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아사망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아 사망률은 연간 영아 사망수를 연간 출생수로 나눈 값에 1,000을 곱하여 계산하며, 2015-2020년 전 세계 영아 사망률은 29명으로 1950-1955년 140명에 비해 감소했다. 지역별, 소득 수준별로 편차가 있으며, 아프리카가 가장 높고 유럽이 가장 낮다. 개발도상국이 선진국보다 높으며,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영아 사망률이 높다. 2019년 기준 영아 사망률이 가장 높은 국가는 중앙 아프리카 공화국이며, 가장 낮은 국가는 산마리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과학 - 대리모
대리모는 여성이 다른 사람을 위해 임신과 출산을 대행하는 방식으로, 난자 제공 여부에 따라 전통적 대리모와 임신 대리모로 나뉘며, 불임 부부 등 다양한 이유로 활용되지만 윤리적, 법적 논쟁을 야기한다. - 산과학 - 주산기 사망률
주산기 사망률은 임신 22주 이후 사산과 조기 신생아 사망을 합한 값을 출산 수로 나눈 것으로, 출생 1,000명당 주산기 사망자 수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국가별 의료 서비스 질 평가에 활용되고 미숙아,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선천적 결함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며, 국가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개발도상국에서 높은 경향을 보인다. - 개체군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 개체군 - 생물
생물은 자기증식, 에너지 변환, 항상성 유지 능력을 갖추고 세포로 구성되며, 물질대사, 자극과 반응, 생식과 유전 등의 특징을 보이며 다양한 종으로 분류된다.
영아사망률 | |
---|---|
기본 정보 | |
정의 | 한 해에 태어난 아기 중 1년 안에 사망하는 아기의 비율 |
계산 방법 | 출생아 1,000명당 사망자 수 |
상세 내용 | |
영향 요인 | 경제적 수준 위생 상태 의료 서비스 접근성 |
관련 지표 | 신생아 사망률 모성 사망률 |
중요성 | 사회 경제적 발전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 |
참고 | |
관련 통계 | 통계청 영아사망률 |
세계은행 자료 | 세계은행 영아 사망률 자료 |
2. 계산식
영아 사망률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된다.[1]
2015-2020년 기준 전 세계 영아 사망률은 평균 29명으로, 1950-1955년의 140명에 비해 크게 감소하였다.[2][4] 하지만 지역별, 소득 수준별 편차는 여전히 크다.
:(연간의 영아사망률)=1000×(연간의 유아사망수)/(연간의 출생수)
3. 세계적 동향
1950-1955 1985-1990 2015-2020 2050-2055 2095-2100 전 세계 140 67 29 15 9
3. 1. 지역별 영아 사망률
2015-2020년 연평균 영아사망률을 기준으로, 아프리카가 47명으로 가장 높았으며, 유럽이 4명으로 가장 낮았다.[2][4] 1950년부터 2100년까지의 유엔 추계에 따르면, 모든 지역에서 영아 사망률이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 | 1950-1955 | 1985-1990 | 2015-2020 | 2050-2055 | 2095-2100 |
---|---|---|---|---|---|
아프리카 | 183 | 104 | 47 | 23 | 13 |
아시아 | 155 | 87 | 25 | 11 | 5 |
유럽 | 72 | 16 | 4 | 2 | 1 |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 126 | 48 | 15 | 7 | 3 |
북아메리카 | 31 | 10 | 6 | 2 | 1 |
오세아니아 | 64 | 29 | 18 | 8 | 4 |
전 세계 | 140 | 67 | 29 | 15 | 9 |
3. 2. 소득 수준별 영아 사망률
2015-2020년 기준 개발도상국의 영아 사망률은 32명으로, 같은 기간 선진국 (4명)보다 월등히 높았다. 특히 개발도상국 중에서도 국민 소득 1000USD 미만 최빈국은 47명으로 월등히 높았다.[2][4]여기서 말하는 개발도상국은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및 뉴질랜드를 제외한 오세아니아 국가들, 일본을 제외한 나머지 아시아/태평양 국가들을 말하며, 선진국은 북아메리카, 유럽, 오스트레일리아 및 뉴질랜드, 일본을 일컫는다.
1950-1955 | 1985-1990 | 2015-2020 | 2050-2055 | 2095-2100 | |
---|---|---|---|---|---|
선진국 | 59 | 13 | 4 | 2 | 1 |
개발도상국 | 159 | 73 | 32 | 16 | 10 |
개발도상국 (최빈국) | 197 | 114 | 47 | 21 | 12 |
개발도상국 (최빈국 제외) | 153 | 66 | 27 | 14 | 8 |
개발도상국 (중국 제외) | 173 | 83 | 35 | 17 | 10 |
전 세계 | 140 | 67 | 29 | 15 | 9 |
4. 국가별 현황
2019년 기준 영아 사망률이 가장 높은 국가는 중앙아프리카 공화국(81명)이며, 시에라리온(80.9명), 나이지리아(74.2명) 등 주로 아프리카 국가들이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2][5] 반면, 영아 사망률이 가장 낮은 국가는 산마리노(1.5명)였으며, 아이슬란드(1.6명), 슬로베니아(1.7명) 등 유럽 국가들이 낮은 수치를 보였다.[2][6] 일본(1.8명)과 싱가포르(2.1명) 등 아시아 국가들도 낮은 영아 사망률을 보였다.
4. 1. 영아 사망률 상위 10개국 (2019년)
지역 | 영아 사망률 |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81 |
시에라리온 | 80.9 |
나이지리아 | 74.2 |
소말리아 | 74 |
차드 | 69.1 |
레소토 | 68.1 |
콩고 민주 공화국 | 66.1 |
기니 | 63.8 |
남수단 | 62.4 |
라이베리아 | 62.2 |
4. 2. 영아 사망률 하위 10개국 (2019년)
지역 | 영아 사망률 |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81 |
시에라리온 | 80.9 |
나이지리아 | 74.2 |
소말리아 | 74 |
차드 | 69.1 |
레소토 | 68.1 |
콩고 민주 공화국 | 66.1 |
기니 | 63.8 |
남수단 | 62.4 |
라이베리아 | 62.2 |
참조
[1]
웹인용
영아사망률[Infant mortality rate]
https://kostat.go.kr[...]
통계청 사회통계국 인구동향과(인구동향조사 등)
2021-09-17
[2]
웹인용
"[유엔 세계인구전망 2019] 전 세계 인구, 출산율, 사망률, 기대수명 등 인구학적 동향"
https://blog.naver.c[...]
2021-09-17
[3]
웹인용
Mortality rate, infant (per 1,000 live births)
https://data.worldba[...]
세계은행
2021-09-17
[4]
웹인용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19
https://population.u[...]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Population Dynamics
2021-09-17
[5]
웹인용
Mortality rate, infant (per 1,000 live births)
https://data.worldba[...]
세계은행
2021-09-17
[6]
웹인용
Mortality rate, infant (per 1,000 live births)
https://data.worldba[...]
세계은행
2021-09-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