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던 (신학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임스 던은 1939년 영국에서 태어난 신학자이다. 그는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고,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C. F. D. 모울의 지도하에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64년 스코틀랜드 교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으며, 에든버러 대학교 유학생 채플린, 노팅엄 대학교 강사 및 감리교 지역 설교자로 활동했다. 이후 더럼 대학교 신학 교수를 역임하고, 2002년 신약성서학회 회장을 지냈다. 던은 E. P. 샌더스와 N.T. 라이트와 함께 '바울에 대한 새 관점'을 제시했으며, 역사적 예수, 바울 신학, 초기 기독교와 유대교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그는 50권 이상의 저서를 출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칭의 - 바울에 대한 새 관점
바울에 대한 새 관점은 20세기 후반부터 바울 서신 해석에 대한 새로운 방식으로, 바울 시대 유대교 이해를 바탕으로 유대인과 이방인을 구별하는 특정 행위에 대한 비판이었다고 주장하며 기독교 신학에 논쟁을 일으키고 있다. - 칭의 - 영원 칭의론
영원 칭의론은 칭의가 하나님의 은혜로운 선택과 예정에 의해 단번에 이루어지므로 영원히 변하지 않는다는 기독교 신학적 주장이지만, 율법폐기론으로 흐를 수 있다는 비판과 함께 칭의와 성화의 균형이 강조되며 개혁신학의 중요한 쟁점이 되었다.
제임스 던 (신학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제임스 더글러스 그랜트 던 |
출생 | 1939년 10월 21일 |
출생지 | 버밍엄, 잉글랜드 |
사망 | 2020년 6월 26일 |
사망지 | 치체스터, 웨스트서식스 주, 잉글랜드 |
다른 이름 | 지미 던 |
국적 | 영국 |
종교 | 그리스도교(감리교) |
학력 | |
모교 | 글래스고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클레어 칼리지 |
학위 | PhD |
박사 학위 논문 제목 | 성령의 세례: 오늘날의 오순절주의에 비추어 본 성령의 은사에 대한 신약 성경 가르침의 재검토 |
박사 지도교수 | C. F. D. Moule |
주목할 만한 제자 | 헬렌 본드 이마누엘 친워크우 사이먼 J. 게더콜 제임스 F. 맥그래스 스콧 맥나이트 B. J. 오로페자 켄 쉔크 그레이엄 트웰프트리 |
경력 | |
직장 | 더럼 대학교 |
주요 관심사 | 신약학 성서학 |
사상 | |
영향 | E. P. Sanders |
영향을 준 인물 | 스콧 맥나이트 N. T. Wright |
주요 저서 | The New Perspective on Paul (2007) |
주목할 만한 아이디어 | 바울에 대한 새로운 관점 |
수상 | |
펠로우십 | 영국 학술원 회원 |
2. 생애와 학문 활동
제임스 던은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1968년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C. F. D. 모울 지도하에 《성령의 세례》(The Baptism in the Holy Spirit)라는 제목으로 박사학위(Ph.D.)를 받았다. 1970년부터 1982년까지 노팅엄 대학교에서, 1982년부터 2003년 은퇴할 때까지 더럼 대학교에서 신약학을 가르쳤다. 1991년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명예 신학박사(Doctor of Divinity) 학위를 받았으며, 2002년에는 세계 신약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2006년 영국 학술원 회원이 되었다. E. P. 샌더스, 톰 라이트와 더불어 이른바 바울에 대한 새 관점을 제시한 학자로 꼽히며, 역사적 예수, 바울 신학, 초기 그리스도교와 유대교 역사와 관련해 다양한 저작을 남겼다. 은퇴 후 더럼 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제임스 던은 1939년 10월 21일[8] 영국 버밍엄에서 태어났다.학위 | 대학 | 년도 |
---|---|---|
이학사(BSc) (경제학 및 통계학, 2등급) | 글래스고 대학교 | 1961년[9] |
신학사(BD) (우등) | 글래스고 대학교 | 1964년[9] |
철학 박사(PhD) | 케임브리지 대학교 | 1968년[9] |
신학사(BD) | 케임브리지 대학교 | 1976년[9] |
그는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공부했고 1968년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C. F. D. 모울 밑에서 성령의 세례(The Baptism in the Holy Spirit)라는 제목으로 박사학위(Ph.D.)를 받았다.[9]
2. 2. 목회 활동
던은 1964년 스코틀랜드 교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다.[9] 1968년부터 1970년까지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유학생 채플린으로 활동했다.[9] 노팅엄 대학교 재직 시절 감리교 지역 설교자로도 활동했다.[9]2. 3. 학문 활동
제임스 던은 1970년부터 1982년까지 노팅엄 대학교에서 신학 강사 및 리더로 재직했다.[9] 1982년부터 2003년 은퇴할 때까지 더럼 대학교에서 신학 교수로 재직했으며,[9][10] 1990년에는 라이트풋 신학 교수로 임명되었다.[10][11] 2002년 신약성서학회(SNTS) 회장을 역임했고,[13] 2006년 영국 학술원 회원으로 선출되었다.[13] 은퇴 후에는 더럼 대학교 명예교수로 활동했다.E. P. 샌더스, 톰 라이트와 함께 바울에 대한 새 관점을 제시한 학자로 꼽힌다.[16] 던은 샌더스의 팔레스타인 유대교 재정의 프로젝트를 받아들여, 유대교에 대한 기독교적 시각을 행위 구원의 종교로 수정하고자 했다. 그는 저서 ''갈림길''에서 1세기 유대교의 4가지 기둥으로 일신교, 선택과 땅, 토라, 성전을 강조했다. 샌더스와의 가장 중요한 차이점 중 하나는 던이 사도 바울의 사상에 근본적인 일관성이 있다고 인식한다는 것이다. 그는 또한 샌더스의 ''칭의''라는 용어에 대한 이해를 비판하며, 샌더스의 이해가 "개인화된 주석"의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했다.
2005년에는 던을 위한 헌정 논문집이 출판되었으며, 27명의 신약 학자들이 참여하여 초기 기독교 공동체와 기독교의 성령에 대한 그들의 믿음을 연구했다.[14] 2009년에는 던의 70번째 생일을 기념하여 또 다른 헌정 논문집이 발간되었는데, N.T. 라이트와 리처드 B. 헤이즈의 서문 2편과, 학문 및 목회 분야에서 성공적인 경력을 쌓은 그의 전 제자 17명이 작성한 논문으로 구성되었다.[15]
3. 신학적 관점과 주요 연구
던은 N.T. 라이트, E.P. 샌더스와 함께 바울에 대한 새 관점을 주도한 학자 중 한 명이다.[16] 그는 샌더스의 팔레스타인 유대교 재정의 프로젝트를 받아들여, 유대교에 대한 기독교적 시각, 즉 행위 구원을 강조하는 종교라는 관점을 수정하고자 했다. 던은 저서 ''갈림길''에서 1세기 유대교의 4가지 기둥으로 일신교, 선택과 땅, 토라, 성전을 제시했다. 샌더스와 던의 가장 큰 차이점은 던이 사도 바울의 사상에 근본적인 일관성이 있다고 보았다는 점이다. 또한 던은 샌더스의 ''칭의'' 개념 이해를 비판하며, 샌더스의 이해가 "개인화된 주석"의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했다.
3. 1. 바울에 대한 새 관점
던은 E.P. 샌더스, N. T. 라이트와 함께 바울에 대한 새 관점을 주도한 학자 중 한 명이다.[16] '바울에 대한 새 관점'은 1세기 유대교가 행위로 의를 얻는 종교였다는 기존의 기독교적 관점을 비판하고, 유대교를 은혜의 종교로 재해석한다.던은 샌더스의 팔레스타인 유대교 재정의 프로젝트를 수용하면서도, 사도 바울 사상의 일관성을 강조하고 샌더스의 '칭의' 이해를 비판했다.[16] 던은 샌더스의 칭의 이해가 개인화하는 주석(individualizing exegesis)에서 어려움이 있다고 논박한다.
3. 2. 칭의론
던은 기독교인들이 일반적으로 유대주의가 행위로 의롭다 함을 얻는다고 보는 견해를 수정하기 위하여 샌더스의 주장인 팔레스타인 유대주의 프로젝트를 세련되게 발전시키고 있다. 그러나 던은 샌더스와 달리 바울의 사상에 근본적인 고수와 일관성이 있다고 보았다. 또한 샌더스가 칭의를 개인주의적 관점에서 해석한다고 비판했다.4. 샌더스에 대한 평가
던은 샌더스의 팔레스타인 유대교 재정의 프로젝트를 수용하여, 유대교를 행위 구원의 종교로 보는 기독교적 관점을 수정하고자 했다. 던은 그의 저서 ''갈림길''에서 1세기 유대교의 네 가지 기둥으로 일신교, 선택과 땅, 토라, 성전을 강조했다. 그러나 샌더스와 매우 중요한 차이점은 던이 바울의 사상에 근본적인 일관성이 있다고 인식한다는 점이다. 그는 또한 샌더스의 ''칭의'' 개념 이해가 개인화된 주석의 영향을 받는다고 비판했다.[16]
5. 저서
- Baptism in the Holy Spirit영어 (1970)
- Jesus and the Spirit영어 (1975)
- The Evidence for Jesus영어 (1985)
- Christology in the making영어 (1980)
- Romans 1-8, 9-16영어 (1988) '''『로마서 상 1-8』'''(김철,채천석 옮김, 솔로몬, 2003), '''『로마서 하 9-16』'''(김철,채천석 옮김, 솔로몬, 2005)
- Jesus, Paul, and the law영어 (1990)
- Unity and diversity in the New Testament영어 (1990) '''『신약성서의 통일성과 다양성』'''(김득중,이광훈 옮김, 솔로몬, 1991)
- The Partings of the Ways between Christianity and Judaism and their Significance for the Character of Christianity영어 (1991)
- The Epistle to Galatians영어 (1993)
- The justice of God: a fresh look at the old doctrine of justification by faith영어 (1994) - Alan M. Suggate와 공저
- The Epistles to the Colossians and to Philemon: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영어 (1996)
- The Acts of the Apostles영어 (1996)
- The Theology of Paul the Apostle영어 (1998) '''『바울신학』'''(박문재 옮김, 크리스천다이제스트, 2003)
- The Cambridge companion to St. Paul영어 (2003) (편집)
- Eerdmans Commentary on the Bible영어 (2003) (John W. Rogerson과 편집)
- Christianity in the Making: Vol. 1, Jesus Remembered영어 (2003) '''『예수와 기독교의 기원 상,하』'''(차정식 옮김, 새물결플러스, 2012)
- A New Perspective On Jesus: What The Quest For The Historical Jesus Missed영어 (2005)'''『예수님에 관한 새 관점』'''(신현우 옮김, CLC, 2010)
- The New Perspective On Paul영어 (2007) '''『바울에 관한 새 관점』'''(최현만 옮김, 에클레시아북스, 2012)
- Christianity in the Making: Vol. 2, Beginning from Jerusalem영어 (2008)
- The Living Word영어 (second edition) (2009)
- Did the first Christians worship Jesus?영어 (2010) '''『첫 그리스도인들은 예수를 예배했는가?』'''(박규태 옮김, 좋은씨앗, 2016)
- Jesus, Paul, and the Gospels영어 (2011)
- The Oral Gospel Tradition영어 (2013)
- Christianity in the Making: Vol. 3, Neither Jew nor Greek: A Contested Identity영어 (2015)
- The Acts of the Apostles영어 (2016)
- Who was Jesus?: A Little Book Of Guidance영어 (2016) '''『예수 - 그는 누구인가?』'''(양지우 옮김, 비아, 2019)
- Why believe in Jesus' Resurrection?: A Little Book Of Guidance영어 (2016) '''『부활 - 왜 예수의 부활을 믿는가?』'''(김경민 옮김, 비아, 2018)
- Jesus according to the New Testament영어 (2019)
참조
[1]
학위논문
The Baptism in the Holy Spirit: A Re-Examination of the New Testament Teaching on the Gift of the Spirit in the Light of Pentacostalism Toda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Jesus and Paul: Global Perspectives in Honour of James D. G. Dunn for His 70th Birthday
T&T Clark
[3]
웹사이트
James D. G. Dunn on Gaza
http://www.patheos.c[...]
Patheos
2014-08-03
[4]
서적
The NIV Application Commentary: Galatians
Zondervan
[5]
서적
Exploring the New Testament: A Guide to the Letters & Revelation
InterVarsity Press
[6]
서적
Deficiencies in the Justification of the Ungodly: A Look at N. T. Wright's View of the Doctrine of Imputed Righteousness
Wipf & Stock
[7]
웹사이트
Rest in Peace, Jimmy
https://www.christia[...]
2020-06-26
[8]
간행물
DUNN, Prof. James Douglas Grant
http://www.ukwhoswho[...]
A & C Black
2014
[9]
간행물
Appointments
http://reed.dur.ac.u[...]
[10]
웹사이트
Professor James Dunn FBA
https://www.thebriti[...]
2019-12-11
[11]
웹사이트
A Brief Literary Biography of James D. G. Dunn
https://jesusandpaul[...]
2016-02-09
[12]
웹사이트
Professor John Barclay, Lightfoot Professor of Divinity in the Department of Theology and Religion
https://www.dur.ac.u[...]
2019-12-11
[13]
웹사이트
Professor James Dunn, Lightfoot Professor of Divinity Emeritus, University of Durham
http://www.britac.ac[...]
[14]
서적
The Holy Spirit and Christian origins: essays in honor of James D. G. Dunn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
[15]
서적
Jesus and Paul: Global Perspectives in Honour of James D. G. Dunn for His 70th Birthday
T&T Clark
[16]
서적
Introducing Romans: Critical Issues in Paul's Most Famous Letter
Eerdma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