적합한 흡수식 냉장고를 발명했다. 이 발명은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었으며, 일렉트로룩스(Electrolux)사에 의해 상업화되었다. 현재는 2001년 일렉트로룩스에서 분사한 스웨덴의 도메틱 그룹이 흡수식 냉장고 분야의 대표적인 제조사 중 하나이다.

흡수식 냉각 방식은 가정용 소형 냉장고뿐만 아니라, 사무실 건물이나 병원, 대학 캠퍼스 등에서 사용되는 대규모 공기조화(HVAC) 시스템에도 적용된다. 이러한 대형 시스템은 주로 건물 전체에 순환되는 염수 용액을 냉각하는 데 사용된다.

2. 3. 펠티에 효과 냉장고

펠티에 효과는 전기를 사용하여 열을 직접 이동시키는 원리를 이용한다. 이 방식은 기화 현상을 이용하는 전통적인 냉각 방식과 달리 반도체 소자를 활용한다.[77]

펠티에 효과를 이용한 냉장고는 주로 소형으로 제작되어 캠핑용이나 소음이 문제가 되는 환경에서 사용된다. 공기 순환을 위한 팬이 없다면 소음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다른 냉각 방식에 비해 에너지 효율은 낮은 편이다.

3. 구조

전기냉장고의 냉각 작용은 압축기, 방열기, 모세관, 냉각기로 구성된 냉동 사이클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 냉동 사이클 안에는 프레온12와 같이 휘발성이 강한 냉매가 들어 있다.[78] 압축기에서 고압 상태가 된 냉매 가스는 방열기의 파이프를 지나면서 열을 외부로 방출하고 액체 상태로 변한다. 이 액체 냉매가 모세관을 거쳐 냉각기에 도달하면 주변의 열을 흡수하며 급격히 증발하는데, 이 과정에서 냉각 효과가 발생한다. 냉장고 내부 온도는 증발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조절기(thermostat)가 압축기의 작동과 정지를 제어하며 조절된다.[79]

'냉동실'은 냉각 코일로 둘러싸인 칸으로, 별도의 문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온도를 약 -20°C까지 낮출 수 있다. 냉각기에 생기는 서리히터를 이용하거나, 고온 고압의 냉매를 응축기를 거치지 않고 직접 냉각기로 보내 녹이는 방식으로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자동 서리 제거 장치'라고 부른다.[79]

많은 현대식 냉장고는 냉동실이 위쪽에, 냉장실이 아래쪽에 있는 구조를 가진다. 수동 해동 방식이나 일부 저가형 모델을 제외한 대부분의 냉장고는 두 개의 온도 조절 장치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냉장실의 온도만 직접적으로 조절된다. 냉장실 온도가 설정보다 높아지면 온도조절기가 냉각 과정을 시작시키고, 이 냉동실 주변의 차가운 공기를 순환시킨다. 이때 냉장실도 함께 냉각된다. 냉동실 온도 조절 손잡이는 댐퍼 시스템을 통해 냉장실로 유입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35] 따라서 냉장실 온도를 조절하면 냉동실 온도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반면, 냉동실 온도 조절 장치를 변경해도 냉장실 온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다만, 냉장실 온도 설정에 맞춰 냉동실 조절 장치를 조정하여 전체적인 균형을 맞출 수는 있다.

냉장실로 냉기가 충분히 공급되므로, 문을 자주 열지 않는다면 냉동실은 일반적으로 설정 온도를 비교적 빠르게 회복한다. 일부 냉장고 모델에서는 냉장실이나 냉동실 문을 열면 팬이 즉시 작동을 멈추기도 한다. 이는 냉각 코일이 두 공간 모두를 냉각시키므로, 문이 열린 상태에서 팬이 계속 돌면 증발기 코일에 과도한 서리가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냉동실이 목표 온도에 도달하면, 냉장실 온도와 관계없이 냉각 시스템의 작동이 멈출 수 있다. 최근의 컴퓨터 제어 방식 냉장고는 댐퍼 시스템 대신, 컴퓨터가 두 칸의 팬 속도를 각각 제어하여 온도를 관리한다. 하지만 냉기의 기본 공급원은 여전히 냉동실 쪽이다.

4. 냉동고

'''냉동고'''는 가정, 산업, 상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기로, 식품 등을 영하의 온도로 얼려서 보관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을 -18°C 이하로 보관하면 장기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28]

대부분의 가정용 냉동고는 -23°C에서 -18°C 사이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설정된다. 일부 냉동 전용 제품은 -34°C 이하의 낮은 온도까지 도달할 수 있다. 반면, 냉장고에 포함된 냉동고(냉동실)는 일반적으로 -23°C 이하로 온도를 낮추지 않는데, 이는 냉장실과 냉동실이 같은 냉각 순환 시스템을 공유하기 때문이다. 냉동실 온도를 지나치게 낮추면 냉장실 온도를 영상으로 유지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가정용 냉동고는 냉장고의 일부(냉동실)이거나 독립된 기기 형태로 존재한다. 얼음 외에 냉동식품 등을 보관할 수 있는 별도의 냉동 구획이나 독립된 냉동고는 1940년 미국에서 처음 도입되었으며, 이를 계기로 이전에는 고급품으로 여겨졌던 냉동 식품이 점차 일반화되었다. 1955년에는 소비자들이 기성 냉동식품을 구매하는 것뿐만 아니라, 신선한 식품을 직접 얼릴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낮은 온도를 제공하는 가정용 냉동고가 판매되기 시작했다.[30][31]

독립형 가정용 냉동고는 일반 냉장고처럼 세워진 형태(세로형) 또는 너비가 높이보다 넓고 뚜껑이 위쪽에 달린 '''상자형 냉동고'''(Chest freezereng) 형태가 있다. 상자형 냉동고는 물건을 꺼내기에는 다소 불편하지만, 에너지 효율이 높고 정전 시에도 냉기를 더 오래 보존하는 장점이 있다.[29] 최신 세로형 냉동고 중에는 문에 얼음 디스펜서가 내장되거나 온도 조절 및 제어 기능이 포함된 고급 모델도 있다.

산업 및 상업용으로는 사람이 직접 들어갈 수 있을 만큼 큰 '''냉동창고'''(Walk-in freezereng)가 사용된다. 냉동창고는 안전 규정에 따라 내부에 비상 탈출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며, 관리자는 작업자가 내부에 갇히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냉동고 내부에 장시간 머무를 경우 저체온증에 걸릴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32]

냉동고의 성능은 JIS 규격에 따라 별표(*) 개수로 표시되며, 주로 포스타(★★★★) 등급이 사용된다. 각 등급별 성능 기준은 다음과 같다.

기호명칭평균 동결 부하 온도냉동 식품 보존 기간 (대략적인 기준)비고
원스타-6°C 이하약 1주일
★★투스타-12°C 이하약 1개월냉동/냉장 겸용 냉장고의 냉동실에 많음
★★★쓰리스타-18°C 이하약 3개월1970년대 ~ 1980년대 제조된 냉동고에 많음
★★★★포스타-18°C 이하약 3개월100L당 4.5kg 이상의 식품을 24시간 이내에 -18°C 이하로 동결 가능



냉장 기능과 냉동 기능을 모두 갖춘 제품은 '''냉동냉장고'''라고 부르기도 한다.

5. 역사

고대 페르시아인들은 증발 냉각과 복사 냉각의 원리를 이용한 냉각 시스템인 야크찰을 발명한 최초의 민족 중 하나였다. 이 시설은 지하 저장 공간과 지상에 두껍게 단열 처리된 돔형 구조물을 사용했으며, 바드기르(바람 통풍구)와 일련의 카나트(지하 수로)를 갖추고 있었다.[11]

현대의 전기 냉장고가 발명되기 전에는 얼음 저장고와 얼음 상자를 사용하여 일 년 내내 음식을 차갑게 보관했다. 주로 민물 호수 근처에 설치하거나 겨울철 눈과 얼음으로 채워 사용했으며, 한때 매우 흔한 방식이었다. 오늘날에도 산비탈에서 녹는 눈의 흐름을 이용해 음료를 차갑게 하거나, 겨울철 우유를 밖에 두어 신선도를 유지하는 등 자연적인 냉각 방법이 여전히 사용된다. '냉장고(refrigerator)'라는 단어는 적어도 17세기 초부터 사용되었다.[12]

페르디낭 카레의 제빙 장치


인공 냉장의 역사는 1755년 스코틀랜드 교수 윌리엄 컬렌이 소형 냉장 기계를 설계하면서 시작되었다. 컬렌은 펌프를 사용하여 다이에틸 에테르가 담긴 용기 위에 부분적인 진공 상태를 만들었고, 에테르가 끓으면서 주변 공기로부터 기화열을 흡수하는 원리를 이용했다.[13] 이 실험으로 소량의 얼음을 만드는 데 성공했지만, 당시에는 실용적인 응용으로 이어지지 못했다.

1805년 미국의 발명가 올리버 에반스는 진공 상태에서 에테르를 사용하여 얼음을 생산하는 폐쇄형 증기 압축 냉동 사이클을 고안했다. 1820년 영국의 과학자 마이클 패러데이는 고압과 저온을 이용하여 암모니아와 다른 기체를 액화시키는 데 성공했다. 1834년에는 영국에 거주하던 미국인 제이콥 퍼킨스가 최초로 작동하는 증기 압축 냉동 시스템을 만들었는데, 이는 지속적으로 작동 가능한 폐쇄 사이클 장치였다.[14] 1842년 미국의 의사 존 고리도 비슷한 원리로 작동하는 시제품을 만들었으나 상업적으로는 성공하지 못했다.[15] 미국의 기술자 알렉산더 트와이닝은 1850년에 에테르를 이용한 증기 압축 시스템으로 영국 특허를 취득했다.

최초의 실용적인 증기 압축 냉동 시스템은 스코틀랜드계 호주인 제임스 해리슨에 의해 만들어졌다. 그는 1856년 에테르, 알코올 또는 암모니아를 사용하는 증기 압축 시스템에 대한 특허를 받았다. 해리슨은 1851년 빅토리아주 질롱에 기계식 제빙기를 만들었고, 1854년에는 최초의 상업용 제빙기를 선보였다. 그는 양조장과 식품 가공 공장에 상업용 증기 압축 냉동 시스템을 도입했으며, 1861년까지 그의 시스템 12개가 운영되었다.

최초의 흡수식 냉동 시스템(압축기 없이 열원으로 구동)은 1859년 프랑스의 Edmond Carré|에드몽 카레프랑스어가 개발하여 1860년에 특허를 받았다. 이 시스템은 물에 녹인 암모니아 가스("암모니아수")를 사용했다.

1950년대경 프랑스의 냉장고 생산


독일 뮌헨 공과대학교의 공학 교수인 칼 폰 린데는 1876년 기체를 액화하는 개선된 방법에 대한 특허를 받아 최초로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압축 암모니아 냉장고를 만들었다.[16] 그의 새로운 공정 덕분에 암모니아(NH3), 이산화황(SO2), 염화메틸(CH3Cl)과 같은 기체를 냉매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는 안전 문제에도 불구하고 1920년대 후반까지 널리 사용되었다.[17] 1895년 그는 햄프슨-린데 사이클을 발견했다.

상업용 냉장고와 냉동고는 일반 가정용 모델보다 거의 40년 앞서 사용되었다. 초기에는 암모니아(R-717)나 이산화황(R-764) 같은 가스를 냉매로 사용했는데, 이들은 누출 시 위험하여 가정용으로는 부적합했다. 실용적인 가정용 냉장고는 1915년에 도입되었고, 가격 하락과 프레온-12(R-12)와 같은 무독성, 불연성 합성 냉매의 개발로 1930년대 미국에서 널리 보급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R-12는 오존층 파괴 물질로 밝혀져 1994년부터 신규 냉장고 및 에어컨 시스템에서의 사용이 금지되었다. 이후 덜 해로운 대체 냉매인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R-134a)이 1990년부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5. 1. 세계

1911년, 미국의 제너럴 일렉트릭 사가 최초의 가정용 냉장고를 만들었으나 대중화에는 이르지 못했다. 1915년 알프레드 멜로우즈가 가정용 냉장고를 만들었지만, 연간 생산량은 40대에 불과했다. 1918년 제너럴 일렉트릭이 멜로우즈의 회사를 인수하며 본격적인 냉장고 대량생산을 시작했다. 1920년대에는 보다 안전한 냉매인 ‘프레온 가스’를 활용한 냉장고가 개발되었고, 1930년대에 소형 압축기 개발에 성공하면서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사각형의 캐비닛형 냉장고 형태가 완성되었다.[80]

1926년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의 전기 냉장고 광고


대부분의 가정용 냉장고, 냉장고 겸 냉동고, 냉동고는 증기 압축 사이클 방식을 사용한다. 이 방식에서는 R134a와 같은 순환 냉매가 저압 증기 상태로 압축기에 들어가 고압의 과열 증기로 압축된다. 이 과열 증기는 외부 공기에 의해 냉각되는 응축기 코일을 통과하며 액체 상태로 변한다. 액화된 고압 냉매는 팽창 밸브(미세한 구멍)를 통과하면서 압력이 급격히 낮아지고, 이 과정에서 일부 냉매가 기화하며 주변의 액체 냉매로부터 열을 빼앗아 온도를 크게 낮춘다(자동 냉각). 차가워진 냉매는 증발기 코일을 통과하며 냉장고 내부 공기의 열을 흡수하여 내부를 차갑게 만들고, 완전히 기화된 냉매는 다시 압축기로 돌아가 순환 과정을 반복한다.

현대의 가정용 냉장고는 모터와 압축기가 용접된 용기인 "밀폐형 유닛"으로 통합되어 있어 냉매 누출이나 오염 가능성이 크게 줄어 신뢰성이 매우 높다. 이는 주기적인 냉매 재충전이 필요하고 압축기 고장 가능성이 있는 자동차 에어컨 시스템과 대조된다.

냉장고의 전 세계적인 보급은 식품 보존과 가정생활의 편리성에 혁신을 가져왔다. 20세기 이후 냉장고는 사치품에서 필수품으로 자리 잡으며 식품 보관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고, 다양한 문화 및 사회경제적 배경을 가진 전 세계 사람들에게 식품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냉장고의 보급은 식량 공급 관리 방식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냉장 기술은 화폐화되고 산업화된 대량 식품 생산 시스템을 가능하게 했지만, 이는 식품 폐기물, 동물성 폐기물, 유해 화학 폐기물 증가와 같은 환경 문제와 연결되기도 한다. 또한, 냉장고는 식품 접근성을 높였지만, 상업화된 식품 시장은 영양가가 낮고 칼로리가 높은 가공식품 위주로 선택지를 제공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50]

소비자용 냉장고가 대량 생산 및 판매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보급률이 크게 확대되었다. 미국에서는 약 99.5%의 가정이 냉장고를 보유하고 있다.[51] 서구 선진국에서는 냉장고 소유가 일반적이지만, 동유럽과 중동 지역에서는 약 80%, 중국에서는 약 65%의 보급률을 보이는 등 지역별 차이가 존재한다. 또한 도시 지역이 농촌 지역보다 냉장고 보유 비율이 높은 경향이 있다.[52]

19세기와 20세기 초반에는 냉장 및 소비 목적으로 자연 및 인공 얼음을 수확, 운송, 판매하는 빙상(얼음 거래) 산업이 존재했다. 주로 북미에서 수확된 얼음이 전 세계로 운송되었으며, 노르웨이에서도 소규모로 이루어졌다.[53] 하지만 1920년대에 가정용 냉장고가 보급되면서 대규모 얼음 수확 및 운송의 필요성이 사라졌고, 빙상 산업은 점차 쇠퇴하여 소규모 지역 서비스로 축소되거나 완전히 사라졌다.[54]

냉장고 산업에서는 여러 기업의 인수 합병이 이어졌다.

  • 1937년: 켈비네이터(Kelvinator)사가 자동차 회사 내시 모터스(Nash Motors)사와 합병하여 내시-켈비네이터(Nash-Kelvinator)사가 되었다.
  • 1951년: 미국 가정의 80%에 전기 냉장고가 보급되었다.[73]
  • 1954년: 내시-켈비네이터사가 허드슨 모터 카 컴퍼니(Hudson Motor Car Company)와 합병하여 AMC(아메리칸 모터스)가 되었다. 이후 계열사인 켈비네이터사가 최초의 성에 없는(frost-free) 양문형(side-by-side) 냉장고를 출시했다.
  • 1960년대 후반 ~ 1970년대 후반: 화이트 컨솔리데이티드 인더스트리스(White Consolidated Industries:WCI)사가 켈비네이터, 제너럴 모터스(General Motors) 계열사인 프리지데어(Frigidaire) 등 다수 미국 냉장고 제조사의 권리를 인수했다.
  • 1986년: 스웨덴의 일렉트로룩스(Electrolux)사가 WCI사를 인수하고 회사명을 "프리지데어"로 변경했다.
  • 2001년: 일렉트로룩스사는 특수 용도 및 레저 산업용 제품 부문을 투자 펀드 EQT에 매각하여 도메틱(Dometic)사로 독립시켰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냉장고 생산 및 판매는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국가들로 확대되었다. 영국의 조사회사 유로모니터 인터내셔널에 따르면, 2018년 전 세계 전기 냉장고 판매량은 약 1억 6915만 대에 달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의 하이얼(Haier)이 세계 시장 점유율 20% 이상을 차지하며 최대 업체로 자리 잡았고, 그 뒤를 월풀(Whirlpool Corporation)(미국), LG전자(대한민국), 일렉트로룩스, 삼성전자(대한민국) 등이 따르고 있다.[74]

가정용 냉장고는 각국의 생활 방식에 따라 사양이 다르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영국에서는 일주일에 한 번 장을 보는 가정이 많아 냉동실이 큰 제품을 선호하는 반면, 이탈리아에서는 매일 장을 보는 경향이 있어 냉장실이 더 큰 제품이 일반적이다. 일본에서는 1990년대 이후 2도어 대형 냉장고보다 각 공간이 세분화된 다기능 다도어 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5. 2. 한국

한국의 경우 1965년 금성(현 LG전자)에서 최초로 냉장고를 개발한 이후 대한전선(대우), 삼성전자에서도 생산하기 시작했다. 1980년대에 한국 가정에 냉장고가 보급되어 대중화의 길을 걸으며[81] 식중독 환자를 줄이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21세기에 이르러서는 LG전자삼성전자가 세계 냉장고 시장에서 주요 생산 업체로 자리매김하였다.[74]

6. 가정 보급

냉장고의 전 세계적인 점진적 보급은 식품 보존과 가정 생활의 편리성에 있어 혁신적인 시대를 열었다. 20세기 냉장고의 등장 이후, 냉장고는 사치품에서 일상 용품으로 변모하여 식품 보관 관행에 대한 인식을 바꾸었다. 냉장고는 다양한 문화적, 사회경제적 배경을 가진 전 세계 사람들에게 식품 안전을 제공함으로써 많은 개인의 일상생활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소비자용 냉장고가 대량 생산 및 판매가 가능할 정도로 경제적으로 실현 가능해진 후, 전 세계적으로 그 보급률이 크게 확대되었다. 미국에서는 약 99.5%의 가정이 냉장고를 보유하고 있다.[51] 냉장고 소유는 서구 선진국에서 더욱 흔하지만, 동구권과 개발도상국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동유럽과 중동에서는 인구의 약 80%만이 냉장고를 소유하고 있으며, 중국 인구의 약 65%가 냉장고를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용 냉장고의 분포는 또한 도시 지역이 농촌 지역에 비해 냉장고 소유 비율이 더 높은 불균형을 보인다.[52]

냉장고 덕분에 가정에서는 이전보다 더 오랫동안 음식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고기와 다른 부패하기 쉬운 식품들의 보관 방식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55] 이러한 식품 공급망의 변화는 냉장이 사용되는 지역의 식품 품질을 현저하게 향상시켰다. 또한, 냉장 기술의 발전과 전 세계적인 소통 방식의 발달은 식품의 신선도 및 보관 기간 증가로 이어져, 세계 여러 지역 간 식품을 통한 문화 교류를 촉진했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식품 품질 향상이 1900년대 초 미국 시민들의 평균 신장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는 주장도 제기된다.[55]

그러나 냉장 기술은 식품 부문의 세계화를 촉진함으로써 초가공식품가공식품의 생산 및 운송 비용을 절감시키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 이는 특히 저소득 지역에서 영양 밀도가 낮은 식품의 보급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었으며, 양질의 식품 접근성이 낮은 이른바 식량 사막 문제를 심화시키는 데 영향을 미쳤다. 또한 냉장고의 세계적인 보급은 화폐화 및 산업화된 대량 식품 생산 시스템으로 이어졌고, 이는 식품 폐기물, 동물성 폐기물 및 유해 화학 폐기물 증가와 같은 환경 문제와 연관되기도 한다.[50]

냉동고의 보급은 사람들이 식품을 대량으로 구입하여 여유롭게 소비할 수 있게 했으며, 대량 구매를 통한 비용 절감 효과도 가져왔다. 과거에는 생산지에서 바로 소비해야 했던 아이스크림과 같은 식품이 냉동고 덕분에 일상적인 식품이 되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얼음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차가운 음료를 즐기는 것 외에도 응급 처치나 야외 활동 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6. 1. 가정용 냉장고



최초의 가정용 전기냉장고는 1911년 미국 제너럴 일렉트릭(GE)에서 만들었으나, 널리 보급되지는 못했다. 1915년 알프레드 멜로우즈가 가정용 냉장고를 개발했지만 생산 능력은 연간 40대에 불과했다. 1918년 제너럴 일렉트릭이 멜로우즈의 회사를 인수하며 본격적인 대량생산 체제를 갖추었다. 1920년대에는 보다 안전한 냉매인 ‘프레온 가스’를 사용한 냉장고가 개발되었고, 1930년대 소형 압축기 개발에 성공하면서 오늘날 흔히 볼 수 있는 사각형 캐비닛 형태의 냉장고가 완성되었다.[80]

한국에서는 1965년 금성사(현 LG전자)가 최초로 국산 냉장고(모델명: GR-120)를 개발, 생산하기 시작했으며, 이후 대한전선(대우전자)과 삼성전자 등도 냉장고 생산에 뛰어들었다.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한국 가정에 냉장고가 본격적으로 보급되어 대중화되었고[81], 이는 식품의 신선도 유지에 기여하여 식중독 발생률을 줄이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가정용 냉장고가 보급되기 약 40년 전부터 상업용 냉장고와 냉동고가 먼저 사용되었다. 초기 상업용 냉장고는 암모니아(R-717)나 이산화황(R-764) 같은 가스를 냉매로 사용했는데, 이들은 누출 시 위험할 수 있어 가정용으로는 부적합했다. 실용적인 가정용 냉장고는 1915년에 등장했으며, 1930년대 미국에서 가격이 하락하고 프레온-12(R-12)와 같이 독성이 없고 불에 타지 않는 합성 냉매가 도입되면서 널리 보급되었다. 그러나 프레온-12는 오존층을 파괴하는 문제가 발견되어 1994년 이후 새로운 냉장고 및 에어컨 시스템에서의 사용이 금지되었다. 1990년부터는 오존층 파괴 영향이 덜한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R-134a)이 대체 냉매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오래된 시스템에서는 여전히 R-12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펠티어 효과를 이용한 냉장고도 있다. 이는 전기를 사용하여 직접 열을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소음이 거의 없어 캠핑용이나 조용한 환경이 필요한 곳에서 사용되기도 한다. 다만, 일반적인 압축기 방식에 비해 에너지 효율은 낮은 편이다.

가정용 냉장고는 일반적으로 식료품, 음료 등을 얼지 않는 저온(0℃ 이상, 보통 4°C~10°C)에서 단기간 보관하는 '냉장' 기능과, 식품을 얼려 장기간 보관하거나 얼음을 만드는 등 -18°C 정도를 유지하는 '냉동' 기능을 함께 갖춘 '''냉동냉장고''' 형태가 대부분이다. 얼음만을 사용하는 기기는 "보냉고"나 "냉장상자" 등으로 불린다. 중형 이상의 가정용 냉장고는 대부분 냉동실을 갖추고 있다.

일본에서는 전기냉장고가 텔레비전, 세탁기와 함께 '3종의 신기'로 불리며 가정 필수품으로 자리 잡았고, '백색가전'의 대표 주자이자 '''생활가전'''으로 인식된다. 일본 가정용품 품질표시법의 적용 대상이기도 하다.[68]

냉장고의 용량은 리터(L) 또는 세제곱피트(ft³)로 표시한다. 냉동냉장고의 경우, 전체 용량 중 냉동실이 차지하는 비율은 보통 1/4에서 1/3 정도이지만 제품마다 차이가 크다.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온도는 냉장실이 3°C ~ 5°C[3], 냉동실이 -18°C이다. 일부 냉장고는 특정 외부 온도 범위 내에서만 정상 작동하므로, 차고와 같이 온도 변화가 큰 곳에 설치할 때는 주의가 필요하다. 최근에는 식품 종류에 따라 최적의 온도로 보관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구역으로 나뉜 냉장고도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4개의 구역으로 나눌 수 있다.

  • 냉동실: -18°C
  • 육류 보관실: 0°C
  • 냉장실: 5°C
  • 채소실: 10°C


유럽에서는 냉동고 및 냉장고의 냉동칸 성능을 나타내는 4단계 별 등급 시스템을 사용한다.[56]

등급최저 온도최대 보관 기간 (냉동 식품 기준)비고
-6°C1주일
★★-12°C1개월
★★★-18°C3개월 ~ 12개월 (식품 종류에 따라 다름)냉동 식품 보관 전용
★★★★-18°C3개월 ~ 12개월 (식품 종류에 따라 다름)신선 식품 냉동 가능 (급속 냉동 기능 포함 가능, 예: -26°C)



3성급과 4성급 모두 최저 온도는 -18°C로 동일하지만, 4성급 냉동고만이 신선한 식품을 직접 얼릴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3성급 이하의 냉동칸은 이미 얼려진 식품을 보관하는 용도로만 사용해야 하며, 신선 식품을 넣으면 내부 온도가 적정 수준 이상으로 올라갈 수 있다.

가정용 전기냉장고는 대부분 세로로 긴 형태(세로형)이며, 업무용으로는 가로로 긴 형태(가로형)도 사용된다. 기본적인 구조는 내용물을 담는 상자 형태의 본체에 히트펌프의 일종인 냉동기를 부착하여 내부의 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식이다. 내부와 외부 사이의 벽에는 단열재를 사용하여 열의 이동을 차단하며, 물건을 넣고 꺼내기 위한 과 내부를 밝히는 조명이 설치되어 있다.

냉장고 내부가 냉각되면서 공기 중의 수분이 냉각 부분에 얼어붙어 서리가 생긴다. 이 서리는 주기적으로 녹여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 과정에서 냉장고 내부 습도가 낮아져 건조해지기 쉽다. 따라서 나 정육 등은 건조를 막기 위해 랩 필름 등으로 감싸 보관하는 것이 좋다. 채소와 같이 습도 유지가 중요한 식품을 보관하는 채소실은 냉기가 직접 닿지 않도록 간접 냉각 방식을 사용하거나 습도 조절 기능을 갖추기도 한다. 겨울철 기온이 빙점 이하로 내려가는 추운 지역에서는 식품을 얼지 않게 보관하는 '보온' 목적으로 냉장고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는 냉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는 원리이다.

초기 가정용 냉장고는 대부분 흰색이었기 때문에 '백색가전'이라는 별칭이 붙었으나, 2000년대 이후로는 인테리어와의 조화를 고려하여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의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69]

가정용 냉장고의 냉각 방식은 크게 직냉식과 간냉식(팬 방식)으로 나뉜다.

구분방식특징장점단점
직냉식냉각관에서 나오는 냉기로 직접 냉각 (주로 50~70L 정도의 소형 냉장고)[72]자연 대류 이용팬이 없어 소음이 적음
소비 전력이 상대적으로 적음
자연 대류에 의존하여 냉각 속도가 느리고 온도 편차가 생길 수 있음
식품을 많이 넣으면 냉기 순환이 어려워 부패 가능성 증가
주기적인 성에 제거(제상) 필요
간냉식 (팬 방식)냉각기에 팬을 설치하여 냉기를 강제 순환 (주로 중대형 냉장고)강제 대류 이용팬으로 냉기를 순환시켜 냉각 속도가 빠르고 내부 온도가 균일함
자동 성에 제거 기능이 있는 경우가 많음
팬 작동으로 인해 직냉식보다 소음이 발생할 수 있음
소비 전력이 상대적으로 많음


6. 2. 김치 냉장고

김치 냉장고는 일반 냉장고의 단점을 보완하여 만든 김치 전용 냉장고이다. 한국의 만도기계 (현 위니아)가 한국만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틈새시장을 발굴한 후 1995년에 딤채라는 브랜드로 처음 시장에 내놓았다. 프랑스의 와인냉장고와 일본의 생선냉장고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1993년 김치연구소를 만들고, 3년간 100만 포기의 김치를 담그며 수많은 시험을 거쳐 개발되었다고 한다.[82]

일반 냉장고는 문을 열면 대류현상에 의해 찬 공기가 아래로 빠져나가고 더운 공기가 위로 들어와 온도 변화가 크게 발생한다. 이 때문에 문을 닫은 후 다시 냉각시키는 데 시간이 걸리고 에너지 소비가 늘어나며, 음식물의 신선도 유지 기간이 짧아지는 단점이 있다. 반면 김치냉장고는 서랍식이나 위에서 여는 방식으로 만들어져 문을 열어도 냉기가 밖으로 잘 빠져나가지 않아 내부의 냉기를 효과적으로 보존할 수 있다.[83]

7. 종류

가정용 냉장고와 냉동고는 다양한 크기로 생산된다. 가장 작은 제품 중 하나는 맥주 6캔 정도를 보관할 수 있는 4L 용량의 펠티어 냉장고이며, 큰 가정용 냉장고는 사람 키만큼 크고 너비는 약 1m이고 용량은 600L 정도에 달한다. 주방 작업대 아래에 설치할 수 있도록 설계된 소형 모델도 있으며, 높이는 일반적으로 약 86cm이다. 냉장고는 냉동고와 결합된 형태가 많으며, 냉동실이 위, 아래 또는 옆에 위치하는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진다. 냉동식품 보관실이 없는 냉장고에는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작은 공간만 있는 경우도 있다. 냉동고는 식품을 보관할 수 있는 서랍이 있거나, 구분이 없는 상자형 냉동고 형태도 있다.

냉장고와 냉동고는 독립형으로 사용하거나 주방 캐비닛에 내장하는 빌트인 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냉장고는 작동 방식에 따라 크게 세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 '''압축기 냉장고''': 가장 일반적인 유형이다. 작동 시 소음이 다소 발생하지만, 냉각 효율이 가장 높고 냉각 효과가 뛰어나다. 레크리에이션 차량(RV)이나 캠핑용으로 제작된 휴대용 압축기 냉장고는 가격이 비싸지만 효과적이고 안정적이다. 상업 및 산업용 냉장 장치는 고객의 요구에 맞게 다양한 크기, 모양, 스타일로 제작된다. 상업용 및 산업용 냉장고는 소음 공해를 줄이고 더운 날씨에 에어컨 부하를 줄이기 위해 압축기를 캐비닛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배치하는 분리형 시스템(분할 시스템 에어컨과 유사)을 사용하기도 한다.
  • '''흡수식 냉장고''': 전기가 없는 농장이나 시골 오두막, 또는 카라반이나 트레일러와 같이 전력 공급이 불안정한 환경에서 주로 사용된다. 천연가스프로페인과 같은 가스 연료 또는 등유와 같은 열원을 사용하여 작동할 수 있다. 캠핑 및 RV용 모델 중에는 12볼트 배터리 전원으로도 작동(효율은 낮음)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 '''펠티어 냉장고''' (열전 냉각 방식): 주로 12볼트 DC 전원으로 작동하지만, 일반 전원을 사용하는 와인 냉장고 등에도 사용된다. 펠티어 냉장고는 가격이 저렴하지만 효율이 낮고, 냉각해야 하는 온도 차이가 클수록 효율이 더욱 떨어진다. 이는 펠티어 소자의 뜨거운 면과 차가운 면 사이의 거리가 짧아 열 전달이 쉽게 일어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방열판과 팬을 사용하여 온도 차이를 줄이는데, 이때 발생하는 소음은 대부분 팬에서 나온다. 펠티어 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을 바꾸면 냉각 대신 가열 효과를 낼 수도 있다.


이 외에도 특수한 목적을 위한 냉장/냉동 장치가 있다.

  • '''냉동창고''' (Walk-in freezer): 이름 그대로 사람이 안에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큰 냉동고이다. 장시간 내부에 머무르면 저체온증의 위험이 있으므로 안전 규정에 따라 비상 탈출구가 필요하며, 관리자는 내부에 사람이 갇히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32]
  • '''초저온 냉동고''' (Ultra-low temperature freezer, ULT): 일반적으로 -80°C 또는 -86°C의 온도를 유지하며, 생물학적 샘플 등을 보관하는 데 사용된다. 보통 두 단계의 냉각 과정을 거치는 캐스케이드 방식을 사용한다. 저온 단계에서는 메테인과 같은 냉매를 사용하고, 이 냉매의 응축기는 두 번째 단계에서 약 -40°C로 유지되는 더 일반적인 냉매를 통해 냉각된다. 더 낮은 온도가 필요한 경우, 실험실에서는 샘플을 듀어병에 담긴 액체 질소(약 -196°C)에 담가 보관한다. 극저온 냉동고는 최대 -150°C까지 온도를 낮출 수 있으며, 액체 질소 백업 기능이 포함되기도 한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증기 압축 방식 외에 다른 냉각 기술들도 연구되고 있으나, 아직 일반 가정용이나 상업용 냉장고에 널리 적용되지는 않았다. 이러한 기술에는 열음향 냉각, 공기 사이클, 자기냉각, 말론 엔진, 맥동관, 스터링 사이클, 열전 냉각, 열전자 냉각, 와류관, 물 순환 시스템 등이 있다.[34][37]

8. 에너지 효율

유럽 에너지 효율 라벨 (냉장고)


에어컨이 없는 주택에서 냉장고는 다른 가전제품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소비한다.[38] 1990년대 초 미국 주요 제조업체들은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경쟁을 벌였다.[39] 현재 미국에서 에너지 스타 인증을 받은 모델들은 1974년 평균 모델보다 에너지 소비량이 50% 적다.[40] 미국에서 생산되는 가장 에너지 효율이 높은 제품은 하루에 약 0.5kWh (20W 연속 사용과 동일)를 소비하며[41], 일부 소형 제품은 하루 0.2kWh 미만(8W 연속 사용과 동일)을 소비하기도 한다. 반면, 대형 제품, 특히 대형 냉동고와 제빙기가 있는 제품은 하루 최대 4kWh(170W 연속 사용과 동일)를 소비할 수 있다.

유럽 연합은 에너지 스타 대신 A가 가장 효율적인 문자 기반의 의무적 유럽 연합 에너지 라벨을 사용한다. 미국 냉장고의 경우, 에너지 효율 컨소시엄(CEE)은 에너지 스타 인증 냉장고를 더 세분화하여 등급을 매긴다. 1단계 냉장고는 미국 가전제품 에너지 절약법(NAECA)에서 설정한 연방 최소 기준보다 20%~24.9% 더 효율적인 제품이다. 2단계는 25%~29.9% 더 효율적인 제품이며, 3단계는 연방 기준보다 30% 이상 효율적인 최고 등급의 냉장고이다.[42] 에너지 스타 인증 냉장고 중 약 82%가 1단계이며, 13%가 2단계, 5%만이 3단계이다.

1930년대와 1940년대에 제조된 많은 냉장고는 이후 제조된 제품들보다 훨씬 효율적이었다. 이는 자동 해동과 같이 나중에 추가된 기능들이 효율성을 저하시켰기 때문이다. 또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효율성보다 냉장고의 외관 디자인이 더 중요해졌는데, 특히 1970년대 미국에서 제빙기와 정수기가 있는 사이드바이사이드 모델(미국 이외 지역에서는 아메리칸 냉장고로 알려짐)이 인기를 끌면서 이러한 경향이 심화되었다. 냉장고 크기와 제조 비용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단열재의 양도 종종 줄어들었다.

매장에서 판매 중인 최신 미국식/양문형 냉장고 전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냉장고 에너지 효율 표준이 도입되고 강화되면서 꾸준한 성능 향상이 이루어졌다. 21세기 냉장고는 1930년대 냉장고보다 일반적으로 에너지 효율이 세 배 더 높다.[43][44]

오래된 냉장고의 효율은 정기적인 해동(수동 해동 방식인 경우) 및 청소, 손상된 도어 실 교체, 필요 이상으로 온도를 낮추지 않기(냉장고는 보통 4°C보다 낮을 필요가 없음), 해당되는 경우 단열재 교체를 통해 향상시킬 수 있다. 열 흐름을 방해하는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응축기 코일을 청소하고 응축기 주변에 공기 흐름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시골 상점의 냉장고


디지털 인버터 컴프레서의 등장은 단일 속도 유도 전동기 컴프레서보다 에너지 소비량을 더욱 감소시켜 온실 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데 기여했다.[47] 인버터 냉장고는 필요에 따라 컴프레서 속도를 조절하므로, 예를 들어 여름보다 컴프레서 작동 시간이 짧은 겨울에 에너지 소비량이 더 적을 수 있다. 최신 인버터 컴프레서 모델은 다양한 외부 및 내부 조건을 고려하여 컴프레서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냉각 및 에너지 소비를 최적화한다. 대부분 최소 4개의 센서를 사용하여 외부 온도 변화, 냉장고 문 개폐나 새로운 음식물 보관으로 인한 내부 온도 변화, 습도 및 사용 패턴을 감지한다. 센서 입력에 따라 컴프레서 속도가 조절되며(일반적으로 1200~4500rpm), 이를 통해 냉각을 최적화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과 에너지 효율 면에서도 우수하다.[48] 기기는 켜질 때 에너지 소비가 최대가 되고 마모가 가장 심한데, 인버터 컴프레서는 꺼지지 않고 다양한 속도로 작동하므로 마모와 에너지 사용량을 최소화한다.

LG는 컴프레서의 마찰 지점을 줄이고 리니어 컴프레서를 도입하여 인버터 컴프레서를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기존 왕복 운동 구동 방식과 달리, 리니어 인버터 컴프레서는 영구 자석인 피스톤이 두 개의 전자석 사이에 매달려 AC 전류에 의해 밀고 당겨지며 냉매를 압축한다. LG는 이를 통해 기존 컴프레서에 비해 에너지 소비량은 32%, 소음은 25% 감소했다고 주장한다.

일반적인 압축 냉동 방식 외에도 흡수식 냉동 및 자기 냉동과 같은 기술이 있다. 이러한 방식은 일반적으로 압축 냉동보다 에너지를 훨씬 더 많이 사용하지만, 소음이 적거나 가스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특정 환경에서 사용되기도 한다.

냉장고의 물리적 설계 또한 에너지 효율에 큰 영향을 미친다. 가장 효율적인 것은 상단 개폐형 냉동고로, 위에서 여는 디자인은 문을 열 때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최소화한다. 반면, 도어 내장형 제빙기는 열 누출을 더 많이 발생시켜 에너지 소비량 증가에 기여한다.[49]

9. 환경 문제

폐냉장고 처리는 중요한 환경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초기 냉장고에 사용된 프레온 냉매는 오존층을 파괴하는 원인으로 지목되었으며, 오래된 냉장고를 폐기할 때 CFC를 포함한 단열재가 파괴되는 것 또한 문제로 여겨진다. 현대의 냉장고는 대부분 오존층을 파괴하지 않는 HFC-134a(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냉매를 사용한다. 유럽에서는 R-134a 대신 대기 영향이 더 적은 R-600a(이소부탄) 사용이 늘고 있다. 하지만 이소부탄 냉매는 누출 시 스파크가 발생하면 폭발할 위험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 냉장고 문을 오랫동안 열지 않으면 내부에 누출된 냉매 농도가 높아져 폭발성 혼합물이 형성될 수 있으며, 온도 조절 장치의 스파크나 문을 열 때 켜지는 불빛에 의해 점화되어 재산 피해나 인명 사고로 이어진 사례가 보고되었다.[62]

폐기된 냉장고는 안전상의 이유로 문을 제거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문이 잠기는 구형 모델의 경우, 아이들이 폐냉장고 안에 갇혀 질식사하는 비극적인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63] 이러한 위험 때문에 1950년대 이후 많은 지역에서는 내부에서 밀어서 열 수 없는 냉장고 문 사용을 금지하는 규정을 시행했다.[64] 현대 냉장고는 문을 밀봉하면서도 내부에서 쉽게 밀어서 열 수 있는 자석 도어 개스킷을 사용한다.[64] 이 개스킷은 독일의 Max Baermann(1903~1984)이 발명하고 개발했다.[65][66]

냉장고의 전체 수명주기를 고려하여 많은 정부에서는 폐냉장고 재활용을 장려하기 위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호주의 피닉스 냉장고 프로그램이 한 예인데, 오래된 냉장고를 수거하여 재생한 뒤 저소득층 가정에 제공했다. 미국에서도 오래되고 에너지 효율이 낮은 냉장고 및 기타 백색 가전제품을 수거하고 교체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저소득층의 부담을 줄이고 환경 오염을 줄이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67]

10. 기타

(내용 없음)

참조

[1] 서적 Refrigerator: The Story of Cool in the Kitchen https://books.google[...] Reaktion Books 2017-11-15
[2] 서적 Cold Chain Management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22-10-11
[3] 웹사이트 Keep your fridge-freezer clean and ice-free https://web.archive.[...] 2008-04-30
[4] 서적 Basics of Mechanical Engineering https://books.google[...] Jyothis Publishers 2020-08-01
[5] 웹사이트 Are You Storing Food Safely? https://www.fda.gov/[...] 2021-02-09
[6] 서적 Sustainable Food Supply Chains: Planning, Design, and Control through Interdisciplinary Methodologie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19-06-12
[7] 서적 Megatrends in Food and Agriculture: Technology, Water Use and Nutritio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8-02-05
[8] 서적 Postharvest Technology of Perishable Horticultural Commodities https://books.google[...] Woodhead Publishing 2019-07-16
[9] 서적 A History of Mechanical Engineering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20-01-03
[10] 서적 Did Thomas Crapper Really Invent the Toilet?: The Inventions That Changed Our Homes and Our Lives https://books.google[...] Skyhorse Publishing, Inc. 2008-11-17
[11] 학술지 Thermal Performance of Sustainable Element in Moayedi Icehouse in Iran https://doi.org/10.1[...] 2021-02-02
[12] 서적 Venetum Britannicum 1676
[13] 서적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PHI Learning 2012-03-30
[14] 서적 A History of Mechanical Engineering The MIT Press 1965
[15] 특허 Improved process for the artificial production of ice https://patents.goog[...] 1851-05-06
[16] 웹사이트 Step into German - German(y) - The TOP 40 German Inventions - Goethe-Institut http://www.goethe.de[...] 2017-10-19
[17] 학술지 Refrigerator vacuum dehydration unit 1978-02
[18] 웹사이트 The development and heyday of mechanical science https://web.archive.[...]
[19] 학회 Energy Use of Doored and Open Vertical Refrigerated Display Cases https://docs.lib.pur[...] 2010-07-12
[20] 특허 Refrigerating apparatus https://patents.goog[...] 1915-01-26
[21] 서적 Encyclopedia of Agricultural, Food, and Biological Engineering (Print)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3-08-29
[22] 웹사이트 DOMELRE First Electric Refrigerator https://www.ashrae.o[...] 2021-08-02
[23] 웹사이트 Air 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History - part 3 - Greatest Engineering Achievements of the Twentieth Century http://www.greatachi[...] 2021-08-02
[24] 웹사이트 G.E. Monitor Top Refrigerator http://www.industria[...] 2020-01-25
[25] 웹사이트 The General Electric Monitor Top Refrigerator https://refresearch.[...] 2017-10-04
[26] 웹사이트 GE Monitor-Top Refrigerator - Albany Institute of History and Art https://www.albanyin[...] 2020-06-01
[27] 웹사이트 The History of Household Wonders: History of the Refrigerator http://www.history.c[...] A&E Television Networks 2006
[28] 웹사이트 Freezing and food safety http://www.fsis.usda[...] USDA 2013-08-06
[29] 뉴스 Advertising http://nla.gov.au/nl[...] 1973-09-19
[30] 서적 The Handy Nutrition Answer Book https://books.google[...] Visible Ink Press 2015-02-23
[31] 웹사이트 Power To The People – Chicago Tribune https://www.chicagot[...] 1990-02-25
[32] 웹사이트 What are The Health and Safety Standards for Walk-in Refrigeration? https://www.chefsdea[...] 2024-03-28
[33] 웹사이트 What is Dual-Cooling Technology? https://www.sears.co[...]
[34] 학술지 Developments in domestic refrigeration and consumer attitudes http://www.iifiir.or[...] 2003
[35] 웹사이트 Refrigerator – Adjusting Temperature Controls https://web.archive.[...]
[36] 특허 Butter conditioner https://patents.goog[...]
[37] 뉴스 Towards the magnetic fridge http://www.physorg.c[...] 2006-04-21
[38] 웹사이트 Which UK – Saving Energy http://www.which.co.[...] 2014-11-10
[39] 학술지 Super Efficient Refrigerators: The Golden Carrot from Concept to Reality https://web.archive.[...]
[40] 뉴스 Refrigerators & Freezers https://web.archive.[...]
[41] 웹사이트 Sun Frost – The World's Most Efficient Refrigerators https://web.archive.[...]
[42] 웹사이트 High-efficiency specifications for REFRIGERATORS http://www.cee1.org/[...] 2007-01
[43] 뉴스 Successes of Energy Efficiency: The United States and California National Trust http://www.energy.ca[...]
[44] 뉴스 Out With the Old, In With the New http://www.nrdc.org/[...]
[45] 서적 Low Temperature and Cryogenic Refrigera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12-06
[46] 학술지 Review on frosting, defrosting and frost management techniques in industrial food freezers https://www.scienced[...] 2021-11-01
[47] 웹사이트 How the Digital Inverter Compressor Has Transformed the Modern Refrigerator https://news.samsung[...] 2020-01-25
[48] 학술자료 The Components and Control Methods for Implementation of Inverter-Controlled Refrigerators/Freezers http://docs.lib.purd[...]
[49] Youtube Chest Freezers; What they tell us about designing for X https://www.youtube.[...] 2020-04-07
[50] 웹사이트 How the humble household refrigerator changed the world — for better and for worse https://www.cbc.ca/r[...] 2023-04-21
[51] 웹사이트 Not just a cool convenience: How electric refrigeration shaped the "cold chain" https://americanhist[...] 2015-11-05
[52] 학술지 Refrigeration and child growth: What is the connection? 2021-01-13
[53] 학술지 The American Ice Harvests: An Historical Study in Technology, 1800–1918
[54] 웹사이트 Tracing the History of New England's Ice Trade https://www.bu.edu/a[...] 2022-02-07
[55] 학술지 The Effect of Mechanical Refrigeration on Nutrition in the United States http://ssh.dukejourn[...] 2004-06-01
[56] 간행물 Commission Regulation (EU) 2019/2019 of 1 October 2019 laying down ecodesign requirements for refrigerating appliances pursuant to Directive 2009/125/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and repealing Commission Regulation (EC) No 643/2009 (Text with EEA relevance.) http://data.europa.e[...] 2019-12-05
[57] 웹사이트 The First Absorption Refrigerator https://refresearch.[...] 2017-10-04
[58] 특허 Design for a refrigerator cabinet https://patents.goog[...]
[59] 특허 Refrigerator https://patents.goog[...]
[60] 웹사이트 Norman Bel Geddes Database https://norman.hrc.u[...]
[61] 웹사이트 CPSC, Warns That Old Servel Gas Refrigerators Still In Use Can Be Deadly http://www.cpsc.gov/[...] 2016-05-19
[62] 뉴스 Tragic bride-to-be's fridge-freezer exploded and 'turned into a Bunsen burner' https://www.mirror.c[...] 2015-11-12
[63] 웹사이트 PART 1750—STANDARD FOR DEVICES TO PERMIT THE OPENING OF HOUSEHOLD REFRIGERATOR DOORS FROM THE INSIDE :: PART 1750-STANDARD FOR DEVICES TO PERMIT THE OPENING OF HOUSEHOLD REFRI http://law.justia.co[...]
[64] 웹사이트 Is it impossible to open a refrigerator door from the inside? http://www.straightd[...]
[65] 서적 North Rhine Westphalia, Part III http://www.max-baerm[...]
[66] 특허 Flexible or resilient permanent magnets https://patents.goog[...]
[67] 웹사이트 Free Appliance Replacement: Low-Income Government Programs https://www.growingf[...] 2023-12-04
[68] 웹사이트 電気機械器具品質表示規程 http://www.caa.go.jp[...] 消費者庁
[69] 웹사이트 インテリアにマッチした冷蔵庫が欲しい! ~塗装やリフォームなど国内での取り組み https://kaden.watch.[...] 2014-07-28
[70] 웹사이트 http://www.chemenv.t[...]
[71] 특허 http://jstore.jst.go[...] 2022-02-00
[72] 웹사이트 SHARP Q&A 「直冷式」のメリット/デメリットは? http://cs.sharp.co.j[...]
[73] 뉴스 さまざまな冷凍技術の応用 日本経済新聞 1951-07-12
[74] 뉴스 냉장고 하이아르의 최고 자리 굳건 日経産業新聞 2019-08-09
[75] 웹사이트 GAS MUSEUM 가스 자료관 http://www.gasmuseum[...] 2013-05-09
[76] 뉴스 가정용 냉장고의 세균 오염, 채소실이 최악 수분 닦으면 오히려 증가 日経ビジネス 2008-06-09
[77] 백과사전 냉장고 글로벌 세계 대백과
[78] 문서 프레온 12 대체
[79] 백과사전 전기냉장고 글로벌 세계 대백과
[80] 서적 차가운 것을 향한 욕망 https://terms.naver.[...] 갈릴레오 SNC 2012-04-16
[81] 서적 왕실용 석빙고에서 대중용 냉장고까지 https://terms.naver.[...] 생각의힘
[82] 서적 김치냉장고 딤채, 1995 https://terms.naver.[...] 한국의 생활 디자인
[83] 백과사전 김치냉장고 [Kimchi refrigerator, ─冷藏庫]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