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산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산재는 불교 의식의 한 형태로, 석가가 영취산에서 설법한 영산회상을 재현하는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조선 전기부터 행해졌으며, 망자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천도의례 중 대표적인 제사이다. 영산회상도를 내걸고 악기 연주, 춤, 의례를 거행하며, 12단계의 절차를 따른다. 1973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영산재보존회를 통해 보존 및 전승되고 있다. 의식에는 범패, 화청 등의 음악과 바라춤, 나비춤, 법고춤 등의 무용이 사용되며, 장구, 해금, 거문고 등의 악기가 연주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무형문화유산 - 아리랑
 아리랑은 19세기 이후 등장한 한국의 민요로, 슬픔과 희망을 담은 멜로디가 특징이며, 다양한 종류와 어원 해석이 존재하고, 일제강점기 저항의 노래, 남북 분단 이후 통일 염원의 노래로 불렸으며, 유네스코 무형유산으로 등재되어 대중문화에 널리 활용된다.
- 대한민국의 무형문화유산 - 한산모시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서 생산되는 한산모시는 삼국시대부터 이어져 온 전통 모시 직물로, 조선시대 왕실 진상품이었으며, 섬세한 수작업으로 만들어지는 세모시, 광폭세포, 저포교직 등의 종류가 있다.
- 대한민국의 국가무형유산 - 막걸리
 막걸리는 쌀을 발효시켜 만든 한국 전통 술로, 탁주 또는 농주라고도 불리며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고 건강에 좋다는 인식과 함께 최근 다양한 맛과 형태로 개발되어 해외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 대한민국의 국가무형유산 - 아리랑
 아리랑은 19세기 이후 등장한 한국의 민요로, 슬픔과 희망을 담은 멜로디가 특징이며, 다양한 종류와 어원 해석이 존재하고, 일제강점기 저항의 노래, 남북 분단 이후 통일 염원의 노래로 불렸으며, 유네스코 무형유산으로 등재되어 대중문화에 널리 활용된다.
- 대한민국의 문화에 관한 - 새마을 운동
 새마을 운동은 박정희 정부 주도로 1970년에 시작된 지역사회 개발 운동으로, 근면·자조·협동 정신을 바탕으로 농촌 근대화, 소득 증대, 환경 개선을 목표로 추진되었으나, 권위주의 정권의 통치 수단 활용, 전통문화 탄압 등의 비판도 있으며, 현재는 생명살림운동으로 변화를 모색 중이다.
- 대한민국의 문화에 관한 - 부산문화방송
 부산문화방송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동부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방송국으로, 1959년 한국문화방송 부산방송국으로 개국하여 TV 방송을 개국했으며, 언론 통폐합을 거쳐 현재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본사를 두고 있다.
| 영산재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영산재 | 
| 한자 | 靈山齋 | 
| 로마자 표기 | Yeongsanjae | 
| 영어 | Yeongsanjae | 
| 문화재 정보 | |
| 국가 | 대한민국 | 
| 유형 | 국가무형문화재 | 
| 번호 | 50 | 
| 지정일 | 1973년 11월 5일 | 
| 주소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 웹사이트 | 문화재청 | 
2. 역사
영산재는 제사의 한 형태로, 불교를 믿고 의지함으로써 극락왕생하게 하는 의식이다. 석가가 영취산에서 행한 설법회상인 영산회상을 오늘날에 재현한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불교 천도의례 중 대표적인 제사로 일명 ‘영산작법’이라고도 한다. 기원은 분명하지 않으나, 이능화의 『조선불교통사』에 의하면 조선 전기에 이미 행해지고 있었다. 
영산재는 총 12단계의 절차로 진행되며, 각 단계는 고유한 의미를 지닌다.[17]
영산재는 고인이 평안히 쉬고 고통에서 벗어나기를 기원하는 불교 의식의 한 형태이다.[4][5] 영산재는 불교에서 고인의 영혼이 49일째에 천국에 도달한다고 믿기 때문에, 사망 후 49일째에 거행된다.[6] 과거에는 영산재가 3일 이상 거행되었지만, 현재는 규모가 축소되어 하루 동안만 의식을 거행한다.[6] 49재 의식에는 다른 형태도 많지만, 영산재는 그중 가장 큰 의례로 알려져 있다.[7]
1973년에 지정된 대한민국의 중요무형문화재 중 하나이다.[2][8] 영산재를 보존하기 위해 대한민국에는 영산재보존회가 설립되었다.[9]
3. 의식 절차
순서 절차 내용 1 시련(侍輦) 모든 천상의 성인과 영혼을 맞이한다. 2 대령(對靈) 영혼에게 따를 방향을 제시한다. 3 관욕(灌浴) 영혼의 삼업(三業, 몸과 입과 뜻으로 짓는 세 가지 업)을 정화한다. 4 조전점안(造錢點眼) 사후 세계에서 사용될 돈을 만든다. 5 신중작법(神衆作法) 원활한 의식 진행을 돕는 다례 의식이다. 6 괘불이운(掛佛移運) 의식 동안 사찰 외부에 대형 족자 그림을 걸어둔다. 7 상단권공(上壇勸供) 부처, 보살, 불교의 삼보(三寶)에게 밥상을 올린다. 8 법문(法門) 스님이 의식의 목적을 재확인하고 설법한다. 9 식당작법(食堂作法) 최상단 제단(부처, 보살, 성자, 불교의 삼보)에 음식을 올린다. 10 중단권공(中壇勸供) 중간 제단(허공장보살과 하늘의 권속, 지지보살과 땅의 권속, 지장보살과 저승의 권속)에 음식을 올린다. 11 시식(施食) 최하단 제단(고독한 영혼)에 음식을 올린다. 12 봉송(奉送) 의식에 참여한 모든 이들을 떠나보낸다. 영가(靈駕)의 위패, 깃발, 꽃, 기타 의식에 사용된 장비는 태운다. 
3. 1. 시련(侍輦)
영산재는 제사의 한 형태로, 불교를 믿고 의지함으로써 극락왕생하게 하는 의식이다. 신앙의 대상을 절 밖에서 모셔오는 행렬의식을 하는데, 이때 부처의 공덕을 찬양하기 위해 해금, 북, 장구, 거문고 등의 악기가 연주되고, 바라춤, 나비춤, 법고춤 등을 춘다.[1]
3. 2. 대령(對靈)
대령(對靈)은 영산재의 절차 중 하나로, 영혼을 맞이하여 대접하는 의식이다.[1] 이 의식은 영산재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영혼을 위로하고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1]
3. 3. 관욕(灌浴)
영산재는 괘불 앞에 불단을 세우고, 영혼이 생전에 지은 죄를 씻어내는 관욕 의식을 진행한다.[20]
3. 4. 괘불이운(掛佛移運)
영산재는 제단이 만들어지는 곳을 상징화하기 위해 야외에 영산회상도를 내다 거는 것으로 시작한다. 신앙의 대상을 절 밖에서 모셔오는 행렬의식을 하는데, 이때 부처의 공덕을 찬양하기 위해 해금, 북, 장구, 거문고 등의 각종 악기가 연주되고, 바라춤, 나비춤, 법고춤 등을 춘다.[1]
3. 5. 상단권공(上壇勸供)
1973년 11월 5일 국가무형문화재 제50호로 지정된 영산재는 해마다 시연되는 행사이다. 봉원사는 영산재 보존을 위해 영산재보존회를 만들었으며, 보유자는 범패 부분 김인식(법명 구해)이다.[20] 봉원사는 옥천범음대학을 함께 두어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20]
영산재는 괘불 앞에서 시작된다.[20] 괘불은 정면 한가운데 걸고 그 앞에 불단을 세운다.[20]
3. 6. 시식(施食)
영산재는 괘불 앞에서 운(運)으로부터 시작된다. 괘불은 정면 한가운데 걸고 그 앞에 불단을 세운다. 그 다음은 영혼이 생전에 지은 죄를 씻어내는 《관욕 의식》을 진행한다. 이 의식이 끝나면, 부처에게 《공양》을 드리고, 이후 사람들의 보다 구체적인 소원을 아뢰는 《축원문》을 낭독한다.[20]
3. 7. 봉송(奉送)
신앙의 대상을 돌려보내는 의례로, 제단이 세워진 곳에서 모든 대중이 열을 지어 돌면서 독경 등을 행한다. 예전에는 사흘 낮과 밤에 걸쳐 이루어졌으나 근래에는 규모가 축소되어 하루 동안 이루어진다.
4. 불교 음악 및 무용
영산재는 불교 의식과 함께 음악과 무용이 어우러지는 종합 예술이다. 이 의식에는 범패와 화청 등 불교 음악이 연주되고, 바라춤, 나비춤, 법고무 등 다양한 춤이 공연된다.[20] 이러한 음악과 무용은 한국 전통 음악과 무용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20]
영산재에서 연주되는 악기로는 해금, 장구, 거문고 등이 있다.[6]
- '''해금''': 고려 시대에 중국에서 전래된 두 줄 악기로, 독특한 음색을 지닌다.
- '''장구''': 모래시계 모양의 타악기로, 허리에 두는 북이라는 뜻의 '요고(腰鼓)'라고도 불렸다.
- '''거문고''': 현학금(玄鶴琴)이라고도 불리는 현악기로, 깊고 웅장한 소리를 낸다.
이러한 악기들은 영산재의 장엄하고 신성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영산재에는 바라춤, 나비춤, 법고무, 타주무의 4가지 종류의 작법무가 있다. 작법무는 몸의 움직임을 통해 몸을 공양하고, 입으로 부처님을 외우며, 마음속으로 불·법·승 삼보를 생각하는 깨달음을 위한 무예라고 할 수 있다.[18]
4. 1. 범패(梵唄)
이 의식을 진행하는 동안 범패(梵唄)를 연주한다.[20] 범패는 불교 의식에 사용되는 노래로, 범서(梵書)에 대한 헌사이며 어산(魚山)이라고도 불린다.[16] 범패의 기원에 대해 영산회상, 묘음보살의 음악 공양, 중국 조반 창조설 등 여러 설이 있다.[16] 특히 동진 시대(東晉時代)의 법사 율불타(佛陀耶舍)와 승찬(僧契), 강승회(康僧會)는 니항범패(泥恒梵唄)를 만들어 강남에 범패(梵唄聲明)의 이름을 퍼뜨렸다.[16] 이 범패는 당나라에 유학을 간 진감선사(眞鑑禪師)에 의해 한국 범패로 전해졌다.[16] 이와 함께 화청(和唱) 등을 연주하며, 바라춤, 나비춤, 법고무를 춘다.[20] 이러한 요소들은 우리 전통 민속음악과 민속 무용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20]4. 2. 화청(和唱)
화청은 바라춤, 나비춤, 법고무를 출 때 연주되는 범패(梵唄)의 한 종류이다.[20]4. 3. 바라춤(바라무)
바라춤(징무)은 "바라"라는 악기를 사용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10] 이 춤은 악귀를 물리치고 마음을 정화하기 위해 공연되었다.[10] 바라춤은 앞뒤로 움직이고 바라를 치면서 포효하는 등 여러 동작을 포함하지만, 대부분의 동작은 매우 정적이며 거의 움직이지 않거나 큰 소리를 내지 않는다.[11] 이는 바라춤이 엄숙한 분위기를 조성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이다.[11]바라무의 시련시는 관욕시, 신신족법시, 조전점만시, 괘불운시이며, 상부 공고와 식당 레시피 시이다.[18]
4. 4. 나비춤(나비무)
나비춤은 춤사위가 한국어로 나비를 뜻하는 '나비'의 모습과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15] 나비춤은 영산재에서 행해지는 모든 춤 중에서 가장 부드러운 동작을 포함하며, 참회를 기원하며 공양과 예배 중에 추어진다.[15]작법무는 깨달음을 위한 무예라고 할 수 있는데, 몸의 움직임을 통해 몸을 공양하고, 입으로 부처님을 외우며, 마음속으로 불·법·승 삼보를 생각하는 것이다. 이 글쓰기 방식은 어장(御藏) 스님의 맑은 목소리와 조화를 이루어 진행된다.[18] 영산재에는 바라춤, 나비춤, 법고무, 타주무의 4가지 종류의 작법무가 있다.
나비무(나비춤)의 시련시는 다음과 같다.[18]
- 사방 단법, 다법, 배양법
- 개불운시(다법)
- 상권 공고시(삼령법, 도량법, 다법, 향화게법, 삼남태작, 창)
- 결혼 후 지옥 조작법, 구원 건장법, 욕건이/정법 세계 진언, 다음은 바론 옴법, 운심게법, 횡사캬트 찬탄법)
- 식당법 시(자귀의 사생아법)
4. 5. 법고춤(법고무)
법고춤은 영산재를 진행하는 동안 공연되는 불교 춤의 한 종류이다. "법고(法鼓)"는 나무로 만들어진 큰 북처럼 생긴 불교 악기를 가리킨다.[12] 법고춤은 보통 두 명의 팀으로 공연되는데,[13] 한 명은 춤을 추고, 다른 한 명은 악기를 연주한다.[13] 바라춤, 나비춤과는 달리 법고춤은 빠르고 큰 동작과 큰 소리를 낸다.[14] 이 춤은 바라춤과 나비춤이 끝난 후 의식의 마지막에 공연되어, 의식이 순조롭게 진행되었음에 대한 기쁨과 열정을 표현한다.[13]작법무는 몸의 움직임을 통해 몸을 공양하고, 입으로 부처님을 외우며, 마음속으로 불·법·승 삼보를 생각하는 깨달음을 위한 무예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진행 방식은 어장(御藏) 스님의 맑은 목소리와 조화를 이루어 진행된다."[18] 영산재에는 4가지 종류의 작법무가 있는데, 법고무는 이 중 하나이다.[18] 법고무의 시련시는 법고 후 이 재배법, 상권 공개(법고 후 재배법), 그리고 식당법 시(재배법 후 법고)이다.[18]
4. 6. 타주무
타주무는 식당 레시피에서 의식 사이사이에 행해지는 춤이다.[18]5. 사용 악기
영산재를 진행하는 동안 춤과 함께 전통 한국 악기들이 연주된다.[6] 영산재에서 연주되는 악기에는 장구, 해금, 거문고 등이 있다. 이 의식에서는 범패라고 불리는 특별한 노래가 연주된다.[6]


- '''해금''': 독특하고 높은 음조와 표현력을 가진 두 줄의 수직 악기이다. 고려 시대(918-1392)에 중국에서 한국으로 전래되었다. 전통적으로 공명통은 모과나무, 뽕나무, 큰 대나무, 또는 반짝이는 사스레피나무와 같은 단단한 나무로 만들어지며, 두 줄은 명주실이나 나일론으로 만들어진다.
- '''장구''': 두 개의 소리통을 동물 가죽으로 만들고 모래시계와 비슷한 형태를 가진 한국 전통 타악기이다. 나무의 나이가 많을수록 소리가 강해지며, 두드리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소리를 낼 수 있다. 허리에 두는 북이라는 뜻으로 '요고(腰鼓)'라고도 불렸다.
- '''거문고''': 현학금(玄鶴琴)이라고도 불리는 거문고는 한국의 전통 현악기 중 하나로 깊고 웅장한 소리를 낸다. 숙련된 장인이 고품질 재료로 제작한다. 전통적으로 악기의 앞판은 오동나무로, 뒷판은 밤나무로 만들어지며, 줄은 명주실이나 나일론으로 만들어진다.
6. 장엄(Majesty)
영산재에서 장엄은 부처를 모시는 성전과 보살, 지화(紙花)의 이름을 새긴 다양한 화재보살이 있는 도량의 훌륭한 장식을 의미하는 장식 요소이다.[19] 장엄은 숭배와 교화로 나뉜다.[19] 숭배를 위한 장엄은 숭배 대상이나 이미지를 묘사한 벽화나 불교 그림이며, 교화를 위한 장엄은 불교 전도이다. 이것들은 본래의 삶과 본래의 삶의 내용을 담고 있으며 조각이나 그림으로 표현된 그림과 벽화이다.[19] 장엄은 불교를 처음 접하는 사람이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19]
7. 보존 및 전승
1973년 11월 5일 국가무형문화재 제50호로 지정된 영산재는 해마다 시연되는 행사이며, 영산재 보존을 위해 봉원사에서 영산재보존회를 만들었고, 보유자는 범패 부분 김인식(법명 구해)이다. 옥천범음대학을 함께 두어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20]
8. 현대 사회와 영산재
영산재는 고인이 평안히 쉬고 고통에서 벗어나기를 기원하는 불교 의식의 한 형태이다.[4][5] 불교에서는 고인의 영혼이 49일째에 천국에 도달한다고 믿기 때문에, 영산재는 사망 후 49일째에 거행된다.[6] 과거에는 영산재가 3일 이상 거행되었지만, 현재는 규모가 축소되어 하루 동안만 의식을 거행한다.[6] 49재 의식에는 다른 형태도 많지만, 영산재는 그중 가장 큰 의례로 알려져 있다.[7]
영산재는 1973년에 대한민국의 중요무형문화재 중 하나로 지정되었다.[2][8] 영산재를 보존하기 위해 대한민국에는 영산재보존회가 설립되었다.[9]
참조
[1] 
서적
 
나무와종이, 한국의전통공예
 
https://books.googl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2013-04-08
 
[2] 
웹사이트
 
Yeongsanjae
 
http://www.unesco.or[...] 
UNESCO
 
2013-04-08
 
[3] 
웹사이트
 
Lotus Sutra {{!}} Buddhist text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11-06
 
[4] 
간행물
 
The Costume of Ritual Dance in Mongolian and Korean Buddhism
 
https://www.jstor.or[...] 
2015
 
[5] 
웹사이트
 
Yeongsanjae (Celebration of Buddha's Sermon on Vulture Peak Mountain) - Heritage Search
 
http://english.cha.g[...] 
2022-01-23
 
[6] 
웹사이트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https://english.cha.[...] 
2022-01-23
 
[7] 
웹사이트
 
영산재(靈山齋)
 
http://encykorea.aks[...] 
2022-01-23
 
[8] 
웹사이트
 
Korean Heritage
 
http://jikimi.cha.go[...]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3-04-08
 
[9] 
웹사이트
 
영산재(靈山齋)
 
http://encykorea.aks[...] 
2022-01-23
 
[10] 
웹사이트
 
바라춤은 어떤 의미인가요?
 
http://www.beopbo.co[...] 
2004-08-10
 
[11] 
웹사이트
 
바라춤
 
http://encykorea.aks[...] 
2022-01-27
 
[12] 
웹사이트
 
법고춤(法鼓─)
 
http://encykorea.aks[...] 
2022-01-27
 
[13] 
웹사이트
 
법고춤
 
https://terms.naver.[...] 
2022-01-27
 
[14] 
웹사이트
 
문화유산채널
 
http://www.k-heritag[...] 
2022-01-27
 
[15] 
웹사이트
 
문화유산채널
 
http://www.k-heritag[...] 
2022-02-06
 
[16] 
웹사이트
 
범패 {{!}} 봉원사
 
http://yeongsanjae.o[...] 
2022-11-06
 
[17] 
웹사이트
 
The Wayback Machine has not archived that URL
 
https://web.archive.[...] 
2023-03-25
 
[18] 
웹사이트
 
작법무 {{!}} 봉원사
 
http://yeongsanjae.o[...] 
2022-11-06
 
[19] 
웹사이트
 
도량장엄 {{!}} 봉원사
 
http://yeongsanjae.o[...] 
2022-11-06
 
[20] 
웹인용
 
영산재
 
http://www.unesco.or[...] 
2010-06-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