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한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염한웅은 대한민국의 물리학자이다. 서울대학교에서 물리학을 전공하고 일본 도호쿠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후, 도쿄 대학교에서 연구 조교로 근무했다. 연세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반도체 나노미터 와이어 개발 연구에 참여했으며, 현재는 포항공과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기초과학연구원 인공 저차원 전자 시스템 연구단 단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금속원자선 연구, 위상 솔리톤 관찰, 라쉬바스핀분열 발견 등 18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일본방사광과학회 젊은과학자상, 한국과학상 대통령상, 인촌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항공과대학교 동문 - 문미옥
문미옥은 물리학 박사 출신 과학기술인으로, 연구교수, 과학기술 정책 분야 실장, 제20대 국회의원, 문재인 정부 과학기술보좌관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관을 역임하고 조국혁신당에 합류한 정치인이다. - 포항공과대학교 동문 - 김초엽
김초엽은 2017년 한국과학문학상에서 수상하며 데뷔한 대한민국의 과학 소설 작가로, 포항공과대학교에서 화학과를 졸업하고 생화학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대표작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을 비롯한 다수의 작품을 출간하며 활발히 활동 중이다. -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 백성기
백성기는 코넬 대학교에서 재료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한국과학기술연구소와 오크리지 국립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부총장, 포항가속기연구소 소장, 포스텍 총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재료공학자이다. -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 박이문
박이문은 대한민국의 철학자, 시인, 문학 평론가로, 서울대학교 등에서 수학하고 이화여자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실존주의 문학 평론과 프랑스 문학 번역, 다수의 저서 출간 등의 활동을 하다가 2017년에 사망했다. - 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장 - 남창희 (물리학자)
남창희는 서울대학교, KAIST,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KAIST와 GIST 교수를 거쳐 IBS 상대론적 레이저 과학 센터 초대 센터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물리학자로, 펨토초 레이저, 고차조화파, 아토초 펄스, 연엑스선 간섭계 및 현미경 기술 등을 연구하며 IUPAP 등 국제 학술 단체에서 활동했고, 미국 물리학회 및 미국 광학회 펠로우, 한국과학기술한림원상, 숭도광과학상, 대통령 표창 등을 수상했다. - 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장 - 현택환
현택환은 나노 입자 합성 분야의 권위자로, 승온법을 개발하고 균일한 나노 입자 합성 및 MRI 조영제 개발 등의 업적을 통해 젊은 화학자상과 호암상 공학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화학자이다.
| 염한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염한웅 |
| 로마자 표기 | Yeom Hanung |
| 출생일 | 1966년 12월 5일 |
| 출생지 | 서울특별시 |
| 국적 | 대한민국 |
| 분야 | 물리학 |
| 소속 | 포항공과대학교 연세대학교 기초과학연구원 |
| 모교 | 도호쿠 대학 |
| 지도교수 | 코노 쇼조 |
| 주요 업적 | 자기 조립 원자선 물리학 연구 개척 |
| 수상 | 일본 방사광 학회 젊은 연구자상 (1999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자상 (2006년) 한국물리학회 학술상 (2007년) |
2. 생애 및 경력
염한웅은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도호쿠 대학에서 이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도쿄 대학교 화학과 연구 조교(1996-2000), 연세대학교 물리학과 조교수/부교수(2000-2009), 정교수(2009-2010)를 거쳐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물리학과 교수(2010-현재)로 재직 중이다.[4][5] 연세대학교 재직 시절에는 1~3개 원자 두께의 반도체 나노미터 와이어 개발 연구에 참여했다.[4][5]
포항공과대학교에서는 원자 와이어 및 층 센터 소장(2003-2012), 저차원 전자 대칭성 연구단 단장(2012-2013)을 역임했고, 기초과학연구원 인공 저차원 전자 시스템 연구단 초대 단장(2013-현재)을 맡고 있다.[6][7]
2. 1. 학력 및 초기 경력
서울대학교에서 물리학 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일본 도호쿠 대학에서 이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6년부터 2000년까지 도쿄 대학교 화학과에서 연구 조교로 근무했다.[4][5]2. 2. 연세대학교 재직
도쿄 대학교 화학과에서 연구 조교로 근무(1996–2000)한 후, 대한민국으로 돌아와 연세대학교 물리학과에서 조교수/부교수로 재직했으며(2000–2009), 이후 정교수로 승진했다(2009–2010).[4][5] 연세대학교 재직 기간 동안 1~3개 원자 두께의 반도체 나노미터 와이어를 개발한 연구팀에 참여했다.[4][5]2. 3. 포항공과대학교 및 IBS 재직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물리학과 교수로 재직하며(2010–현재), 원자 와이어 및 층 센터 소장(2003–2012), 저차원 전자 대칭성 연구단 단장(2012–2013), 기초과학연구원 인공 저차원 전자 시스템 연구단 초대 단장(2013–현재)을 역임했다.[6][7]3. 주요 연구 업적
염한웅은 금속원자선 연구를 통해 금속-비금속 상전이 발견, 도핑 기법 개발, 위상 솔리톤 관찰, 거대 라쉬바스핀분열 발견, 일차원 Z4 위상절연체 및 카이럴 에지상태 발견, 카이럴 에지상태 대수연산 및 솔리토닉스 개념 제시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1] 피지컬 리뷰 레터에 30편, 사이언스, 네이쳐 피직스 등 총 180여 편의 논문을 출간하였다.
3. 1. 금속원자선 연구
염한웅은 금속원자선 연구 분야에서 다음과 같은 주요 연구 성과를 거두었다.| 연도 | 주요 연구 성과 |
|---|---|
| 1999년, 2003년, 2005년 | 금속원자선 금속-비금속 상전이 발견 |
| 2008년 | 금속원자선 도핑 기법 발견 |
| 2012년 | 금속원자섬의 위상 솔리톤 직접 관찰 성공 |
| 2013년 | 원자선의 거대 라쉬바스핀분열 발견 |
| 2015년 | 일차원 Z4 위상절연체와 카이럴 에지상태 발견 |
| 2017년 | 카이럴 에지상태의 대수연산 발견 및 솔리토닉스 개념 제시 |
이러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피지컬 리뷰 레터에 30편, 사이언스, 네이쳐 피직스 등 총 180여 편의 논문을 출간하였다.
3. 2. 주요 논문
- 1999년, 2003년, 2005년 금속원자선 금속-비금속 상전이 발견[1]
- 2008년 금속원자선 도핑 기법 발견[1]
- 2012년 금속원자섬의 위상 솔리톤 직접 관찰 성공[1]
- 2013년 원자선의 거대 라쉬바스핀분열 발견[1]
- 2015년 일차원 Z4 위상절연체와 카이럴 에지상태발견[1]
- 2017년 카이럴에지상태의 대수연산 발견, 솔리토닉스 개념 제시[1]
- Physical Review Letters 30편, 사이언스, Nature Physics 등 총 180여 편의 논문 출간[1]
- 거대한 라스바 분리 밴드를 갖는 자기 조립된 나노와이어. ''Physical Review Letters'' 110, 036801 (2013).[1]
- 준 1차원 전하 밀도파에서 위상적 솔리톤 대 비솔리톤 위상 결함. ''Physical Review Letters'' 109, 246802 (2012).[1]
- 액체 금속 내 전자의 방사형 밴드 구조. ''Physical Review Letters'' 107, 136402 (2011).[1]
- 금속 필름과의 실리콘 계면에서 질량이 거의 없는 전자. ''Physical Review Letters'' 104, 246803 (2010).[1]
- 강하게 결합된 납 나노와이어의 전자 분산에서 거대한 킹크. ''Nano Letters'' 9, 1916 (2009).[1]
- 조절된 도핑에 의한 실리콘 상의 금 원자 와이어의 밴드 구조 제어. https://journals.aps.org/prl/pdf/10.1103/PhysRevLett.100.126801 ''Physical Review Letters'' 100, 126801 (2008).[1]
4. 수상 경력
| 연도 | 수상 내역 |
|---|---|
| 2000년 | 일본방사광과학회 젊은과학자상[8] |
| 2006년 | 연세대학교 우수업적교수상[8] |
| 2006년 | 과학기술부/서울신문사 이달의 과학자상[9] |
| 2007년 | 대한물리학회 학술상 |
| 2007년 | 일본 응용물리학회 아시아 젊은 과학자 초청 |
| 2009년 | 미국 물리학회 Outstanding Referee (평생 공로상)[10] |
| 2012년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선정 한국의 선도과학자 |
| 2013년 | 나노코리아 2013 연구혁신상 (미래부장관상) |
| 2015년 | 한국과학상 대통령상[11] |
| 2016년 | 인촌상 자연과학부문 |
| 2017년 | 경암상 과학부문[12][13] |
참조
[1]
웹사이트
염한웅 포항공대 교수 "혁신성장의 가장 큰 축은 '과학'"
https://www.yna.co.k[...]
2018-12-12
[2]
웹사이트
염한웅 과기자문회의 부의장 '3연임'…"탄소중립 밑그림 그리겠다"
https://www.news1.kr[...]
2021-03-16
[3]
웹사이트
Han Woong Yeom - Google Scholar Citations
https://scholar.goog[...]
2019-01-28
[4]
논문
Band-structure engineering of gold atomic wires on silicon by controlled doping
https://journals.aps[...]
American Physical Society
2019-01-28
[5]
논문
Hopping Domain Wall Induced by Paired Adatoms on an Atomic Wire: Si (111)−(5×2)−Au
https://link.aps.org[...]
American Physical Society
2019-01-28
[6]
웹사이트
Center for Artificial Low Dimensional Electronic Systems - Physics - Research Centers
https://www.ibs.re.k[...]
2019-01-28
[7]
웹사이트
Prof. Han Woong Yeom
http://www.ivc19.com[...]
www.ivc19.com
2013-11-29
[8]
간행물
ICAMD2015_CV_Han Woong Yeom
http://www.icamd.or.[...]
2019-01-28
[9]
뉴스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염한웅 연세대교수
https://news.naver.c[...]
서울경제
2019-01-28
[10]
웹사이트
Prof. Han Woong Yeom Selected as Outstanding Referee of APS
http://times.postech[...]
POSTECH
2019-01-28
[11]
웹사이트
Yeom Han Woong Wins 2015 Korea Science Award: Professor Yeom Han Woong has won the 2015 Korea Science Award, becoming the 6th IBS director to do so
https://www.asiansci[...]
2019-01-10
[12]
웹사이트
올해 제13회 경암상에 김경동·승효상 등 5명 선정
https://www.yna.co.k[...]
2019-01-28
[13]
웹사이트
올해 제13회 경암상에 김경동 서울대 명예교수, 승효상 동아대 석좌교수 등 5명 선정
http://www.segye.com[...]
2019-01-28
[14]
논문
Self-Assembled Nanowires with Giant Rashba Split Band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