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 칭의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원 칭의론은 칭의가 삼위일체 내에서 영원히 이루어지는 행위인지, 아니면 일시적인 행위인지에 대한 논쟁을 다룬다. 리차드 백스터는 영원 칭의론을 지지하며 율법폐기론의 근간이라고 주장했지만, 앤토니 버제스는 이에 반대하며 칭의는 단시간에 이루어지는 행위라고 주장했다. 존 데버넌트는 웨스트민스터 총회에서 버제스의 의견이 다수였다고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칭의 - 제임스 던 (신학자)
영국의 신약성서학자 제임스 던은 바울에 대한 새 관점을 주창하며 유대교 이해와 바울 신학 해석에 영향을 미쳤고, 더럼 대학교의 라이트풋 신학 교수를 역임하며 신약성서 연구에 기여한 학자이다. - 칭의 - 바울에 대한 새 관점
바울에 대한 새 관점은 20세기 후반부터 바울 서신 해석에 대한 새로운 방식으로, 바울 시대 유대교 이해를 바탕으로 유대인과 이방인을 구별하는 특정 행위에 대한 비판이었다고 주장하며 기독교 신학에 논쟁을 일으키고 있다.
영원 칭의론 | |
---|---|
개요 | |
개념 | 칭의는 기독교 신학에서 죄에 대한 하느님의 용서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에게 의를 부여하는 법적 행위이다. 영원으로부터의 칭의는 칼뱅주의의 특정한 관점이며, 하느님의 선택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영원 전에 발생했다는 것을 주장한다. |
주요 주장 | 하느님께서는 세상의 창조 이전에 특정한 사람들을 구원하기 위해 선택하셨으며, 이 선택은 그들의 미래의 믿음이나 행위에 근거하지 않는다. 선택된 사람들은 그리스도 안에서 영원히 칭의를 받았으며, 그들의 칭의는 시간 속에서 그들이 믿을 때 효력을 발생한다. |
관련된 성경 구절 | 에베소서 1:4: "곧 창세 전에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를 택하사 우리로 사랑 안에서 그 앞에 거룩하고 흠이 없게 하시려고" 로마서 8:29-30: "하느님께서 미리 아신 자들을 또한 미리 정하사 그 아들의 형상을 본받게 하려 하셨으니 이는 그로 많은 형제 중에서 맏아들이 되게 하려 하심이니라. 또 미리 정하신 그들을 또한 부르시고 부르신 그들을 또한 의롭다 하시고 의롭다 하신 그들을 또한 영화롭게 하셨느니라" |
역사적 배경 | |
기원 | 16세기 종교 개혁 이후 칼뱅주의 신학 내에서 발전 |
주요 논쟁 | 영국 청교도들 사이에서 17세기에 논쟁의 주제가 됨 일부 청교도들은 칭의가 영원히 유효하다고 주장한 반면, 다른 이들은 칭의가 시간 속에서 믿음을 통해 발생한다고 주장 |
주요 인물 | 존 길 (John Gill): 영원 칭의론을 옹호한 주요 인물 |
신학적 의미 | |
하느님의 주권 강조 | 인간의 구원은 전적으로 하느님의 주권적인 선택에 달려 있으며, 인간의 행위나 결정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
구원의 확실성 | 선택된 사람들은 영원 전에 칭의를 받았기 때문에 구원의 확실성을 가진다. |
율법주의 반대 | 구원이 인간의 노력이나 율법 준수에 의존하지 않음을 강조 |
비판적 시각 | |
반율법주의 논란 | 칭의가 영원히 유효하다면, 신자들이 죄를 지어도 구원을 잃지 않는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비판이 있다. |
인간의 책임 약화 | 인간의 자유 의지와 도덕적 책임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비판이 있다. |
현대적 영향 | |
현대적 영향 | 일부 개혁주의 교회와 신학자들 사이에서 여전히 논의되고 있다. 원시 기독교 교파에서 가르침 |
관련 용어 | |
관련 용어 | 선택 예정설 불가항력적 은혜 성도의 견인 |
2. 영원 칭의론 논쟁
영원 칭의론을 둘러싸고 신학적 논쟁이 전개되었다. 리차드 백스터는 영원 칭의론이 삼위일체 간의 내적인 행위이며 율법폐기론의 주요 기반이 된다고 주장하였다. 반면, 앤토니 버제스는 칭의가 단시간에 이루어지는 행위이며, 하나님의 예정이 곧 칭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반박했다. 이러한 논쟁은 웨스트민스터 총회에서도 다루어졌으며, 존 데버넌트는 버제스의 견해가 당시 다수의 지지를 받았다고 기록하였다.[10]
2. 1. 영원 칭의론의 주장
리차드 백스터는 영원 칭의론을 삼위일체 간의 내적인 행위이며, 일시적인 행위가 아니라고 주장하였다. 그는 이러한 관점이 율법폐기론의 주된 기반이 된다고 보았다.반면, 앤토니 버제스는 영원 칭의론에 반박하며 칭의는 단시간에 이루어지는 행위라고 주장했다. 그는 하나님이 특정 인물을 구원하기로 예정했다는 사실이 곧바로 그 사람이 이미 칭의를 받았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설명했다. 존 데버넌트는 웨스트민스터 총회에서 버제스의 이러한 견해가 다수의 지지를 받았다고 기록하였다.[10]
2. 2. 영원 칭의론에 대한 반론
리차드 백스터는 영원 칭의론이 삼위일체 간의 내적인 행위이며 일시적인 행위가 아니라고 보면서, 이를 율법폐기론의 주된 축으로 간주하였다.이에 대해 앤토니 버제스는 영원 칭의론을 반박하며, 칭의는 단시간에 이루어지는 행위라고 주장했다. 그는 하나님이 특정 인물을 구원하기로 예정했다는 사실이 곧 그 사람이 이미 칭의를 받았다는 의미는 아니라고 비판했다. 존 데버넌트는 웨스트민스터 총회에서 이러한 버제스의 견해가 다수의 지지를 받았다고 기록하였다.[10]
참조
[1]
문서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2]
서적
Puritans and Predestination: Grace in English Protestant Theology, 1525-1695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3]
서적
Drawn Into Controversie: Reformed Theological Diversity and Debates Within Seventeenth-Century British Puritanism
Vandenhoeck & Ruprecht
[4]
간행물
Eternal Justification?
http://www.banneroft[...]
Banner of Truth
[5]
웹사이트
"Justification as an Eternal and Immanent Act of God"
http://www.mountzion[...]
A Body of Doctrinal Divinity
2012-04-19
[6]
웹사이트
"Abraham Kuyper, Herman Bavinck, and ‘The Conclusions of Utrecht 1905’"
https://www.midameri[...]
Mid-America Reformed Seminary website
2008
[7]
웹사이트
Justification from Eternity
http://www.the-highw[...]
[8]
서적
Systematic Theology
Banner of Truth
[9]
웹인용
균형 잃은 칭의론 #1
http://www.bami.kr/m[...]
2020-06-27
[10]
서적
The theology of the Westminster standards : historical context and theological insights
https://www.worldca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