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기도청은 경기남부와 경기북부를 관할하는 기관으로, 본청은 수원시에, 북부청사는 의정부시에 위치한다. 도지사 직속으로 대변인실, 소통기획관실, 소방재난본부 등을 두고 있으며, 행정제1부지사, 행정제2부지사, 연정부지사 체제로 운영된다. 산하에는 다양한 직속기관 및 사업소, 31개 시·군을 두고 있다. 2018년 예산은 21조 6,823억 원이었으며, 3,131명의 공무원이 근무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정부시 소재의 관공서 - 의정부지방검찰청
의정부지방검찰청은 경기도 북부 지역과 강원도 철원군 일부를 관할하는 검찰청으로, 1962년 의정부지청으로 출범하여 2004년 지방검찰청으로 승격되었고, 고양지청과 남양주지청을 포함한 현재의 조직 체계를 갖추었다. - 의정부시 소재의 관공서 - 의정부교도소
일제강점기 말 경성형무소 의정부농장으로 설립된 의정부교도소는 서울교도소 의정부지소를 거쳐 1966년 교도소로 승격되었고, 외국어 특별반 운영 및 수용자 대상 인문학 강좌 개최 등 다양한 교정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교정시설이다. - 1896년 설립 -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
- 1896년 설립 - 부산지방법원
부산지방법원은 1896년 부산재판소를 전신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지방법원으로, 일제강점기 일본인 거류민 재판을 위해 설치되었으나 해방 후 현재의 명칭으로 개칭되었으며, 부산광역시의 일부 구와 군을 관할하는 본원, 동부지원, 서부지원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재판부와 사무국을 두고 있다. - 경기도청 -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은 경기도와 서울대학교가 공동 설립하여 경기도의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목표로 연구개발, 기술창업 지원, 인력 양성, 국내외 교류 협력 사업 등을 수행하는 융합기술 연구 기관이다. - 경기도청 - 경기평택항만공사
경기평택항만공사는 평택항의 개발과 활성화를 위해 설립된 경기도 지방공기업으로, 시설 관리, 물류 시스템 구축, 활성화 사업 개발, 배후단지 개발, 위탁 사업 등을 수행하며 평택항을 무역항으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한다.
경기도청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경기도청 |
영문명 | Gyeonggi Provincial Government |
모토 | 변화의 중심, 기회의 경기 |
설립일 | 1896년 8월 4일 |
소재지 | 경기도청: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도청로 30 |
소재지 (북부청사) | 경기도청 북부청사: 경기도 의정부시 청사로 1 |
직원 | 3,131명 |
예산 | 27조 383억원 |
웹사이트 | 경기도청 공식 웹사이트 |
기관장 | |
도지사 | 김동연 |
부지사 | 김성중(행정제1부지사), 오후석(행정제2부지사), 김현곤(경제부지사) |
조직 | |
산하 기관 | 직속기관 38, 출장소 1, 사업소 11 |
![]() | |
![]() |
2. 청사
경기도청은 경기남부(한강 이남)를 관할하는 본청(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도청로 30)과 경기북부[4](한강 이북)를 관할하는 북부청사(경기도 의정부시 청사로 1)로 구성된다.
경기도청의 조직은 도지사, 행정 1·2부지사, 연정부지사 아래 다양한 부서로 구성되어 있다.
원래 경기도청은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매산로3가에 있었으나 광교신도시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에 신청사가 건설되어 이전되었다. 2022년 4월 14일부터 5월 29일까지 이전작업을 마친 후 5월 30일부터 광교 신청사에서 업무를 시작했다.
3. 조직
행정제1부지사 산하 | 행정제1부지사 산하 | 행정제2부지사 산하 |
---|---|---|
행정제1부지사 산하 | 행정제1부지사 산하 | |
행정제1부지사 산하 | 행정제1부지사 산하 | |
행정제1부지사 산하 | 행정제1부지사 산하 | |
행정제1부지사 산하 감사관실은 감사총괄담당관실, 조사담당관실, 감사담당관실, 계약심사담당관실로 구성된다.[5][6][7][9][10] 기획조정실은 정책기획관실[5], 예산담당관실[9], 법무담당관실[7] 등 다양한 부서로 구성된다.[11] 도시주택실은 지역정책과, 도시정책과, 주택정책과 등 도시 및 주택 관련 부서로 구성된다.[12]
경기도청에는 별도의 경제실이 없으며, 경제 관련 부서는 여러 실국에 분산되어 있다. 보건복지국 소속 사회적일자리과가 경기도민의 일자리 창출 관련 업무를 담당한다.[7]
3. 1. 도지사
경기도지사 직속으로 대변인실, 소통기획관실, 소방재난본부가 있다.[5][6][8]3. 1. 1. 대변인실
대변인실은 언론협력담당관실, 보도기획담당관실로 구성된다.[5][6][7]3. 1. 2. 소통기획관실
소통기획관실은 홍보미디어담당관실, 홍보콘텐츠담당관실로 구성된다.[5][6][7]3. 2. 행정제1부지사
행정제1부지사 아래에는 감사관실[5][6], 기획조정실[11], 도시주택실[12], 자치행정국[5], 교육협력국[5], 문화체육관광국[5], 농정해양국[5], 보건복지국[5], 환경국[5], 여성가족국[5][6], 철도국[5][16] 등이 있다.
3. 2. 1. 감사관실
감사관실은 감사총괄담당관실, 조사담당관실, 감사담당관실, 계약심사담당관실로 구성된다.[5][6][7][9][10]3. 2. 2. 기획조정실
경기도청 기획조정실은 정책기획관실[5], 예산담당관실[9], 법무담당관실[7] 등 다양한 부서로 구성된다.[11] 산하 부서는 다음과 같다.- 정책기획관실[5]
- * 기획담당관실[9]
- * 미래전략담당관실[7]
- * 예산담당관실[9]
- * 평가담당관실[9]
- * 법무담당관실[7]
- * 행정심판담당관실[7]
- * 정보기획담당관실[9]
- * 정보통신보안담당관실[9]
- * 빅데이터담당관실[6][9]
- * 규제개혁추진단[9]
3. 2. 3. 도시주택실
경기도청의 도시주택실은 지역정책과, 도시정책과, 주택정책과 등 도시 및 주택 관련 부서로 구성된다.[12]산하 부서 |
---|
지역정책과[9] |
도시정책과[9] |
도시주택과[9] |
주택정책과[9] |
건축디자인과[9] |
공공택지과[9] |
토지정보과[13] |
공동주택과[9] |
따복하우스과[9] |
도시재생과[9] |
도시계획상임기획단[6][14] |
3. 3. 행정제2부지사
경기도청 행정제2부지사는 복지여성실, 축산산림국, 교통국, 건설국, 북부소방재난본부 등을 담당한다.[5][6]3. 3. 1. 균형발전기획실
경기도청 균형발전기획실은 기획예산담당관실, 균형발전담당관실, 통일기반조성담당관실, DMZ정책담당관실 등으로 구성된다.[5][6] 특히 DMZ정책담당관실은 한반도 평화와 관련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3. 3. 2. 경제실
경기도청에는 별도의 경제실이 없으며, 경제 관련 부서는 여러 실국에 분산되어 있다. 요약에 언급된 일자리노동정책관실은 존재하지 않지만, 보건복지국 소속의 사회적일자리과가 경기도민의 일자리 창출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등 유사한 기능을 하는 부서들이 있다.[7] 또한, 국제협력관실은 경기도청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3. 4. 연정부지사
요약에 따르면 연정협력국, 공유시장경제국 등이 있다고 되어 있으나,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해당 국(局)들에 대한 정보가 없다. 따라서 이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4. 직속기관 및 사업소
경기도농업기술원, 경기도인재개발원,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경기도소방학교 등과 수원소방서, 성남소방서, 분당소방서, 고양소방서, 일산소방서, 부천소방서, 안양소방서, 안산소방서, 용인소방서, 의정부소방서, 남양주소방서, 평택소방서, 송탄소방서, 광명소방서, 시흥소방서, 군포소방서, 화성소방서, 파주소방서, 이천소방서, 구리소방서, 김포소방서, 포천소방서, 광주소방서, 안성소방서, 하남소방서, 의왕소방서, 양주소방서, 오산소방서, 여주소방서, 양평소방서, 동두천소방서, 과천소방서, 가평소방서, 연천소방서 등의 소방서, 그리고 경기도황해경제자유구역청, 경기도서울사무소, 경기도동물위생시험소, 경기도북부동물위생시험소, 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 경기도산림환경연구소, 경기도수자원본부, 경기도건설본부, 경기도여성비전센터, 경기도공단환경관리사업소, 경기도종자관리소, 경기도남한산성세계유산센터, 경기도축산진흥센터 등이 있다.
5. 산하 자치단체
경기도청 본청 관할에는 수원시, 성남시, 용인시, 부천시, 안산시, 안양시, 화성시, 평택시, 시흥시, 광명시, 김포시, 군포시, 광주시, 이천시, 오산시, 안성시, 의왕시, 과천시, 하남시, 여주시, 양평군이 있다. 북부청사 관할에는 고양시, 남양주시, 의정부시, 파주시, 양주시, 구리시, 포천시, 동두천시, 가평군, 연천군이 있다.
6. 정원
경기도청에 두는 지방공무원의 정원은 다음과 같다.[2]
7. 재정
2018년 경기도청의 총예산은 전년도에 비해 12.3% 증가한 21조원 6.823조원 31.07억원 5,000원이었다.[3]
; 세입 예산액[3]
구분 | 2018년 예산 | 작년 대비 증감 |
---|---|---|
지방세수입 | 10조원 7.498조원 | +14.3% |
세외수입 | 7.661조원 43.71억원 4,000원 | -15.2% |
지방교부세 | 1.694조원 96.12억원 7,000원 | +384.3% |
보조금 | 7조원 7.799조원 64.38억원 9,000원 | +10.8% |
보전수입 등 및 내부거래 | 2조원 2.169조원 26.84억원 5,000원 | +14.6% |
구분 | 2018년 예산 | 작년 대비 증감 | |
---|---|---|---|
분야 | 부문 | ||
일반공공행정 | 4조원 8900억원 7.65억원 | +3.4% | |
입법및선거관리 | 2550억원 93.98억원 9,000원 | +3.0% | |
지방행정·재정지원 | 4010억원 82.19억원 4,000원 | -87.3% | |
재정·금융 | 2.359조원 43.91억원 1,000원 | +18.4% | |
일반행정 | 3조원 7.872조원 87.55억원 6,000원 | +10.9% | |
공공질서및안전 | 1조원 1.981조원 22.81억원 4,000원 | +10.9% | |
재난방재·민방위 | 9.891조원 66.52억원 4,000원 | +11.5% | |
소방 | 2.089조원 56.29억원 | +7.5% | |
교육 | 2조원 7.545조원 65.09억원 9,000원 | +21.2% | |
유아및초중등교육 | 2조원 7.088조원 9.33억원 8,000원 | +21.4% | |
고등교육 | 370억원 40.9억원 | +7.8% | |
평생·직업교육 | 4200억원 14.86억원 1,000원 | +13.9% | |
문화및관광 | 4.181조원 21.14억원 5,000원 | +7.4% | |
문화예술 | 1.548조원 14.89억원 7,000원 | +17.4% | |
관광 | 6050억원 76.1억원 | -21.5% | |
체육 | 8330억원 26.93억원 5,000원 | +4.9% | |
문화재 | 7150억원 4.19억원 2,000원 | +17.3% | |
문화및관광일반 | 4780억원 99.02억원 1,000원 | +19.9% | |
환경보호 | 6.666조원 50.31억원 2,000원 | +2.5% | |
상하수도·수질 | 4.493조원 86.13억원 2,000원 | -10.4% | |
폐기물 | 590억원 42.46억원 9,000원 | -73.6% | |
대기 | 1.551조원 15.76억원 3,000원 | +73.6% | |
자연 | 80억원 57.23억원 3,000원 | +13.8% | |
환경보호일반 | 5530억원 48.71억원 5,000원 | +54.0% | |
사회복지 | 8조원 30억원 66.16억원 8,000원 | +17.1% | |
기초생활보장 | 1조원 8.184조원 34.59억원 4,000원 | +18.8% | |
취약계층지원 | 9.968조원 13.83억원 3,000원 | +34.2% | |
보육·가족및여성 | 2조원 6.923조원 63.13억원 8,000원 | +2.9% | |
노인·청소년 | 2조원 4410억원 85.73억원 6,000원 | +22.1% | |
노동 | 2.094조원 73.11억원 5,000원 | +188.0% | |
사회복지일반 | 2.39조원 95.75억원 2,000원 | +22.9% | |
보건 | 3.867조원 34.33억원 7,000원 | +27.1% | |
보건의료 | 3.747조원 22.14억원 1,000원 | +27.2% | |
식품의약안전 | 1200억원 12.19억원 6,000원 | +22.3% | |
농림해양수산 | 6.099조원 64.12억원 | +11.0% | |
농업·농촌 | 4.808조원 48.37억원 | +12.9% | |
임업·산촌 | 8320억원 80.42억원 5,000원 | -2.3% | |
해양수산·어촌 | 4580억원 34.32억원 5,000원 | +18.4% | |
산업·중소기업 | 2.319조원 95.71억원 5,000원 | +21.8% | |
산업금융지원 | 3220억원 35.4억원 | +8.9% | |
무역및투자유치 | 760억원 36.3억원 | +4.7% | |
산업진흥·고도화 | 1940억원 54억원 | -32.5% | |
에너지및자원개발 | 3280억원 95.46억원 3,000원 | +75.9% | |
산업·중소기업일반 | 1.397조원 74.55억원 2,000원 | +31.8% | |
수송및교통 | 1조원 3.035조원 44.45억원 1,000원 | +9.2% | |
도로 | 4.367조원 5.03억원 5,000원 | +15.6% | |
도시철도 | 1.942조원 28.4억원 7,000원 | -38.3% | |
해운·항만 | 320억원 7.03억원 | +26.7% | |
항공·공항 | 3억원 | 순증 | |
대중교통·물류등기타 | 6.691조원 3.97억원 9,000원 | +34.2% | |
국토및지역개발 | 7.779조원 67.91억원 6,000원 | +4.4% | |
수자원 | 2.059조원 2.8억원 | +11.0% | |
지역및도시 | 5.72조원 65.11억원 4,000원 | +2.3% | |
과학기술 | 4560억원 11.1억원 | +15.4% | |
과학기술일반 | |||
예비비 | 9130억원 52.02억원 1,000원 | -13.2% | |
예비비 | |||
기타 | 1조원 1.083조원 28.22억원 7,000원 | +11.4% | |
기타 |
8. 사건·사고 및 논란
2010년 1월 18일 경기도청은 본청 행정제1부지사(1급)를 차관급 정무직으로, 국가직 2급인 기획조정실장을 1급으로 상향 조정해 줄 것을 건의하기로 했다.[22] 이와 함께 경제투자실장, 도시주택실장, 의회사무처장 등 지방직 2급 3자리를 1급으로, 3급 실·국장을 2급으로 조정할 것도 요구했다. 이는 정부 및 서울특별시 등과 정책 조정 시 도청 공무원들의 직급이 상대적으로 낮아 어려움이 있고, 인구와 면적에서 경기도가 서울특별시에 비해 크지만 고위 공무원 정원은 적기 때문이다.[22] 도청 공무원들의 직급 상향 조정을 위해서는 대통령령 개정이 필요하다.[23]
참조
[1]
text
[2]
text
[3]
웹인용
경기도청 - 세입세출예산서
http://www.gg.go.kr/[...]
2018-02-03
[4]
text
[5]
text
[6]
text
[7]
text
[8]
text
[9]
text
[10]
text
[11]
text
[12]
text
[13]
text
[14]
text
[15]
text
[16]
text
[17]
text
[18]
text
[19]
text
[20]
text
[21]
text
[22]
뉴스
행정부지사 '차관급'으로‥ 경기도 직급상향 추진
http://news.naver.co[...]
2010-01-19
[23]
뉴스
[수도권III] "행정부지사를 차관급으로 격상"
http://www.chosun.co[...]
2010-0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