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열전 효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열전 효과는 온도차를 전압으로 변환하거나, 전압을 이용해 온도차를 만드는 현상을 통칭하며, 제벡 효과, 펠티에 효과, 톰슨 효과로 분류된다. 제벡 효과는 온도 차이에 의해 기전력이 발생하는 현상이며, 펠티에 효과는 전류가 흐를 때 접합부에서 열의 흡수 또는 방출이 일어나는 현상이다. 톰슨 효과는 한 종류의 금속 내에서 온도 차이가 있을 때 전류에 의해 열의 발생 또는 흡수가 일어나는 현상이다. 이러한 열전 효과는 열전대, 열전 발전기, 열전 냉각기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기 - 전기장
    전기장은 공간의 각 지점에서 단위 전하가 받는 힘으로 정의되는 벡터장으로, 전하 또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자기장에 의해 발생하며, 전기력선으로 표현되고 맥스웰 방정식으로 기술되는 전자기장의 한 요소이다.
  • 전기 - 전압
    전압은 두 지점 사이의 전위차로서 단위 전하당 에너지 차이를 나타내며, 정전기학에서는 단위 전하를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일, 회로 이론에서는 노드 간 전위차로 정의되고, 직류 및 교류 전압으로 구분되며, 다양한 방식으로 발생하여 여러 분야에 응용된다.
  • 열역학 - 볼츠만 상수
    볼츠만 상수 k는 온도와 에너지를 연결하는 상수이며, 기체 상수와 아보가드로 상수의 비로 정의되고, SI 단위계에서 1.380649×10⁻²³ J/K의 값을 가지며, 거시 물리학과 미시 물리학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열역학 - 열기관
    열기관은 고온 열원에서 열을 받아 일을 하고 나머지를 저온 열원으로 방출하는 장치이며, 증기 동력, 가스 동력, 내연기관 등으로 분류되어 화력 발전소,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열전 효과
지도
기본 정보
분야열역학, 물리학, 재료 과학, 전기 공학
관련 연구 분야열전 재료
현상
현상 유형제베크 효과
펠티에 효과
톰슨 효과
원리
원리 설명온도차를 이용하여 전압을 생성하거나, 전압을 이용하여 온도차를 발생시키는 현상
응용 분야
응용 분야열전 냉각
열전 발전
열전 센서
열전 발전기
열전 냉장고
열전 소자
열전 효과 (정의)
정의두 개의 다른 금속 또는 반도체 사이의 온도차로 인해 발생하는 전압 또는 그 반대의 현상.
역사
발견1821년 토마스 요한 제베크에 의해 제베크 효과 처음 발견됨
관련 연구1834년 장 펠티에는 펠티에 효과 발견, 1851년 윌리엄 톰슨은 톰슨 효과 발견
상세 설명
제베크 효과두 개의 서로 다른 금속의 접합부에 온도차가 있을 때 전압이 발생하는 현상.
펠티에 효과두 개의 서로 다른 금속 접합부에 전류를 통과시키면 열이 흡수되거나 방출되는 현상.
톰슨 효과단일 금속 내에서 온도 구배가 있을 때 전류가 흐르면 열이 흡수되거나 방출되는 현상.
열전력제베크 효과에서 생성되는 단위 온도차당 전압을 나타내는 값.
펠티에 계수펠티에 효과에서 단위 전류당 흡수 또는 방출되는 열을 나타내는 값.
톰슨 계수톰슨 효과에서 단위 온도차 및 전류당 흡수 또는 방출되는 열을 나타내는 값.
열전 재료
열전 재료텔루르화 비스무트
셀렌화납
규화 게르마늄
텔루르화 납
안티몬화 인듐
망간 규화물
효율 지수열전 재료의 성능을 나타내는 무차원 수치 (ZT 값)
참고 자료
웹사이트펠티에 효과 및 열전 냉각
논문열전 냉각 및 발전

2. 종류

두 종류의 금속선을 접속해서 폐회로를 만들고 그 두 접합부를 서로 다른 온도로 유지하면 회로에 전류가 흐른다. 금속선의 조합에 의해서는 전류의 방향이 변한다. 이 현상은 1821년에 독일의 제벡이 실험적으로 발견한 것이므로 제벡 효과라 한다. 제벡효과는 회로에 열기전력이 발생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인데, 두 접합부의 온도차 △T가 작을 때 기전력은 △T에 비례한다. 또 반대로 두 종류의 금속선을 접속해서 전류를 흘리면 접점에서 주울열 이외의 열의 발생 및 흡수가 일어난다.

이 현상은 1834년에 프랑스의 펠티에에 의해 발견되었으므로 펠티에 효과라 한다. 펠티에 효과는 금속 내에 전류가 흐를 때 열류가 함께 흐르고, 양 금속에서 열류가 상등하지 않기 때문에 접속면에서 열의 발생 또는 흡수가 일어나는 것처럼 보인다고 해석되고 있다. 열의 발생과 흡수는 가역적이어서 한 쪽이 발열하면, 다른 쪽은 흡열하며 전류의 발생을 반대로 하면 열의 발생은 흡수로, 흡수는 발생으로 변한다.

그리고 한 종류의 금속선이라도 선에 온도차가 있으면 전류를 흘렸을 때 선 내에서 주울열 이외에 열의 발생 또는 흡수가 일어나는 것이 1851년 영국의 톰슨에 의해 발견되었으므로 이 현상을 톰슨 효과라 한다. 열역학의 제1, 제2, 제3법칙을 사용하면 위의 세 가지 현상 사이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이 톰슨에 의해서 명백하게 밝혀졌다.

다음 세 가지가 열전 효과로 알려져 있다.


  • 제벡 효과: 물체의 온도 차이가 전압으로 변환되는 현상. 1821년 토마스 제벡이 발견.
  • 펠티에 효과: 서로 다른 금속을 접합하고 전압을 걸면 접합점에서 열의 흡수·방출이 일어나는 현상. 1834년 장 샤를 펠티에가 발견.
  • 톰슨 효과: 금속에서 온도 차이가 있는 두 점 사이에 전류를 흘리면 열의 흡수·발생이 일어나는 현상. 1854년 윌리엄 톰슨이 발견.


제벡 효과와 펠티에 효과는 서로 반대되는 효과이며, 톰슨 효과도 관련된 효과이다.

2. 1. 제베크 효과 (Seebeck effect)

'''제베크 효과'''는 전기 전도성 재료의 두 지점 사이에 온도 차이가 있을 때 그 지점들 사이에 발생하는 기전력이다. 기전력을 제베크 기전력(또는 열기전력/열전기전력)이라고 한다. 기전력과 온도 차이의 비율이 제베크 계수이다. 열전대는 두 가지 서로 다른 재료의 고온단과 저온단 사이의 전위차를 측정하며, 이 전위차는 고온단과 저온단 사이의 온도 차이에 비례한다. 1794년 이탈리아 과학자 알레산드로 볼타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지만,[5][6] 1821년 러시아 출신의 발트 독일인 물리학자 토마스 요한 제벡이 재발견하여 그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서로 다른 제벡 계수를 가진 재료(p형 도핑 및 n형 도핑된 반도체)로 구성된 열전 회로는 열전 발전기로 구성된다.


제베크는 두 개의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진 닫힌 회로에서 두 접합부 사이에 온도 차이를 가했을 때, 나침반 바늘이 움직이는 것을 관찰하고 이를 "열자기 효과"라고 불렀다. 덴마크 물리학자 한스 크리스티안 외르스테드는 온도 차이가 실제로 전류를 발생시키고, 자기장의 생성은 간접적인 결과임을 지적하며, 더 정확한 용어인 "열전기"를 만들었다.[7]

제베크 효과는 기전력(EMF)의 전형적인 예이며, 다른 모든 EMF와 마찬가지로 측정 가능한 전류 또는 전압을 발생시킨다. 국소 전류 밀도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mathbf J = \sigma (-\nabla V + \mathbf E_\text{emf}),

여기서 V는 국소 전압[8]이고 \sigma는 국소 전도도이다. 일반적으로 제벡 효과는 국소적으로 기전력을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mathbf E_\text{emf} = -S \nabla T,

여기서 S는 제벡 계수(열전력이라고도 함)이며 국소 재료의 특성이고, \nabla T는 온도 기울기이다.

제벡 계수는 일반적으로 온도의 함수로 변하며 도체의 조성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상온에서 일반적인 재료의 경우 제벡 계수의 값은 −100 μV/K에서 +1,000 μV/K까지 다양할 수 있다(제벡 계수 문서 참조).

금속선 양쪽 끝을 접합하여 폐회로를 구성하고 한 접점에 열을 가하게 되면 두 접점에 온도차로 인해 생기는 전위차에 의해 전류가 흐르게 되는 현상이 제베크 효과이다.

열전 효과에는 펠티에 효과와 톰슨 효과가 있으며, 제베크 효과와 펠티에 효과는 서로 반대되는 효과이며, 톰슨 효과도 관련된 효과이다.

2. 2. 펠티에 효과 (Peltier effect)

펠티에 효과는 열전대에 전류를 흐르게 했을 때,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줄열 외에도 열전대의 각 접점에서 발열 혹은 흡열 작용이 일어나는 현상을 말한다.[9] 두 금속의 접합점에서 한 쪽은 열이 발생하고, 다른 쪽은 열을 빼앗기는 현상을 이용하여 냉각 또는 가열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성 때문에 냉동기나 항온조 제작에 사용된다.

열전 냉각기로 구성된 제벡 회로


펠티어 소자의 열화상 카메라 영상


열전쌍 회로에 전류가 흐르면 한 접합부에서는 열이 발생하고 다른 접합부에서는 열이 흡수된다.[9] 1834년 프랑스 물리학자 장 샤를 아타나스 펠티어가 발견했다.[9] 두 도체 A와 B의 접합부에 전류가 흐르면 접합부에서 열이 발생하거나 제거될 수 있다. 접합부에서 단위 시간당 발생하는 펠티어 열은 다음과 같다.

\dot{Q} = (\Pi_\text{A} - \Pi_\text{B}) I,

여기서 \Pi_\text{A}\Pi_\text{B}는 도체 A와 B의 펠티어 계수이고, I는 전류(A에서 B로)이다. 발생하는 총 열은 펠티어 효과만으로 결정되지 않으며, 줄 열 및 열 기울기 효과의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펠티어 계수는 단위 전하당 얼마나 많은 열이 운반되는지를 나타낸다. 펠티어 효과는 제벡 효과에 대한 역반응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일반적인 펠티어 열펌프는 여러 접합부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사이로 전류가 흐른다. 일부 접합부는 펠티어 효과로 인해 열을 잃는 반면, 다른 접합부는 열을 얻는다. 열전 냉각 장치는 이 현상을 이용한다.

제벡 효과, 펠티에 효과, 톰슨 효과는 모두 열전 효과로 알려져 있으며,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2. 3. 톰슨 효과 (Thomson effect)

동일한 금속에서 부분적인 온도차가 있을 때 전류를 흘리면 발열 또는 흡열이 일어나는 현상을 톰슨 효과라고 한다. 톰슨 효과는 1851년 켈빈 경(윌리엄 톰슨, William Thomson)에 의해 예측되고 관찰되었다.[10]

  • 부(-) 톰슨 효과: 저온에서 고온부로 전류가 흐르면 흡열이 일어난다. (예: 백금(Pt), 니켈(Ni), (Fe))
  • 정(+) 톰슨 효과: 고온에서 저온부로 전류가 흐르면 발열이 일어난다. (예: 구리(Cu), 안티모니(Sb))


특정 물질의 경우 제벡 계수는 온도에 따라 일정하지 않으므로, 온도의 공간적 기울기는 제벡 계수의 기울기를 초래할 수 있다. 만약 이 기울기를 통해 전류가 흐른다면 펠티에 효과의 연속적인 버전이 발생한다. 톰슨 효과는 온도 기울기를 가진 전류를 운반하는 도체의 가열 또는 냉각을 설명한다.

만약 균질한 도체에 전류 밀도 \mathbf J가 통과한다면, 톰슨 효과는 단위 부피당 열 발생률을 예측한다.

\dot q = -\mathcal K \mathbf J \cdot \nabla T,

여기서 \nabla T는 온도 기울기이고, \mathcal K는 톰슨 계수이다. 톰슨 효과는 도체 내부의 온도 기울기에 대한 전하 운반자의 흐름 방향의 나타남이다. 이들은 열 기울기와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에너지(열)를 흡수하여 위치 에너지를 증가시키고, 열 기울기와 같은 방향으로 흐를 때는 열을 방출하여 위치 에너지를 감소시킨다.[11] 톰슨 계수는 제벡 계수와 \mathcal K = T \tfrac{dS}{dT}의 관계가 있다.(참조). 그러나 이 방정식은 줄 열과 일반적인 열전도도를 무시한다.

제벡 효과, 펠티에 효과와 함께 열전 효과로 알려져있다. 제벡 효과와 펠티에 효과는 서로 반대되는 효과이며, 톰슨 효과도 관련된 효과이다.

3. 톰슨 관계식 (켈빈 관계식)

1854년 켈빈 경은 세 가지 계수 간의 관계를 발견하여 톰슨 효과, 펠티에 효과, 제벡 효과가 하나의 효과(제벡 계수로 고유하게 특징지어짐)의 서로 다른 나타남임을 시사했다.[13]

첫 번째 톰슨 관계는[12]

:\mathcal K \equiv \frac{d\Pi}{dT} - S,

이다. 여기서 T는 절대 온도, \mathcal K는 톰슨 계수, \Pi는 펠티에 계수, S는 제벡 계수이다. 톰슨 효과가 펠티에 효과의 연속적인 버전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 관계는 쉽게 보여진다.

두 번째 톰슨 관계는

:\Pi = TS.

이다. 이 관계는 펠티에 효과와 제벡 효과 사이의 미묘하고 근본적인 연결을 나타낸다. 온사거 관계가 등장하기 전까지는 만족스럽게 증명되지 않았으며, 이 두 번째 톰슨 관계는 시간 역전 대칭 재료에 대해서만 보장된다는 점에 유의할 가치가 있다. 재료가 자기장에 놓이거나 자체적으로 자기적으로 정렬되어 있는 경우(강자성체, 반강자성체 등) 두 번째 톰슨 관계는 여기서 보여지는 간단한 형태를 취하지 않는다.[14]

이제 두 번째 관계를 사용하여 첫 번째 톰슨 관계는

:\mathcal K = T \tfrac{dS}{dT}

이 된다. 톰슨 계수는 세 가지 주요 열전 계수 중에서 개별 재료에 대해 직접 측정할 수 있는 유일한 계수라는 점에서 고유하다. 펠티에 계수와 제벡 계수는 재료 쌍에 대해서만 쉽게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개별 재료에 대한 절대 제벡 계수 또는 펠티에 계수의 값을 찾기가 어렵다.

재료의 톰슨 계수가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측정되면 톰슨 관계를 사용하여 적분하여 펠티에 계수와 제벡 계수의 절대값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값은 기준 재료를 포함하는 열전대에서 쌍으로 된 제벡 계수를 측정한 다음 기준 재료의 절대 제벡 계수를 다시 더하여 결정할 수 있으므로 이 작업은 한 재료에 대해서만 수행하면 된다. 절대 제벡 계수 결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제벡 계수를 참조하라.

각 효과를 특징짓는 양인 제벡 계수($S$), 펠티에 계수($\Pi$) 및 톰슨 계수($\mu$)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이것을 '''톰슨의 열전쌍 관계식'''[15] 또는 '''켈빈의 관계식'''[16]이라고 한다.

:S = \frac{\Pi}{T},

:\mu = -T\frac{\mathrm{d}S}{\mathrm{d}T}.

이는 온사거의 상반정리의 한 예이다.[16]

4. 열전 효과의 원리

두 종류의 금속선을 접속해서 폐회로를 만들고 그 두 접합부를 서로 다른 온도로 유지하면 회로에 전류가 흐르는데, 금속선의 조합에 따라 전류의 방향이 바뀐다. 이 현상은 1821년에 독일의 제베크가 발견한 제벡효과이다. 제벡효과는 회로에 열기전력이 발생하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두 접합부의 온도차 △T가 작을 때 기전력은 △T에 비례한다.

반대로 두 종류의 금속선을 접속해서 전류를 흘리면 접점에서 주울열 이외의 열의 발생 및 흡수가 일어난다. 이 현상은 1834년에 프랑스의 펠티에에 의해 발견되었으므로 펠티에 효과라 한다. 펠티에 효과는 금속 내에 전류가 흐를 때 열류가 함께 흐르고, 양 금속에서 열류가 같지 않기 때문에 접속면에서 열의 발생 또는 흡수가 일어나는 것처럼 보인다. 열의 발생과 흡수는 가역적이어서 한 쪽이 발열하면 다른 쪽은 흡열하며, 전류의 발생을 반대로 하면 열의 발생은 흡수로, 흡수는 발생으로 변한다.

1851년 영국의 톰슨은 한 종류의 금속선이라도 선에 온도차가 있으면 전류를 흘렸을 때 선 내에서 주울열 이외에 열의 발생 또는 흡수가 일어나는 현상을 발견했는데, 이를 톰슨효과라 한다. 톰슨은 열역학 제1, 제2, 제3법칙을 사용하여 위의 세 가지 현상 사이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밝혔다.

원자 수준에서 온도 기울기는 재료 내의 전하 운반자가 고온 측에서 저온 측으로 확산되도록 한다. 전하 운반자 입자는 고온에서 평균 속도(그리고 운동 에너지)가 더 높기 때문에 평균적으로 더 차가운 쪽으로 이동하여 재료 전체로 열을 운반한다.[3]

재료의 특성과 전하 운반자의 성질(벌크 재료의 양공인지 음전하의 전자인지)에 따라 전압에 대한 열의 방향이 결정된다. 반도체의 n형과 p형은 열 전달 방향이 제벡 계수의 부호에 따라 반대이기 때문에 종종 직렬로 결합된다.[4]

5. 열전 방정식

열전 장치는 제벡 효과, 펠티에 효과, 톰슨 효과를 포함한 여러 효과를 이용한다. 제벡 효과는 기전력을 생성하여 전류 방정식 '''J''' = σ(-∇''V'' - ''S''∇''T'')를 유도한다.[12] 펠티에 효과와 톰슨 효과를 설명하려면 에너지 흐름을 고려해야 한다. 온도와 전하가 시간에 따라 변하면 에너지 축적(\dot e)에 대한 완전한 열전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12]

:\dot e = \nabla \cdot (\kappa \nabla T) - \nabla \cdot (V + \Pi) \mathbf J + \dot q_\text{ext},

여기서 \kappa열전도율이다. 첫 번째 항은 푸리에의 열전도 법칙을 나타내고, 두 번째 항은 전류에 의해 운반되는 에너지를 나타낸다. 세 번째 항인 \dot q_\text{ext}는 외부 열원(해당하는 경우)이다.

물질이 정상 상태에 도달하면 전하 및 온도 분포가 안정되어 \dot e = 0이고 \nabla \cdot \mathbf J = 0이다. 이를 이용해 열 방정식을 간소화하면 다음과 같다.

:-\dot q_\text{ext} = \nabla \cdot (\kappa \nabla T) + \mathbf J \cdot \left(\sigma^{-1} \mathbf J\right) - T \mathbf J \cdot \nabla S.

가운데 항은 줄 열을 나타내며, 마지막 항은 펠티에 효과(\nabla S 접합부에서)와 톰슨 효과(\nabla S 열 기울기에서)를 포함한다. 이 방정식과 '''J'''에 대한 제벡 방정식을 결합하여 복잡한 시스템의 정상 상태 전압 및 온도 프로파일을 계산할 수 있다.

물질이 정상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전기적 정전용량, 인덕턴스, 열용량 관련 동적 효과를 고려해야 한다.

열전 효과는 평형 열역학의 범위를 벗어나며, 에너지의 지속적인 흐름을 포함한다. 이는 세 개의 물체 또는 열역학적 하위 시스템과 주변 환경의 특별한 배열을 필요로 한다. 실제로는 불가능하지만 상상 속의 열역학적 평형에서는 전기 저장소에 의해 유지되는 전압차로 인해 열전달이 방지되어야 하며 전류는 0이어야 한다. 그러나 정상 상태에서는 열 전달 또는 0이 아닌 전류가 존재해야 한다.

매체의 연속적인 변화가 있을 경우, 열 전달과 열역학적 일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없다. 이는 두 개의 균질한 하위 시스템이 연결된 열역학적 과정보다 더 복잡하다.

6. 응용

단일 균질 도체 내 국부적인 고온 또는 저온 지점에서는 온도 기울기 증가 및 감소로 인한 전체 기전력이 완벽하게 상쇄되므로 열전 효과는 실제로 관측할 수 없다. 국부적으로 이동된 전압을 측정하려고 시도하는 과정에서 고온 지점에 전극을 부착하면 부분적으로만 성공한다. 즉, 전극 내부에 또 다른 온도 기울기가 나타나므로 전체 기전력은 전극과 연결된 도체 사이의 제벡 계수 차이에 따라 달라진다.

열전대는 서로 다른 두 재료의 와이어로 구성되며, 알 수 없는 온도의 영역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느슨한 끝은 개방 회로 상태(전류 없음, ${\displaystyle \mathbf {J} =0}$)에서 측정된다. 재료의 제벡 계수 ${\displaystyle S}$는 온도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변하고 두 재료에 대해 다르지만, 개방 회로 조건은 모든 곳에서 ${\displaystyle \nabla V=-S\nabla T}$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와이어의 느슨한 끝에서 측정된 전압은 알 수 없는 온도에 직접적으로 의존하지만, 와이어의 정확한 기하학적 형태와 같은 다른 세부 사항과는 완전히 무관하다. 이러한 직접적인 관계를 통해 열전대 배열을 두 재료의 ${\displaystyle S}$-대-${\displaystyle T}$ 곡선 차이와 측정된 느슨한 와이어 끝의 기준 온도를 알고 있다면 간단한 보정이 필요 없는 온도계로 사용할 수 있다.

열전 분류는 열전대와 유사하게 작동하지만 알 수 없는 온도 대신 알 수 없는 재료를 사용한다. 알려진 조성의 금속 프로브는 알려진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고 국부적으로 프로브 온도로 가열된 알 수 없는 시료와 접촉하여 알 수 없는 제벡 계수 ${\displaystyle S}$의 근사값을 제공한다. 이것은 다양한 금속과 합금을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열전 쌍은 여러 개의 열전대를 직렬로 형성하여 고온과 저온 사이를 지그재그로 연결한다. 이렇게 하면 전압 출력이 증가한다.

열전 발전기는 열전대/열전 쌍과 유사하지만, 생성된 전압에서 전류를 끌어들여 열 차이에서 전력을 추출한다. 추출된 전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열전 쌍 배열에서 고품질 열전 재료를 사용하여 열전대와 다르게 최적화된다. 특별히 효율적이지는 않지만, 이러한 발전기는 움직이는 부품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펠티어 효과는 열펌프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펠티어 열전 냉각기는 소형이며 순환하는 유체나 움직이는 부품이 없는 냉장고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장점이 매우 낮은 효율의 단점보다 중요한 응용 분야에서 유용하다.

제습기와 같은 다른 열펌프 응용 분야에서도 펠티어 열펌프를 사용할 수 있다.

열전 냉각기는 전류를 반대로 하면 간단하게 히터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가역적이다. 전류의 제곱에 비례하는 일반적인 저항성 전기 가열(줄 열)과 달리 열전 가열 효과는 (적어도 작은 전류의 경우) 전류에 선형적으로 비례하지만 열 에너지를 보충할 차가운 싱크가 필요하다. 이러한 빠른 가역적 가열 및 냉각 효과는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에 의해 DNA를 증폭하는 데 사용되는 실험실 장비인 많은 최신 열순환기에서 사용된다. PCR은 샘플을 특정 온도로 주기적으로 가열 및 냉각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작은 공간에 많은 열전쌍을 포함시키면 많은 샘플을 병렬로 증폭할 수 있다.

6. 1. 열전대 (Thermocouple)

열전대는 서로 다른 두 재료의 와이어로 구성되며, 알 수 없는 온도의 영역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느슨한 끝은 개방 회로 상태(전류 없음, ${\displaystyle \mathbf {J} =0}$)에서 측정된다. 재료의 제벡 계수 ${\displaystyle S}$는 온도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변하고 두 재료에 대해 다르지만, 개방 회로 조건은 모든 곳에서 ${\displaystyle \nabla V=-S\nabla T}$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와이어의 느슨한 끝에서 측정된 전압은 알 수 없는 온도에 직접적으로 의존하지만, 와이어의 정확한 기하학적 형태와 같은 다른 세부 사항과는 완전히 무관하다. 이러한 직접적인 관계를 통해 열전대 배열을 두 재료의 ${\displaystyle S}$-대-${\displaystyle T}$ 곡선 차이와 측정된 느슨한 와이어 끝의 기준 온도를 알고 있다면 간단한 보정이 필요 없는 온도계로 사용할 수 있다.

열전 분류는 열전대와 유사하게 작동하지만 알 수 없는 온도 대신 알 수 없는 재료를 사용한다. 알려진 조성의 금속 프로브는 알려진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고 국부적으로 프로브 온도로 가열된 알 수 없는 시료와 접촉하여 알 수 없는 제벡 계수 ${\displaystyle S}$의 근사값을 제공한다. 이것은 다양한 금속과 합금을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열전 쌍은 여러 개의 열전대를 직렬로 형성하여 고온과 저온 사이를 지그재그로 연결한다. 이렇게 하면 전압 출력이 증가한다.

열전 발전기는 열전대/열전 쌍과 유사하지만, 생성된 전압에서 전류를 끌어들여 열 차이에서 전력을 추출한다. 추출된 전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열전 쌍 배열에서 고품질 열전 재료를 사용하여 열전대와 다르게 최적화된다. 특별히 효율적이지는 않지만, 이러한 발전기는 움직이는 부품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6. 2. 열전 발전 (Thermoelectric generation)

열전 효과는 단일 균질 도체 내에서는 국부적인 온도 변화로 인한 기전력이 상쇄되어 관측하기 어렵다. 전극을 부착하여 국부 전압을 측정하려 해도 전극 내부에 또 다른 온도 기울기가 발생하여 전체 기전력은 전극과 도체의 제벡 계수 차이에 따라 달라진다.

열전대는 서로 다른 두 재료의 와이어로 구성되며, 알 수 없는 온도의 영역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개방 회로 상태에서 측정되는 와이어의 느슨한 끝 전압은 알 수 없는 온도에 직접적으로 의존하며, 와이어의 기하학적 형태와는 무관하다. 이러한 관계를 통해 열전대 배열은 두 재료의 제벡 계수(S)와 온도(T) 곡선 차이, 그리고 측정된 느슨한 와이어 끝의 기준 온도를 알고 있다면 온도계로 사용할 수 있다.

열전 분류는 열전대와 유사하게 작동하지만, 알 수 없는 온도 대신 알 수 없는 재료를 사용한다. 알려진 조성의 금속 프로브를 알려진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고, 국부적으로 프로브 온도로 가열된 알 수 없는 시료와 접촉시켜 알 수 없는 제벡 계수(S)의 근사값을 제공한다. 이는 다양한 금속과 합금을 구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열전 쌍은 여러 개의 열전대를 직렬로 연결하여 고온과 저온 사이를 지그재그로 연결함으로써 전압 출력을 증가시킨다.

열전 발전기는 열전대/열전 쌍과 유사하지만, 생성된 전압에서 전류를 끌어와 열 차이에서 전력을 추출한다. 열전 쌍 배열에서 고품질 열전 재료를 사용하여 열전대와 다르게 최적화된다. 효율은 낮지만, 움직이는 부품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6. 3. 열전 냉각 (Thermoelectric cooling)

펠티어 효과는 열펌프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펠티어 열전 냉각기는 소형이며 순환하는 유체나 움직이는 부품이 없는 냉장고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장점이 매우 낮은 효율의 단점보다 중요한 응용 분야에서 유용하다.

제습기와 같은 다른 열펌프 응용 분야에서도 펠티어 열펌프를 사용할 수 있다.

열전 냉각기는 전류를 반대로 하면 간단하게 히터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가역적이다. 전류의 제곱에 비례하는 일반적인 저항성 전기 가열(줄 열)과 달리 열전 가열 효과는 (적어도 작은 전류의 경우) 전류에 선형적으로 비례하지만 열 에너지를 보충할 차가운 싱크가 필요하다. 이러한 빠른 가역적 가열 및 냉각 효과는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에 의해 DNA를 증폭하는 데 사용되는 실험실 장비인 많은 최신 열순환기에서 사용된다. PCR은 샘플을 특정 온도로 주기적으로 가열 및 냉각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작은 공간에 많은 열전쌍을 포함시키면 많은 샘플을 병렬로 증폭할 수 있다.

6. 4. 열전 분류

단일 균질 도체 내에서는 온도 기울기의 증가 및 감소로 인한 전체 기전력이 상쇄되어 열전 효과를 관측하기 어렵다. 전극을 부착하여 국부적인 전압을 측정하려 해도, 전극 내부에 또 다른 온도 기울기가 발생하여 전체 기전력은 전극과 도체 사이의 제벡 계수 차이에 따라 달라진다.

열전대는 서로 다른 두 재료의 와이어를 알 수 없는 온도의 영역에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구성한다. 개방 회로 상태에서 측정되는 와이어의 느슨한 끝 전압은 알 수 없는 온도에 직접적으로 의존하며, 와이어의 기하학적 형태와는 무관하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열전대 배열은 두 재료의 S-대-T 곡선 차이와 측정된 기준 온도를 알고 있다면 온도계로 사용할 수 있다.

열전 분류는 열전대와 유사하게 작동하지만, 알 수 없는 온도 대신 알 수 없는 재료를 사용한다. 알려진 조성의 금속 프로브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고, 국부적으로 가열된 알 수 없는 시료와 접촉시켜 제벡 계수 S의 근사값을 얻는다. 이는 다양한 금속과 합금을 구별하는 데 유용하다.

열전쌍은 여러 개의 열전대를 직렬로 연결하여 고온과 저온 사이를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한다. 이를 통해 전압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열전 발전기는 열전대/열전쌍과 유사하지만, 생성된 전압에서 전류를 끌어내 열 차이로부터 전력을 추출한다. 열전 재료를 사용하여 최적화되며, 효율은 낮지만 움직이는 부품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6. 5. 열순환기

펠티어 효과는 열펌프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펠티어 열전 냉각기는 소형이며 순환하는 유체나 움직이는 부품이 없는 냉장고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장점이 매우 낮은 효율의 단점보다 중요한 응용 분야에서 유용하다. 제습기와 같은 다른 열펌프 응용 분야에서도 펠티어 열펌프를 사용할 수 있다.

열전 냉각기는 전류를 반대로 하면 간단하게 히터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가역적이다. 이러한 빠른 가역적 가열 및 냉각 효과는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에 의해 DNA를 증폭하는 데 사용되는 실험실 장비인 많은 최신 열순환기에서 사용된다. PCR은 샘플을 특정 온도로 주기적으로 가열 및 냉각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작은 공간에 많은 열전쌍을 포함시키면 많은 샘플을 병렬로 증폭할 수 있다.

7. 한국의 열전 기술 현황

참조

[1] 웹사이트 The Peltier Effect and Thermoelectric Cooling http://ffden-2.phys.[...]
[2] 논문 Thermoelectric Cooling and Power Generation 1999
[3] 웹사이트 THERMOELECTRIC PHENOMENA https://lapom.unt.ed[...] 2024-08-13
[4] 논문 A review on conductive polymers and their hybrids for flexible and wearable thermoelectric applications https://hal.archives[...] 2021
[5] 서적 Continuum Theory and Modeling of Thermoelectric Elements Wiley-VCH 2016
[6] 논문 Nuova memoria sull'elettricità animale del Sig. Don Alessandro Volta … in alcune lettere al Sig. Ab. Anton Maria Vassalli … https://babel.hathit[...] 1794
[7] 논문 Nouvelles expériences de M. Seebeck sur les actions électro-magnetiques https://books.google[...] 1823
[8] 문서 The voltage in this case does not refer to electric potential but rather the "voltmeter" voltage V = -\mu/e, where \mu is the Fermi level.
[9] 논문 Nouvelles expériences sur la caloricité des courants électrique https://books.google[...] 1834
[10] 논문 4. On a Mechanical Theory of Thermo-Electric Currents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 Press 1857
[11] 서적 CRC Handbook of Thermoelectrics CRC press 1994
[12] 웹사이트 A.11 Thermoelectric effects http://www.eng.famu.[...] eng.famu.fsu.edu 2002-02-01
[13] 논문 On the dynamical theory of heat. Part V. Thermo-electric currents https://www.biodiver[...] 1857
[14] 서적 Thermoelectrics Handbook: Macro to Nano CRC Press 2010
[15]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2023-03-11
[16] 논문 トムソン効果を用いたゼーベック係数の絶対測定手法の開発 https://doi.org/10.1[...] 2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