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통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통구는 2003년 팔달구에서 분리되어 설치된 수원시의 구이다. 2023년 12월 31일 기준 12개의 행정동(매탄1~4동, 원천동, 영통1~3동, 망포1·2동, 광교1·2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적은 27.68km², 인구는 363,208명이다. 2022년 5월 경기도청이 영통구로 이전하였으며, 삼성전자 본사와 수원사업장이 위치해 지역 경제의 중심 역할을 한다. 신분당선과 분당선이 지나가며, 광교역, 광교중앙역, 매탄권선역, 망포역, 영통역, 청명역 등의 역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3년 설치 - 증평군
충청북도 북서부에 위치한 증평군은 충북에서 면적이 가장 작은 군으로, 1읍 1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03년에 군으로 승격되었고, 첨단산업과 농업이 공존하며 좌구산휴양림과 증평 선애삼 등의 특산물이 있다. - 2003년 설치 - 포천시
포천시는 경기도 북부에 위치한 시로, 오랜 역사를 거쳐 포천현, 포천군을 거쳐 포천시로 승격되었으며, 분지 지형에 농업, 제조업, 서비스업이 주요 산업이고 국립수목원, 산정호수 등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1읍, 11면, 2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 경기도의 구 - 소사구
소사구는 1988년 설치되었다가 2016년 폐지된 후 2024년 재설치된 부천시의 구이며, 부천시 구시가지에 해당하고 11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교육 기관과 철도 노선이 지나간다. - 경기도의 구 - 단원구
단원구는 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의 행정 구역으로, 2002년에 설치되어 12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며, 안산시 서부에 위치하고 시흥시, 화성시와 접하며, 수도권 전철 4호선, 수인·분당선, 서해선과 영동고속도로 서안산 나들목이 지나간다. - 영통구 - 광교신도시
광교신도시는 경기도 수원시, 용인시에 걸쳐 개발되었으며, 광교산 남쪽 원천리천 일대에서 이름을 따왔고, 높은 녹지율과 편리한 교통, 다양한 교육 및 첨단 시설을 갖춘 신도시이다. - 영통구 - 광교동
광교동은 광교산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2012년 수원시 영통구에서 이의동과 하동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고 광교신도시 개발로 우수한 교육 환경을 갖추고 있으나 과밀학급 문제도 안고 있으며, 1789년에는 용인군 지내면에 속했던 역사를 가진 행정동이다.
| 영통구 | |
|---|---|
| 지도 | |
| 기본 정보 | |
| 행정구역명 | 영통구 |
| 한글 | 영통구 |
| 한국 한자 | 靈通區 |
| 가타카나 | 요토구 |
| 로마자 표기 | Yeongtong-gu |
| 면적 | 27.5 |
| 총인구 | 363,028 |
| 통계 년도 | 2023 |
| 남자 인구 | 181,941 |
| 여자 인구 | 181,087 |
| 상위 자치 단체 | 수원시 |
| 하위 행정 구획 | 11동 |
| URL | 영통구청 홈페이지 |
| 세대 | 154,877 |
| 세대 조사 년도 | 2023 |
| 법정동 | 7 |
| 행정동 | 12 |
| 구청장 | 박사승 |
| 국회의원 | 수원시 정: 김준혁(더불어민주당)영통구 매탄1동, 매탄2동, 매탄3동, 매탄4동, 원천동, 영통1동, 광교1동, 광교2동 해당. 수원시 무: 염태영(더불어민주당)권선구 세류2동, 세류3동, 권선1동, 권선2동, 곡선동, 영통구 영통2동, 영통3동, 망포1동, 망포2동 해당. |
| 구청 소재지 | [16545]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효원로 407(매탄동) |
| 주택 | 127,799호(보급률 83.25%) |
| 도로 | 21cm |
| 이미지 | |
![]() | |
![]() | |
2. 역사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법정구역 |
|---|---|---|
| 팔달구 매탄1동·매탄2동·매탄3동·매탄4동 | 영통구 매탄1동·매탄2동·매탄3동·매탄4동 | 매탄동 |
| 팔달구 원천동 | 영통구 원천동 | 원천동 |
| 팔달구 이의동 | 영통구 이의동 | 이의동·하동 |
| 팔달구 영통1동·영통2동 | 영통구 영통1동·영통2동 | 영통동 |
| 팔달구 태장동 | 영통구 태장동 | 신동·망포동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법정구역 |
|---|---|---|
| 원천동 | 원천동 | 원천동 |
| 광교동 | 광교동 | 이의동·하동 |
| 행정구역 | 법정구역 |
|---|---|
| 광교1동 | 이의동 |
| 광교2동 | 하동 |
| 행정구역 | 법정구역 |
|---|---|
| 영통1동 | 영통동 |
| 영통3동 | |
| 영통2동 | 영통동, 망포동(일부) |
| 태장동 | 신동, 망포동(일부) |
3. 행정 구역

영통구는 11개의 행정동으로 나뉜다.[2]
| 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세대 | 인구 (명) |
|---|---|---|---|---|
| 매탄1동 | 梅灘1洞 | 1.23km2 | 5,211 | 11,704 |
| 매탄2동 | 梅灘2洞 | 0.79km2 | 6,421 | 13,930 |
| 매탄3동 | 梅灘3洞 | 2.34km2 | 15,731 | 34,512 |
| 매탄4동 | 梅灘4洞 | 0.78km2 | 9,492 | 20,293 |
| 원천동 | 遠川洞 | 3.25km2 | 21,027 | 45,447 |
| 영통1동 | 靈通1洞 | 1.65km2 | 12,555 | 33,195 |
| 영통2동 | 靈通2洞 | 1.7km2 | 13,460 | 25,393 |
| 영통3동 | 靈通3洞 | 1.28km2 | 13,795 | 31,624 |
| 망포1동 | 網浦1洞 | 1km2 | 11,482 | 31,684 |
| 망포2동 | 網浦2洞 | 1.5km2 | 11,353 | 33,462 |
| 광교1동 | 光敎1洞 | 7.97km2 | 22,695 | 53,072 |
| 광교2동 | 光敎2洞 | 4.18km2 | 11,655 | 28,712 |
| 영통구 | 靈通區 | 27.68km2 | 154,877 | 363,208 |
3. 1. 행정동
2003년 11월 24일 팔달구의 일부를 떼어 영통구를 설치하면서 설치 당시 팔달구의 매탄1동, 매탄2동, 매탄3동, 매탄4동, 원천동, 이의동, 영통1동, 영통2동, 태장동을 관할하였다.[5]|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법정구역 |
|---|---|---|
| 팔달구 매탄1동·매탄2동·매탄3동·매탄4동 | 영통구 매탄1동·매탄2동·매탄3동·매탄4동 | 매탄동 |
| 팔달구 원천동 | 영통구 원천동 | 원천동 |
| 팔달구 이의동 | 영통구 이의동 | 이의동·하동 |
| 팔달구 영통1동·영통2동 | 영통구 영통1동·영통2동 | 영통동 |
| 팔달구 태장동 | 영통구 태장동 | 신동·망포동 |
2007년 8월 6일 이의동을 원천동에 합동하였다.[5]
2012년 12월 26일 원천동에서 광교동을 분동하였다.[5]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법정구역 |
|---|---|---|
| 원천동 | 원천동 | 원천동 |
| 광교동 | 이의동·하동 |
2015년 1월 20일 광교동을 광교1동·광교2동으로 분동하였다.[5]
| 행정구역 | 법정구역 | |
|---|---|---|
| 이전 | 이후 | |
| 광교동 | 광교1동 | 이의동 |
| 광교2동 | 하동 |
2017년 12월 26일 영통1동·영통2동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영통3동으로 분리하고, 태장동의 덕영대로 이북 지역을 영통2동으로 편입하였다.[6]
| 행정구역 | 법정구역 | |
|---|---|---|
| 이전 | 이후 | |
| 영통1동 | 영통1동 | 영통동 |
| 영통3동 | ||
| 영통2동 | ||
| 영통2동 | ||
| 태장동 | 신동, 망포동(일부) | |
| 태장동 | 망포동(일부) |
2019년 4월 15일 태장동을 망포1동·망포2동으로 분동하였다.[5]
2023년 12월 31일 기준 인구는 다음과 같다.[2]
| 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세대 | 인구 (명) |
|---|---|---|---|---|
| 매탄1동 | 梅灘1洞 | 1.23km2 | 5,211 | 11,704 |
| 매탄2동 | 梅灘2洞 | 0.79km2 | 6,421 | 13,930 |
| 매탄3동 | 梅灘3洞 | 2.34km2 | 15,731 | 34,512 |
| 매탄4동 | 梅灘4洞 | 0.78km2 | 9,492 | 20,293 |
| 원천동 | 遠川洞 | 3.25km2 | 21,027 | 45,447 |
| 영통1동 | 靈通1洞 | 1.65km2 | 12,555 | 33,195 |
| 영통2동 | 靈通2洞 | 1.7km2 | 13,460 | 25,393 |
| 영통3동 | 靈通3洞 | 1.28km2 | 13,795 | 31,624 |
| 망포1동 | 網浦1洞 | 1km2 | 11,482 | 31,684 |
| 망포2동 | 網浦2洞 | 1.5km2 | 11,353 | 33,462 |
| 광교1동 | 光敎1洞 | 7.97km2 | 22,695 | 53,072 |
| 광교2동 | 光敎2洞 | 4.18km2 | 11,655 | 28,712 |
| 영통구 | 靈通區 | 27.68km2 | 154,877 | 363,208 |
영통구는 12개의 행정동으로 나뉜다.
| 행정동 | 법정동 |
|---|---|
| 매탄1동 | 매탄동 |
| 매탄2동 | |
| 매탄3동 | |
| 매탄4동 | |
| 원천동 | 원천동 |
| 광교1동 | 이의동 |
| 광교2동 | 하동 |
| 영통1동 | 영통동 |
| 영통2동 | 영통동, 신동, 망포동 |
| 영통3동 | 영통동 |
| 망포1동 | 망포동 |
| 망포2동 |
3. 2. 법정동
4. 인구
5. 지역 특징
영통구 북부에는 광교신도시가 건설 중이며, 2022년 5월 30일부터 경기도청이 이의동에 건설된 신청사로 이전하였다.[7] 매탄동에는 지역 경제의 핵심인 삼성전자 본사와 수원사업장이 있다.
영통구의 평균 연령은 32세이며, 20세 미만 청소년 인구는 7만 8천 명으로 전체 인구의 28.8%를 차지한다.[8]
6. 교육 기관
7. 교통
영통구 북부에는 신분당선이 지나고, 남부에는 분당선이 지난다.
7. 1. 철도
영통구 북부에는 신분당선이 지나가며, 광교역과 광교중앙역이 있다. 남부에는 분당선이 지나가며, 매탄권선역, 망포역, 영통역, 청명역이 있다.8. 유적지
참조
[1]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2]
웹인용
2023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3]
text
[4]
text
[5]
간행물
수원시 조례 제3346호
http://www.elis.go.k[...]
2015-01-20
[6]
간행물
수원시 조례 제3732호
2017-11-17
[7]
뉴스
경기도 광교신청사 이전 완료…30일부터 2천500명 공식 업무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4-01-12
[8]
뉴스
'휴먼시티' 수원 권선ㆍ영통구청장을 만나다
http://www.kyeonggi.[...]
경기일보(Kyeonggi Daily)
2018-07-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